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서강대앞)역 | ||
응암순환광흥창 ← 1.0 ㎞ | 6호선 (625) | 신내 방면공 덕 0.9 ㎞ → |
역명 표기 | ||
6호선 | 대흥 (서강대앞) Daeheung (Sogang Univ.) 大兴(西江大学) / [ruby(大興, ruby=テフン)] | |
주소 | ||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로 지하85 (대흥동 128-1) | ||
소속 영업사업소 | ||
6호선 | 성산영업사업소 대흥역 | |
운영 기관 | ||
6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6호선 | 2000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625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로 지하85 (대흥동 128-1)에 위치해 있다.2. 역 정보
역 안내도 |
병기역명은 서강대앞으로 인근에 서강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나중에 용산선 서강역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서강대역으로 개칭되었지만 병기역명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경의·중앙선 서강대역은 정문, 대흥역은 남/후문과 가깝다.
이 역과 공덕역 사이에는 회차선이 존재한다. 상당히 긴 회차선으로, 이 회차선은 05:30에 출발하는 응암행 6002[1] 열차가 사용한다. 주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평일 - 00:28에 응암순환발 6333 열차가 도착하여 주박선에 들어간 후 한강진행 6335과 공덕행 6339가 지나간다.
이는 신내역 연장 전부터 유지되어온 패턴인데, 한강진행 다음에는 대흥역에 안 들어오는 독바위행이 있기에 공덕행이 오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2] 다만 코로나 시절에는 다이아가 약간 달랐는데, 대흥-한강진-공덕-독바위행으로 한강진행 통과 후 공덕행이 막차시간대에 걸맞는 시간이 지나서 들어온 적 있다.[3] 또한 장애인시위 시에는 늦은 저녁시간에 대흥행이 6241으로 주박했는데, 주박한 후 막차인 공덕행 6271까지 여러 대의 열차들[4]이 지나갔다. - 주말 - 23:57에 신내발 6244[5] 열차가 종착 후 주박선에 들어감으로서 대흥역의 모든 열차 운행 종료.
- 명절 - 23:57에 봉화산발 6228[6] 열차가 종착 후 주박선에 들어감으로서 대흥역의 모든 열차 운행 종료.
2015년 9월 말 즈음에 3번, 4번 출구의 캐노피(지붕) 공사가 완료되었다. 그 후 2017년 1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도 설치되었다. 외부로 통하는 엘리베이터가 없고, 2번 출구에 휠체어리프트가 있다. 2024년 후반까지 출구 엘리베이터가 생길 예정이다.
아침 시간대에 서강대학교 학생들이 줄을 서서 타는 광경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위치상 용산선, 그 중에서도 구 동막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 지하철 신촌역이 있는 탓인지 이용객은 적은 편이다. 서강대를 제외하고도 인근에 학교가 많아서 등하교 시간에 인근에 있는 광성고등학교, 숭문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고, 서강대학교와 가까워[7] 학생들도 많이 이용한다. 1번 출구 옆으로 난 샛길을 이용하면 공대 건물까지 3분 컷이 가능하다.2010년대 중반부터 마포구의 신규 아파트 단지가 상급 거주지로 각광을 받자, 대흥역에서 공덕역에 이르는 대로변에 유명 입시 학원의 분원이 계속 들어서면서 역 일대가 서울 서북권을 대표하는 신흥 학원가로 성장하고 있다. 예로, 대흥역 주변에 이투스 24/7, 이강학원, 더베스트 학원, 명인학원 등이 있다. 아울러, 문화 행사나 콘서트가 많이 이루어지는 마포아트센터와 인접해 있다. 주변에 아현뉴타운 사업이 시행 중이다.
3.1. 출구 정보
대흥(서강대앞)역 출구 정보 | |
1 | 서강대학교 한국전기안전공사 근로복지공단 서울서부지사 마포자이2차아파트 |
2 | 염리동주민센터 염리치안센터 서울여자중·고등학교 마포아트센터 서울용강초등학교 동도중학교·서울디자인고등학교 숭문중·고등학교 |
3 | 경의선 숲길 용강동주민센터 서울염리초등학교 태영데시앙아파트 |
4 | 마포세무서 신수치안센터 신수동주민센터 대흥치안센터 광성중·고등학교 서울신석초등학교 한국경영자총협회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d7c2f><bgcolor=#cd7c2f> 연도 ||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5,837명 | [8] | ||
2001년 | 12,124명 | ||||
2002년 | 15,418명 | 비고 | |||
2003년 | 16,967명 | ||||
2004년 | 17,273명 | ||||
2005년 | 16,943명 | ||||
2006년 | 16,477명 | ||||
2007년 | 16,443명 | ||||
2008년 | 16,829명 | ||||
2009년 | 17,621명 | }}}}}}}}} | |||
2010년 | 18,030명 | ||||
2011년 | 17,754명 | ||||
2012년 | 18,281명 | ||||
2013년 | 18,216명 | ||||
2014년 | 18,518명 | ||||
2015년 | 17,864명 | ||||
2016년 | 17,441명 | ||||
2017년 | 17,288명 | ||||
2018년 | 18,177명 | ||||
2019년 | 18,657명 | ||||
2020년 | 12,951명 | ||||
2021년 | 13,337명 | ||||
2022년 | 15,602명 | ||||
2023년 | 17,755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하루 평균 이용객은 17,755명(2023년 기준)이다. 2003년까지 대흥역의 이용객 수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미 2003년경부터 대흥역이 완전히 자리를 잡으면서 이때부터 15년가량 적게는 16,400명(2007년), 많게는 18,500명(2014년)을 기록하면서 이 사이를 꾸준히 오간다. 주변이 전형적인 주거지라서 대부분의 이용객들은 근처에 사는 지역 주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을 찾는 외지인들은 대부분 서강대학교 학생들이다. 이 학교와 가장 가까운 역이었어서[9] 서강대를 통학하는 대학생들이 자주 찾는다. 그러나 이곳의 상권이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 서강대생의 상당수는 여전히 예전부터 뚫려있던 2호선 신촌역을 이용하며, 2012년에 경의선 서강대역이 개통한 이후로는 서강대역을 이용하는 대학생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 대학생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2014년부터 2017년 사이에 대흥역의 하루 방문객이 약 1,200여 명 감소하였는데, 서강대생이 수요에서 이탈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6호선 승강장 |
대흥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광흥창 ↑ | |||
ㅣ | 하 | 상 | ㅣ |
↓ 공덕 |
상 | 서울 지하철 6호선 | 합정·월드컵경기장·디지털미디어시티·응암 방면 |
하 | 효창공원앞·삼각지·석계·신내 방면 |
6. 연계 교통
6.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광역급행 | |
일반좌석 | |
직행좌석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지선 |
6.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마을 | |
광역급행 | |
일반좌석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심야 | |
마을 | |
직행좌석 |
6.3.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심야 | |
마을 |
6.4. 4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심야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 |
지선 | |
심야 | |
마을 | |
직행좌석 |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
일반 구간 | 응암 - 새절 - 증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aee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신촌(240), 이대(241), 아현(242) | ||
마포(528), 애오개(530) | |||
월드컵경기장(619), 마포구청(620), 망원(621), 상수(623), 광흥창(624), 대흥(625) | |||
서강대(K313) | |||
디지털미디어시티(A04)[은평구] 공항철도 | |||
합정(238, 622) 2호선, 6호선 | |||
홍대입구(239, K314, A03) 2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
공덕(529, 626, K312, A02) 5호선, 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
| }}}}}}}}} |
[1] 평일은 응암순환발 봉화산행 6065로 신내기지 6번째, 주말은 응암순환발 봉화산행 6013으로 1번째 입고.[2] 신내 연장 전 대흥 6349/6331 한강진 6351/6333 독바위 6353/6335 공덕 6355/6337, 연장 후 6347 6349 6351 6353.[3] 대흥 6337/6323/6315 한강진 6339/6325/6317 공덕 6341/6327/6319 독바위 6343/6329/6321.[4] 독바위 6249, 신내 6265, 봉화산 6267, 한강진 6269.[5] 신내역 연장 전 봉화산발 6272, 연장 후 봉화산발 6270, 코로나 1차 감차 시 신내발 6256.[6] 신내역 연장 전에는 봉화산발 6224였다.[7] 1번 출구가 남/후문과 매우 가깝다. 다만 서강대 인근 역 중에서도 가장 가까운 역이 서강대역이다.[8]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2014년에 개통된 서강대역이 지금은 가장 가깝다. 그러나 여기서도 서강대 후문까지 걸어서 5분이면 갈 수 있고, 학교 내의 상점들과 신축 건물들은 오히려 이곳이 더 가깝다. 게다가 배차간격 및 접근성에서는 6호선이 경의선을 압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