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 소리 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音,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オン, イン | ||||||
일본어 훈독 | おと, ね | ||||||
- | |||||||
표준 중국어 | yī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音은 '소리 음'이라는 한자로, '소리'를 뜻한다.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廿日(YTA)로 입력한다.2. 상세
이 글자는 갑골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금문에서부터 나타나는 데, 자원은 言의 口 속에 一을 포함시킨 모양으로, 지사자로 분류된다. 어원적으로는 말을 통해서 나오는 소리를 뜻한다. 때문에 전서까지는 言과 자형이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해서로 들어가면서 완전히 달라지게되었다. 言에서는 䇂(허물 건) 부분이 亖(넉 사, 四의 고자)처럼 변한 반면 이 글자에서는 䇂 부분에서 아래쪽 세로획이 사라지는 것으로 변화의 양상이 달라졌다.音은 소리(sound), 목소리(voice) 뿐만 아니라 인간의 발음(pronunciation)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자음을 분류하는 경우에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唇音), 치음(齒音), 후음(喉音)이라 하는 5음이 사용된다 거기다 발음이나 변형된 음의 의미에 사용되기도 하며 진음(秦音)이라 하는것 처럼 지역명을 써서 그 지역의 발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로 한국 한자음은 중국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한자음의 영향을 받아 발음의 시대나 지역을 특정하긴 힘들지만 일본 한자음에서는 한음(漢音)이나 오음(吳音), 당음(唐音)의 구분이 남아있다.
聲(소리 성)과 의미가 거의 비슷하지만 音은 악기의 소리, 聲은 사람의 발성기관에서부터 나오는 소리를 의미한다. 그 때문에 설문해자에는 宮, 商, 角, 徴, 羽을 오성(五聲, 음계), 絲, 竹, 金, 石, 匏, 土, 革, 木를 팔음(八音, 악기를 만드는 도구)으로 예를 들고 있다.
한국 한자음으로 '음'의 독음을 가진 글자가 얼마 없기 때문에 이두나 구결에서 /ㅁ/ 말음을 표시하는 한자로 썼다. '다짐'이라는 음을 나타내기 위해 侤音로 쓰는 식. 그런 연유로 몇 안 되는 향가에서도 音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대부분은 이 /ㅁ/ 말음을 표기하기 위해 쓰였다. 구결로 쓸 땐 立] 부분의 제일 아래 획을 뺀 모양의 생획자(省劃字)인 (⿱亠丷)로 쓴다.
유니코드는 97F3에 배당되었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용례
4.1. 단어
- 개음(介音)
- 격음(激音)
- 경구개음(硬口蓋音)
- 고음(高音)
- 관음(觀音)
- 굉음(轟音)
- 구개음화(口蓋音化)
- 녹음(錄音)
- 다음자(多音字)
- 단음(短音)
- 동음(同音)
- 두음법칙(頭音法則)
- 득음(得音)
- 말음(末音)
- 모음(母音)
- 반음(半音)
- 발음(發音)
- 방음(防音)
- 변이음(變異音)
- 병음(拼音)
- 복음(福音)
- 부음(訃音)
- 분절음(分節音)
- 비음(鼻音)
- 설전음(舌顫音)
- 성문음(聲門音)
- 소음(騷音)
- 오음(五音)
- 유성음(有聲音)
- 음계(音階)
- 음독(音讀)
- 음반(音盤)
- 음성(音聲)
- 음소(音素)
- 음악(音樂)
- 음역(音譯)
- 음절(音節)
- 음정(音程)
- 음조(音調)
- 음표(音標)
- 음향(音響)
- 이음(異音)
- 자음(子音/字音)
- 잡음(雜音)
- 장음(長音)
- 전음(轉音)
- 초음파(超音波)
- 축음기(蓄音機)
- 취음(取音)
- 탁음(濁音)
- 파열음(破裂音)
- 표음문자(表音文字)
- 화음(和音)
- 후두음(喉頭音)
- 후음(喉音)
- 훈민정음(訓民正音)
- 훈음(訓音)
4.2. 고사성어/숙어
- 가무음곡(歌舞音曲)
- 공곡공음(空谷跫音)
- 공곡족음(空谷足音)
- 금구옥음(金口玉音)
- 녹사불택음(鹿死不擇音)
- 동자이음(同字異音)
- 동음이의(同音異義)
- 동음이자(同音異字)
- 망국지음(亡國之音)
- 번음촉절(繁音促節)
- 복상지음(濮上之音)
- 북비지음(北鄙之音)
- 불협화음(不協和音)
- 상간지음(桑間之音)
- 상복지음(桑濮之音)
- 영음찰리(聆音察理)
- 음신불통(音信不通)
- 이구동음(異口同音)
- 정위지음(鄭衛之音)
- 정음(鄭音)
- 종고지음(鐘鼓之音)
- 지음(知音)
- 지음인(知音人)
4.3. 인명
- 강음이(姜音理)
- 뇌음신(惱音信)
- 니이나 오토(新名 音心)
- 마츠바라 카논(松原 花音)
- 무카이치 미온(向井地 美音)
- 부찰 용음(富察 容音)
- 사와다 카논(澤田 奏音)
- 손열음(孫烈音)
- 시오츠키 케이토(塩月 希依音)
- 아마네 카나타(天音 かなた)
- 오토세 코타마(音瀬 コタマ)
- 오토이시 아키라(音石 明)
- 오토키타 슌(音喜多 駿)
- 와케시마 카논(分島 花音)
- 유노마에 오토메(湯前 音眼)
- 이다 레오나(井田 玲音名)
- 치하야 아논(千早 愛音)
- 카메노 지온(瓶野 神音)
- 카미모토 코토네(嘉味元 琴音)
- 카미시라사와 케이네(上白沢 慧音)
- 쿠라마 네온(鞍馬 祢音)
- 쿠로사키 마온(黒崎 真音)
- 타케우치 츠키네(竹内 月音)
- 텐네 미코(天音 巫呼)
- 호리 시온(堀 詩音)
- 황 링인(凰 鈴音)
- 황정음(黃正音)
- 후루카와 코토네(古川 琴音)
- 아카네 리제(朱音 リゼ)
4.4. 지명
- 한국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가음동(加音洞)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佳音面)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觀音洞)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美音洞)
-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吉音洞)
-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동(也音洞)
- 일본
4.5. 창작물
4.6. 기타
- 고음병(高音病)
- 다짐(拷音): 한국어 '다짐'의 'ㅁ'을 音으로 적은 이두식 단어이다.
- 미음(眉音) - ㅁ의 발음을 알려주는 음차 단어.
- 야민정음(野民正音)
- 요와네 하쿠(弱音 ハク)
- 음방(音放)
- 저음병(低音病)
- 카가미네 렌(鏡音 レン)
- 카가미네 린(鏡音 リン)
- 하츠네 미쿠(初音 ミク)
- 메구리네 루카(巡音 ルカ)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소리음부
강희자전 안에 180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43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음이나 음성, 음악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5.1. 부수 예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音 |
5획 | 韶 |
10획 | 韻 |
11획 | 韾 |
13획 | 響 |
5.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소리음부
- 중국: [ruby(音部, ruby=yīnbù)]
- 일본: おと, おとへん
- 미국: Radical sound
6. 유의자
- 聲(소리 성)
7. 상대자
- 訓(가르칠 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