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52:41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1. 개요2. 음소 표기 원칙
2.1. 성모2.2. 운모
2.2.1. (ㄨ)ㄛ, ㄜ의 표기
2.2.1.1. 주음부호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2.2.1.2.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주음부호
2.2.2. 철자 hs, ssŭ, tzŭ, tzʻŭ에 대해
2.2.2.1. hs2.2.2.2. ssŭ, tzŭ, tzʻŭ
2.3. 성조2.4. 기타
3. 약식 웨이드 표기법4.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유산5. 유니코드6. 여담7. 외부 링크8. 둘러보기

1. 개요

Wade–Giles / 韋氏拼音 또는 威妥瑪拼音 / Wei² Shih⁴ Pʻin¹-yin¹ 또는 Wei¹ Tʻo³-ma³ Pʻin¹-yin¹
(한어병음: Wéi Shì Pīnyīn 또는 Wēi Tuǒmǎ Pīnyīn)


중국어(관화, 표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하나. 19세기 중반 영국인 토머스 웨이드 경(Sir Thomas Francis Wade, 중국명 威妥瑪/웨이퉈마, 1818~1895)이 이 표기법을 만들어 자신이 출판한 중국어 입문서 語言自邇集(Yü Yen Tzŭ Êrh Chi)[5]에 사용했다. 그리고 19세기 말 역시 영국인인 허버트 자일스(Herbert Allen Giles, 1845~1935)가 이 표기법을 약간 수정하여 자신이 편찬한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사용했다. 그래서 이 표기법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6]이라고 부르는데, 최초 고안자의 이름만 따서 웨이드식 표기법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자주 쓰이는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에서 가장 오래 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한어병음 보급 이전에 영어권에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데 가장 많이 쓰였던 방법이며, 지금도 일부 영어권 중국학자는 한어병음이 아닌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7]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몇몇 운모는 웨이드-자일스 철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표기 방식들이 혼재돼 있다. 이는 외래어 표기법이 한중 수교 이전인 198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 대만에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널리 쓰이던 사정을 고려한 것이다[8].

대만에서는 사실상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의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한어병음 방안에 그 자리를 물려줬다.[9] 그럼에도 대부분의 대만인들은 자기 이름을 로마자 사용 외국어로 적을 때 이 방식을 많이 쓰고(약간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10] 유명한 지명에도 이 표기법을 쓴다(예컨대 가오슝). 그래서 한어병음방안만 아는 사람들이 대만 여행을 갔을 때 간혹 혼동한다. 도로 표지판은 한어병음이지만 개인들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영문 표기는 이걸 따라가거나 아니면 방언 발음이나 아니면 제멋대로 표기를 하기 때문. 그래서 예를 들어 장제스의 표기를 본인이 썼던 대로 방언 발음을 반영한 Chiang Kai-shek(창카이셱)이라 한다[11]. 정확하게는 Chiang은 표준중국어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적은 것이고, Kai-shek은 광동어 발음을 적당히 전사한 것이다.

'중국어'만 공부할 사람들은 한어병음 방안, 또는 대만의 중국어를 공부할 경우 주음부호라는 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굳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알 필요가 없지만[12] '중국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어 등 서양 언어권 자료를 보아야 하는 사람들은 꼭 알아야 하는 표기법이다.

영국인이 만들었기에 영어 사용자들이 영어식으로 읽으면 어느 정도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그리고 흔히 쓰이는 다른 표기법과 달리 주음부호보다 먼저 만들어진 표기법이다. 따라서 다른 표기법은 필연적으로 주음부호를 참조할 수밖에 없으나 이건 아니다.

한국에서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만든 사전이 있었고,[13] 옥편에도 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적곤 했으나, 지금은 한어병음에 밀려 사라졌다.

대만 정부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는 중국어를 입력하면 각 병음에 맞는 표기법을 표시해 주는데, 威妥瑪拼音를 보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확인할 수 있다.

2. 음소 표기 원칙

웨이드-자일스 음소 표기의 일반 원칙과 성모 하나하나 운모 하나하나의 표기 방법을 소개한다. 어떤 음소를 어떤 문자로 표현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주음부호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사실 웨이드도 자일스도 어떤 중국어 음소에 어떤 철자를 사용한다는 식의 대조표를 만든 적은 없다(애당초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주음부호가 나오기 전에 만들어졌다). 웨이드의 語言自邇集와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는 그저 각 한자에 대한 웨이드-자일스 표기만 등장할 뿐이다. 이곳이나 다른 곳에서 소개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표기 원칙은 다른 학자들이 語言自邇集와 A Chinese–English Dictionary를 보고 귀납적으로 표기 규칙을 추출해 낸 것이다.

2.1. 성모

성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자음 주음부호 한어병음 웨이드-자일스
쌍순음 b p
p
m m
순치음 f f
설첨음 d t
t
n n
l l
설근음 g k
k
h h
설면음 j ch
q chʻ
x hs
권설음 zh ch
ch chʻ
sh sh
r j
설치음 z ts
c tsʻ
s s

한어병음과 달리, 폐쇄음(파열음. 중국어 명칭: 색음·塞音)과 폐찰음(파찰음. 중국어 명칭: 색찰음·塞擦音)을 ch, k, t, ts, p로만 표기하되 어깻점의 유무로 무기음(중국어 명칭: 불송기음·不送氣音)과 유기음(중국어 명칭: 송기음·送氣音)을 구분했다.[14] 이는 중국어에서 이들 자음이 무성음이기 때문에[15]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 유성음을 나타내는 b, d, g[16], j[17], z[18]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단 유기음을 나타내는 어깻점의 경우, 본래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여는 따옴표(‘)와 같게 또는 비슷하게 생긴 turned comma(ʻ)로 적었는데(예: pʻing)[19] 나중엔 닫는 따옴표(’)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예: p’ing).[20][21] 그리고 오늘날 전산 처리 시에는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따옴표(')와 같은 형태(예: p'ing)로 적는 게 일반적이고. 이 문서는 표기법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므로, 이 문서에서는 원형인 turned comma(ʻ)를 사용한다.

ch와 chʻ는 설면음과 권설음을 모두 포괄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뒤에 오는 모음이 무엇이냐로 설면음과 권설음을 구분한다. 단 ㄒ(한어병음: x)와 ㄕ(한어병음: sh)는 각각 hs와 sh로 적어서 구분된다.

ㄖ(한어병음: r)는 생소하게 j라고 적었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정해졌을 때의 ㄖ(한어병음: r) 발음이 현재와는 달랐기 때문이다. ㄖ 성모는 전통적으로 반치음(半齒音)이라고 분류하는 발음이었는데, 고어에서 원래의 발음이 무엇이었는지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나[22] 어쨌든 치찰음(齒擦音, sibilant, 중국어: 有噝擦音) 계열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관화 중 비교적 보수적인 발음체계의 방언을 쓰는 화자들은 국제음성기호로 적었을 때 [ʐ]에 해당하는 소리로 발음한다.[23][24] 웨이드와 자일스의 시대에는 ㄖ를 이렇게 발음한 사람이 지금보다는 많았을 것이고[25] 웨이드와 자일스는 프랑스어의 j 발음 [ʒ]을 염두에 두고 이와 유사한 ㄖ[ʐ]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채택했다.[26]

단 운모에서는 j를 쓰지 않는다. 운모 ㄦ(한어병음: er)은 절대 운미를 [ʐ]처럼 발음하지 않고 무조건 [ɻ]로 발음하기 때문에 웨이드-자일스 식에서도 j를 안 쓰고 대신 êrh로 적는다.[27]

설치음 ts, tsʻ, s는 ŭ 앞에서 tz, tzʻ, ss로 적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관련 설명이 있다.

2.2. 운모

운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두 가지 표기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음의 종류 주음부호 한어병음 웨이드-자일스
성모 있음 성모 없음 성모 있음 성모 없음
단운모 ㄭ(帀)[28] i[29] ih/ŭ
a
[30] o
e ê/o
[31] ê eh
i[32] yi i i/yi
[a] u wu
ü/u[ü] yu ü
복운모 ai
ei
ao
ou
부성 운모 an
en ên
ang
eng êng
권설 운모 [35] er/r êrh/’rh
결합 운모 ㄧㄚ [a] ia ya
ㄧㄝ ie ye ieh yeh
ㄧㄞ [a] iai yai
ㄧㄠ [a] iao yao
ㄧㄡ iu you iu yu
ㄧㄢ ian yan ien yen
ㄧㄣ [a] in yin
ㄧㄤ [a] iang yang
ㄧㄥ [a] ing ying
ㄨㄚ [a] ua wa
ㄨㄛ uo wo o/uo wo
ㄨㄞ [a] uai wai
ㄨㄟ ui wei ui/uei wei
ㄨㄢ [a] uan wan
ㄨㄣ un wen un wên
ㄨㄤ [a] uang wang
ㄨㄥ ong weng ung wêng
ㄩㄝ üe/ue[ü] yue üeh yüeh
ㄩㄢ üan/uan[ü] yuan üan yüan
ㄩㄣ ün/un[ü] yun ün yün
ㄩㄥ iong yong iung yung

기타 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한어병음과 마찬가지로 운모 표기에서 주의할 점이 많다.

참고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질 당시에는 chio, chʻio, hsio, yo라는 음절도 존재했는데, 이들은 현재 chüeh, chʻüeh, hsüeh, yüeh(한어병음: jue, que, xue, yue)가 됐다.[53][54] 또한 자일스의 사전을 보면 楷(1203번)의 음가가 chʻiai³로 나와 있다(다만 kʻai³로도 발음된다고 적혀 있기는 하다).

2.2.1. (ㄨ)ㄛ, ㄜ의 표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ㄛ, ㄨㄛ, ㄜ는 원칙적으로 각각 o, uo, ê로 적혀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불규칙하게 대응돼 있다. 그래서 아래에 대응표로 정리한다. 이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지던 당시 ㄜ와 ㄛ 사이에 혼란이 있었던 것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2.1.1. 주음부호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주음부호 ㄅㄛ ㄆㄛ ㄇㄛ ㄈㄛ ㄌㄛ
한어병음 o bo po mo fo lo
웨이드 o[?] po pʻo mo fo lo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56],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주음부호 ㄨㄛ ㄉㄨㄛ ㄊㄨㄛ ㄋㄨㄛ ㄌㄨㄛ ㄍㄨㄛ ㄎㄨㄛ ㄏㄨㄛ ㄓㄨㄛ ㄔㄨㄛ ㄕㄨㄛ ㄖㄨㄛ ㄗㄨㄛ ㄘㄨㄛ ㄙㄨㄛ
한어병음 wo duo tuo nuo luo guo kuo huo zhuo chuo shuo ruo zuo cuo suo
웨이드 wo to tʻo no lo kuo kʻuo huo cho chʻo shuo jo tso tsʻo so

성모가 없는 ㄨㄛ는 wo로 적는다. 순음 ㄅp(한어병음: b), ㄆpʻ(한어병음: p), ㄇm, ㄈf가 아닌 다른 성모가 올 경우 ㄨㄛ를 o로 적되, 특이하게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와 ㄕsh만 예외로 uo로 적는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주음부호 ㄇㄜ ㄉㄜ ㄊㄜ ㄋㄜ ㄌㄜ ㄍㄜ ㄎㄜ ㄏㄜ ㄓㄜ ㄔㄜ ㄕㄜ ㄖㄜ ㄗㄜ ㄘㄜ ㄙㄜ
한어병음 e me de te ne le ge ke he zhe che she re ze ce se
웨이드 ê/o tʻê ko kʻo ho chê chʻê shê tsê tsʻê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만 ㄜ를 o로 적고, 설근음이 아닌 성모가 올 경우 ê로 적는다. 성모가 없는 경우 글자에 따라 ê와 o로 나뉜다.
2.2.1.2.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주음부호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웨이드 o[?] po pʻo mo fo to tʻo no lo ko kʻo ho cho chʻo jo tso tsʻo so
주음부호 ㄜ/ㄛ ㄅㄛ ㄆㄛ ㄇㄛ ㄈㄛ ㄉㄨㄛ ㄊㄨㄛ ㄋㄨㄛ ㄌㄛ ㄌㄨㄛ ㄍㄜ ㄎㄜ ㄏㄜ ㄓㄨㄛ ㄔㄨㄛ ㄖㄨㄛ ㄗㄨㄛ ㄘㄨㄛ ㄙㄨㄛ
한어병음 e/o bo po mo fo duo tuo nuo lo luo ge ke he zhuo chuo ruo zuo cuo suo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58],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에 성모 o가 붙을 때는 ㄜê(한어병음: e)와 결합된 것으로 간주된다. 나머지 성모에 o가 붙을 경우 ㄨㄛuo/wo와 결합된 것으로 간주된다. 성모가 없을 경우 ㄜ 또는 ㄛ로 간주된다.
웨이드 wo kuo kʻuo huo shuo
주음부호 ㄨㄛ ㄍㄨㄛ ㄎㄨㄛ ㄏㄨㄛ ㄕㄨㄛ
한어병음 wo guo kuo huo shuo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uo(wo)가 나타나는 경우는 전부 ㄨㄛuo/wo에 대응되는데, 이 철자가 쓰이는 경우가 제한돼 있다. 성모가 없는 ㄨㄛ의 경우에는 wo로 적는다. 성모가 설근음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이거나 ㄕsh이고 성모가 ㄨㄛuo/wo일 경우에만 uo를 붙인다.
웨이드 ê tʻê chê chʻê shê tsê tsʻê
주음부호 ㄇㄜ ㄉㄜ ㄊㄜ ㄋㄜ ㄌㄜ ㄓㄜ ㄔㄜ ㄕㄜ ㄖㄜ ㄗㄜ ㄘㄜ ㄙㄜ
한어병음 e me de te ne le zhe che she re ze ce se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ê가 나타나는 경우는 전부 ㄜê(한어병음: e)에 대응된다. 하지만 설근음 성모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뒤에는 ê가 오지 않는다(즉, kê, kʻê, hê라는 표기는 없다). 설근음 성모와 운모 ㄜê가 결합할 경우 성모 부분을 o로 적는다는 예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즉, ko, kʻo, ho로 적는다).

2.2.2. 철자 hs, ssŭ, tzŭ, tzʻŭ에 대해

이 섹션의 출처는 Wade의 語言自邇集 2판(1886년)이다.
2.2.2.1. hs
Lastly, there is the initial hs, which some complain is liable to confusion with sh. The aspirate precedes the sibilant; if the first i in hissing be dropped, you retain very exactly the Chinese syllable hsing. Rules cannot go far in such matters. The ear must advise itself by practice.*
————————————————————
* This initial hs, as the Sound Table will show, is only met with before the vowel sounds of the Italian i or the French u, and the syllables beginning with it have a history of their own which claims a passing remark. Many of the words now pronounced hsi were some years ago hi, many others si; similarly, words now pronounced hsü were some of them and some . In very modern mandarin vocabularies these syllabic distinctions are preserved. The fusion of them is variously accounted for. While the Peking Syllabary was undergoing revision, I was urged by my friend Mr. Edkins to admit into my orthography some change that might serve as an index of the original sound in the case of words differing as above, and had the work been of a lexicographic character, I would have adopted the suggestion. Nothing could be easier than to mark all words that have been HI, as HˢI, and all that have been SI, as ᴴSI; so with hsü and [59]; and to the philologist this recognition of pedigree might be of a certain value; but the syllable to be learned by the student of the colloquial language in this dialect, whether he express it by hsi, hsü, or otherwise, is still a sound common to all the words classed under it by the native speakers who compiled the syllabaries. The change would have involved a double tabular arrangement under all the syllables concerned, and it is to be doubted whether the beginner would not have been rather confused than advantaged by having what is now become, practically, but one category of the sound, subdivided into two.
hs: A slight aspirate preceding and modifying the sibilant, which is, however, the stronger of the two consonants. To pronounce hsing let the reader try to drop the first i in hissing. He will exaggerate both the aspirate and the sibilant, but the experiment will give him a clear idea of the process. The aspiration is effected by closing the middle of the tongue upon the back of the palate before the tip of the tongue is raised for the sibilation. It differs from sh, although this difference is less observable before diphthongs ia, ie.

즉 [s] 발음 앞에 약간의 기식(aspiration)이 들어가는 것을 의도한 철자라고 한다. 참고로 관화에서 성모 ㄒ(한어병음: x)로 발음되는 경우는 본래 고어에서 구개음화된 /h/였던 경우와 /s/였던 경우 두 가지가 있는데, 전자는 먼저 [ɕ]가 되었고 후자는 20세기 초까지 [s]가 유지되다가(이 구분이 노국음 등에서 유지되었다) [ɕ]로 뒤늦게 합류했다(표준중국어 발음을 이 발음 체계에 근거하고 있다).

각주에 따르면 원래 역사적으로 hi였던 것과 원래 si였던 것이 웨이드 시대에 와서는 hsi로, 원래 hü였던 것과 원래 sü였던 것이 웨이드 시대에 와서는 hsü로 합쳐졌다고 한다. 웨이드는 전문적인 사전에서는 원래 hi였던 것과 원래 si였던 것, 원래 hü였던 것과 원래 sü였던 것을 철자상으로 구분했지만, 이 語言自邇集는 초보자를 위한 책이므로 이 책(나중에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도 포함됨)에서는 둘의 구분을 두지 않고 모두 hs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2.2.2.2. ssŭ, tzŭ, tzʻŭ
On the sounds which I write ssŭ, tzŭ, and tzʻŭ, it is scarcely necessary to discourse. The vowels in these syllables defy a European alphabet more obstinately than any we have to deal with. Dr. Morrison's sze was changed by Dr. Williams to sz’. I used this for many years, but a tendency I noticed in some speakers to pronounce the syllable sizz, determined me to restore the vowel. Mr. Edkins writes , which is neither better nor worse than ssŭ, or, as it read in the old Syllabary, szŭ. The vowel that ĭ or ŭ is supposed to stand for does not exist in our system, and represent it by what letter we will, some diacritic mark is indispensable.

즉 웨이드 본인은 원래 sz’를 사용했지만, 일부 사람들이 이것을 sizz처럼 발음하는 것을 보고 모음을 되살리기로 했다는 것이다.
ŭ: Between the i in bit and the u in shut; only found with the initials ss, tz, tzʻ, which it follows from the throat, almost as if the speaker were guilty of a slight eructation. We have no vowel-sound that fairly represents it.
s: As in English.
ss: ssŭ is the only syllable in which this initial is found. The object of employing ss is to fix attention on the peculiar vowel sound ŭ, which, as stated above, it is so hard to reproduce.
ts: As in jetsam, catsup; after another word, often softened to ds in gladsome.
tsʻ: The aspirate intervening as in ch and other initials. Let the reader drop the italicised letters in bets-hard, and he will retain tsʻa.
tz: Is employed to mark the peculiarity of the final ŭ, but is hardly of greater power than ts.
tzʻ: Like tsʻ above. This and the preceding initial are, like ss, only used before the ŭ.

즉 ŭ 앞에서 ss, tz, tzʻ를 사용한 것은 뒤따르는 ŭ 발음에 주의를 끌기 위해서라고 한다.

2.3. 성조

성조는 각 음절 뒤에 성조 번호를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올려 쓴다(위 첨자). 즉 1성(음평성)은 ¹, 2성(양평성)은 ², 3성(상성)은 ³, 4성(거성)은 ⁴로 쓴다. 경성은 따로 표기하지 않지만 굳이 구분할 때는 ⁰으로 쓴다. 그리고 보수적인 관화 발음 체계에 있던 입성을 표기할 때는 이것을 5성으로 간주하여 ⁵로 적는다. 하지만 사전·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성조 번호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요즘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만든 중국어 사전·교재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2.4. 기타

3. 약식 웨이드 표기법

종종 사용되는 약식 웨이드(Simplified Wade) 표기법이 있는데 표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위의 경우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구분, 성조 구분(경성 제외)을 유지하는 표기들이다. 하지만 인명이나 지명 표기에서는 표기의 간략함을 위해 과감히 정확한 발음 표기를 포기하여 다음과 같이 적는다. 한국에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의 변종을 공식적으로 사용했을 때 인명이나 지명 표기 시 흔히 각종 부호들을 생략했던 것(P’yŏngch’ang → Pyongchang 등)과 같다고 보면 된다.

4.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유산

5.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문자들은 다음 코드 포인트들에 배당돼 있다. (연한 갈색 배경()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상관없는 문자가 배당된 코드 포인트를 나타낸다.)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002 ! " # $ % & ' ( ) * + , - . /
003 0 1 2 3 4 5 6 7 8 9 : ; ?
00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005 P Q R S T U V W X Y Z [ \\ ] ^ _
006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007 p q r s t u v w x y z { | } ~
00B ² ³ ¹
00C Ê
00D Ü
00E ê
00F ü
016 Ŭ ŭ
02B ʻ
207

6. 여담

자일스는 자신이 편찬한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웨이드의 표기법을 사용하기는 했지만(그래서 이 표기법 자체가 Wade–Giles로 불리게 된 것이고), 정작 자일스는 이 표기법을 그렇게까지 좋아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 초판(1892년) 머리말을 보면 이런 내용이 있다.
Orthography.—The term “orthography” is now generally used in reference to the transliteration or romanis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groups of sounds in this Dictionary are arranged alphabetically according to the orthography adopted by Sir Thomas Wade for the Peking dialect in his elementary handbook known as Tzŭ Êrh Chi. This orthography is anything but scientifically exact. In some respects it is cumbersome; in others, inconsistent. E.g. 廣 and 忙 are expressed by kuang and mang, 任 and 恩 by jên and ên, as if the vowel values were the same in each case. It was put together at a time when an orthography was wanted for the Peking dialect, and has at any rate the merit of being first in the field. I chose it for two important reasons. (1) This Dictionary is intended primarily for the use of members of the British Consular Service in China, who one and all begin their Chinese studies with the Tzŭ Êrh Chi, and will doubtless be glad to continue in a groove which, though imperfect, is familiar. (2) It would be admittedly an advantage to have one recognised system of orthography for “Mandarin” or the Court language, which is now represented by the dialect of Peking. There are several other orthographies more or less satisfactory in existence, about the merits of which no two persons are agreed; a new one would therefore only make confusion worse confounded. Exceptions have however been made in the case of names of provinces, well-known towns, etc., which are written according to common usage.
표기법: "표기법"이라는 용어가 이제는 한자의 전사 또는 로마자 표기를 지칭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사전의 발음 그룹은 토머스 웨이드 경이 집필한 《자이집》에서 베이징 방언 표기를 위해 채택한 표기법을 따라 알파벳 순으로 나열했다. 이 표기법은 결코 체계적으로 정확하지 못하다. 어떤 면에서는 거추장스럽고 어떤 면에서는 일관성이 없다. 예를 들어, 廣(광)과 忙(망)은 'kuang'과 'mang'으로 표현하며 任(임)과 恩(은)은 'jên'과 'ên'으로 표현한다. 마치 모음 값이 각 경우마다 동일한 것처럼 표기한다. 이 표기법은 베이징 방언의 표기법이 필요한 시기에 합쳐졌고 어쨌든 간에 그 분야에서 최고라는 메리트가 있다. 나는 두 가지 중요한 이유로 이 표기법을 선택했다. (1) 이 사전은 이미 《자이집》으로 중국어 교육을 받은 중국 주재 영국 영사관 직원들이 주로 쓸 것을 상정하고 작성되었다. 불완전하지만 친숙한 표기를 계속 사용하면 관사 직원들은 기쁘며 펄쩍 뛸 것이 분명하니까. (2) 표준중국어 또는 베이징 방언으로 대표되는 궁중 언어에 대해 하나의 표기법으로 인식 받는 게 유리할 것이다. 두 사람이 동의하지 않은 장점을 가진 표기법 중에는 다소 만족스러운 표기법이 꽤 있긴 하다. 그렇지만 새 표기법은 혼란만 더 가중시킨다. 단, 성(省)이나 잘 알려진 마을 등의 경우 통용 표기에 따라 적을 수 있는 예외를 두었다.

7. 외부 링크

新酷音輸入法2013: 웨이드-자일스 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입력기로, 台灣華語羅馬拼音으로 맞춰 놓고 사용한다. 그런데 통용병음국어 주음부호 제2식도 섞어 놓았기 때문에 순수하게 웨이드-자일스 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음운은 hs 하나뿐이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대한민국) · 반중(대한민국) · 혐중(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유니코드 문자 U+02BB MODIFIER LETTER TURNED COMMA. 유기음 표기 시 이 문자의 사용이 권장된다.[2] 여는 작은따옴표. 유니코드 문자 U+2018 LEFT SINGLE QUOTATION MARK. 다만 유기음 표기 시에는 앞서 제시한 U+02BB MODIFIER LETTER TURNED COMMA의 사용이 권장된다.[3] 닫는 작은따옴표처럼 생긴 어깻점(apostrophe). 유니코드 문자 U+2019 RIGHT SINGLE QUOTATION MARK.[4] IT 기기에서 자주 쓰이는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작은따옴표와 동일한 형태의 어깻점(단 폰트에 따라서는 이 문자를 닫는 작은따옴표와 동일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도 있다). 유니코드 문자 U+0027 APOSTROPHE. 이 문자는 미국 표준 QWERTY 등의 기본 자판 배열에 포함돼 있지만, 따옴표·어깻점의 형태를 자동 변경하는 Microsoft Word 등에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복사용 문자로 기재한다. 물론 MS Word에서도 '를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방법이 없는 건 아니지만 설정에 들어가서 따옴표·어깻점 자동 변경을 끈다든지 해야 해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하기 불편하다. 그냥 이미 다른 곳에 입력된 '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게 편하다.[5] 한어병음 'Yǔyán Zìěrjí', 한글 표기 '위옌 쯔얼지', 한국 한자음 '어언자이집'.[6] Wade-Giles라는 발음을 하다 보면 Wade의 마지막 [d\] 발음과 Giles의 첫 [dʒ\] 발음이 합쳐저서 실제로는 웨이자일스\(웨이자일즈) 정도로 발음된다. 그래서 간혹 웨이자일스, 웨이자일즈, 웨이자일 같은 표기를 쓰는 사람도 있으니 주의.[7] 일부 학자들은 중화인민공화국과 관련된 것에 한해 한어병음을 사용하고 나머지 역사적 중국에 대한 것은 죄다 이것을 사용하기도 한다.[8] 하지만 1980년대 한국의 중국어 교육에서는 주음부호 또는 한어병음을 썼지 웨이드식은 사실상 안 쓰였다.[9] 중화민국(대륙 통치 시기와 대만 이주 이후 모두 포함)의 경우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라마자국어 주음부호 제2식통용병음한어병음 순으로 바뀌어 왔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으로 대체돼 왔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국어라마자나 주음부호 2식 등은 널리 쓰이지 못했다.[10] 대만은 아니지만 싱가포르 총리 리셴룽도 자기 이름을 Lee Hsien Loong으로 표기한다. 웨이드식과 완전 일치하지는 않으나 이 표기법을 아는 사람은 한자 표기를 몰라도 발음을 유추할 수 있다.[11] 물론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한 중국어 교재의 발음 표기에서 본문에 등장한다면—다시 말해, 蔣介石의 발음을 한어병음으로 제시하고자 한다면—Jiǎng Jièshí로 써야 한다. 즉 영어권 중국어 교재라면 중국어 Jiǎng Jièshí를 영어 Chiang Kai-shek으로 해석해 주어야 한다.[12] 경우에 따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아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대만 사람들이 자기 이름을 로마자 사용 외국어로 표기할 때 이 방식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3] 허세욱 편, 새중한사전, 명문당, 1981년 초판, 1999년 개정판. 엣센스 중한사전의 전신인 이용묵 편, 신중국어사전(민중서관/민중서림)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반영했다.[14] 한국어를 표기하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도 유사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15] 단 경성(輕聲)에서는 유성음으로 바뀐다. 하지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한국어를 표기하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달리 이 변이음을 반영해서 표기하지 않는다.[16] 단 운미 ng에서는 쓰인다.[17] 대신 접근음인 ㄖ(한어병음: r)를 표기하는 기호로 썼다. 이유는 이어서 설명한다.[18] 단, ㄗtzŭ(한어병음: zi), ㄘtzʻŭ(한어병음: ci) 같은 표기에서는 쓰인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쪽에서 설명한다.[19] 언어학자(중국어에 한정 않음)들이 위 첨자로 쓴 콤마(ʽ : 고전 그리스어 표기법에서 /h/ 음가를 나타낼 때 썼던 보조 부호에서 유래함) 또는 이것과 비슷하게 생긴 turned comma(ʻ)를 유기음을 나타내는 보조 부호로 쓰기도 한다. 이 경우 표준 국제음성기호의 [ʰ\]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보조 부호 또는 [ʰ\]보다 강도가 약한 유기음을 나타내는 보조 부호로 쓴다. 원래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유기음 보조 기호를 여는 따옴표로 적었던 것은 언어학계의 이런 표기 관행에서 기인한다.[20] 아무래도 영어 등 많은 언어에서 어깻점을 닫는 따옴표와 동일한 형태로 적는 경우가 많아(예: John’s)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영어 등의 어깻점은 쓰임새가 다르긴 하지만 표기의 일관성 때문에 이렇게 바뀌게 된 것이다.[21]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도 유기음을 표기할 때 어깻점을 사용하는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달리 어깻점의 방향은 처음부터 신경 쓰지 않은 듯하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1939년 원문에서부터 어깻점을 그냥 닫는 따옴표(’)와 똑같은 형태로 적었고, turned comma(ʻ)와 같은 형태로 적은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22] 이 성모는 현대 중국어에서 방언마다 발음이 다르다. 다만 중고음에서 해당 성모는 치경구개 비음 [ȵ\]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권설음화와 비비음화\(denasalization)를 거쳐 [ʐ\]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23] 오늘날 중국어 학습 시 배우는 ㄹ 같은 권설음은 국제음성기호로 [ɻ\]라고 적는다. 치찰음의 일종인 [ʐ\]가 구식 발음이라면 비치찰음인 [ɻ\]는 신식 발음이다(단 성모에만 한정한다). 참고로 성모 ㄖ를 [ʐ\]로 발음하는 사람의 경우 [ʂ\]로 발음되는 ㄕ(sh)와 오로지 유·무성 차이로만 변별되는데, 다른 표준 중국어 음소들은 이렇게 유·무성 대립으로 구분되는 발음이 없다. 따라서 이런 성모 ㄖ를 [ʐ\]로 발음하는 사람은 ㄖ와 ㄕ만 예외적으로 유·무성 대립으로 변별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성모 ㄖ를 신식인 [ɻ\]로 발음하는 사람은 어떤 음소도 유·무성의 차이만 양자를 다르게 발음하진 않는다. 아무래도 ㄖ의 발음이 본래 [ʐ\]로 발음됐다가 점차 [ɻ\]로 변화한 것은, 유독 ㄖ와 ㄕ만 유·무성 대립을 통해 서로를 구분하는 게 음운 체계상 불안정하다는 점도 한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요즈음의 중국어 학습자들은 한어병음방안 철자 r에 이끌려서, [ʐ\] 발음을 듣게 되면 어색해한다. 그런데 중화민국 교육부 공식 문서인 한어병음(대만의 한어병음도 어차피 대륙에서 갖다 쓰므로)에서는 ㄖ의 발음을 [ʐ\]로 나타낸다.[24] 한편 이러한 발음의 영향으로 러시아어의 Ж를 음역할 때 이 성모로 음역하는 경우가 있다. 가령 Жирино́вский : 日里諾夫斯基(Rìlǐnuòfūsījī).[25] 20세기 초중반에 녹음된 중국어 음성자료에서는 이 같은 발음을 종종 들어볼 수 있다. 가령 1945년에 녹음된 장제스중일전쟁 승전 축하 연설을 들어보면 日, 如등의 글자를 발음할 때 ㄖ를 [ʐ\]로 발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47년 개최된 제 2차 대만광복절 기념대회 기록영상의 내레이션에서도 이 같은 발음을 확인할 수 있다.[26] 참고로 웨이드는 ㄖ에 r를 쓰는 게 옳지 않다고 생각했다. “Syllables which to my ear commence with a soft j, such as I write jan, jo, ju, it appears to some of my friends should be written ran, ro, ru. I will not deny that students with a very fine ear have voted for the latter system. I cannot allow that they are right. It is noteworthy that in 1793, when Lord Macartney visited Peking, the sound which I endeavour to represent by a soft j appeared to Barrow to be best represented by zh, the equivalent of the consonantal sound beginning the last syllable of contusion. It is true that in the century we have almost proof that various sounds, vowel and consonant, have changed; but Barrow’s transliteration is worth observing. I shall add that whenever I have tried to make a Pekingese say after me ran, ro, ru, he has invariably pronounced the syllables lan, lo, lu. The tongue, in my belief, poises itself differently in the two efforts,—in the effort to bring out the soft j, and the effort to bring out r.” (출처: 語言自邇集 2판)[27] 조선시대에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등 역관(譯官)들이 학습용으로 쓰던 교재에서 북방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기재한 문헌들을 보면 오늘날 [ʐ\]\(보수적 발음)나 [ɻ\]로 발음되는 성모를 초성 ㅿ을 쓰는 데 반해 운미 [ɻ\]는 종성 ㄹ로 썼다. 따라서 성모 ㄖ\([ʐ\] 또는 [ɻ\])는 과거에 치찰음 계통의 발음이었지만, 운미의 [ɻ\]은 원래부터 접근음 계통의 발음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8] 항상 성모가 있다.[29] 한어병음에서 z, zh, c, ch, s, sh, r 뒤에 붙이는 i다.[30] 성모가 없는 음절 ㄛ는 감탄사에서 나타나는 음절이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걸 유추해서 o로 적을 수 있을 듯하고, ㄧㄛ(한어병음: io, yo)도 유추해서 io/yo로 적을 수 있을 것 같다[31] 한어병음에서는 e가 상황에 따라 발음이 크게 달라진다. 다만 감탄사 등에서 순수하게 '에' 발음을 나타낼 때 ê라는 표기를 쓰도록 정해져 있는데, 실제로는 거의 안 쓰인다. 한어병음 문서 참고. 반면에 ê는 웨이드-자일스식에서 '어'스러운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라 한어병음의 ê와 역할이 다르니 주의.[32] 한어병음에서 z, zh, c, ch, s, sh, r 뒤에 표기하는 i와 다르며, 이 i에 대응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는 위의 ih/ŭ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의 설명을 참고할 것. 어차피 이 각주는 주음부호를 아는 사람에게는 군더더기고, 한어병음만 아는 사람의 혼동을 막기 위한 것.[a] 웨이드-자일스와 같다.[ü] 한어병음에서는 설면음(ㄐ(j), ㄑ(q), ㄒ(x)) 뒤에 오는 ü를 u로 쓴다.[35] 뒤 표기는 얼화 운미일 때.[a] [a] [a] [a] [a] [a] [a] [a] [a] [a] [ü] [ü] [ü] [49] 그래서 주역, 즉 역경(易經)의 보통화 발음 '이징(Yìjīng)'을 웨이드식으로 표기하면 I⁴-ching¹이 된다. 덕분에 영미권에서는 '아이칭'으로 오독하는 경우가 잦다[50] 웨이드와 자일스가 생각하기에 ㄍk, ㄎkʻ 뒤에서는 [e\] 발음이 잘 탈락하지 않는다고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근데 어떤 성모 뒤에 ㄨㄟ가 왔을 때 [e\] 발음이 탈락하는지는 사람마다 발음이 조금씩 달라서 단정적으로 서술하긴 힘들다. 일단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없거나 ㄍk, ㄎkʻ가 올 경우 e를 표기하는 것으로, 한어병음은 성모가 없을 때만 e를 표기하는 것으로 규정했지만...[51] 아무래도 영어와 프랑스어 등에서 단어 끝에 오는 e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영어나 프랑스어만 아는 사람이 봤을 때 헷갈리지 않도록 한 조치일 수도 있다. 하지만 eh의 h는 비경제적인 면이 있다. 그래서인지 한어병음은 이런 점을 고려해서 가급적 e만 쓰고, 감탄사에서만 쓰이는 단운모 ㄝ에 한정해서만 ê(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반대)를 쓰게 하고 eh 같은 표기는 쓰지 않도록 조치했다. 다만 한어병음은 고려하지 않고 주음부호와 웨이드식의 상호 전환만 놓고 보면 이 표기는 굉장히 편리하다. eh는 무조건 ㄝ가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ㄝ는 무조건 eh가 된다.[52] 일반적으로 ㄨㄥ은 성모가 없으면 '웡'에 가깝게 발음하고 성모가 있으면 '웅'이나 '옹'에 가깝게 발음한다. 그래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한어병음에서는 이 차이를 감안해서 표기를 달리하고 있다. 그런데, 근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의성어에 대해 예외를 인정해서 성모가 없는 경우에도 weng뿐만 아니라 ong도 가능한 발음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소수 있다. 한어병음 문서에 설명이 있으니 참고할 것. 물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는 성모 없으면 무조건 wêng, 있으면 무조건 ung이다.[53] 다른 언어의 [io\]~[jo\] 발음이나 그와 비슷한 발음이 현대 표준중국어에서 한어병음 -üe로 대응되는 경우가 있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יוֹחָנָן(Yohanan, 요한)은 중국어에서 约翰/約翰(한어병음 Yuēhàn)이고, 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Aisin Gioro)는 중국어에서 爱新觉罗/愛新覺羅(한어병음 Àixīnjuéluó)이다. 실제로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 초판(1892년)과 2판(1912년)에서 約(13349번)은 yo라는 독음 밑에 설명돼 있고(約은 yüeh 밑에도 등장하기는 하나(13791번), 설명은 없고 단순히 13349번을 보라고만 적혀 있다. 자일스는 여러 독음을 가진 한자는 해당 독음들 밑에 모두 넣었지만, 설명은 그중 한쪽에서만 했다), 覺(2216번)은 chio라는 독음 밑에 설명돼 있다(覺은 chiao와 chüeh 밑에도 등장하기는 하나(각각 1373번, 3238번), 설명은 없고 단순히 2216번을 보라고만 적혀 있다). 즉 約과 覺은 예전에는 일반적으로 -io로 읽혔음을 알 수 있다.[54] 한편 ㄩㄥ은 한어병음 기준으로 yueng, üeng이 아니라 yong, iong이 되는 걸 보면, '비원순 i + 원순 o' 및 '원순 ü + 비원순 e(ê)' 조합은 자주 뒤바뀐 듯하다.[?] [56] 경성에서 나타나는 음절.[?] [58] 대응되는 글자가 咯 하나뿐이며, 이마저도 남방 방언에서 온 어기조사이기 때문에 ㄌㄛ(한어병음: lo)와 ㄌㄨㄛ(한어병음: luo)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lo로만 적어서 생길 혼란은 전혀 없다.[59] 당대에 쓰였던 보수적인 관화 발음 체계에서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si, sü 식으로 적힐 만한 발음이 있었기 때문에 이 대목에서 이 발음들이 언급되고 있다. 참고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제정 시기보다 이후인 1913년에 제정됐다가 아무도 안 써서 폐기된 인위적인 표준어 발음인 노국음에도 이런 음절들이 있다.[60]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도 Ssŭchʻuan과 같이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은 표기가 이따금 발견된다.[61] 인터넷 등에는 rh 앞의 어깻점(apostrophe)를 닫는 작은따옴표(’)가 아니라 닫지도 열지도 않는 작은따옴표(')를 써서 'rh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62] ê와 ŭ는 그냥 e와 u로 적어도 다른 음절과 혼동될 여지가 없다. 그러나 ü는 그냥 u로 적으면 다른 음절과 혼동된다.[63] 이는 부호를 생략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cho는 원래 cho(조)일 수도 있고 ch’o(초)일 수도 있고 chŏ(저)일 수도 있고 ch’ŏ(처)일 수도 있다.[64] 한어병음으로 인명을 표기할 때는 하이픈을 안 쓰고 붙여 쓴다. 음절 구분을 해 줘야 할 때는 어깻점(')을 쓴다.[65] 싱가포르는 현재 표준중국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화교 상당수는 본래 관화(표준중국어가 속한 방언) 사용 지역 출신이 아니었다. 그래서 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방언 발음을 기준으로 적는 경우가 구 세대에서 흔한 편이며 지금도 그런 사람들이 꽤 있다. 리셴룽의 아버지 리콴유도 그런 케이스였다. 하지만 리셴룽은 부친과 달리 본인의 이름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영어 철자 규칙(ee, oo)을 결합하여 표준중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66] 하지만 완전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대로라면 '이'를 Yi가 아니라 I로 적어야 한다.[67] 물론 외래어 표기법은 기본적으로 원어의 철자법이나 로마자 표기법상의 철자가 아닌 원어의 발음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긴 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철자의 영향을 받은 규정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68] 참고로 ㄩㄢ은 조선족들이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옮길 필요가 있을 때도 '위앤', '위엔', '왠', '웬' 등 ㅐ나 ㅔ를 사용해서 적는다. 즉 조선족들의 청취 감각으로도 '위안'보다는 '위엔'에 더 가깝다는 것이다.[69] 다만 ㄨㄟui/uei/wei의 경우 한어병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규정도 내포하고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이 운모는 성모가 ㄍ, ㄎ(웨이드-자일스 표기법: k, kʻ / 한어병음: g, k)일 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한어병음의 표기 원칙이 다르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성모가 ㄍ, ㄎ일 경우 철자 탈락 없이 uei로 적게 하지만 한어병음은 성모가 ㄍ, ㄎ일 때도 다른 성모와 동일하게 취급해서 ui로 적게 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성모가 없으면 '웨이', 있으면 무조건 '우이'로 적게 하고 있으니, 이 부분에서는 한어병음 철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원칙 없이 뒤죽박죽 쩐다 굳이 변호(?)를 해 보자면, 규정을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ㄍ, ㄎ 예외를 고려하지 않고 성모가 ㄍ, ㄎ일 때도 그냥 '우이'로 적게 한 것일 수도 있다.[70] 참고로 조선족들이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옮길 필요가 있을 때도 이 운모를 '웅'으로 옮긴다. 위의 ㄩㄢ과는 달리 이 운모는 조선족들의 청취 감각과 외래어 표기법이 일치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