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13 08:23:23

디다스칼리아

디다스칼리아
디다스칼리아
언어별 명칭 그리스어 Διδασκαλία
라틴어 Didascalia Apostolorum
영어 Teaching of the Apostles
암하라어 Didesqelya
한국어 디다스칼리아, 열두 사도와 우리 주님의 거룩한 제자들의 가르침
사도계율(使徒戒律)[1]
사도계규(使徒戒規)[2]
기본 정보 저자 익명의 유대계 의학자 주교
기록 연대 기원후 3세기 초
분량 26장

1. 개요2. 내용3. 여담4.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초기 기독교 문헌이자 외경 중 하나. Didascalia Apostolorum(사도들의 가르침)이라고도 한다. 시리아 사본의 정식 이름은 '디다스칼리아, 열두 사도와 우리 주님의 거룩한 제자들의 가르침(Didascalia, that is, the teaching of the twelve Apostles and the holy disciples of our Lord)'로 되어 있다. 디다케의 영향을 받아 그 후대에 작성되었다.

2. 내용

디다스칼리아는 단일한 문서라기보다는 비슷한 내용을 다루는 여러 사본이 이어져 온 문서군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원본에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시리아의 디다스칼리아 이외에도 라틴어로 번역된 디다스칼리아, 서로 다른 두 가지 계열의 아랍 사본, 그리고 가장 후대의 문서로 여겨지는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가 존재한다.[3]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확장된 정경으로 수록되었다.

12사도사도회의에서 기록한 모양새이지만, 보통 230년 전후에 안티오키아 근처인 시리아 북부 지방에서 유대교 및 의학자 출신 주교가 쓴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내용은 디다케처럼 교회의 규범을 다루고 있는데, 교회 조직과 전례의 관행을 더 많이 다루고 있다.

디다케, 사도헌장(Apostolic Constitutions) 등과 함께 교회 규범(Church order) 문서로 분류된다. 여러 교회 규범들을 집대성한 문서로 여겨지는 사도헌장의 1권부터 6권까지는 디다스칼리아의 여러 사본들과 대부분의 내용을 공유하여 같은 계통의 문서로 여겨진다. 디다케로부터 영향을 받아 디다스칼리아가 작성되었고, 디다케와 디다스칼리아의 초기 사본(시리아 등)으로부터 사도헌장이 4세기 말에 나왔다고 추정되며,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는 사도헌장의 1권부터 7권까지와 내용이 거의 완전히 일치한다.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에 포함된 사도헌장 7권 내용은 대부분이 디다케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는 디다케의 내용까지 포함하며, 디다스칼리아/디다케로 표기될 때도 있다.[4]

3. 여담

기독교 교회에서 잘 알려진 디다스칼리아 문서는 3세기 중반에 교회 생활과 사회에 관한 담론으로 본래 그리스어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모든 것들은 훗날 4세기경에 사도헌장에 통합되었다. 라틴어, 아랍어, 시리아어판은 에티오피아 번역본의 주제와는 차이가 있다. 에티오피아의 디다스칼리아는 사도헌법의 1~7권을 포함하고 있으며, 짧은 시리아어 디다스칼리아와 사도헌장의 전문의 중간 형태이다.[5]
정경 목록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홈페이지)
디데스케리아는 디다스칼리아의 에티오피아어판으로, 사도헌장 1~7권으로부터 형성되었습니다.[6]
에티오피아 교회의 신성한 전례 의식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홈페이지)

후대의 문서인 사도헌장의 1권부터 6권까지의 내용은 디다스칼리아로부터 왔다고 여겨진다. 가톨릭에 관한 모든 것 두산백과

4. 참고 문헌

디다스칼리아 (영어 번역)
디다스칼리아 (영어 위키백과)
사도계율 (두산백과)
Didascalia (가톨릭에 관한 모든 것)


[1] 두산백과의 표제어.[2]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라틴-한글 사전의 표현.[3] J.M. Harden, The Ethiopic Didascalia, Macmillan, 1920[4]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미국·캐나다 교구 홈페이지[5] The Didascalia a document well known in the Christian Church originally composed in Greek probably in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a discourse on Church life and society. The whole work was afterwards, somewhere in the fourth century, incorporated in the Apostolic Constitutions. It has Latin, Arabic and Syriac versions, which differ among themselves and from the Ethiopic version with regard to the subject matter. The Ethiopia Didascalia contains the first seven books of the Apostolic Constitutions and it represents a form intermediate between the shorter Syriac Didascalia and the complete work of Apostolic Constitutions.[6] the Didesqelya is the Ethiopian version of the Didascalia Apostolorum, patterned on books I-VII of the Apostolic Co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