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21:18:30

동막역(용산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동명의 역에 대한 내용은 동막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동막역
(폐역)
{{{#!folding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외선순환
서 강
← 1.2 km
경성순환노선
내선순환
공덕리
0.8 km →
}}}}}} ||
역명 표기
용산선 동막
Dongmag
東幕 / [ruby(東幕, ruby=トンマク)]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
역 운영기관
용산선 조선총독부 철도국 → 대한민국 대한민국 철도청
개업일
1929년 9월 20일
폐업일
1972년 5월 1일
열차거리표
용산 방면
공덕리
← 0.8 km
舊 용산선
동 막
가좌 방면
서 강
1.2 km →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에 위치한 용산선 철도역이었다. 1929년에 개업해 1972년에 폐역되었다.

2. 상세

처음에는 경성순환노선 운행을 위해 생겼다. 일제강점기서강역공덕리역 사이에서 영업을 하였다. 그러다 해방 이후, 용산선이 화물전용 노선으로 격하되는 크리를 맞자, 보통역 지위는 유지하되 전용 화물역으로 변경되었다. 그 이후에도 1972년까지 버티는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었으나, 결국 서강역과 지나치게 짧은 역간거리가 문제가 되어 폐역되었다.억까 지리네

그 이후 주변은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어 역이 있었다는 것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옛모습은 2011년도 포스트이긴 하지만 링크 참조. 막힐 경우 '용산선 동막역'이라 치고 검색 후 접속시 열람 가능하다.

이후에도 역간거리가 문제되어 동막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2단계 구간에서도 재개통하지 못하였다. 재개통을 검토했으나, 이번에는 공덕역과 450m밖에 안 떨어졌다고 빠져버렸다.억까 지리네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마포구 문서에 용강동과 대흥동의 옛이름 동막(독막)은 독을 구워 파는 마을이라는 뜻인 ‘독막(甕幕)’ 또는 ‘독마을(甕里)’ 가운데 독막을 일제강점기에 소리나는대로 적은데서 유래하였으며, 조선후기인 1895년에 한성부 서서(西署) 용산방(성외) 옹리상계, 옹리중계, 옹리하계였고 1911년에 경기도 경성부 용산면(龍山面)에 속한 동막상계(東幕上契)와 동막하계(東幕下契)로, 1914년에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에 속한 동막상리(東幕上里)와 동막하리(東幕下里)로, 1936년에 경성부 용강정(龍江町)과 대흥정(大興町)으로 바뀌였다는 식으로 설명하였다. 1936년에 행정구역명에서 사라졌어도 상호명(어학원 지점명, 교회 명칭, 부동산 이름)과 도로명(독막로)으로 남아있다.

현재는 인근의 수도권 전철 6호선 대흥역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3. 둘러보기

용산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