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대통령여단 Окрема президентська бригада Отдельная президентская бригада Separate Presidential Brigade | ||||||
파일:우크라이나 대통령여단 엠블럼.png | ||||||
<colbgcolor=#5f0064> 창설일 | 1992년 1월 2일 | |||||
소속 | 우크라이나 육군 | |||||
상급부대 | 제12군단 | |||||
종류 | 기계화보병 | |||||
모토 | Перші, серед, рівних 질서, 규율, 조직 | |||||
수호성인 | 보흐단 흐멜니츠키 | |||||
부대번호 | A0222 | |||||
여단장 | 드미트로 레베드 대령 | |||||
참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위치 | 우크라이나 키이우 | |||||
웹사이트 | |
1. 개요
우크라이나군의 기계화보병 부대이다. 본래 업무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보호하는 것이지만, 규모가 커지며 전투 임무도 담당하고 있다.명칭에 단대호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으며, 키이우와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를 경호하는 제101참모경비여단과 혼동되기도 한다. 특이한 점으로 육군과는 독립적으로 보라색을 부대의 색상으로 지정했으며 보라색 베레모를 착용한다.
2. 역사
키이우에 주둔하던 소련 내무부 소속 제290특수목적연대의 일부 병력이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로 이전, 1992년 제1독립연대로 창설됐다. 1995년 제24독립여단으로 증편됐고, 제24특수목적여단으로 개칭된 후 국가근위대가 해체 수순을 밟으면서 1999년 육군으로 이전했다. 이전 후 대통령 직속 제24특수목적연대로 개편됐다.돈바스 전쟁이 발발하자 동부전선에서 전투에 참전하면서 적기훈장 등 소련 시절 수훈이 제거됐다. 2017~2018년 단대호 번호가 삭제되고 헤트만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칭호가 수여됐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병력 일부가 호스토멜 공항의 경우처럼 함락될 경우를 대비해 줄리아니 국제공항에 배치됐고, 예하 제2기계화대대가 하르키우 방어에 참가했다. 창설 30주년을 기념해 부대가 여단으로 확충되면서 기계화대대를 다수 배속받아 한때 전투부대만 9개 대대를 예하에 두게 된다. 이후 바흐무트 전투, 아우디이우카 전투, 포크로우스크 전투 등 동부전선에서 여러 전투에 투입됐으며 2024년 부대개편으로 일부 대대가 강습연대로 분화하거나 해체되면서 현재는 산하에 의장대대 제외 6개 (기계화)보병대대를 두고 있다.
3. 편제
- 여단본부
- 제1기계화대대
- 제2기계화대대
- 제3기계화대대
- 제4기계화대대
- 제21특수목적대대
- 제22특수목적대대
- 방공대대
- 무인기대대 '노바'
- 군수지원중대
- 저격중대
- 의무중대
- 의장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