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곰 洞熊 | Cave bear | |
| |
<colcolor=#000> 학명 | Ursus spelaeus Rosenmüller, 1794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과 | 곰과Ursidae |
속 | 곰속Ursus |
종 | †동굴곰U. spelaeus |
1. 개요
|
복원도 |
2. 특징
몸길이가 최대 2m에 달했고 수컷의 평균 체중은 350~600kg, 일부 표본의 무게는 1,000kg에 달했으며, 암컷의 몸무게는 225~250kg이었다. 대강 현대의 코디액곰과 크기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매우 넓고 돔형 두개골과 가파른 이마를 가지고 있었다. 통통한 몸에는 긴 허벅지, 거대한 정강이, 안쪽으로 굽은 발 등 전체적으론 불곰과 매우 유사한 생김새였다.
에트루리아곰에서 불곰과 갈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직접적인 조상은 데닝제라이곰으로 추정된다.
유라시아 북부의 산악 지대, 특히 식생과 동굴이 풍부한 지역에 서식했다. 한반도에선 충청북도의 두루봉동굴에서 발견되었다.#, ##
식성은 초식 위주의 잡식성으로, 현대의 그 어떤 곰속 동물들보다도 식물성 먹이 의존했으리라 추정된다. 허나 지역과 시기에 따라 비교적 자주 육식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동굴사자, 동굴하이에나, 동굴표범, 다이어늑대, 현생 인류, 네안데르탈인 등과 충돌 했으며, 그 중 동굴사자는 서유럽과 우랄 산맥에 서식하던 일부 개체군이 동굴곰을 사냥감으로서 선호했으리라 추정된다.
공존하지는 않았지만 빙하기의 멸종한 거대 곰이라는 점에서 아르크토두스와 자주 비교된다.[1]
3. 멸종
멸종의 이유로는 인구의 증가로 인한 동굴의 부족과 인간의 사냥이 꼽힌다. 동굴곰의 경우 오직 동굴에서만 동면을 취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인구가 자꾸 늘어남에 따라 대부분의 동면하기 적합한 동굴을 인류가 차지해버려 동면을 취하지 못한 동굴곰들의 개체수는 계속 줄어들고, 동면을 취하지 못해 개체수가 확 줄어버린 동굴곰들도 인류가 계속 사냥해 버리니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현재 복원 가능한 멸종동물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후에 정말로 동굴곰의 미라 유해가 발견된다면, 가까운 친척인 불곰을 이용하여 복원할 예정이라는 말이 있다.[2]
4. 대중문화
스밀로돈, 털매머드, 털코뿔소 등에겐 밀리지만,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동물이다. 불곰과 아주 가까운 종이기에 보통은 불곰에 덩치만 키운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3]- 이쪽 동굴곰과는 별 상관은 없으나 일본 쇼기의 전법 중에 동굴곰 울타리라는 것이 있다. 일본어로는 穴熊囲い(あなくまかこい, 아나쿠마카코이). 여기서 말하는 동굴곰은 물론 위의 동굴곰이 아니라 곰이 동굴 속에 처박혀있는 것처럼 꽁꽁 틀어박혀 수비을 탄탄히 하는 전법이다. 이 동굴곰이 완성되면 공략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한때 동굴곰이 완성되면 승리한 거나 다름없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4]
- 2003년에 방영한 Before We Ruled the Earth에 등장했다. 다만 따로 CG를 만들지 않고 현생 회색곰을 사용해 촬영했다.
- 영국 ITV의 다큐멘터리 공룡 구출 대작전에도 동굴에서 나와 나이젤 마븐을 쫒다가 나이젤이 나무 위로 도망쳐서 실패한다. 동굴곰은 극중 출연한 시간대인 홀로세(1만년 전)보다 이전 시기인 플라이스토세에 멸종했으므로 반영 오류이지만, 작중에서도 나이젤이 동굴곰이 이 시대까지 살아있으리라 예상을 못했다고 이야기하는 걸로 보아 재미를 위해 일부러 오류를 낸 듯하다.
- 2013년에 방영한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 2부에 등장했다.
- 파 크라이 프라이멀에서 야생동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