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회원 교단, 회원 기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교단 | |
뉴질랜드 |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및 폴리네시아 성공회 · 뉴질랜드 기독교 교회 · 뉴질랜드 감리회 · | ||
호주 | 호주 성공회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호주 및 뉴질랜드 교구 · 호주 그리스도의 교회 · 콥트 정교회 시드니와 부속 지역 및 동남아시아 교구 · |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침례회 친교 · 방글라데시 승가 침례회 · 방글라데시 교회 ·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
중국&홍콩 | 중국 그리스도의 교회 · | ||
인도 | |||
인도네시아 | 니아스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카로 바탁 개신교 교회 · 예수 그리스도 교회 · 칼리만탄 복음주의 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타나 파푸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동부 자바 기독교 교회 · 파순단 기독교 교회 · 앙콜라 개신교 교회 · 발리 개신교 교회 · 인도네시아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시말룽군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중앙 술라웨시 기독교 교회 · 숨바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감리회 · 볼랑 몽곤도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할마헤라 복음주의 기독교 교회 · 미나하사 기독교 복음주의 교회 · 티모르 개신교 복음주의 교회 · 서부 인도네시아 개신교 · 술라웨시 남동부 개신교 교회 · 바탁 기독교 공동체 교회 · 몰루카스 개신교 교회 · 토라자 교회 · 바탁 개신교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기독교 교회 · 미나하사 개신교 교회 밀도 · 인도네시아 무리아 기독교 교회 협회 · 자바 기독교 교회 · 인도네시아 오이쿠메네 기독교 교회 총회 | ||
이란 | 이란 아르메니아 정교회 | ||
일본 | |||
대한민국 | |||
라오스 | 라오스 복음주의 교회 | ||
말레이시아 | 동남아시아 관구 교회 ·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복음주의 루터교회 · 말레이시아 감리회 | ||
미얀마 | |||
파키스탄 | 파키스탄 교회 · 파키스탄 장로회 | ||
필리핀 | 필리핀 침례회 · 필리핀 복음주의 감리회 · 에큐메니컬 연합교회 · 필리핀 독립 교회 · 사도 가톨릭 교회 · 필리핀 성공회 · 필리핀 루터교회 ·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교회 · 필리핀 연합 감리회 · 필리핀 구세군 | ||
스리랑카 | 스리랑카 산가마야 침례회 · 실론 교회 · 스리랑카 감리회 | ||
대만 | |||
태국 | 태국그리스도교회 | ||
동티모르 | 티모르 로로 새 개신교 교회 | ||
회원기관 | 마오리 교회 협의회 · 호주 국립 교회 협의회 · 방글라데시 전국 교회 협의회 · 부탄 국립 기독교 협의회 · 홍콩 기독교 협의회 · 인도 교회 협의회 · 인도네시아 교회 친교 · 일본 기독교 전국 협의회 · 캄보디아 기독교 협의회 · | }}}}}}}}} |
| |
香港聖公會 (HKSKH) | |
<colcolor=#3cb371> 영문 명칭 | <colbgcolor=white,#010101>Hong Kong Sheng Kung Hui |
한글 명칭 | 홍콩성공회 |
설립일 | 1843년 1998년(홍콩관구 설립) |
주소 | 홍콩 1 Lower Albert Road |
교구장 | 앤드루 찬 |
종교 | 개신교 |
종파 | 성공회 |
교인 수 | 29,000명 (2019년 1월 7일 기준)[1] |
관할구역 | 홍콩 및 마카오 |
|
[clearfix]
1. 개요
홍콩과 마카오의 성공회 관구. 홍콩과 마카오를 관할한다. 마카오에는 성공회 신자 수가 적으므로 선교구(전도지구)로 설정하고 있다.2. 역사
- 1843년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현 영국)에서 영국령 홍콩으로 사제 파견, 활동 시작.
- 1849년 빅토리아 교구가 캔터베리 관구(잉글랜드 국교회) 산하에 설치됨.
- 1913년 항월교구(港粵教區, Kong Yuet Diocese)가 중화성공회 산하에 설치되고, 잉글랜드 국교회 산하의 빅토리아 교구와 함께 홍콩과 마카오의 양대 교구가 됨.
- 1951년 홍콩과 마카오의 교구가 준자치 교구인 항오교구(港澳教區, Diocese of Hong Kong and Macao)로 재편성되고 중화성공회에서 분리됨.
- 1998년 독립 관구가 설립돼 현재의 홍콩성공회가 세계성공회공동체 산하 자치 교회로서 설립됨.
3. 산하 교구와 선교구
- 교구
- 홍콩섬 교구(Diocese of Hong Kong Island, 香港島教區)
- 동구룡 교구(Diocese of Eastern Kowloon, 東九龍教區)
- 서구룡 교구(Diocese of Western Kowloon, 西九龍教區)
- 선교구(전도지구)
- 마카오 선교구(Missionary Area of Macao, 澳門傳道地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