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의 열차 진입음에 대한 내용은 역 멜로디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음의 분류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 |
조음 방향 |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 |
성대 진동 여부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흐름 여부 |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1. 개요
接近音 / approximant consonant조음할 때 좁힘을 만들되, 마찰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넓게 터 내는 소리. 조음 구조상 모음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반모음(半母音), 반자음(半子音)이라고도 한다.[1]
무성 접근음은 별개의 기호가 없고 존재를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h]와 그 변이음들은 마찰음으로 분류되지만 무성 접근음에 더 가깝다. 때문에 변이음들을 마찰음보다는 무성 접근음에 ʰ를 붙이거나 h에 위첨자를 붙이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예로 '히', '후', '흐', '휘'의 ㅎ은 각각 [hʲ], [hʷ], [hˠ], [hᶣ]로 나타낼 수 있다.
접근음은 조음 위치가 같은 다른 자음과 결합하면 탈락하게 되어있는데, 멀리 갈 것 없이 '져'가 [저]로 발음되는 것과 '뭐'가 [머]로 발음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또, 접근음은 서로 만나면 한쪽이 탈락하기도 하는 등 여러모로 약한 자음.
몇몇 접근음은 대응하는 모음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현재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 양순 경구개 접근음 [ɥ]
- 양순 연구개 접근음 [w]
- 순치 접근음 [ʋ]
- 치경 접근음 [ɹ]
- 권설 접근음 [ɻ]
- 경구개 접근음 [j]
- 연구개 접근음 [ɰ]
- 구개수 접근음 [ʁ̞]
- 인두 접근음 [ʕ̞]
무기 성문 접근음 [∅][3]
[1] 한국어 한글과 러시아어의 키릴문자에서도 접근음 계열이 자음(초성)쪽에 있지 않고 ㅑ, ㅘ나 Я, Е같이 이중모음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2] 영어, 중국어의 er 발음. 이는 'r화 모음(r-Colored Vowel)'이라고 하는 발음인데, 조음 위치를 뭐라 설명하기 힘든 해괴한 모음이다.[3] 사실 이건 음가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