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17:17:24

자(수)

십진수
Decima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colbgcolor=#d3d3d3,#000> /분()
(10-1)
<colbgcolor=#d3d3d3,#000> ()
(10-2)
<colbgcolor=#d3d3d3,#000> ()/()
(10-3)
<colbgcolor=#d3d3d3,#000>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열반적정
(10-24)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math(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
1,000,000,000,000,000,000,000,000
큰 수의 단위
(垓)10,000 배
자(秭)10,000 배
(壤 또는 穰)

1. 개요2. 사례

1. 개요

𥝱[1] / Septillion[2]
1,000,000,000,000,000,000,000,000 = 1024

해(垓)의 10,000곱절로, 1024. 양(壤 또는 穰)의 10,000분의 1, 조(兆)의 제곱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이상의 단위는 지수로 표기하는데, 경까지는 아는 사람들이 꽤 많고, 해는 그래도 소수의 사람들은 아는 정도에 단위명으로 아주 가끔 사용되는데 반해서 여기서부터는 쓰이기는커녕 존재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한자 표기는 이며, 대부분 수 단위 자를 한자로 표기했을 때 그 한자를 틀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3] 완성형에 秭가 없다 보니 한국어 IME로 입력이 어려운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로는 septillion이라고 하며 일본어에서는 이 수를 나타낼 때 秭가 아니라 𥝱(U+25771, 禾+予)를 사용한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고. 일본에서 쓰는 𥝱 때문에 의 1만배가 되는 수의 이름을 라고 잘못 아는 경우가 있다. 사실 𥝱는 일본 에도 시대에 수학 서적에서 秭를 𥝱로 잘못 표기한 것이 널리 퍼져 그대로 정착된 것이기 때문에 원래는 한국 한자음이 없는 글자이지만, 舒(펼 서), 抒(풀 서), 紓(느슨할 서), 芧(상수리나무 서), 序(차례 서) 등 성부가 같은 형성자에서 유추하여 '서'라는 독음을 배정한 것이다.[4] 일본어 음독 역시 予에서 따와서 ジョ이다.

큰 수 표기법으로 근사할 경우 BEAF 또는 BAN으로는 정확히 {10, 24}이며, sgh로는 [math(g_{\omega^{\omega2+4}}(10))]으로 쓸 수 있으며, fgh로는 [math(f_{2}(73))]보다 크고 [math(f_{2}(74))]보다 작다.[5]

2. 사례


[1] 일본 한자다. 상세한 내용은 하술.[2] 단, long scale에서는 quadrillion이다.[3] 비슷하게 생긴 姉(누이 자), 枾(원래 이거다. )(감 시), 抒(풀 서; solve가 아니라 물을 퍼낸다는 뜻이다)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특히 抒가 대중적(!)이다.[4] 𥝱 자체는 오자(誤字)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일본에서 만들어진 일본 고유의 국자(國字)에 형성자의 원리를 적용해 한국식 독음을 임의로 배정한 , , 등과 유사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5] 이미 봐왔다면 알겠지만 저 표기법에 수 몇개만 집어넣어도 10진수 자릿수 몇개로는 택도 없을 만큼 커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