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變異音 / allophone한 음소가 환경에 따라 다른 발음이 되지만 해당 언어를 쓰는 화자는 같은 소리로 인식될 때, 그 소리를 말한다.
2. 설명
이음을 지녔다고들 쉽게 인식하는 한국어 음소는 'ㅂ, ㅈ, ㄷ, ㄱ, ㅅ, ㄹ'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은 'ㅂ'을 유성 양순 파열음 한 가지 발음인 것처럼 생각하나(따라서 b는 ㅂ으로 일대일 대응시키려고 한다), 실제 어두에서는 ㅍ에 비해 기류가 적고 낮은 음조의 무성음으로 발음되며 받침에서는 파열되지 않고 기류가 막히는 등 3가지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바다', '납', '아버지'의 ㅂ은 모두 같은 소리 같지만 실제로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바다의 ㅂ은 무성 파열음([p]), 납의 ㅂ은 무성 불파음([p̚]), 아버지의 ㅂ은 유성 파열음([b])이다. 앞에서 제시한 세 음의 ㅂ은 겹쳐서 나올 수 없기 때문에 배타적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한 단어에서 볼 수 있는 예가 비빔밥(/pibimp͈a̠p̚/).영어로 예를 들자면 미국인은 tall, butter, button 등의 t 또는 tt를 /t/라는 같은 음소로 인식하지만, tall에서는 제대로 무성 치경 파열음([t])으로 나오는 반면 butter에서는 치경 탄음([ɾ])으로 나고(한국어 어중의 ㄹ 발음이 이 발음이다!), button에서는 무성 성문 파열음([ʔ])으로 변하기까지 한다.
유성음, 무성음 구분만 하는 언어를 쓰는 외국인들이 한국어의 '달, 탈, 딸' 구분을 어려워하는 것도 바로 변이음 개념과 관련 있다. 해당 외국인들은 p, t, k, ch등의 파열음과 파찰음의 기식성을 음운이 아닌 단순한 변이음으로 인식한다. 역으로 한국인들은 유성음을 평음의 변이음으로 인식하는 대신 영어나 일본어의 무성파열음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것에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상보적 분포를 한다(받침에서는 무성 연구개 불파음, 어두에서는 연구개 파열음이 되는 'ㄱ'처럼)고 가르치기는 하지만, 이렇지 않은 자유 이음도 있다. 예를 들어 '이'에서 나타나는 [i]와 [ʔi] 발음이 있다. 동남 방언이 e2, 22 등을 구분 가능하다는 식의 떡밥이 자주 등장하는데 사실 한국어 화자는 e를 [ʔi]로 발음하므로 모든 한국인이 구분 가능하다(…). 이해되지 않는다면 성조와 강세를 억제한 채로 2E와 EE, '일본 사람'과 '일 본 사람'을 발음해 보자.
성악이나 실용음악 분야에서 은근히 중요도가 높은 개념이다. 의미뿐만 아니라 세세한 음색까지 고려해야 하는 노래의 특성상, 노래의 '맛'이나 자연스러움, 안정감, 원어다움(native-likeness) 등등을 살려주기 위해서는 변이음까지 살려주면서 노래를 불러주는 편이 좋기 때문이다. 특히 해당 변이음이 수강생의 모국어에 없는 음가일 경우, 수강생이 생각하는 가장 가까운 음가로 이를 수렴시키려는 과정에서 소위 '겉멋'이라 불리는 잘못된/과장된 발성 습관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교정해주기 위해, 어떻게든 수강생이 그 소리를 제대로 자연스럽게 낼 수 있도록 유도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레슨 기법이 동원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