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九 아홉 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乙,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キュウ, ク | ||||||
일본어 훈독 | ここの, ここの-つ | ||||||
- | |||||||
표준 중국어 | ji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九의 획순
[clearfix]
1. 개요
九는 '아홉 구'라는 한자로, '아홉', '9'를 뜻한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아홉 |
음 | 구 | |
중국어 | 표준어 | jiǔ |
광동어 | gau2 | |
객가어 | kiú | |
민북어 | giǔ | |
민동어 | giū[文] / gāu[白] | |
민남어 | kiú[文] / káu[白] | |
오어 | jieu (T2) | |
일본어 | 음독 | キュウ, ク |
훈독 | ここの, ここの-つ | |
베트남어 | cửu |
유니코드에는 U+4E5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KN(大弓)으로, 주음부호로는 ㄐㄧㄡˇ로 입력한다.
9가 한자릿수 중에서 제일 큰 수이기 때문에 많다는 뜻을 가지는 경우도 있고, 이와 더불어 久(오랠 구)와 비슷한 음을 가졌기 때문에 오래되다는 뜻을 가지기도 한다.
이체자로는 갖은자인 玖(옥돌 구)가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음이 같다는 이유로 술(酒, jiǔ)을 뜻하는 은어로 쓰이기도 한다.
갑골문자와 금문은 팔꿈치 모양으로 생겼다. 현재 팔꿈치를 뜻하는 한자는 肘(팔꿈치 주)이다.
3. 용례
3.1. 단어
- 구공탄(九孔炭)
- 구관조(九官鳥)
- 구구단(九九段)
- 구만리(九萬里)
- 구미호(九尾狐)
- 구운몽(九雲夢)
- 구절초(九節草)
- 구절판(九切板)
- 구족(九族)
- 구주(九州)
- 구중천(九重天)
- 구천(九泉)
- 구촌(九寸)
- 구층탑(九層塔)
- 구품(九品)
- 사십구재(四十九齋)
- 홍범구주(洪範九疇)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구조 요시츠네(九条 良経)
- 김구(金九)
- 김정구(金貞九)
- 마잉주(馬英九)
- 송구홍(宋九洪)
- 여진구(呂珍九)
- 조연구(趙蓮九)
- 우타게 쿠단(宴 九段)
- 츠쿠모 벤벤(九十九 弁々)
- 츠쿠모 야츠하시(九十九 八橋)
- 코코노이 하지메(九井 一)
- 쿠노이치 효우가(九能市 氷雅)
- 쿠단 쿠키코(九段 九鬼子)
- 쿠죠 사라(九条 裟羅)
- 큐안도 에이타(九庵堂 栄太)
- 하기오 쿠단(萩尾 九段)
- 하치스카 쿠인(蜂須賀 九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