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00:41:52

답이 없다

답 없음에서 넘어옴
파일:말다했다 답이없다.jpg
김캐리로 합성된 짤방[1]

1. 개요2. 유래3. 사용 사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에서 널리 쓰는 유행어 중 하나로 어떤 대상이 아예 고쳐질 가망이나 해결책()이 없다는 의미이다.나름대로 짜임새를 갖춘 유행어로 퍼진 것은 게임 해설자 김태형이 허구한 날 했던 "답이 안 나오죠. 캐리어 가야 합니다."가 가장 결정적이었다.

영어로 번역하면 대략 "beyond help", "FUBAR[2]" 정도로 표현할 수도 있으니 참고.

일본어로 직역하면 "こたえが ない"이지만 이도저도 못하는 막힌 상황은 'つんだ'라고 한다.[3]

2. 유래

사실 유래라고 할 것도 없이 이전부터 흔히 쓰이던 관용구다. 다만, 넷상에서 밈에 가깝게 오르내리게 된 계기를 보자면 이렇다. 온게임넷 스타리그 중계가 대중적 인지도를 넓히고 있을 때, 김태형 해설은 조곤조곤한 톤으로 특히 부정적 상황을 강조하는 식의 해설을 많이 했다.[4] 게다가 프징징이 거의 공식 별명처럼 쓰이는 프로토스 스덕들이 "지상군으로는 답이 없죠. 캐리어 가야 합니다."에 크게 호응한 데다, 마침 김태형이 해설에서 부진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할 때라 정말 답 없이 캐리어만 찾는 해설로 이미지 메이킹을 한 탓에 소위 김캐리는 스덕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을 탔다. 스덕들에서 크게 유행했던 배리에이션으로는 엄재경 식의 '껄껄껄 이건 뭐 답이 없죠'가 있다.

이후 스타판의 요소가 많이 빠지면서 '답이 없죠'만이 잘려 여러 방면에서 쓰는데, 주로 그 무엇을 하여도 못 구제할 만큼 상황이 우울하고 곤란하거나, 상대가 그 무엇을 하여도 못 이겨 사기적일 때, 혹은 평생까임권을 받을 정도로 자기 고집만 부리는 비타협적인 사람들에게 '몇 번을 말해도 못 알아들으니 상대의 성격을 고칠 방법이 없다'라는 식으로 비하하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에 맞받아치는 말로는 있는데요가 있다.

3. 사용 사례

수학에서 답이 없음을 증명하려면 상당히 어렵다. 그냥 "해보니까 안 되더라."나 "안되니까 답이 없는 것 같다." 수준이 아니라[5] "왜 안 되는가?"를 증명해야 해서다. 이럴 때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가 그 유명한 귀류법. 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 뒤에 논리를 전개하면 모순이 나오더라. 왜 이런 모순이 나왔느냐? 그건 없는 해를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따라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리하는 방법이다. 수학적으로 진짜로 답이 없는 것은 '불능'이라고 칭한다.[6]

객관식 문제에 보기로 '답이 없다'가 나오면 응시자는 출제자를 저주한다. 일례로 미국 수학경시대회 중 하나인 'Mu Alpha Theta'는 모든 문제가 5지선다형 객관식인데 E번(5번)은 무조건 '답이 없다'라는 흉악함을 자랑한다.

2011년도 사법시험부터 다지선다형 문제에 '정답 없음'이 더 들어갔다. 안 그래도 어려워서 반은 찍고 나오는[7] 사법시험난이도가 이 한 선택지에 난이도가 무지막지하게 올라갔다. 그런데도 2011년 53회 사법시험 1차 합격 커트라인은 기본 3법 기준 243점이라는 극악의 커트라인이 나왔다. 2010년 52회는 232점, 2009년 51회는 229점.

SAT Writing 부분에서도 이 유형이 나온다. 문장을 써놓고서 그 중적인 오류를 고르는 것인데 맨 마지막에 등장하는 Choice E No Error. 개정판 시험의 경우 아예 보기 A가 "NO CHANGE" 라고 적혀있다.

AP에서도 심심하면 출제된다. 특히 합답형으로 I, II, III (한국의 ㄱ,ㄴ,ㄷ)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르라고 했는데 마지막으로 보기 E None of the above.

ACT English 에서도 심심하게 나온다. 이것 역시 SAT 같이 문법적 오류를 고르는 것인데 맨 첫 번째 등장한다. 반면에 시험 대부분이 에세이[8]나 short response인 IB에선 그런 게 없다.

2010년 말~2011년 초부터는 좀 더 축약한 표현인 노답이라는 표현법도 많이 쓴다. # 채팅을 여유있게 길게 치기 힘든 게임들에서 파생한 듯하고, 특유의 직관적인 어감 때문에 많이 쓰는 듯하다. 가끔은 answerless라는 영어 표현도 보인다고 한다.[9] 유래는 CHAOS지만, 이 사람이 솔로 랭크에서 아군 정글러를 보고 사용해서 유명해졌다.

참고로, 이 말을 한 김태형 역시도 유흥업소 실장이 되어 게임 해설가 경력을 팔아먹고 있어 답이 없어졌다.

홍대광은 가수로 정식 데뷔한 뒤 '답이 없었어'라는 곡으로 활동한 바 있다.

주관식 논술 문제 중에선 처음부터 정해진 답이 없는 경우가 있다. 정확히는 주제와 질문을 정하고, 그에 대해 자신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 생각을 얼마나 어떻게 글로 표현할 수 있는지 그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노리플라이는 응답(회신)이 없다는 말이고, 정답이 없다는 의미는 아니어서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의미와는 다르지만, '답이 없다'가 동음이의로 통하다보니 종종 엮일 때가 있다. 기업체의 발신 전용 이메일은 보통 이메일 주소를 'noreply@회사도메인'으로 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발신주소로 회신해봐야 답이 없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 문의메일을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그렇게 해놓는다.

4. 관련 문서



[1] 해당 짤방의 방송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이 한창 진행 중이던 2002년 6월 20일자 MBC 뉴스데스크에서 펠레인터뷰 화면에다 김캐리의 얼굴을 합성한 것이며, 원본 뉴스의 내용은 한국 팀이 결승전에 간다는 인터뷰이다. 그리고 본인이 유흥업소 실장이 되는 바람에 OGN 기념 영상에서도 언급이 안 될 정도의 흑역사가 되어버린 이후로는 본인이 정확하게 이 상황이 되었다.[2] "Fucked Up Beyond All Reason", "모든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좆됨" 정도로 번역 가능.[3] 근데 보통은 한국어로 '좆됐다'라는 의미로 '끝났다'라고 하는 것처럼 일본어도 그냥 'おわった'라고 표현한다.[4] 일례로,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 강민 vs 박용욱패러독스 경기에서 게임 캐스터 전용준이 불리한 전황을 타개할 파해법을 묻자 "예. 말 다했죠!"라고 말한 것은 한동안 김태형을 대표하는 상징 어구로 자리잡았었다. 다만, 이건 상황이라기보다는 말이 끊긴 사이에 다른 해설들이 자기 할 말을 다한 탓이 크다.[5] 여기서 증명을 끝내 버리면 "그냥 네가 실력이 없어서 못 풀어 놓고 답이 없다고 우기냐?"라는 태클이 걸리는 것은 기본이고, 컴퓨터의 계산 속도가 빨라진 요즘은 진짜로 수식에 숫자를 무식하게 대입해서 정말로 되는 결과를 찾아 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통해 오일러 추론의 반례를 찾아낸 것이 대표적인 예시.[6] 부정도 비슷하게 취급되지만, 이건 답이 무한정으로 많이 나와서 답으로 치지 않는다라는 느낌에 가깝다. 구별법은 불능의 답 개수가 '0개'라면, 부정의 답 개수는 '무한대'라고 생각하면 쉽다.[7] 법학전문대학원 도입 이후 평균 80은 기본 나오는 난이도.[8] Group 4 (Experimental Sciences) 에선 Extended Response, Group 1 (Language A)와 Group 3 (Individuals and Societies)에선 Essay[9] 올바른 표현은 unanswerable이다. 또한, unanswerable는 이의가 없다거나 반박할 수 없다는 뉘앙스에 가까우므로 unsolvable(구제불능)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