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03:49:14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알렉산드리아 전례 <colbgcolor=#FFF,#1c1d1f>콥트 정교회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아르메니아 전례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서시리아 전례 시리아 정교회 ·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같이 보기: 기독교의 종파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b8a02, #d8a002 20%, #d8a002 80%, #bb8a0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if 줄간격="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별표2="style=\"word-break: keep-all; display: inline\""
#!wiki 
'''펜타르키아'''[br]{{{-3 Πενταρχία}}}
#!wiki 
[[교황|로마[br]교황]]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br]총대주교]]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알렉산드리아[br]총대주교]]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안티오키아[br]총대주교]]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예루살렘[br]총대주교]]
베드로 안드레아 마르코 베드로 야고보
#!wiki 
[[교황|가톨릭]]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정교회]]
#!wiki 
[[콥트 교황|콥트 정교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마론파)|마론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콥트 가톨릭)|콥트 가톨릭]]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wiki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정교회)|정교회]]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라틴]]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시리아 정교회)|시리아 정교회]]
#!wiki 
[[예루살렘 총대주교(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wiki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시리아 가톨릭)|시리아 가톨릭]]
#!wiki 
--[[라틴 총대주교|라틴]]--{{{#!wiki 
^^**^^}}}
<keepall>}}}{{{#!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정교회의 독립 총대주교좌'''
#!wiki 
[[모스크바 총대주교|모스크바]]^^*^^
#!wiki 
[[세르비아 총대주교|세르비아]]
#!wiki 
[[루마니아 총대주교|루마니아]]
#!wiki 
[[불가리아 총대주교|불가리아]]
#!wiki 
[[조지아 카톨리코스-총대주교|조지아]]
#!wiki 
[[정교회]]
<keepall>}}}{{{#!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오리엔트 지역의 총대주교좌'''
#!wiki 
[[아르메니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킬리키아]]
#!wiki 
[[에티오피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티오피아]]
#!wiki 
[[에리트레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리트레아]]
#!wiki 
[[아르메니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wiki 
[[에티오피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wiki 
[[에리트레아 총대주교-카톨리코스|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wiki 
[[킬리키아 카톨리코스(아르메니아 가톨릭)|아르메니아 가톨릭]]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rowcolor=#fff,#fff>
#!wiki 
'''아시리아의 총대주교좌'''
#!wiki 
'''인도의 카톨리코스좌'''
#!wiki 
[[동방 교회의 카톨리코스|아시리아]]
#!wiki 
동방-말랑카라
#!wiki 
[[아시리아 동방교회 카톨리코스-총대주교|아시리아 동방교회]]
#!wiki 
[[동방 카톨리코스(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wiki 
[[바그다드 총대주교|칼데아 가톨릭]]
#!wiki 
[[동방 카톨리코스(시리아 정교회)|시리아 정교회]]
#!wiki 
[[동방 고대교회 카톨리코스-총대주교|동방 고대교회]]
}}}}}}}}}}}}

<colcolor=#ffc100>
파일:에리트레아 정교회 십자가.jpg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Eritrean Orthodox Tewahedo Church
ናይ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ኤርትራ
[1]
파일:엔다 마리암 대성당.jpg 에리트레아 아스마라의 엔다 마리암 대성당
<colbgcolor=#4b0082> 규모 약 250만 명 ~ 300만 명
성립 설립자 아부나 필리포스
시기 1993년
수장 중앙기관 엔다 마리암 대성당[2]
아부나 바실로스 (제6대)[3][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b0082>한국어<colcolor=#000,#ddd>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흐도 정교회
영어Eritrean Orthodox Tewahedo Church
Eritrean Orthodox Church
중국어厄立特里亚正统合性教会
일본어エリトリア正教会
프랑스어Église orthodoxe érythréenne
독일어Eritreisch-Orthodoxe Tewahedo-Kirche
러시아어Эритрей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스페인어Iglesia ortodoxa de Eritrea
이탈리아어Chiesa ortodossa eritrea
라틴어Ecclesia Orthodoxa Eritreensis
티그리냐어ናይ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ኤርትራ[5]
}}}}}}}}} ||

1. 개요2. 역사3. 정경 목록4. 둘러보기

1. 개요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회원 소개 (세계교회협의회)
홈페이지 (암하라어)
미국·캐나다 교구 홈페이지 (영어)
정경 목록 (미국·캐나다 교구)

오리엔트 정교회의 교파 중 하나. 아스마라(엔다 마리암 성당)에 총대주교좌를 보유하고 있다. 신도는 약 3백만 명이다.

2. 역사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로부터 독립한 때인 1993년에 이 종파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로부터의 독립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에서 인정받았다. 즉, 콥트 정교회에서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떨어져나가고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다시 에리트레아 정교회가 떨어져나간 셈이다.

총대주교였던 안토니오스(1929~2022)가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정권의 탄압으로 2007년 파면되어 연금되었다. 콥트 정교회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는 안토니오스 총대주교의 파면을 인정하지 않는다. 정권에 의해 새로 옹립된 디오스코로스(1934–2015) 총대주교도 2015년 사망한 뒤에 공석이 지속되었다가 2021년 6월 케를로스(1927–2022) 총대주교를 새로 앉혔지만 케를로스 총대주교도 1년 반 만에 안식하는 바람에 또다시 공석이 됐다.

그러다가 2024년 12월 9일 아스마라에서 성 시노드 규범에 따라 바실리오스가 총대주교로 선출되었고, 2025년 1월 26일 아스마라의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총대주교좌 성모 마리아 대성당에서 공식 착좌식을 거행하여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6대[6] 총대주교가 되었다. 바실리오스 총대주교의 착좌식에는 교회 인사들 뿐만 아니라 아시아아스 아페웨르키 대통령과 정부 고위 관계자들도 참석하였는데, 이는 바실리오스 총대주교가 교회와 정권 모두에게 수용된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통해 2007년 이래 반목중이던 아페웨르키 정권과 안토니오스 총대주교 지지파 간의 화합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 정경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도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구약성경 46권, 신약성경 35권으로 모두 81권을 정경으로 인정하는데 이는 개신교(66권)는 물론 제2경전을 인정하는 가톨릭(73권)과 정교회(76권)[7]보다도 그 범위가 넓은 것이다. 단, 이 숫자 자체는 각 권을 어떤 단위로 셀 것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81권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정경'과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정경'을 구분할 때도 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deg, transparent 90%, #12AD2B 90%, #12AD2B 10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165deg, transparent 90%, #4189DD 90%, #4189DD 10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right, #EA0437 6%, #FFBD26 6%, #FFBD26 10%, #EA0437 10%, #EA0437 80%,transparent 80%), linear-gradient(to bottom, #12ad2b 5%, #EA0437 5%, #EA0437 95%, #4189dd 9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A0437>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민주정의인민전선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경제 경제 전반 · 에리트레아 낙파
국방 에리트레아군
교통 에리트레아 항공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에리트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아랍어 · 아파르어
인물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 제르세나이 타데세 · 헤녹 고이톰
지리 아스마라 · 홍해 · 마사와
민족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아파르족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세계 교회 협의회 원형 로고.svg세계 교회 협의회
회원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감리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교회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시온교회 기독교 감리교 감독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감리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회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아르헨티나 복음주의 감리회 통가 자유 웨슬리안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영국 감리회 가나 감리회 브라질 감리회
피지와 로투마 감리회 인도 감리회 인도네시아 감리회 아일랜드 감리회
케냐 감리회 말레이시아 감리회 싱가포르 감리회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감리회
짐바브웨 감리회 나이지리아 감리회 칠레 감리회 멕시코 감리회
뉴질랜드 감리회 페루 감리회 푸에르토리코 감리회 사모아 감리회
남부아프리카 감리회 토고 감리회 우루과이 감리회 시에라리온 감리회
스리랑카 감리회 상(上)미얀마 감리회 베냉 개신교 감리회 연합감리교회
코트디부아르 감리회
개혁교회
아프리카 개신교회 부르키나파소 복음주의 개혁교회 협회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숨바 기독교 교회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상이헤 탈라우드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중앙아프리카 장로회 블랜타이어 시노드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복음주의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장로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킨샤사 장로회 공동체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 마다가스카르 예수 그리스도 교회
북인도 교회 파키스탄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 남인도 교회
미국령 사모아 회중 기독교 교회 니우에 회중 기독교 교회 투발루 회중 기독교 교회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
네덜란드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동자바 기독교 교회 리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바리아와 북서부 독일 복음주의 개혁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뉴칼레도니아와 로열티 제도 복음주의 교회 카메룬 복음주의 교회
콩고 복음주의 교회 체코형제복음교회 가봉 복음주의 교회 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 교회와 오스트리아 헬베티아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리버 플레이트 복음주의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회중교회 가나 복음주의 장로회
남아프리카 복음주의 장로회 이집트 복음주의 장로회 나일강 시노드 이란 복음주의 장로회
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 토고 복음주의 장로회 앙골라 복음주의 개혁교회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홍콩 협의회
미국 헝가리 개혁교회 브라질 독립 장로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자바 기독교 교회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키리바시 연합교회 재일대한기독교회
레소토 복음주의 교회 마오히 개신교회 마라 복음주의 시리아와 레바논 전국 복음주의 시노드
파순단 기독교 교회 카메룬 장로회PCC 캐나다 장로교회 르완다 장로회
대만기독장로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아프리카 장로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장로회
카메룬 장로회EPC 콜롬비아 장로회 동아프리카 장로교회 가나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라이베리아 장로회 모잠비크 장로회 나이지리아 장로교회
파키스탄 장로회 남수단 장로회 트리니다드 토바고 장로회 바누아투 장로교회
웨일스 장로회 미국 장로교(PCUSA) 쿠바 장로교개혁교회 발리 개신교 기독교 교회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남동 술라웨시 개신교회 스위스 개신교회 몰루카스 개신교회
네덜란드 개신교회 티모르 로로사에 개신교회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회 알제리 개신교회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개혁 기독교 교회 슬로바키아 개혁 기독교 교회 미국 개혁교회
헝가리 개혁교회 루마니아 개혁교회 잠비아 개혁교회 짐바브웨 개혁교회
국가를 위한 개혁 그리스도의 교회 적도 기니 개혁 장로회 항의 형제단 스페인 복음주의 교회
토라자 교회
동방정교회
키프로스 교회 그리스 교회 세계 총대주교청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구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예루살렘 총대주교구 알바니아 정교회 독립교회 아메리카 정교회
일본 정교회 체코 땅과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핀란드 정교회 폴란드 독립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세르비아 정교회
루터교회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볼리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기독교 개신교 앙콜라 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개신교회
노르웨이 교회 스웨덴 교회 중부 독일 복음주의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이에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브런즈윅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북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올덴부르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작센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샴부르크-리페 복음주의 루터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에티오피아 복음주의 교회 메카네 예수스 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브라질 루터교 신앙고백 복음주의 교회 미국복음주의루터교회 캐나다복음주의루터교회 칠레 복음주의 루터교회
콩고 복음주의 루터교회 덴마크 복음주의 루터교회 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 요르단과 성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남부아프리카 복음주의 루터교회 탄자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나미비아 공화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짐바브웨 복음주의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가나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파푸아뉴기니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케냐 복음주의 루터교회 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라이베리아 루터교회 말라가시 루터교회
니아스 기독교 개신교회 개신교 기독교 바탁 교회 사바 개신교회 엘살바도르 루터교회 시노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시아 복음주의 교회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인도 연합 복음주의 루터교회
마르 토마 교회
말라바르 마르 토마 시리아 교회
모라비아 교회와 역사적 평화 교회
독일 메노나이트 회중 협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캐나다 연례 모임(퀘이커)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메노나이트 공동체 형제단 교회
나이지리아 형제단 교회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 동·서인도 제도 지방 모라비아 교회 미국 모라비아 교회
자메이카 모라비아 교회 니카라과 모라비아 교회 남아프리카 모라비아 교회 수리남 모라비아 교회
탄자니아 모라비아 교회 서유럽 모라비아 교회 필리핀 독립 교회 폴란드 전국 가톨릭교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총회 친구들의 종교 협회: 친구 연합 모임
복고 가톨릭교회
독일 복고 가톨릭 교구 오스트리아 복고 가톨릭교회 네덜란드 복고 가톨릭교회 스위스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 마리아비테 복고 가톨릭교회 폴란드의 폴란드 가톨릭교회
복음주의 교회
남수단과 수단의 아프리카 내륙 교회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성공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와 폴리네시아 성공회 일본성공회 호주 성공회 부룬디 성공회
캐나다 성공회 케냐 성공회 대한성공회 남아메리카 성공회
남아프리카 성공회 탄자니아 성공회 웨일스 교회 실론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성공회 공동체 잉글랜드 국교회 아일랜드 교회 멜라네시아 교회
나이지리아 교회 중앙아프리카관구 교회 미얀마 교구 교회 인도양 교구 교회
서아프리카 교구 교회 우간다 교회 브라질 성공회 예루살렘과 중동 성공회
필리핀 성공회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교회 르완다 성공회 교구 남수단 성공회 교구
수단 성공회 교구 스코틀랜드 성공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알렉산드리아 성공회 교구
미국성공회
아시리아 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아프리카 토착교회
아프리카 형제단 교회 아프리카 기독교 교회 & 학교 성령의 아프리카 교회 아프리카 이스라엘 니느웨 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 해리스 선교(해리스 교회) 성령의 빛 그리스도의 교회 남부아프리카 아프리카 토착교회 협의회 아프리카 교회
전세계 주의 교회(기도 동역회) 제일 아프리카 교회 선교
연합교회
중국기독교협의회 방글라데시 교회 브레멘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를린-브란덴부르크-실레시아 오버라우지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바덴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라인란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안할트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쿠르헤센-발데크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팔츠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베스트팔렌 복음주의 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헤센과 나사우 개신교회
[[독일 복음주의교회|
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
독일 복음주의교회
공동체 교회 국제 협의회 알자스와 로렌 연합 개신교회 근동 아르메니아 복음주의 교회 연합 웨일스 독립 연합
자메이카와 케이맨 제도 연합교회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솔로몬 제도 연합교회 캐나다 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그리스도연합교회 - 마셜 제도 회중 일본기독교단 필리핀 그리스도연합교회
짐바브웨 그리스도연합교회 잠비아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회중교회 스코틀랜드 연합자유교회
브라질 연합장로교회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퀴라소 연합개신교회 프랑스연합개신교회
호주 연합교회 스웨덴 연합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장로교회 남부아프리카 연합개혁교회
발도파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킬리키아 성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성지 에치미아진의 모교구) 콥트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와 전 동방의 총대주교구
오순절교회
하나님의 교회 협회 기독교 성경 교회 앙골라 복음주의 오순절 선교 칠레 자유 오순절 선교 교회
국제 복음주의 교회 칠레 오순절교회 오순절 선교 교회 남아프리카 사도적 믿음 선교
제자회 / 그리스도의 교회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캐나다 크리스천 교회(제자회) 미국 뉴질랜드 크리스천 교회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제자회 공동체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아르헨티나 제자회 복음주의 교회 연합개혁교회
침례회
미국 침례회 르완다 침례회 협회 방글라데시 침례회 상가 엘살바도르 침례회 협회
아이티 침례회 총회 니카라과 침례회 총회 덴마크 침례회 연합 영국 침례회 연합
헝가리 침례회 연합 뉴질랜드 침례회 연합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콩고 침례회 공동체 콩고 그리스도의 교회 - 아프리카 개신교 침례회 / 아프리카 감독제 침례회 공동체
중앙아프리카 침례회 공동체 필리핀 침례회 총회 북동 인도 침례회 협의회 앙골라 복음주의 침례회
이탈리아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 자메이카 침례회 연합 미얀마 침례회 전국침례교총회(NBCA)
전국침례교총회(NBCUSA) 카메룬 원주민 침례회 나이지리아 침례회 총회 진보전국침례교총회
텔루구 침례회 사마베삼 카메룬 침례회 연합 }}}}}}}}}

[1] beta krstyan tawahdo ertra[2] 에리트레아 아스마라[3] Abuna.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모든 주교에게 붙일 수 있는 경칭이다. 여기에서는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수장인 에리트레아 총대주교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4] 아부나 대수는 1993년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가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에서 독립한 뒤, 1994년 콥트 정교회셰누다 3세 교황이 에리트레아 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한 이후 1999년 초대 에리트레아 총대주교가 착좌한 이후로부터 세는 것으로, 이전에는 에리트레아 단독 자치권이 없었기 때문에 대수가 크지 않다.[5] beta krstyan tawahdo ertra[6] 디오스코로스와 케를로스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 4대.[7] 조지아 정교회 한정으로 타 정교회 교파들보다 더 많은 내용을 정경으로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