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百 일백 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白,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ヒャク, ハク | ||||||
일본어 훈독 | もも | ||||||
- | |||||||
표준 중국어 | bǎ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전서 | 예서 | 초서 | 행서 | 해서 |
'백'이라는 음으로 읽힐 땐 숫자 100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이다. 그러나 '전부' 혹은 '많다', '오래 간다' 라는 뜻도 갖고 있다. 반면 '맥'이라는 음으로 읽힐 땐 '힘쓰다' 혹은 '노력하다'란 뜻인데, 실생활에 사용되는 빈도가 낮아서 인지도도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일백 백' 자로만 안다.
음인 白과 뜻인 一을 합친 형성자이다. 갑골문의 모양을 근거로 하여 상형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지붕에 매달린 말벌집의 모양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말벌집 하나당 말벌 100여 마리가 있으니 그럴 듯한 가설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일백, 힘쓸 |
음 | 백, 맥 | |
중국어 | 표준어 | bǎi, bó |
광동어 | baak3 | |
객가어 | pak | |
민북어 | bă | |
민동어 | báh, báik | |
민남어 | pah | |
오어 | paq | |
일본어 | 음독 | ヒャク, ハク |
훈독 | もも, ほ, お | |
베트남어 | bách, bá, tình |
이체자로 佰와 𦣻[1]이 있다. 이 중 佰은 '맏 백', '우두머리 패', '길 맥'이라고 불리는 글자인데 百가 들어있는데다 발음도 '백'으로 같기 때문에 갖은자로 쓰인 것이다.
상고한어 음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어휘는 八과 동계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한자 문화권에서 八과 百은 모두 '완전한 수'로서의 상징성을 갖는데,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골백번(골百番)
- 당백전(當百錢)
- 바이두(百度) - 중국의 포털 사이트
- 백각형(百角形)
- 백과(百科)
- 백귀야행(百鬼夜行)
- 백년(百年)
- 백련초해(百聯抄解)
- 백리향(百里香)
- 백만(百萬)
- 백만장자(百萬長者)
- 백분율(百分率)
- 백성(百姓)
- 백세(百歲)
- 백수(百獸)
- 백억(百億)
- 백일(百日)
- 백합(百合)
- 백해(百害)
- 백화요란(百花繚乱)
- 백화점(百貨店) - 약어로 표기할 때 百자로 표기한다.
- 야오요로즈(八百万)
- 정백이십포체(正百二十胞體)
- 정육백포체(正六百胞體)
3.2. 고사성어/숙어
- 고두백배(叩頭百拜)
- 백군진병 (百郡秦幷)
- 백리부미 (百里負米)
- 백무일실 (百無一失)
- 백무일취 (百無一取)
-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 백발백중 (百發百中)
- 백사불성 (百事不成)
- 백사여의 (百事如意)
- 백세지사 (百世之師)
- 백세청풍 (百世淸風)
- 백승지가 (百乘之家)
- 백인극백난 (百忍克百難)
- 백전백승 (百戦百勝)
- 백전불태 (百戰不殆)
- 백전불굴 (百戰不屈)
- 백절불굴 (百折不屈)
- 백해무익 (百害無益)
3.3. 인명
- 고이케 유리코(小池 百合子)
- 금백리 (金百利) - 중국어로 읽으면 Jīn bǎi lì로, 서구권의 이름인 킴벌리를 음차한 것이다.
- 나백진(羅百鎭)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二十七面 千手百足)
- 리바이완 (李百万, 1926 ~ 2010) - 중국의 영화배우
- 모모세 긴코 (百生吟子)
- 안도 모모후쿠 (安藤百福, 1910 ~ 2007) - 인스턴트 라면 발명가
- 야오요로즈 모모(八百万 百)
- 이백약(李百藥, 564 ~ 648) - 중국 당나라의 역사가 겸 시인
- 나키리(百鬼), 모모이(百井), 쿠다라(百済), 햐쿠타(百田), 햐쿠야(百夜), 햐쿠초(百町)라는 성씨를 가진 모든 일본인 혹은 일본계들
- 유리 사카자키(百合 坂崎)
- 유리조노 세이아(百合園 セイア)
- 이오로이 나루미(五百蔵 鳴海)
- 햐쿠초 하마야(百町 破魔矢)
- 햣카(百火)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儢(힘쓰지 아니할 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白(흰 백)
[1] 기기상의 이유로 글자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一 아래에 自가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