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0:33:32

숫자 한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
옻 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チ, シツ
일본어 훈독
うるし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柒은 '옻 칠'이라는 한자로, '', '7'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7D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PD(水心木)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나무 목), (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일곱 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속자()로, '옻'이라는 의미는 보통 본자인 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한자는 주로 (일곱 칠)의 갖은자로 사용된다.[1]

3. 용례

3.1.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漆#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漆#|]][[漆#|]]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간혹 이 용도로도 본자인 漆을 쓰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