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7:43:08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파일:chinesetop.png⺿/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파일:chinesebetween.png{{{#!wiki style="margin:-16px -11px"파일:chinesetopbottom.png}}}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201 202 203 204 15획<colbgcolor=#fff,#1f2023>211
13획205 206 207 208 16획212 213
14획209 210 17획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작을 소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小, 0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ちい-さい, こ, お,
-
표준 중국어
xiǎ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100px-小-order.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기타

[clearfix]

1. 개요

小는 '작을 소'라는 한자로, '작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작다
중국어 표준어 xiǎo
광동어 siu2
감어 xieu3
객가어 séu
진어 xiau2
민북어 siǎu
민동어 siēu
민남어 siáu[文] / sió[白]
오어 xiau (T2)
상어 siau3
일본어 음독 ショウ
훈독 ちい-さい, こ, お,
さ, ささ, いささ
베트남어 tiểu
점 세 개, 혹은 세로가 약간 긴 작대기 세 개를 그려 만들어진 지사자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여덟 팔)의 가운데를 중간의 선이 반으로 가른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갑골문에는 점 세 개가 찍혀 있는 모양이었기에 틀린 설명이다. 이 세 개는 콩이나 모래알처럼 작은 물체가 알알이 있는 모습을 상징한다. 학자들은 (모래 사)가 小[3]로 구성된 것을 고려하면 모래 알갱이를 상형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유니코드에는 U+5C0F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ㄧㄠˇ, 창힐수입법으로는 NC(弓金)로 입력한다.

강희자전에서 42번째로 분류된 부수이기도 하다. 41개의 한자들이 小를 부수로 삼는다.

중국어에서는 이름 앞에 小를 붙여 그 사람에 대한 애칭으로 쓰기도 한다. 이름이 한자로 두 글자면 그 중 한 글자만 따고 그 앞에 小를 붙이는 식이다. 원래 이 용례는 한국어에서 자신과 연령이 같거나 아래인 사람을 부를 때 "~야" 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이름 앞에 小를 붙여 쓰는 것이다. 여성 한정으로 일본어로 치면 '쨩(~ちゃん)' 정도의 어감인 셈.

3. 용례

여타 8급 한자들이 그렇듯이 이 한자도 매우 많은 곳에 쓰인다.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창작물

3.5.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기타

小를 세 개 합치면 (작을 마)가 된다.
[文] 문독[白] 백독[3] 小와 少는 본래 한 글자였다.[4] 활동명은 데라시[5] 다만 古泉인 경우도 있으니 구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