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22:42:41

덴자 D9 DM-i

파일:덴자 영문 로고.png
파일:2025 덴자 D9 DM-i.jpg
D9 DM-i

1. 개요2. 상세 (2022~현재)
2.1. 수출 시장에서2.2. 파워트레인
2.2.1. 판매량
3. 여담4. 참고자료5. 둘러보기

Denza D9 DM-i/腾势 D9 DM-i

1. 개요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BYD Auto 산하의 덴자에서 생산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MPV이다.

2. 상세 (2022~현재)

파일:2022 덴자 D9 전면부.jpg <nopad> 파일:2022 덴자 D9 후면부.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2 덴자 D9 DM-i 운전석.png
파일:2022 덴자 D9 DM-i 2열.png
파일:2022 덴자 D9 DM-i 3열.png
}}}}}}}}} ||
<rowcolor=#ffffff> 덴자 D9 DM-i (초기형, 2022~2024)

덴자의 브랜드 재구축 후 출시한 첫 차량으로 2022년 5월[1]에 공개된 후 8월 23일부터 판매를 시작해 10월 21일부터 생산되어 다음 날부터 탁송되기 시작했다. BYD Auto 버전으로는 시아왕조 시리즈로 판매된다. DM-i 플랫폼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이다.[2] 차량의 생산은 중국 산시성 시안시에 위치한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해외에서는 2023년 3월에 이루어진 방콕 모터쇼 때 처음 공개되었다. 차량의 설계는 볼프강 에거가 담당하였다.

실내에는 10.25인치 계기판, 15.6인치 중앙 제어 화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전면에 3개의 인포테인먼트 화면이 있는 7개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이 들어간다. 2열의 경우 앞좌석 등받이에 2개의 화면이 있고 2열 암레스트에 2개의 스크린이 적용된다. 앞좌석 사이에는 2열 승객이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역시 존재한다. 여기에 TS 링크 인텔리전트 인터랙티브 콕핏이 적용되어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화면 미러링 기능을 지원한다. 2열 시트는 10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발 받침대, 난방, 통풍, 10포인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3개의 무선 고속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중국 시장에서는 출시 이후 4개의 DM-i 사양과 다양한 배터리와 파워트레인 옵션이 적용되었다. 사양명에는 디럭스[3], 프리미엄과 플래그십 3종으로 구성되었다. 최초 출시 직후에는 프리미어 파운더 에디션이라는 초호화 한정 사양이 출시되었으며 2023년 4월 상하이 모터쇼 때 공개되었다. 99대 한정 사양으로 투톤 컬러와 4인승 실내 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다듬은 양산차는 같은 해 광저우 모터쇼 때 공개되어 이듬해 2월 4일부터 탁송이 시작되었다. 출시 당시 30분만에 3,000대 사전 계약이 이루어졌으며 하루만에 5,679대가 주문되었다. 이후 7월에는 3만대, 2023년 9월에는 누적 10만번째 차량[4]이 만들어졌고 11월에 누적 판매 10만대를 달성했다.

2024년 3월에 첫 연식변경을 거치며 자동 소프트 클로징 도어가 추가되었고 새로운 실내 베이지색 소재가 사용되었다. 터치식을 대체한 버튼형 스티어링 휠, 열선 스티어링 휠의 전사양 장착, 중앙 콘솔의 추가 버튼, 온보드 냉장고 등이 추가되었다. DM-i 980 프리미엄 AWD는 두 가지 다른 사양으로 판매되었으며, 한정 사양으로 파이오니어가 추가되었다.
파일:2025 덴자 D9 DM-i 전면부.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5 덴자 D9 DM-i 운전석.jpg
}}}}}}}}} ||
<rowcolor=#ffffff> 덴자 D9 DM-i (1차 페이스리프트, 2025~)

같은 해 12월에 2번째 연식변경을 거치며 그릴 디자인의 변경 및 5세대 DM-i 플랫폼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모든 사양에 중앙 지붕 전면에 장착된 라이다 센서와 BYD의 '신의 눈' BAS 3.0+ 고급 주행 보조 시스템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기존 디럭스 사양은 럭셔리 사양으로 변경되었고 1,020km(프리미엄 및 플래그십)[5]과 1,100km(럭셔리) 사양이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스타리 그레이 외장 색상의 추가, 조수석용 추가 대시보드 스크린, 10스크린 상호 연결성, 2열 무중력 시트, 3열 시트의 파워 시트 조정 기능, 온보드 냉장고의 최신 냉난방 기능 지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차체 제원은 전장 5,250mm, 전폭 1,960mm, 전고 1,920mm, 휠베이스 3,110mm, 공차중량 2,325kg, 적재공간은 410L~2,310L에 달한다. 전륜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V디스크, 후륜 서스펜션은 멀티링크 서스펜션+V디스크가 적용되었으며 조절 가능한 서스펜션과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된다. 타이어는 235/60 R18형(18인치) 알루미늄 알로이 휠이 적용되나 스페어 타이어는 들어가지 않는다.

2.1. 수출 시장에서

2024년 7월 14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세안 국가 중 처음으로 판매된 지역이다. 이 시장에서는 EV와 DM-i 모두 판매된다.
파일:덴자 D9 DM-i 서울모빌리티쇼 수정.jpg
<rowcolor=#ffffff>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덴자 D9 DM-i
2025년에 열린 제15회 서울모빌리티쇼 BYD Auto 부스에서 양왕 U8덴자 Z9 GT바오 5와 함께 국내에 처음 공개되었다. 국내에 공개된 해당 사양은 2025년형 페이스리프트 이전인 초기 사양이다. 다만 판매될지는 미지수이다.

2.2. 파워트레인

덴자 D9 DM-i 파워트레인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rowcolor=#fff> 사양 DM-i 965 DM-i 1040 DM-i 970 AWD
<colbgcolor=#0067c0><rowcolor=#fff> 탑재 엔진 엔진명 1.5L BYD476ZQC형 가솔린 터보 I4 엔진
<rowcolor=#fff> 출력 <colbgcolor=#fff><colcolor=#000> 137마력
<rowcolor=#fff> 토크 231Nm
<rowcolor=#fff> 변속기 전자식 CVT
<rowcolor=#fff> 배터리 20.39kWh 리튬 이온 배터리 <colbgcolor=#fff><colcolor=#000> 40.06kWh 리튬 이온 배터리
<rowcolor=#fff> 레이아웃 FWD <colbgcolor=#fff> AWD
<rowcolor=#fff> 전기 모터 <colbgcolor=#0067c0> 형태 전륜 PMSM 전륜+후륜 PMSM
<rowcolor=#fff> 최고 출력 228마력 <colcolor=#000> 60마력[6]
<rowcolor=#fff> 최고 토크 340Nm 110Nm[7]
<rowcolor=#fff> 복합 최고 출력 296마력 401마력
<rowcolor=#fff> 최고 토크 571Nm 681Nm
<rowcolor=#fff> 제로백 9.5초 7.9초
<rowcolor=#fff> 주행거리 NEDC 98km 190km 180km
<rowcolor=#fff> WLTC 75km 155km 145km
<rowcolor=#fff> 총 주행거리 NEDC 965km 1,040km 970km
}}}}}}}}} ||

복합 주행거리는 945km에서 1,040km이며 최대 순수 주행거리는 190km이다. 연비는 약 16.1km/L이며 DM-i EHS170형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후륜 3 in 1 하이브리드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965km 사양은 2023년 8월 5일자로 출시되었다. 2024년 3월에는 파워트레인 면에서는 980km 사양 프리미엄과 플래그십, 1,040km 프리미엄 사양이 추가되었다. 970km 사양은 전륜구동으로 변경되었으며, 945km 사양을 대체한 디럭스 사양 한정으로 적용되었다.

2.2.1. 판매량

덴자 D9 DM-i 판매량
<rowcolor=#000> 연도 중국 시장 판매량
<colbgcolor=#0067c0> 2022년 <colbgcolor=#fff> 9,803대
2023년 111,560대
2024년 97,948대

3. 여담

묘하게 토요타 알파드같은 디자인 구조를 가졌다.

4. 참고자료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덴자 영문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67c0><colcolor=#fff> 준중형차 - EV · 400 · 500
준대형차 Z9 -
중형 SUV N7 X · N8
대형 SUV N9 -
MPV D9 · D9-DM-i -
}}}}}}}}} ||



[1] 외장, 실내 디자인과 이름은 실차 공개 한 달 전에 이루어졌다.[2] EV 버전은 e-플랫폼 3.0이 탑재된다.[3] DM-i 사양 한정[4] DM-i 다크 블루 색상의 차량이었다.[5] DM-i 1020 프리미엄 AWD 사양은 3개로 구성되었다.[6] 후륜 PMSM 출력 한정[7] 후륜 PMSM 토크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