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검단산역 | ||
방화 방면하남시청 ← 1.7 ㎞ | 5호선 (558) | 시종착 |
역명 표기 | ||
하남선 | 하남검단산 Hanam Geomdansan 河南黔丹山 / [ruby(河南黔丹山, ruby=ハナムゴムダンサン)] | |
5호선 | ||
주소 | ||
경기도 하남시 대청로 지하100 (창우동 526) | ||
소속 영업사업소 | ||
5호선 | 강동영업사업소 하남검단산역 | |
운영 기관 | ||
하남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하남선 | 2021년 3월 27일 | |
5호선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노선거리표 | ||
상일동 방면하남시청 ← 1.7 ㎞ | ⑤ 하남선 하남검단산 | 종점 |
하남검단산역 1번 출구 |
하남검단산역 역명판 |
[clearfix]
1. 개요
하남검단산역 대합실 |
2. 역 정보
역 안내도 크게보기 |
하남선 초기 계획과 예비타당성조사 당시에는 덕풍초교 교차로, 시청 인근 신장중학교입구 교차로,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앞에 역을 두기로 하였으나,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수요조사 후 역 개수가 3개에서 2개로 줄고, 위치가 신창초교사거리와 창우초교 앞으로 재조정되어 각각 현재의 하남시청역과 하남검단산역이 되었다. #
5호선 하남시 구간인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 또한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경기도와 하남시 소유 구간이기 때문에[2] 이 역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과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나 하차만 가능하다.[3]
고덕차량기지 출고차 및 입고차의 경우 강동역과 상일동역, 마천역(입고만)에서 시종착했으나 하남선이 개통된 이후 하남검단산역에서 출고 및 입고한다.
또한 심야 주박하는 열차가 2대 있는데, 5호선의 다른 역들이 같은 기지 소속끼리 주박한다면 하남검단산만은 고덕기지와 방화기지 소속 열차가 같이 주박한다.
- 고덕기지 소속 : 평일 23:10 방화발 5189, 주말 23:31 방화발 5159, 명절 23:46 방화발 5145로 주박하여 다음 날 05:30 방화행 5014로 출발.
- 방화기지 소속 : 평일 00:48 방화발 5201, 주말 및 명절 00:03 방화발 5163/5147로 주박하여 다음 날 05:53 방화행 5018로 출발.
수도권에 있는 모든 지하역들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해 있다.[4] 하남선이 개통하기 전에도 같은 노선의 상일동역이 수도권 최동단 지하역이었다.[5] 지상역까지 모두 포함할 경우 경강선 여주역이 수도권 최동단역이다.[6] 또한 기후동행카드 하차가 가능한 최동단 역이다. 승하차가 모두 가능한 최동단 역은 진접역이다.
2.1. 역무시설
이 역은 "한강을 서울과 연결하고 바다를 통해 세계를 연결한다"는 컨셉트로 만들어졌다.[7]출구는 4개가 개설되어 있다. 이 중 3번 출구는 대합실과 떨어져 있으며, 100m가 넘는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긴 연결통로는 주변 건물이나 백화점 등지에서 연결통로를 뚫었을 때나 볼 수 있는데 일반 출구를 위해 긴 연결통로를 만든 건 이례적이다. 이 3번 출구의 존재 때문인지 개표구도 3번 출구와 가까운 곳에 하나, 나머지 출구와 가까운 곳에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
3번 출입구는 사실상 승강장에서 6분 이내에 탈출이 어려워 화재 등 비상사태에서는 출입구가 차단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알려졌다.[8]
5호선 시종착역으로써 이 역 너머로 인상선이 있으며, 5호선 열차는 이 인상선까지 들어갔다가 나오는 식으로 회차한다. 이 인상선은 팔당역으로 연장될 것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곡선 형태로 휘어 있으며, 따라서 선로 종단점을 육안 및 카메라로 볼 수 없다. 하남검단산행 대부분이 당역종착 승강장에서 승객을 하차시킨 뒤 유치선으로 진입했다가 방화 방면 승강장으로 나오지만, 간혹 배차가 깨진 경우에는 방화행 승강장에 하남검단산행이 곧바로 진입한다. 이 때는 승객을 하차시킨 뒤 출입문과 스크린도어를 모두 닫은 다음, 기관사가 반대편 운전실로 가서 다시 출입문과 스크린도어를 열어주는 점 참고. 이 부분은 같은 5호선의 마천역도 마찬가지이다.
2.2. 역명 관련 논란
초기에는 검단산 인근에 있다고 해서 검단산역(가칭)으로 불렸으며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의거 창우역(가칭)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실제로 결정된 역명은 '하남검단산'역이며, 외국어 표기 자문 후 운송기관에 역명을 통보하여 확정되었다.[9]관련 기사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에 이어서 3연타 하남 접두어가 들어가는 것에 대해[10] 논쟁이 있다. 특히 이곳은 종착역이므로 행선지 표출로 지역을 홍보하고자 '하남'을 집어넣었을 것이라는 반응이 많은데, 하남시에서도 하남시의 브랜드 위상 제고를 위해 역명을 하남검단산으로 정했음을 밝혀 간접적으로 이를 인정했다.
하남시청역[11], 하남풍산역은 각각 관청의 정식 명칭, 중복역명이라는 불가피한 이유가 있지만 여기는 중복명칭이 아닌 것은 물론 마땅한 이유를 찾아볼 수 없는 이 역에까지 굳이 '하남'을 붙여야 할 필요가 있냐는 것이다.
한편 '검단산'이 인천의 검단과 헷갈릴 수 있으므로 하남을 붙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12] 하지만 처음부터 가칭이었던 '창우역'을 채택했으면 혼동의 여지를 우려할 일 자체가 없었을 것이라는 반론도 가능하다.
정작 주민들은 역명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하남'자를 빼고 검단산역이라고만 부른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96cac><bgcolor=#996cac> 연도 || ||<bgcolor=#996cac> 비고 ||
2021년 | 9,312명 | [13] |
2022년 | 11,196명 | |
2023년 | 12,585명 | |
2024년 | 13,056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배차간격을 고려하면 이용객 수는 평범한 편이다. 50번과 112-1번을 통해 남양주시나 양평군에서 오가는 수요가 있고,[14] 역 주변으로는 아파트들이 밀집해 있다 보니 인근 주민들이 많이 찾으며, 스타필드 하남 방문객과 검단산을 방문하는 등산객 수요도 몇몇 있다. 배차간격이나 5호선의 선형 등이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워낙 외곽에 위치하면서 이 역 동쪽으로는 인구도 시설도 거의 없음을 고려하면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 역이다. 버스 연계는 하남시청역이 더 훌륭해 여기는 종착역임에도 버스 환승이 활발하지 않다.
미사역보다는 적지만 하남시는 물론 이웃한 경기도 광주시에서도 이용객이 꽤 있는데, 바로 퇴촌면에서 검단산역까지 가는 38-52번 버스 때문.[15] 배차 간격이 어마어마하게 길지만 시간만 잘 맞추면 퇴촌에서 검단산역을 오가며 편리하게 출퇴근할 수 있다.[16]
덕소 방향으로 가는 경우 4번 출구로 나와서 112-1번을 타면 도심역과 덕소 삼거리로 바로 꽂아준다. 이 버스 덕분에 덕소 지역 사람들이 스타필드 하남을 이용하거나 여기로 와서 5호선을 타기도 한다.
4. 역 주변 정보
1번 출구 바로 앞에 창우초등학교가 있다.역 남쪽으로 중부고속도로 하남IC가 있다. 청우로를 타고 가면 금방 간다.
역명에 있는 검단산 등산로 기점이 3번 출구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역이 들어서는 창우초교 앞 교차로에서 도보 10분 정도 떨어진 곳에 스타필드 하남, Apple 하남이 있어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다. 하남검단산역에서 스타필드 하남까지의 거리는 약 600m. 1번 출구에서 오른쪽으로 꺾자마자 바로 직진만 하면 된다.
3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앞에 하남경영고등학교가 있으며, 800m 정도 더 가면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가 있다.
9304번 버스가 이 역을 경유한다. 강변역 및 동서울터미널이나 광나루역에서 스타필드 하남으로 오려면 이 버스를 타고 하남검단산역 정류장에서 내려서 1번 출구 방향으로 가면 된다.
이 역이 개통한 뒤 112-1번 버스가 이 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덕소~미사역을 운행했던 1640번이 이용객 저조로 폐선됨에 따라 덕소~하남 간 이동편의를 위한 변경으로 보인다.
3번 출구 인근 은행.꿈동산마을.창우마을아파트 정류장에서[17] 마을버스 50번을 이용하면 팔당역에서 하차 후 경의·중앙선으로 남양주시나 양평군까지 이동할 수 있다.[18] 같은 정류장에서 8-8번도 운행하기는 하지만 하루 3번밖에 다니지 않아서 이용할 기회가 매우 적다.
4.1. 출구 정보
하남검단산역 출구 정보 | |
1 | 창우초등학교 유니온 파크 스타필드 하남 |
2 | 은방울공원 |
3 | 창우지구대 하남경영고등학교 창우근린공원 하남초등학교 검단산 |
4 | 창우동우체국 하남소방서 새희망공원 |
5. 승강장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 |
하남시청 ↑ | |||
하 | ㅣ | ㅣ | 상 |
종착역 |
상 | 수도권 전철 5호선 | 강동·왕십리·광화문·방화 방면 |
하 | 당역 종착 |
6. 여담
- 개통 당시 플래시를 터트리고 비상인터폰 가지고 장난을 치고 열차를 촬영하는 사람들 때문에 운행에 방해가 된다는 기관사들의 불편 토로가 극심했던 탓에 승강장 내 열차 촬영이 금지되어 있다. 다만 출입구 등 승강장을 제외한 다른 곳은 가능하다고 한다.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본선 | 방화 - 개화산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을지로4가 - 청구 - 신금호 - 행당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 ||
하남선 | 상일동 - 강일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연장] 한강을 건너 팔당역 연장이 논의 중이다. 자세한 건 이것을 참고.[2]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 ↔ 상동역이 부천시 소유 구간이고 삼산체육관역 ↔ 석남역이 인천광역시 소유 구간이지만, 까치울 ↔ 부평구청 구간을 2021년 12월 31일까지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했던 것과 같은 사례이다.[3] 따라서 서울전용 정기권을 태그하면 승차가 불가능하고, 하차 시 1회 추가 차감된다.[4] 전국 최동단 지하역은 부산 2호선 장산역이다.[5] 현재는 4호선 진접역이 상일동역보다 더 동쪽에 있으나 진접역은 하남검단산역보다 늦게 개통했다. 진접역은 대한민국 최북단 지하역이다.[6] 춘천시는 수도권에 포함되는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경춘선 춘천 관내 역들은 제외. 전국으로 범위를 넓히면 동해선 태화강역이 최동단 전철역이 된다.[7] 하남검단산역의 역사 콘셉트[8] "하남 검단산역 출입구 '기형적 설계' 특혜 의혹", 2019.01.22., 경인일보[9] '철도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 관리하는 철도는 해당 행정규칙의 적용 범위가 아님을 명시하고 있다. 하남선 광역철도의 경우 국가가 아닌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주도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도시철도법의 적용을 받아, 7호선 부천시 및 인천광역시 구간에서와 같이 지방자치단체 선에서 역명 제정이 끝난 것이다.[10] 비슷한 사례로 잠실나루역, 잠실역, 잠실새내역이 있는데 셋 다 서울 2호선 소속의 역들이다.[11] 하남시청역도 위치가 하남시청에서 멀어지면서, 역명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원래는 2개의 역(덕풍역, 하남시청역)이었고 구 하남시청역은 하남시청 바로 앞에 있었는데 1개로 합치면서 자연스럽게 거리가 멀어진 것.[12] 그러나 인천에 검단오류역이나 검단사거리역은 있어도 검단산역, 하물며 검단역은 없다. 단순히 역명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다는 이유로 역명을 다르게 제정해야 한다면 당장 대한민국 철도역 중에서 이름이 바뀌지 않을 역이 더 드물 것이다.[13] 개통일인 2021년 3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28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4] 다만 112-1번은 하남검단산역 앞의 정류장과 바로 수월하게 연계가 되는 반면, 50번에 비해 배차 간격이 들쑥날쑥하지만, 50번 버스는 하남검단산역에서 다소 떨어진 곳과 연계성이 좋지 않으나 배차 간격은 112-1번에 비해 수월한 편이다.[15] 정확히는 하남검단산역 3번출구에서 도보로 7분거리에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가 위치해 있다.[16] 하남시청역 인근에서 13번, 13-2번 버스를 탈 수도 있다.[17] 은행아파트 상가 앞 정류장[18] 반대로 팔당역에서 하남으로 올 때는 부영아파트 정류장에서 내리면 이 역까지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나 약 500m 떨어져 있어서 장지마을에서 하남시청역을 이용하는 게 이동거리가 훨씬 짧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