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33:12

데이비드 로버트슨

데이빗 로버트슨에서 넘어옴
데이비드 로버트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NYY_2009_WSChampion.png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2009

파일:201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1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반지
2017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
은메달
2020

뉴욕 양키스 등번호 30번
스콧 패터슨
(2008)
<colbgcolor=#C4CED4> 데이비드 로버트슨
(2008~2014)
네이선 이볼디
(2015~2016)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30번
알레한드로 데 아자
(2010~2014)
데이비드 로버트슨
(2015~2017)
니키 델모니코
(2017~2019)
뉴욕 양키스 등번호 30번
클린트 프레이저
(2017)
데이비드 로버트슨
(2017~2018)
타이로 에스트라다
(2019)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30번
카메론 퍼킨스
(2017)
<colcolor=#FFFFFF> 데이비드 로버트슨
(2019)
루크 윌리엄스
(2021)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30번
아지 티몬스
(2018~2021)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1)
브룩스 레일리
(2022)
시카고 컵스 등번호 37번
콜 스튜어트
(2021)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2)
마이클 에르모시요
(2022)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30번
루크 윌리엄스
(2021)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2)
그레고리 소토
(2023~2024)
뉴욕 메츠 등번호 30번
조엘리 로드리게스
(2022)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3)
라파엘 오르테가
(2023)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19번
미겔 로하스
(2015~2021)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3)
포레스트 월
(2024)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7번
요헬 포조
(2021)
데이비드 로버트슨
(2024)
결번
}}} ||
파일:레인저스데이비드로버트슨.jpg
데이비드 로버트슨
David Robertson
본명 데이비드 앨런 로버트슨
David Alan Robertson
출생 1985년 4월 9일 ([age(1985-04-09)]세)
앨라배마 주 버밍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폴 W. 브라이언트 고등학교 - 앨라배마 대학교
신체 180cm | 88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17라운드 (전체 524번, NYY)
소속팀 뉴욕 양키스 (2008~2014)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5~2017)
뉴욕 양키스 (2017~2018)
필라델피아 필리스 (2019~2020)
탬파베이 레이스 (2021)
시카고 컵스 (2022)
필라델피아 필리스 (2022)
뉴욕 메츠 (2023)
마이애미 말린스 (2023)
텍사스 레인저스 (2024)
가족 형 코너 로버트슨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데이비드 로버트슨/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7 CHW 17 NYY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2 CHC 22 PHI
23 NYM 23 MIA 2024년

3. 피칭 스타일

프로필 상으로 180cm를 간신히 넘는 왜소한 체격을 가졌지만 무지막지한 스트라이드로 신체를 홈플레이트 앞으로 최대한 끌고 나와서 던지기 때문에 릴리스 포인트와 타점이 타 투수들보다 훨씬 앞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이 우완 불펜 투수치고는 별로 빠르지 않은 평균 91~93마일의 패스트볼이 약 2마일 정도 더 빠르게 느껴진다고 하고, 패스트볼을 포심 그립으로 잡고 던짐에도 자연적으로 커팅 액션이 생겨 흡사 커터를 던지는 듯한 효과가 난다고 한다.

데뷔 초부터 4년차 동안 BB/9이 줄곧 4.5개 이상을 찍었을 정도로 초창기부터 제구력이 별로 좋진 않았지만 2012년부터 어느 정도 제구력의 개선이 있었고, K/9이 12개에 육박할 정도로 미칠 듯한 탈삼진 능력이 있기 때문에 그다지 문제되는 수준은 아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NYY_2009_WSChampion.png 월드 시리즈 우승 (2009)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011)

5. 여담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