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03:02:17

대포병 레이더

대포병레이더에서 넘어옴

1. 개요2. 대한민국 육군이 보유한 대포병레이더3. 대항4. 해외 대포병레이더5.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어: 대포병레이더
영어: Counter-battery Radar
일본어: 대포레이다장치(対砲レーダ装置)
중국어: 포병정교정위뢰달(炮兵侦校定位雷达) / 반포병뢰달(反炮兵雷达)
러시아어: РЛС контрбатарейной борьбы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hilem-beyt-hatotchan-4.jpg
이스라엘군의 대포병 레이더. 출처
상대방이 사격하는 포탄의 탄도학적 궤도를 분석하여, 역으로 상대방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비. 당연히 포병을 편제하는 어지간한 국가는 모두 보유하고 있다.
대포병 추적을 위한 수많은 노력과 과학적 시도들

해당 영상에 나온대로 대포병 레이더는 현대 레이더 기술중 가장 늦게 발전한 분야고 그만큼 어려운 분야였다. 때문에 근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는 대포병 레이더의 부재를 오만가지 분석법을 통해 포병을 찾기 위한 노력에 매진했다. 가장 기초적인 관측장교가 목숨걸고 들어가는 것부터 시작해 각종 탐지법, '탄흔 분석'이라는 것을 통해 적 포병 부대의 위치를 파악했다. 포탄이 떨어지는 와중에 포성의 방향과 거리를 통해서나 탄착 지점의 파공을 살펴서 그 형태를 바탕으로 탄도를 도출하여 적 포병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1]. 근현대 전장에서 적 포병 진지를 직접 마주보고 전투하는 일은 없어졌고, 따라서 당장 포격을 받은 상황에서 적 포병 부대의 위치를 확인하려면 탄흔 분석 밖엔 방법이 없었다[2]. 문제는 이 탄흔 분석이란게 전투 지역의 토질에 따라 정확도 차이가 너무 심하고, 비라도 오면 순식간에 사라져서 탄흔조차 남지 않아 너무 확률이 떨어졌다.

그러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대공 레이더박격포탄이 잡히기도 한다는 사실이 알려졌고[3], 50년대부터는 탄도 계산 컴퓨터와 결합된 대박격포 레이더가 운용되기 시작했다.

박격포는 레이더에 잡기 쉽지만 일반 포탄이나 로켓탄은 탄도가 낮아 비행시간이 짧기에[4] 레이더 및 컴퓨터 기술의 부족으로, 또한 박격포에 비해 일반적인 곡사포의 방열 및 철수가 훨씬 느려서 구식 방법으로도 할 만 했으므로, 따라서 본격적인 대포병 레이더의 수요도 딱히 없었으므로 본격적인 대포병 레이더 출현은 상당히 늦어지게 된다.

하지만 60~70년대 들어 각국이 자주포 비율을 크게 높이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방열 및 철수가 월등히 빨라지면서[5] 본격적인 대포병 레이더 수요가 생겼고, 80년대에 들어서부터 대포병 레이더가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포병은 가장 강력한 화력을 쥐고 있으면서도 가장 생존성이 취약한 병과이다. 전선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서 사격하더라도, 상대방이 대포병 레이더를 가동하여, 아군의 포탄이 발사된 위치를 알아내면 불과 몇분 안에 비오듯 포탄이 떨어진다. 이렇게 높은 확률로 추적할 수 있는 이유는 포탄과 로켓탄은 딱히 추진방향을 바꾸는 일[6] 없이 포물선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다만, 레이더 자체는 일반 차량에 탑재된 형태나 아니면 견인된 형태로써 적의 공격에 아주 취약하고 아주 조금만 공격을 받더라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무엇보다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또한 견인식이나 차량 탑재식 모두 산간지역에서는 이동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다. 물론 차에 얹어놓은 건 얼른 얼른 튀라고 해놓은 거고, 비싸다 비싸다 하지만 이거 없을 때 손실될 전력보단 월등히 싼값이다. 액면가 비싸다고 무작정 욕하지 말자.

2. 대한민국 육군이 보유한 대포병레이더

2.1. AN/TPQ-36, 37

대한민국 육군은 90년대부터 미국 휴즈[7]의 AN/TPQ-36, 37레이더를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_TPQ-36.jpg
AN-TPQ-36 레이더 출처
파일:external/9508eaa368ddde97c36d4fa83b7538006a4a09735996ac4a14bbf0c4a24ccc1a.jpg
AN-TPQ-37 레이더 출처
연평도 포격전 당시 연평도에 배치된 TPQ-37 레이더는 초반에 가동되지 않는 상태였다. 방사포 사격이 시작된 2차 포격부터 TPQ-37을 사용하여 적 방사포 포대에 대포병사격을 가하였으며, 이 대포병 사격의 탄흔이 구글 어스 위성 사진에 찍히기도 했다.

그러나 TPQ 시리즈는 애초에 하루에 6시간[8], 연간 1,200시간 정도의 작동 제한 시간이 있다.[9] 또한 초기 부팅도 20분 정도로 오래 걸리기에 연평도 포격전과 같은 긴급 상황에 즉각 반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게다가 도입 당시 예산 부족 문제로 옵션이 완전히 장착되지 않아서 성능 자체도 미군이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떨어지고 대전자전 기능도 없다. 결정적으로 20년이 다 되도록 성능 개량이 이루어지 않았고 제대로 점검도 받지 못해서 고장이 매우 잦다. 끊임없는 성능 개량이 이루어진 미군의 TPQ-37 레이더와는 이미 차원이 다른 레이더라고 할 수 있다. 포병여단의 훈련 중에도 '작동 중'이라는 보고보다 '점검 중'이라는 보고가 더 많이 들어오니...

개량이 아예 안 된 건 아니고 완전 아날로그 + 소수 디지털 인터페이스 통제 장치를 완전 디지털화하고 네트워크화한 정도의 개량은 했지만 정작 안테나 부분까지 개량하진 못했다. 군이 보유한 건 RF 증폭 소자가 진공관 계열인 진행파관을 사용하고 있어서 이소자 예열 때문에 부팅 시간이 길고 진공관 특성상 짧은 수명 때문에 거의 24시간 가동하는 대한민국 국군 운용 특성상 당연히 고장이 자주 날 수밖에 없다.

다만 미군은 반도체 소자인 SSPA로 AN/TPQ-53, AN/TPS-80등을 배치하여 이런 문제가 덜하다.

2.2. 아서-K

2009년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스웨덴에서 만든 최신형 대포병 레이더 아서-K(Arthur[10])를 6대 도입했다. 이후 연평도 포격전이 발생하자 2대를 추가로 도입하여 연평도에 배치하였다.

탐지거리 약 60km. 박격포, 야포, 방사포탄 탐지 가능. 분당 100개 표적 동시 추적. 5톤 트럭K-711에 탑재 가능. 가격 약 130억 원.
파일:external/image.munhwa.com/2011062901030223062002_b.jpg
Arthur 대포병 레이더 출처
아서-K는 TPQ-36, 37 레이더보다 크기도 훨씬 작고, 최대 탐지 거리도 길며 적의 방해전파에도 정상 작동할 수 있는 대전자전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잦은 고장으로 부실 장비 의혹이 일고 있다. MBN 뉴스

레이더가 고장나는 게 아니다. 수입해 온 레이더를 켜는, 발전기가 계속 고장을 일으키는 것뿐.

2.3. 국산 대포병탐지레이더 천경-II

2011년부터 아서의 제작사인 스웨덴, SAAB사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국산 대포병 레이더 개발에 들어갔고, 2016년 후반에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한다.

파일:external/c664f1296992941c44b601bb75263cd60e825e82d4590bb946debd496d98675e.jpg
2017년 4월 말에 국산 대포병레이더-II 개발이 완료되었다고 공식 발표되었다.

2018년 9월 3일 전력화를 위한 양산계약이 체결되었다. #

제식명칭은 'TPQ-74K 천경-II'으로 정해졌다. C-밴드 GaN AESA레이더이며, 70km의 탐지거리를 가졌다.

2.4. 기타

AN/TPQ-36/37 이전 적 포 표적획득장비로는 AN/TNS-10을 사용했고 주특기 번호로는 1336 음향병으로 입대할 경우 맡게 되는 장비이다. 여러 곳에서 포성을 획득하여 도달 속도 차이를 통해 근원지를 찾아내는 방식이며 장비의 노후와 엄청난 비효율성 등으로 인해 대포병 레이더 미지급 부대에 잔존하며 폐기 전까지 실전 운용했다. 실전 운용하던 부대는 아마 이 부대의 것을 짬당한 것일지도...'#'

3. 대항

포탄이 공중에서 문워크 댄스를 춘다면(?) 음향병이나 대포병레이더로는 추적이 어렵다. 국방부는 대포병 레이더를 무력화하는 포탄 GGAM을 개발 중이다. 이를테면 포탄에 날개를 달아 활강시키는 건데... 이렇게 하면 사거리도 늘어날뿐더러 맞은 놈 입장에서는 발사지점 파악하기가 골치아파진다. 물론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시간을 들이면 추적이 가능하지만, 문자 그대로 1분 1초가 급한 대포병 추적에서 이 정도면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게다가 국방과 기술에 나온 논문에서는 스텔스 포탄이나 JDAM과 비슷하게 정점까지 탄도를 그리며 발사 후 GPS의 보정을 받아서 타격할 수 있는 박격포탄이라는 개념도 나왔다.

4. 해외 대포병레이더

5. 관련 문서


[1] 해당 영상에 나오는 사운드 레인징이 그것이다. 음향병 문서 참조바람[2] 탄흔 분석은 현재 대한민국 국군포병이나 타국 포병들도 쓰는 방법이다. 간단한 장비로도 오차가 별로 없어서 레이더가 별로 없는 한국군은 애용하지만 레이더가 풍부한 서방 국가들은 그냥 레이더가 전부 아작나는 상황 아니면 특수부대, 관측반 등 제한 병과에 한해 가르치는 기술이다.[3] 박격포탄의 꼬리날개가 레이더에 잡히기 쉬웠기 때문이다.[4] 특히 보통의 포탄은 꼬리날개 등 전파가 잘 반사되는 부분도 없이 미끈한 유선형이다.[5] K-9 자주곡사포는 가다가 서서 쏘고 또 간다![6] 바람이 심한 날은 예외. 타격목표지점에 떨어지기 힘들어지지만 그 대신 발사위치 추적도 힘들어진다.[7] 현재의 보잉[8] 굉장한 열을 발생시키므로 냉각이 필요하다.[9] 이는 후속으로 도입된 아서-K (Arthur-K)도 똑같이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10] ARTillery HUnting Radar의 약어이다[11] 개발국 기준[12] ARTillery HUnting Radar[13] 1989년 초도 가동 사양 획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