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07:30:16

돌아온 슈퍼전대 시리즈


파일:슈퍼전대 로고.png
돌아온 슈퍼전대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돌아온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특별막 돌아온 천장전대 고세이저 Last Epic 돌아온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동물전대 고버스터즈 돌아온 수전전대 쿄류저 100 YEARS AFTER
갔다 돌아온 열차전대 토큐저 꿈의 초 토큐 7호 돌아온 수리검전대 닌닌저 닌닌걸즈 VS 보이즈 FINAL WARS 돌아온 동물전대 쥬오우저 목숨접수! 지구왕자결정전
10주년 기념작
파일:허리케인저 10주년 로고.png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10 YEARS AFTER
파일:데카레인저 10주년 로고.png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10 YEARS AFTER
파일:고온저 10주년 로고.png
염신전대 고온저
10 YEARS GRANDPRIX
파일:텐 고카이저 로고.png
텐 고카이저
파일:킹과쿄류.png
임금님전대 킹오저 VS 쿄류저
20주년 기념작
파일:허리켄20주년로고.png
인풍전대 허리케인저라 하오!
슈슛하고 20th Anniversary
파일:아바렌20주년로고.png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0th
용서받지 못한 아바레
파일:데카렌 20 로고.png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20TH
파이어볼 부스터
30주년 기념작
파일:닌자전대 카쿠레인저 제3부 • 중년분투편.png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제3부 • 중년분투편
}}}}}}}}}


1. 개요2. 특징3. 현황
3.1. n0주년 기념작 시리즈

1. 개요

슈퍼전대 시리즈 TV판 방송 종료 후 후일담[1]을 다룬 V 시네마/V 시넥스트.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의 높은 인기로 처음 발매된 이후로[2] 매년 제작되고 있다.

2. 특징

대부분 TV판과는 다르게 완전 개그물로 가고 있다. 본편에서는 도저히 전개될 수가 없는 설정들이 나온다. 다만 천장전대 고세이저열차전대 토큐저는 모두 악의 조직 잔당이 복수를 위해 암약하는 진지한 내용이다.

돌아온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동물전대 고버스터즈부터 해당 작품에만 출연하는 오리지널 신전사를 등장시키고 있다.

3. 현황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이후로 매년 나오고 있지만 해적전대 고카이저만 나오지 않았다. 최종회의 방영이 늦어지면서 촬영 스케쥴이 맞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냥 넘어갈수는 없어서인지 스토리만은 후일담인 히어로 쇼 해적전대 고카이저 파이널 라이브 쇼를 DVD에 넣었다. 하지만...

상기한 대로, 동물전대 쥬오우저 이후로 나오지 않고 있다.

우주전대 큐레인저의 경우는 우주전대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가 V 시넥스트로 대신 나왔다.[3] 본작의 발매 시기가 다른 시리즈들과 똑같은 6월이라는 점과 TV판 최종화로부터 4년 후의 후일담을 담았다는 점에서 기본 포멧은 돌아온 슈퍼전대 시리즈와 동일하다.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VS 큐레인저가 V 시넥스트로 발매돼서인 듯 해서 안 만든 듯 한데, 보통 VS 시리즈는 1월달에 개봉하지만 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 VS 큐레인저는 5월 극장 개봉 & 8월 블루레이 발매로, 기존 돌아온 슈퍼전대 시리즈가 발매되는 6월달과 그리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최종화 이후의 스토리 자체는 크게 넘어갈 수 없었던 탓에 고카이저 처럼 스토리만은 후일담인 파이널 라이브 쇼를 DVD에 넣었고, 이후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VS 루팡레인저 VS 패트레인저를 아예 루팡패트 전용 애프터 스토리로 퉁쳤다. 이 시점부터 슈퍼전대 시리즈의 V시넥스트는 VS 시리즈로 넘어가고, 별도의 영상물을 TTFC로 공개하는 체제가 되었다.

기사룡전대 류소우저도 원래 스토리만은 후일담인 파이널 라이브 쇼를 진행하려 했으나, 운 나쁘게도 코로나19 여파로 안타깝게 라이브 자체가 취소되고 말았다. 그래도 2021년 2월 20일에 본편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스토리를 담은 신규 극장판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특별편: 메모리 오브 소울 메이트가 개봉하였고, 1화 이전의 마스터들의 이야기를 다룬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THE LEGACY OF The Master’s Soul이 TTFC를 통해 공개되었다.

마진전대 키라메이저에 경우 스핀오프 작품인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스핀오프 요돈나를 공개했다.

3.1. n0주년 기념작 시리즈

시리즈 완결 후 10년 이상 지난 시리즈를 기념하는 작품.

원래는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출연진들이 고카이저 촬영에서 함께 모인 것이 계기가 되어 기념작 형식으로 만든 작품이었고, 이것도 역시 처음엔 단발성으로 그칠 것으로 보였지만 특수전대 데카레인저염신전대 고온저의 V 시네마 제작이 됨에 따라 시리즈화의 순서를 밟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 6월 19일, 해적전대 고카이저 10주년 기념 방송이었던 호쾌발표특별방에서 고카이저의 10 YEARS AFTER 시리즈의 작품 텐 고카이저를 발표했다. 수전전대 쿄류저의 경우에는 임금님전대 킹오저 VS 쿄류저로 특이하게 VS 시리즈 형식으로 공개되었다. 이미 성인이 된 팬들을 겨냥해서인지 본편보다 진지하고 사회 비판적인 내용이 조금씩 많았다.[4]

닌자전대 카쿠레인저는 n0주년 기념작 시리즈 최초로 30주년 기념작이 출시되었다. 특별편 취급인 타 작품들과는 달리 아예 공식적으로 본편 54화로 취급되는 것이 특징.

이 시리즈는 돌아온 시리즈에 비해서 제작 제약이 많이 따르는데, 일단 허리케인저의 경우는 주연 배우들이 기획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다른 출연진과 스태프를 모은 덕분에 성사된 것이었고, 이후 작품들 역시 주연 배우들의 의욕 덕에 제작이 가능했다.[5] 이 시리즈의 제작이 성립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꼽히는 것은 주요 출연진의 의욕[6]과 토에이의 예산.

다만 상술한 사정들도 있는데다, 담당 배우의 연예계 은퇴[7]또는 사망[8], 범죄를 저지르거나 심각한 논란을 일으킨 경우 제작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명전대 고버스터즈는 주역 배우들의 의욕이 있었음에도 배우 한 명이 심각한 범죄를 저질렀다는 것이 밝혀져 제작되지 못했으며, 해적전대 고카이저[9]동물전대 쥬오우저도 일부 배우들이 범죄 및 논란을 일으켜 제작이 불가능하다.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는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담당 배우 및 성우 중 4~5명이나 사망, 은퇴 내지는 근황 불명이라 20주년인 2025년에 접어들어도 관련 소식이 전혀 없다.

한국에서는 수입이 되지 않아 정식 상영 및 방송이 되지 않는 상태였지만, 2022년 12월에 텐 고카이저가 정식으로 상영되는 게 결정되며 최초의 10 YEARS AFTER 수입 작품이 되었다.
[1] 단, 사무라이전대 신켄저는 삼도천, 특명전대 고버스터즈는 사망한 진 마사토 때문에 후일담이 아닌 작중 중후반 시점을 다루고 있다.[2] 당시 VS 시리즈가 V 시네마에서 극장판으로 바뀜에 따라 그 틈을 메꾸려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쌓여있던 재고들의 추가 소비가 목적이기도 했다.[3] 터스크 역의 배우인 와타나베 츠루기가 일으킨 자전거 뺑소니 사고에 대해 미흡한 대처를 했기 때문에 강제 은퇴해서 제작되지 못한 큐레인저 VS 쥬오우저의 대체작이라는 얘기도 있다.[4] 예로 들자면, 내부 안에 적이 숨어있다던가, 예전의 적과 힘을 합쳐 새로운 악의 세력이 나타나는 것을 저지한다던가, 혹은 침략을 당했던 자들도, 언제든지 침략자가 될 수 있는 그런 내용을 담고 있다.[5] 상술한 인풍전대 허리케인저의 멤버들은 주연 배우들의 적극적인 협조 덕에 촬영이 가능했고, 특수전대 데카레인저도 주연 배우들이 연예계에서 아직 활동 중이였기 때문에 촬영 가능했으며, 염신전대 고온저는 멤버들끼리의 친분이 상당히 두터웠기 때문에 촬영이 가능했다. 해적전대 고카이저 또한 배우들이 모두 연예계에서 활동 중 이었기도 하고, 친분도 두터웠으며 꾸준히 전대 관련 작품에 등장할 정도로 슈퍼전대 시리즈에 애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닌자전대 카쿠레인저의 경우 무려 30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담당 배우들이 대부분 현역인데다 츠루히메역의 히로세 사토미를 필두로한 배우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기에 제작이 가능했던 것.[6] 특히 당시 출연진들이 방송 종료 후에도 꾸준히 연예계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7] 은퇴의 경우 기념작 촬영을 위해 일시적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있어 은퇴만으로는 제약이 걸리는 경우는 다소 줄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이츠키 란루수전전대 쿄류저아미 유즈키.[8]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천환성 다이고역의 노우미 타츠야, 격주전대 카레인저시노하라 나츠미역의 모토하시 유카의 별세로 인해 각 전대들은 기념작 제작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카레인저의 경우 같이 출연했던 야가미 요우코역의 쿠루스 아츠코가 SNS 추모글에서 이를 언급함으로써 팬들의 슬픔과 안타까움을 자아냈다.[9] 이카리 가이 역의 이케다 쥰야는 10주년 기념작이 나온 후에 범죄를 저질러서 10주년 기념작은 출연했으나, 이후 실형이 선고되어 복역중인 탓에 20주년 기념작은 나올 가능성이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