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9:31:47

청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광희문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베이징 지하철의 동명이역에 대한 내용은 광시먼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청구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방화 방면
동대문역사
문화공원

← 0.9 ㎞
5호선
(537)

신금호
0.9 ㎞ →
응암순환
약 수
← 0.8 ㎞
6호선
(634)
신내 방면
신 당
0.7 ㎞ →
역명 표기
5호선 청구
Cheonggu
靑丘 / 青丘 / [ruby(青丘, ruby=チョング)]
6호선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청구로 지하77 (신당동 294)
소속 영업사업소
5호선 광화문영업사업소 청구역[1]
6호선
운영 기관
5호선 서울교통공사
6호선
개업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6호선)
지하 4층 (5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 발빠짐 주의 (5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 횡단 불가 (6호선[2])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2.2. 출입구의 변천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7. 연계 교통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 537번ㆍ 서울 지하철 6호선 634번. 서울특별시 중구 청구로 지하 77 (신당동 294) 소재.

2. 역 정보

파일:청구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안내도와는 다르게 지하 1~2층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없다.
파일:청구역 대합실.jpg
대합실

5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 6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2기 지하철 환승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서 그런지 개념환승 축에 끼는 역이다. 출근시간에 6호선에 사람이 굉장히 많이 몰리는데, 신당역과 이 역을 지나면 금세 출근시간에도 한산한 열차가 되는 걸 볼 수 있다.[3] 그 외에 이따금 5호선 열차 내의 역 정보판이 오류를 일으켜서 청구역이 사라지는 상황도 있다. 그래서 신금호역에서 출발했는데 다음 역이 신금호역이고 언제부턴가 6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진 신금호역에 도착한다.

통합설계를 하면서 맞이방을 6호선에만 두었다. 엘리베이터 역시 6호선 개통과 동시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맞이방에서 무조건 6호선 승강장을 통해서 내려가서 환승통로를 거쳐야 5호선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군자역과는 반대로 세븐일레븐GS25의 공세를 지켜내고 그 자리를 지키는 역이다. 공덕역과는 달리 이 역에는 GS25가 없다.

6호선은 공덕역과 더불어 개찰구가 분리돼 있다. 그래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려면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6호선 승강장의 경우 천장이 매우 낮다. 보통 2기 지하철 역의 경우 1기보다 천장이 높은 편인데, 이 역은 평균적인 1기 역보다도 훨씬 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천장에 매달려 있는 열차 도착안내 모니터 역시 다른 역보다 한층 더 작은 사이즈의 모니터를 사용한다.

2.1. 역명

파일:Eb7FWs_U0AAxQRP.jpg
'광희문역'이라고 표기된 예전 지하철 노선도[4]

1996년 12월 5호선 개통 당시 역명은 광희문역(光熙門驛)으로, 이 명칭은 1991년 서울시지하철역명선정위원회를 통해 결정된 역명이다.

1991년 당시 주민들은 이 일대를 이르는 지명이자 신당4동이 1955~1970년까지 쓰던 행정동 이름인 청구(靑丘)[5]를 제안했으나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이 제안을 기각하고 광희문으로 확정했다. 관련 한국경제 기사

그러나 주민들은 이후에도 수차례에 걸쳐 청구역으로 역명을 개정할 안건을 청원했다. 이들은 광희문(남소문)이 정작 광희문역이 아닌 동대문운동장역과 가깝다는 점, 광화문역과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 광희문이 과거 한양도성 내부의 시체를 성외로 반출하던 장소로써 인식이 좋지 않은 점 등을 구체적인 사유로 거론했다. 당시 서울 중구에서도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역명 개정을 건의했고, 결국 1997년 3월 26일에 서울시는 지명위원회를 재개최하여 역명을 현재의 청구역으로 개칭하였다.

5호선 착공 직후에는 역 앞에 바로 흥인국민학교가 있다는 이유로, 흥인국교역이라고 명명된 적이 있었다. 당시 대한뉴스 보도 자료 그밖에 전 역에 광희문역이 별도로 표기된 노선도가 있는데, 이는 동대문운동장역(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가칭이다.

이후 2013년 신당4동의 행정동명이 청구동으로 다시 환원되었다. 청구역 개칭 이후 16년만의 일이었다.

2.2. 출입구의 변천

파일:attachment/청구01.png파일:attachment/청구02.png파일:attachment/청구03.png

5호선이 개통했을 때에는 2개의 출입구가 만들어져 있었는데 이 두 출구는 계단만 있었고 폭도 좁았다(편의상 구 1번, 구 2번이라 한다). 이렇게 된 것은 이 2개의 출입구가 임시 출입구였기 때문이다. 다산로와 청구로가 교차하는 청구역사거리의 차로 확장이 예정되어 있어 사거리 주변에 정식 출입구를 낼 수 없었고, 그 대신에 일단 되는대로 임시 출입구를 낸 것이다.

청구역사거리의 차로 확장은 6호선 공사와 동시에 진행되었고, 이에 맞춰 사거리 주변 건물들을 매입하고 철거하였다. 그리고 그 자리에 널찍하고 에스컬레이터 등이 완비된 출입구 2개소(이쪽은 신 1번과 신 2번이라고 하자)를 새로이 만들어 6호선 개통과 함께 개방하였다. 그러다보니 일시적으로 1번 출입구가 둘, 2번 출입구가 둘이 있었다.

임시출입구에 불과했던 구 1번, 구 2번 출입구는 폐쇄, 철거하려 했으나 이 중 구 2번 출입구는 신 1번쪽에서 보면 다산로 건너편, 신 2번 쪽에서 보면 청구로 건너편이 되어 기존의 구 2번 출입구 이용자는 횡단보도를 건너와야 하는 불편이 생기는 점을 감안하였는지 구 2번은 존치하는 것으로 바뀌어 구 2번이 현재의 2번 출입가 되고 신 2번 출입구는 현재의 3번 출입구가 되었다. 신 1번 출입구가 바로 옆에 생긴 구 1번 출입구는 폐쇄되어 철거되었다.

6호선 개통 전에는 화장실이 2번 출입구 중간의 계단참으로 이어져 있었는데 강남역, 신답역과 함께 보기 드문 남녀 공용 화장실이었다.

3. 역 주변 정보

주택지구가 대부분이라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출구도 3개 뿐이다. 이 중 일부 지구는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북쪽 신당역 방향으로 신당동 떡볶이타운이 있다. 사실 신당동 떡볶이 거리는 이 역과 신당역의 정확한 중간 지점에 위치해서 둘 중 어느 역에 내리든 도보 거리는 별 차이가 없다. 1번 출구로 나가야 가장 빨리 갈 수 있으니 떡볶이를 먹으러 가는 사람은 참고하자. 고양, 파주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신당동 떡볶이 타운으로 가는 경우, 효창공원앞역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이 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6]

역이 위치한 신당4동은 2013년에 다시 청구동으로 행정동 명칭을 변경하여 43년 만에 환원하였다. 김종필자유민주연합 총재가 청구동에 거주했기 때문에[7], 김영삼의 '상도동계'나 김대중의 '동교동계'처럼 김종필을 따르던 정치 세력을 '청구동계'라고 불렀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청구역 출구 정보
1광희문
신당동, 다산동
신당동주민센터
서울장충초등학교
장충동주민센터
장충지구대
신당동 떡볶이
광희지구대
2동화동주민센터
중구여성플라자
신당푸르지오아파트
금호여자중학교
청구이편한세상아파트
서울흥인초등학교
한국청소년상담원
3청구동
금호동 방면
동화동삼성래미안아파트
대경중학교·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청구초등학교
청구동주민센터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93896><bgcolor=#293896> 연도 || 파일:Seoulmetro5_icon.svg || 파일:Seoulmetro6_icon.svg ||<bgcolor=#293896> 총합 ||<bgcolor=#293896>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10,272명
4,667명 14,939명 [8]
2001년 7,537명 5,658명 13,195명 비고
2002년 7,385명 6,000명 13,385명
2003년 7,701명 6,326명 14,027명
2004년 8,133명 6,677명 14,810명
2005년 8,510명 6,994명 15,504명
2006년 8,489명 6,989명 15,478명
2007년 8,318명 6,912명 15,230명
2008년 8,282명 6,895명 15,177명
2009년 7,786명 6,865명 14,651명 }}}}}}}}}
2010년 7,865명 7,154명 15,019명
2011년 7,770명 7,235명 15,005명
2012년 8,010명 7,620명 15,630명
2013년 8,255명 7,717명 15,972명
2014년 9,780명 6,001명 15,781명
2015년 8,355명 7,417명 15,772명
2016년 7,844명 8,107명 15,951명
2017년 7,905명 7,905명 15,810명
2018년 7,891명 7,855명 15,746명
2019년 8,029명 7,889명 15,918명
2020년 6,254명 6,334명 12,588명
2021년 6,297명 6,401명 12,698명
2022년 6,698명 6,629명 13,327명
2023년 7,114명 7,181명 14,295명
출처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295명(2023년 기준)으로 서울 원도심(종로구, 중구)의 역들 중 버티고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다. 게다가 이곳은 환승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은 승객 수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청구역은 별도로 5호선 승객과 6호선 승객이 각각 측정되지 않고, 5호선 게이트는 6호선 신내 방면과 2번, 3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 그리고 6호선 게이트는 6호선 응암방면, 1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이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두 노선의 승하차 인원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014년도의 경우 1번 출구가 공사가 이뤄져 1번 출구 이용객이 2번 혹은 3번 출구를 이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5호선 이용객이 모두 5호선 게이트로 승하차한 것으로 집계되어 통계상의 들쑥날쑥한 편차도 생기게 되는 것이다.

5. 승강장

5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하지만 5호선 청구역 승강장은 곡선으로 휘어 있으며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하자.

두 노선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5.1. 수도권 전철 5호선

파일:attachment/cheonggu5.png
5호선 승강장[9]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신금호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광화문·김포공항·방화 방면
왕십리·군자·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신내 방면) 5-1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순환 방면) 2-4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신내 방면) 4-3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순환 방면) 6-4

5.2. 서울 지하철 6호선

파일:attachment/cheonggu6.jpg
6호선 승강장
약수
신당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합정·월드컵경기장·응암 방면
동묘앞·고려대·석계·신내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신내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6-2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순환 방면) →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6-2

6. 사건 사고

7. 연계 교통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청구초등학교.청구역(02189) ||
간선
지선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장충초등학교.청구역(02190) ||
간선
지선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청구역2번출구(02211) ||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청구역3번출구(02212) ||
지선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응암
역촌
파일:Seoulmetro3_icon.svg 불광
구산
일반 구간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c0d1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c0d15>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white> 철도회사 노선
한국철도공사 파일:KTX BI.svg 서울역
서울교통공사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시청역, 서울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시청역,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당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 동대입구역, 약수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구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버티고개역, 약수역, 청구역, 신당역
굵게 표시 된 역은 환승이 가능한, 사실상 같은 곳이다. }}}}}}}}}

[1] 5호선, 6호선 통합 환승역이다.[2] 횡단시 지하 3층 환승통로를 이용해야 한다.[3] 실제로 5호선 열차는 왕십리역을 지난 이후로 한산해졌다가 이 역에서 다시 혼잡해진다. 그리고 바로 다음 역을 지나면 다시 한 번 가축수송 시작. 출근시간에 가 보면 알겠지만, 환승 수요가 은근히 많다.[4] '금호1가역'이라고 표기된 역은 신금호역이다. 그리고 자세히 보면 신당역에서 봉화산역 방면으로 1호선과 교차하지 않고 바로 빠지는데, 6호선을 처음 계획했을 당시는 1호선에 동묘앞역을 신설할 계획이 없었다.[5] 청구동, 서울지명사전(네이버 지식백과)[6]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루트, 공덕역에서 5,6호선으로 갈아탄 다음 청구역으로 가는 루트는 환승 과정에서 환승인파가 많은데다 홍대입구역은 두말 할 것도 없는 막장환승이다.[7] 참고로 김종필이 살던 집은 청구역보다는 약수역에서 더 가깝다. 해당 사저는 김종필이 사망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매각되었다고 한다. #[8] 6호선의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서울남산체, 스크린도어 교체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