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회원 교단, 회원 기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교단 | |
뉴질랜드 |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및 폴리네시아 성공회 · 뉴질랜드 기독교 교회 · 뉴질랜드 감리회 · | ||
호주 | 호주 성공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호주 및 뉴질랜드 교구 ·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 콥트 정교회 시드니와 부속 지역 및 동남아시아 교구 · |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침례회 친교 · 방글라데시 승가 침례회 · 방글라데시 교회 ·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
중국&홍콩 |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 | ||
인도 | |||
인도네시아 | 니아스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 예수 그리스도 교회 ·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동부 자바 기독교 교회 · 파순단 기독교 교회 · 앙콜라 개신교 교회 · 발리 개신교 교회 · 인도네시아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 숨바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감리회 · 볼랑 몽곤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 · 술라웨시 남동부 개신교 교회 ·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 몰루카스 개신교 교회 · 토라자 교회 · 바탁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미나하사 개신교 교회 밀도 · 인도네시아 무리아 기독교 교회 협회 · 자바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오이쿠메네 기독교 교회 총회 | ||
이란 | 이란 아르메니아 정교회 | ||
일본 | |||
대한민국 | |||
라오스 |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 ||
말레이시아 | 동남아시아 관구 교회 ·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복음주의 루터교회 · 말레이시아 감리회 | ||
미얀마 | |||
파키스탄 | 파키스탄 교회 · 파키스탄 장로회 | ||
필리핀 | 필리핀 침례회 ·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 에큐메니컬 연합교회 · 필리핀 독립 교회 · 사도 가톨릭 교회 · 필리핀 성공회 · 필리핀 루터교회 ·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교회 · 필리핀 연합 감리회 · 필리핀 구세군 | ||
스리랑카 | 스리랑카 산가마야 침례회 · 실론 교회 · 스리랑카 감리회 | ||
대만 | 대만 성공회 · 중화민국 감리회 · | ||
태국 | 태국그리스도교회 | ||
동티모르 | 티모르 로로 새 개신교 교회 | ||
회원기관 | 마오리 교회 협의회 · 호주 국립 교회 협의회 · 방글라데시 전국 교회 협의회 · 부탄 국립 기독교 협의회 · 홍콩 기독교 협의회 · 인도 교회 협의회 · 인도네시아 교회 친교 · 일본 기독교 전국 협의회 · 캄보디아 기독교 협의회 · | }}}}}}}}} |
남인도 교회 Church of South India | |
| |
THAT THEY ALL MAY BE ONE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소서 | |
<colbgcolor=#B5316A><colcolor=#ffffff> 약칭 | CSI |
설립일 | 1947년 9월 20일 ([age(1947-09-20)]주년) |
형태 | 연합교회 |
국가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교회 | 14,000개[출처] |
목회자 | 3,3000명[출처] |
신자 | 380만 명[출처] |
링크 |
[clearfix]
1. 개요
That they all may be one, and that the world may believe that you have sent me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사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옵소서 요한복음 17장 21절 |
인도에서 가장 큰 개신교 교단이자, 두번째로 큰 기독교 교단.[4]
성공회[5], 장로회/회중교회/개혁교회[6], 감리회를 비롯한 교단들의 후신이다.
교회 정치 체제는 주교제, 회중제, 장로제가 혼합되어 있다.
2. 주요 파트너
출처- PCUSA
- 그리스도연합교회
- 네덜란드 개신교회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미국 개혁교회
- 미국 성공회
- 북인도 교회
- 스코틀랜드 교회
- 연합개혁교회
- 영국 감리회
- 인도 장로교회
- 일본기독교단[7]
- 한국기독교장로회
- 호주 연합교회
3. 여담
- 세계 교회 협의회, 세계성공회공동체, 세계감리교협의회, 세계개혁교회커뮤니온,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의 회원 교단이다.
- 여성 목사 안수는 1984년에 허용했다.
- 일반적으로 성소수자 포용을 지지한다.
남인도 교회의 일부 교구는 트랜스젠더가 목회자로 서임될 수 있다고 확인했다. 그러나 남인도 교회의 또다른 일부에서는 오히려 동성애 반대 성향의 성공회 교회들의 연합인 GAFCON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남인도 교회가 속한 교단 협의체 중 하나인 인도교회협의회는 합의에 의한 동성 관계 합법화를 지지했는데, 남인도 교회가 속한 또다른 연합체인 인도교회커뮤니언에서는 동성 결혼 반대 청원서를 법원에 제출하였다. - 남인도 교회는 사형 제도를 반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