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00:26:03

녹사평역

녹사평(용산구청)
파일:Seoulmetro6_icon.svg
응암순환
삼각지
← 1.1 km
6호선
(629)
신내 방면
이태원
0.8 km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Noksapyeong (Yongsan-gu Office)
한자 綠莎坪(龍山區廳)
간체자 绿莎坪(龙山区厅)
가나 [ruby(緑莎坪, ruby=ノッサピョン)]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지하195 (용산동4가 4)
운영 기관
6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5층 (심도: 34.22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
2.1. 역무시설2.2. 서울 지하철 11호선 관련 시설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사고7. 연계 교통
7.1. 1번 출구7.2. 2번 출구7.3. 3번 출구
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629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지하195 (용산동4가 4) 소재.

2. 역 정보

2.1. 역무시설

파일:녹사평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attachment/uploadfile/nsp1.jpg
이 역의 특징 두 가지를 잘 보여주는 사진.
자연채광을 위한 돔 앞에 "발명테마역"이라는 푯말이 있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nsp3.jpg
녹사평역의 내부. 좌우 대칭의 미를 느끼게 해준다.
직접 가보면 백화점 에스컬레이터 같은 느낌이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nsp4.jpg
천장에 있는 자연채광돔을 지하에서 찍은 모습
파일:2558713538_ed3cf740c0_o.jpg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의 승강장 모습

입구에서 지하철역 승강장으로 가는 통로를 상당히 화려하게 지었고 자연채광까지 하여 상당한 외관을 자랑하는데, 특히 토목이나 건축 관련 전공자나 해당 업계 종사자들은 한 번 쯤 방문해 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일부에서는 이용객에 비해서 역이 지나치게 화려하다는 이유로 예산 낭비라는 비판도 있었는데, 이렇게 된 이유는 11호선 환승과 서울시청 인근 이전이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1년 늦게 개통한 한강진역 역시 부분적으로 자연채광 구조를 채택하여 건설되었다.

그래도 화려하게 지은 역인 만큼 영화와 드라마 촬영에 자주 사용되는 역이 되었다. 심지어 예약 시 결혼 예식장으로 사용도 가능했었지만 2006년 7월 6일 날짜로 전시회, 결혼식, 박람회 등을 할 수 있는 문화 전시 공간의 무료 대여가 폐지되었다. 예식장은 무료였을 뿐더러, 주변 학생들이 통학하는 시간이 아니면 유동 인구가 암울한 수준이었기에 무료 치고는 쾌적했다고 한다.

섬식 승강장이며 다른 역들과는 다른 형태의 터널 벽면이 존재한다. 그 정도로 터널을 크게 뚫은 역이다.

병기역명은 용산구청이 이전한 후 용산구청(龍山區廳)으로 지정됐다. 2009년 5월 22일 역사에 발명테마관을 만들면서 '발명테마역'이라는 부역명도 붙었다.[1]

파일:external/pds26.egloos.com/c0209256_58691c11f2742.jpg
2003년 1월 녹사평역 모습. 승강장 바로 윗층의 공간으로, 11호선이 실현되었더라면 원기둥 반대편에 유사한 구조물이 있었을 것이다. 엘리베이터 뒤쪽에는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을 기념해서 그려 넣었던 작품도 있었다.

파일:external/img.asiatoday.co.kr/2015071301001348800072351.jpg
이 역 대합실에 그래피티들이 있다. 이미 빅뱅의 콘서트 무대에도 그래피티를 선보인 레오바드 작가가 재능기부로 그리고 있다. 이 경우는 허가를 받고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는 녹사평역 그래피티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을 살피고 환승통로 등에 추가적으로 그래피티를 제작할 계획이다.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5082810190001300_P2.jpg
2015년 8월, 광복 70주년을 기념한 작품을 끝으로 녹사평역 그래피티가 완성되었다.

내부 구조가 밑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원통형에 계단이 반투명과 유리 조합이다보니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무서울 수 있다.

지하예술정원 사업 이후 다른 시설물은 전부 서울디자인가이드로 바뀌었으나 승강장 역명판만이 지하철체로 남아있다.

2.2. 서울 지하철 11호선 관련 시설

파일:녹사평역.png
파일:20170223_143945.jpg
# 옆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보면 녹사평역과 11호선에 대한 계획 등이 자세하게 나와있는데, 저 글을 보면 화재예방 비치도구에 대한 사진이 있다. 후술하겠지만 11호선은 세미나실을 통해 환승이 예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저 글을 보면 세미나실의 벽을 건드려보니 콘크리트가 아니라 합판으로 댄 듯한 소리가 들렸다고 써있는데, 가락시장역, 오금역처럼 이걸 미리 염두에 두고 뚫기 쉽게 가벽으로 짓고 가벽 뒤에 선시공한 11호선 공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벽을 두들긴 정확한 곳은 나오지 않았지만 정황상 화재예방 비치도구 사진에 있는 F 부분의 좌석 뒤에 있는 벽을 건드린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가서 두드려 보았는데, 확인 결과 콘크리트처럼 안이 꽉 찬 통통 하는 소리가 아닌 속이 텅 빈 퉁퉁 소리가 났다. 정확한 위치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갔을 때를 기준, 오른쪽으로 돌아 세미나실 입구와 사무실 가운데 있는 벽이다.

한적하기 그지 없는 이 동네에 이렇게 화려한 역을 지은 것은 역 근처 용산구청 부지에 서울특별시청 신청사를 지으려는 계획이 있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청역을 만들기 위해 3기 지하철 계획 당시 이태원역으로 지나가려던 11호선을 이 역으로 우회시켜 환승역으로 만들려는 계획이었다. 만약 시청 이전 계획이 없었다면 녹사평역은 환승 대비는 커녕 역 자체가 지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역이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데, 그 원통을 중심으로 6호선의 반대편에 비슷한 형태의 터널을[3] 하나 더 뚫으면 좌우대칭에 가까운 구조가 된다. 한마디로 지금은 세미나실로 쓰이는 부분이 11호선으로 이어지는 통로였던 것이다. 현재 이태원지하차도 동쪽으로는 출구가 없는 이유도, 역 서쪽에 6호선 출구를 놓고 동쪽으로 11호선 출구를 설치해서 상호 분리시키려는 계획이 있었다. 또한 서울교통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4]에는 녹사평 지하공간을 지하 상업시설로 개발하려는 계획도 있었는데, 그래서 백화점 같이 화려한 에스컬레이터를 준비해놓았던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정작 서울시청 신청사의 용산 이전은 무산되고 기존 시청 부지에 짓기로 한 신청사는 설계도를 몇 번씩 바꾸고 옛 청사를 부수다시피 하면서 지은데다 11호선의 실질적 후신인 신분당선도 결국 이 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면서 최초 역 설치 당시의 목적을 잃게 됐다. 다만 신분당선 광화문행 계획에서 이 역을 지나가게 하자는 구상이 있긴하다. 그리고 2011년에 시청 부지로 마련해두었던 자리에 용산구청이 들어서게 됐다. 결론적으로 시청은 아니지만 그래도 중대형 공공청사가 들어섰으니 원래 목적을 어느 정도는 달성한 셈이다.

3. 역 주변 정보

역 서쪽의 삼각지역 방향으로 용산기지가 있고, 출구 또한 이쪽으로 몰려 있어서[5] 이용객은 그다지 많지 않다. 길 건너편은 이태원2동이지만, 이쪽에는 출구가 없다. 출입구가 시가지와 반대 방향에 있어 녹사평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버스 환승객을 제외하고는 전부 길을 건너야 하는데, 이 문제 때문에 이태원 방향으로 출구를 만들어달라는 민원이 많이 들어온다. 이태원지하차도가 있어도 역의 심도가 워낙 깊은 까닭에 출구를 충분히 낼 수 있음에도 아직까지 시가지 쪽으로 출구를 설치하려는 계획은 없다.

역세권에는 아르헨티나 대사관 등 몇몇 국가들의 대사관이 있으며 이태원동, 해방촌, 남산3호터널 입구, 그 유명한 경리단길이 있다. 대사관을 찾아오는 사람들과 경리단길을 방문하는 시민들이 주로 이 역을 이용하고, 이태원에서 넘어오는 사람들이 이 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421번, 740번으로 환승하면 반포대교 및 강남 방향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143번, 401번, 406번 같은 해방촌, 남산3호터널로 다니는 노선들을 이용하기에는 거리가 멀다.

맛집과 이국적인 분위기로 힙스터들에게 핫했던 경리단길을 가려면 이곳에서 내려 2번 출구로 나가면 된다. 이태원동이지만 같은 이태원이 아니다. 보통 이태원이라고 하면 이태원역 근처를 얘기한다. 이태원역에서 경리단길은 걸어가기에 그리 가깝진 않다.

출구에서 나와 전쟁기념관 또는 해방촌 방면으로 가는 길이 길게 뻗어있고, 가을에 단풍이 들어 정취가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6_icon.svg 녹사평(용산구청)역 출구 정보
1용산동2가
전쟁기념관
이태원우체국
이태원초등학교
이태원부군당역사공원
2한신아파트
남산3호터널 방면
서울디지텍고등학교
국군재정관리단
이태원2동
남산대림아파트
3용산구청·용산구보건소
용산구의회
이태원시장
이태원1동
캐피탈호텔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반포대교 방면
4국방부 방면
한강로1가

녹사평역(용산구청 방면) 3번 출구 인근에 도보 8분가량 위치에 3성급 호텔인 크라운관광호텔이 있으나 최근에 매물로 나왔다. 1 2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d7c2f><bgcolor=#cd7c2f> 연도 || 파일:Seoulmetro6_icon.svg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15,647명
6,107명
[6]
2001년 7,244명
2002년 7,662명 비고
2003년 7,797명
2004년 7,928명
2005년 7,759명
2006년 7,760명
2007년 8,004명
2008년 8,393명
2009년 8,724명 }}}}}}}}}
2010년 9,251명
2011년 9,883명
2012년 10,249명
2013년 10,868명
2014년 13,845명
2015년 15,647명
2016년 15,423명
2017년 15,242명
2018년 14,083명
2019년 12,501명
2020년 8,113명
2021년 8,570명
2022년 9,742명
2023년 10,112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noksapyeong.jpg

녹사평역 승강장은 1면 2선의 곡선 섬식 승강장으로, 현재는 기둥 색을 검정색으로 새로 칠했다.
삼각지
이태원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효창공원앞·합정·응암 방면
이태원·동묘앞·석계·신내 방면

6. 사건·사고

개통 직후인 2001년 초에 승강장 터널 지하수에서 인근 용산 미군기지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검출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큰 파장을 일으켰던 적이 있었다. # 이에 서울특별시는 정부를 상대로 여러차례 정화 비용에 대한 소송을 냈고, 그때마다 정부가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다. #

7. 연계 교통

7.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7.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직행좌석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직행좌석
마을

7.3.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직행좌석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직행좌석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373a3c,#c3c6c8 ||
간선
심야

8. 기타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응암
역촌
파일:Seoulmetro3_icon.svg 불광
구산
일반 구간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669ad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관광명소 프로젝트
잘생겼다! 서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서울은 '쉼'이다
경춘선숲길 녹사평역
지하예술정원
다시·세운 덕수궁 돌담길
서울 노원 서울 용산 서울 종로
밤도깨비야시장
서울 동대문_ DDP청춘 서울 서초_반포낭만 서울 마포_여의도월드 서울 종로_청계천타임투어
돈의문 박물관 마을 문화비축기지 상생상회 서소문역사공원
서울 종로 서울 마포 서울 중구
서울로7017 서울식물원 서울함 공원 평화문화진지
서울 중구 서울 강서 서울 마포 서울 도봉
한강예술공원
서울 마포_여의도 서울 용산_이촌
서울은 '지혜'다
공평도시유적
전시관
모두의 학교 봉제역사관 '이음피움' 서울기록원
서울 종로 서울 금천 서울 동대문 서울 은평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서울마루
서울새활용플라자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시립과학관
서울 종로 서울 성동 서울 노원
서울창업허브 서울책보고 서울하수도과학관 서울혁신파크
서울 은평 서울 송파 서울 성동 서울 은평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
용산공원
(용산공원갤러리)
우리소리박물관
서울 종로 서울 용산 서울 종로
}}}}}}}}} ||



[1]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발명테마역으로 변신」, 2009-05-22, 뉴시스[2] 예를 들어 합판으로 지어진 벽 뒤에 상술한 승강장 위에 있는 6호선 대합실과 똑같은 공간이 나온다던지, 또는 6호선 본선 구조물+승강장과 똑같은 공간이 통째로 있다던지. 참고로 본선 구조물과 승강장의 경우 가락시장역, 오금역이 실제로 미리 지어졌었다.[3] 지하 5층의 승강장과 승강장 바로 위의 대합실 부분이다.[4] 120페이지 부근 참조.[5] 출구에서 나오자마자 주한미군 기지 울타리가 보인다.[6]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2001년 3월 9일 개통[8] 환승통로 2001년 8월 개통[9] 2005년 12월 1호선과의 환승 연결[10] 배우:조승우[11] 「Seoul's 6 coolest subway stops」, 2011-09-22, Cable News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