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16:00:41

구로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남구로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로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연천 방면
신도림
← 1.1 ㎞
1호선
(141)
인천 방면
구 일
1.4 ㎞ →
서동탄·신창방면
가산디지털단지
2.4 ㎞ →
용산 방면
신도림
← 1.1 ㎞
1호선
'''
경인선 급행
'''
동인천 방면
개 봉
2.4 ㎞ →
1호선
'''
경인선 특급
'''
동인천 방면
역 곡
6.9 ㎞ →
청량리 방면 1호선
'''
경부선 급행 A
'''
천안 방면
신도림
← 1.1 ㎞
가산디지털단지
2.4 ㎞ →
1호선
'''
광명셔틀
'''
영등포 방면 광명 방면
역명 표기
경부선 구로
Guro
九老 / [ruby(九老, ruby=クロ)]
경인선
구로기지선
1호선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구로동 585-3)
관리역 등급
관리역[1] / 2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개업일
경부선 1969년 3월 25일
경인선
1호선 1974년 8월 15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5면 11선 복합식 승강장[2]
철도거리표
서울 방면
신도림
← 1.1 ㎞
경부선
구 로
부산 방면
가산디지털단지
2.4 ㎞ →
기점 경인선
구 로
인천 방면
구 일
1.4 ㎞ →
구로기지선
구 로
구로기지 방면
구로기지
1.4 ㎞ →
유실물센터
파일:Seoulmetro1_icon.svg (경부선, 경인선) ☎ 02-869-0089

1. 개요2. 역 정보
2.1. 역사2.2. 승강장별 간단한 팁2.3. 일부 행선지의 개념환승2.4. 막차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구로역 스탬프.jpg
구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구로의 지명유래인 지팡이 9개를 형상화했으며, 2014년 스터디투어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구로역과 신도림역의 한가운데 있는 거리공원 끝자락에 있다.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출발
구로역은 1974년 역사가 신축 준공되며 같은 해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보다 이전이었던 1969년과 1973년에 설치되었던 경부선 구로신호소와 구로남신호소가 구로역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도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여, 1983년 사무관역 승격에 이어 1991년에는 신역사 B동이 준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구로역이었던 A동이 당시 2,229.4㎡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3층, 지하 1층에 이르며, 새롭게 준공된 B동이 4,301.5㎡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5층, 지하 1층에 이른다. 경인선의 분기역으로 경부선, 경인선 방면으로 향하는 수도권 광역전철의 주요 환승역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며 구로 차량사업소가 위치하고 있을 만큼 교통의 중심지로 역할하였기 때문이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수도권 전철 1호선 141번.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구로동 585-3) 소재.

2. 역 정보

파일:구로역2023.png
현 역사(1991년 준공)
파일:attachment/ssl21364-gewehr43.jpg
지붕공사 전 승강장
파일:attachment/gurocho.jpg
구로역에 진입하는 초저항 111편성 전동차(1998년 촬영)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9030346109_a41a8f0c9e_b.jpg
1983년의 구로역 승강장
수도권 전철 개통 5년 전인 1969년,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 지점으로 구로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용 승강장을 마련해 역으로 승격했다. 경부선 계통과 경인선 계통의 분기점으로, 수도권 전철 최초의 환승역이다. 다만 구로역은 1호선의 분기 환승역이고, 수도권 전철 최초의 타 노선과의 환승역은 1980년 2호선이 지어지면서 환승역이 된 신설동역이다.[3]

이 역부터 일부 급행 열차 상행은 완행이 되고, 하행은 그 반대로 여기서부터 급행이 된다. 물론 동인천 특급 같은 예외도 있지만, 그런 열차들은 운행 횟수가 적다.

예를 들어 1호선 천안/신창급행 열차는 청량리역부터 이 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고 다음 역인 가산디지털단지역부터 급행으로 운행한다. 반대로 천안/신창발 청량리급행 열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하고 이 역부터는 평범한 청량리행과 같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

1995년 구일역 개통 전까지만 해도 인천 방향 다음 역이 개봉역이었고, 당시 수원 방향 다음 역이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이라 헷갈려서 열차를 잘못 타는 사람이 많았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철역 사무직이 코레일네트웍스 등의 자회사 직원으로 대체되는 중에도, 구로역의 규모와 운전 취급의 중요성으로 인해 이 역은 직영으로 운용 중이다.

이 역에도 광운대역, 병점역과 같이 승무사업소(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구로승무사업소)가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중에서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를 하기 때문에 열차가 이 역에서 조금 길게 정차한다.
파일:서울구로.jpg
1980년대의 서울역 ~ 구로역 간 신설 계획도
1980년대 후반 선로용량이 포화 상태에 이르고, 차내혼잡도가 극에 이르다시피 했던 1호선에 대한 대책으로 3복선화와 함께 구로-신도림-영등포-대방-여의도(고수부지)-서부용산(용산전자상가)-남영-서울에 이르는 전철 노선이 입안되었다. 구로역에서 대방역까지는 기존 경부선과 병주하다가 여의도 구간으로 잠깐 빠진 후 용산부터 다시 경부선 옆에 붙어 서울역까지 가는 형태로 계획했다. 그러나 이 대안은 토지 보상비가 너무 많이 들었고, 따라서 구로역에서 서울역까지 경부선 선로 자체를 3복선으로 확장하는 대안이 선택되어 폐기되었고, 구로-용산 구간 3복선화는 완료되었으나, 용산-서울 구간 3복선화는 무산되었다[4].

2.1. 역사

열차를 탈 수 있는 승강장이 1~9번으로 대한민국 전철역 중 가장 많다. 이 역은 경인선경부선분기역으로 두 노선의 승강장이 나뉘어 있고, 인근 구로차량사업소로 입·출고하는 열차들을 위한 승강장도 따로 있으며, 급행 승강장도 따로 있기 때문이다. 9개 승강장 중 7번 승강장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장에는 최소 1시간에 1대씩 열차가 운행한다.

인근에 구로차량사업소가 있어 1호선에 구로행 열차가 있으며, 심지어 용산역에서 출발해 구로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함에도 용산~동인천 간 급행열차와 같은 선로를 달린다는 이유로 급행 이름이 붙은 '구로 급행'도 존재했었다. 그래서 이런 구로 급행은 철도 동호인들에게 '구라 급행'이라고 불렸고, 지금은 모든 용산발 구로행 열차가 행선지를 '구로행'으로 표기한다.

반대로 동인천~구로 구간을 운행하는 구로 급행도 있는데, 이 열차는 구로역까지 동인천발 용산 급행과 같은 방식으로 운행한다.

구로차량사업소 입출고 차량은 5~9번 승강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다. 이는 경인선 2복선화 공사의 산물로, 1~4번 승강장이 더 나중에 지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천역 방면에서 오는 구로행은 개봉역 출발 후 2선(완행선)에서 1선(급행선)으로 갈아타고 구로역으로 들어오며, 구로 이북에서 오는 구로행은 영등포역 진입 전 1선(급행선)으로 갈아타고 구로역으로 들어온다.

5번 승강장은 중간에 6번선 방면으로의 건넘선이 있는데, 이는 원래 구로역이 6량 승강장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6량 시절에는 승강장 밖에 있었던 것이, 10량으로 확장하면서 플랫폼 중간에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구로역에 정차한 상태로는 구로차량사업소로 바로 입고할 수 없기 때문에 신도림역 방면으로 80m 정도 이동한 뒤에 입고한다.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에서 온 구로행 열차가 역에 걸친 채 정차한 것을 볼 수 있는 게 이 때문이다.

용산역 방면 급행선 출고 열차는 6번 승강장, 완행열차의 입출고는 주로 7번 승강장, 동인천역 방면 급행선 출고 열차는 8번 승강장,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 출고 열차는 9번 승강장을 사용한다. 경인선, 경원선 계통 완행열차는 구로역 선로 구조상 완행선으로 바로 출고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천역 방면 출고 열차는 개봉역까지 동인천 급행과 같은 선로로 운행한 후 오류동역 진입 전 선로를 바꿔 완행 선로를 달리며, 신도림역 방면 출고 열차는 구로역을 출발하자마자 바로 평면교차를 해 신도림역 완행 승강장으로 간다.

개통 당시에는 5~9번 승강장밖에 없었는데 이때도 당시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진 역이었다. 나머지 승강장은 1991년 영등포~구로 3복선화 공사와 함께 설치되었으며, 승강장 간 이동 통로도 만들어졌다.

역사는 1974년에 건축되었다. 그러나 지금에 비해 역사가 상당히 좁아서 이용에 난점이 있었고, 당시 역사의 부지가 영등포 - 구로 간 3복선 부지로 편입되어 1991년에 역사를 신축하였다. 완전히 철거하고 신축한 것은 아니고, 5~9번 승강장에 있는 육교만 남겨두고 다른 부분을 1991년에 신축한 것이다. 철도공사 내부적으로는 2~3번 출입구가 있는 곳의 역사를 A동, 1번 출입구가 있는 곳의 역사를 B동이라고 하는데 B동은 거의 대부분 승무원들이 휴식하거나 숙식하는 구로승무사업소로 쓰이고 역무시설은 역무실과 역무원 숙직실 정도로 극히 일부이다.

출입구는 3개가 있으며, 모두 역의 남서쪽 끝에 위치해 있다. 1번과 2번 출입구는 개통 당시부터 있었던 것이고, 3번 출입구는 2번 출입구에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불가능하여 2014년에 2번 출입구 옆에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지역사회에서는 구로역 북동쪽에 출입구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구로역 이용률이 높은 신도림동 대림, 구로5동 롯데·신도림현대 등 인근의 아파트단지는 모두 구로역 기준 북동쪽에 있는데, 북동쪽에는 출입구가 하나도 없기 때문. 하지만 기술적 어려움과 토지 보상 문제로 인해 수십 년째 논의 단계에서 표류하고 있으며, 현재는 선거철에나 가끔 언급되다 마는 화제로 전락했다.

1991년에 건립된 현재 역사도 비좁고 낡은 탓에 현재 역사 신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시점에는 2026년 준공 예정. 더불어 기존 구로역광장(2·3번 출구) 방향으로 작은 출구를 하나 더 내는 계획이 조감도상에 반영되어 있다. 여기서도 북동쪽 출입구 신설은 포함되지 않았다. 기사 공사는 2026년 말에 완공 예정이다.

2.2. 승강장별 간단한 팁

1번 승강장은 서동탄역, 천안역, 신창역에서 오는 열차가, 2번 승강장은 인천역에서 오는 열차가 사용한다. 따라서 1번 승강장의 열차는 어느 열차든 광운대역까지만 가므로, 목적지가 광운대 이북(월계~연천) 구간이라면 2번 승강장을 이용해야 한다.

5~9번 승강장은 열차가 드물게 오기 때문에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 특히 구로 종착(서동탄, 천안, 신창 출발), 광명발 영등포행(광명셔틀) 열차가 사용하는 5번 승강장과 인천/연천 방면 일부 출고 열차, 인천/연천에서 온 구로 종착 열차, 일부 용산급행·특급 열차가 사용하는 7번 홈과 영등포발 광명행, 구로발 가산디지털단지 방면 출고 열차가 사용하는 9번은 열차가 매우 드물게 운행하므로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

승강장 중간의 환승통로에는 출구가 없으니 선상역사와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환승통로와 출구가 같이 있는 줄 알고 승강장 중앙의 계단을 올라갔다가 출구를 찾지 못해 헤매는 경우가 많다. 출구는 구일/가산디지털단지역 방향 승강장 맨 끝에만 있고 환승 통로는 승강장 중간쯤에 있다. 나가는 곳, 갈아타는 곳 표지판을 잘 보고 따라가야 한다.
파일:GurostationSibal.jpg
파일:attachment/guro2.jpg
<nopad> 파일:attachment/wuxt.jpg
7번 승강장
파일:구로역나가는곳.jpg
파일:시발나가.jpg
'구로역 시발'과 '나가는 곳' 표지판을 찍은 '시발 나가' 짤방

7번 홈 안내판에는 구로역 시발()이라 쓰여 있다. 물론 '출발점'이라는 뜻이고 저 안내판은 구로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이라는 뜻이며 스크린도어에도 양 방향을 모두 표기해 놨지만, '씨발'이라는 욕설이 먼저 떠오를 수 있어 이와 관련한 짤이 돌아다닌다.

2.3. 일부 행선지의 개념환승

2번 홈과 3번 홈이 붙어 있는데, 이 특징 때문에 인천에서 완행열차를 타고 구로역으로 온 승객들은 천안·신창 방면 열차(완행, 급행(A) 모두 포함)로 3초 환승을 할 수 있다.

4번 홈과 5번 홈이 붙어 있다는 것도 구로역이 가진 개념환승 방법 중 하나인데, 수원, 천안 쪽에서 구로행 열차를 타고 구로역으로 온 승객들이 인천 방면 완행열차로 3초 환승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부선에서 올라오는 열차는 대부분 1번 홈으로 들어가기에 5번 홈으로 들어가는 구로행 자체가 매우 적다는 것이 약점이다. 그러나 반대로 늦은 밤 시간대에는 구로차량사업소 입고를 위해 5번 홈에 들어가는 구로행이 많아지는데, 이 때 인천 방면으로의 환승은 개념환승이 된다. 과거 경부선 급행 개편 이전에는 5번 홈에 천안발 용산행 급행 열차가 다녔기에 개념환승이 자주 이루어졌다.

물론 현재도 5번 홈에는 광명발 영등포행 열차가 다니기 때문에, 광명역에서 부천, 인천으로 이동하는 승객들은 개념환승이 가능하다.

2.4. 막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로역/막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 주변 정보

1번 출구NC백화점(구 AK플라자) 2층과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백화점 내에 CGV 구로점이 있다. 주변으로 나오면 푸드 트럭들이 늘어서 있다.

나란히 붙어있는 2·3번 출구는 공구상가로 출퇴근하는 사람들과 인근의 신도림동 거주자, 버스로 목동 방면으로 환승하려는 사람들이 이용한다. 2번 출구는 계단만 있는데, 에스컬레이터로 된 3번 출구가 2014년 신설된 후로는 사람이 거의 다니지 않는다. 출구로 나오면 눈앞에 구로기계공구상가단지가 펼쳐져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1_icon.svg 구로역 출구 정보
1구로5동주민센터
구로구청 / 구로구보건소
서울구로경찰서 방면서울구로초등학교
구로중학교 / 구로고등학교
영림중학교
신구로자이아파트 / 나인스에비뉴
신구로지구대
NC백화점 신구로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구로119안전센터
2구로역광장
구로기계공구상가
신정동·목동 방면
고척동 방면
구현고등학교
3구로역광장
신도림동주민센터
서울신도림초등학교
신도림중학교
서울신미림초등학교
구로기계공구상가
신도림이편한세상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4년 13,299명
1975년 15,891명
1976년 19,977명
1977년 28,763명
1978년 39,721명
1979년 45,563명
1980년 42,270명
1981년 44,958명
1982년 46,493명
1983년 52,567명
1984년 57,182명
1985년 51,487명
1986년 48,021명
1987년 49,575명
1988년 47,628명
1989년 45,885명
1990년 47,995명
1991년 37,714명
1992년 39,404명
1993년 44,680명
1994년 50,811명
1995년 51,037명
1996년 49,483명
1997년 48,980명
1998년 46,404명
1999년 45,815명
2000년 41,040명 비고
2001년 49,379명
2002년 67,327명
2003년 76,313명
2004년 53,356명 [5]
2005년 52,120명
2006년 51,998명
2007년 51,597명
2008년 51,237명
2009년 51,175명 }}}}}}}}}
2010년 50,323명
2011년 50,764명
2012년 48,352명
2013년 46,575명
2014년 46,065명
2015년 45,929명
2016년 44,342명
2017년 43,126명
2018년 42,353명
2019년 41,166명
2020년 30,103명
2021년 31,452명
2022년 33,120명
2023년 34,283명
2024년 34,347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guro3.jpg
스크린도어
파일:구로역_역명판.jpg
역명판

5면 11선의 4상대+섬식 승강장이며 전국의 도시철도 전용 역 중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용 중에 있다.

이 역의 4번·5번 승강장은 각각 인천역·영등포역 방면으로, 가면 갈수록 두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나고 단차가 생겨서 두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이 있다. 높이는 4번 승강장이 더 높다.

7번을 제외한 홀수 번대 승강장은 경부선과 이어져 있고 짝수 번대는 경인선과 이어져 있다. 경부선 타는 곳들은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으로 가는 방면은 모두 오른쪽 문이 열리고 반대로 구로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는 모두 왼쪽 문이 열린다. 반면에 경인선은 구일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모두 왼쪽 문이 열리고 반대로 구로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는 모두 오른쪽 문이 열린다.

3번 승강장 1-4번 플랫폼 기둥에 영문 표기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된 철도청 시절의 구형 역명판이 마지막까지 남아있다가 교체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6]

2024년 12월부터 리모델링 기간동안 역사에서 6, 7번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공사로 폐쇄될 예정이다.
신도림
1 2 3 4 5 6 7 8 9
구일·가산디지털단지

맨 오른쪽 두 개의 선로는 일반열차 및 1호선 경부선 B급행 통과선이다.
1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상행영등포·용산·광운대 방면
[경부선 완행·경부선 A급행]
[첫차(당역출발)]
2상행의정부·동두천·소요산/연천 방면
[경인경원선 완행·경원선 급행]
[첫차(당역출발)]
3하행서동탄·천안·신창 방면
[경부선 완행·경부선 A급행]
4하행부천·부평·인천 방면
[경인경원선 완행·경원선 급행]
[첫차(당역출발)]
5상행영등포 방면
[광명셔틀]
6상행용산 방면
[경인선 급행·경인선 특급]
[일부 상행(당역출발)]
7구로역시발인천·용산·소요산 방면
[경인경원선 완행·경인선 급행(당역출발)]
8하행부천·부평·동인천 방면
[경인선 급행·경인선 특급]
[경인선 급행(당역출발)]
9하행KTX광명·서동탄·신창 방면
[광명셔틀]
[경부선 완행·경부선 A급행(당역출발)]
노선 및 방면 출입문 비고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부장항선 광운대 방면) → 출구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방면) 3-4, 6-1,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인경원선 연천 방면) → 출구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신창 방면) 4-1, 4-2, 5-3, 5-4를 제외한 모든 문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천안 급행, 광명 셔틀) 3-4, 6-1,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부장항선 신창 방면) → 출구1-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방면) 1-1, 5-4, 8-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경인경원선 인천 방면) → 출구1-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신창 방면) 1-1, 5-4, 8-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광명용산 급행) → 출구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방면) 4-1, 4-2, 5-3, 5-4를 제외한 모든 문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동인천 급행) 3-4, 6-1,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동인천용산 급행) → 출구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신창 방면) 3-4, 6-1, 10-4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동인천 급행/KTX 광명 방면) → 출구1-1

6.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06년 1월 19일, 구로역~안양역 전력공급 중단으로 모든 전철과 KTX가 운행 중단되었다.[7]

2014년 7월 30일 오전 10시쯤 화재가 일어났다. 화장실에서 시작된 화재로 밝혀졌으며 진압에는 20분이 채 소요되지 않았고 인명피해 또한 없었으나 신호에 문제가 생겨 2시간 정도 열차 운행이 불가하였고, 그 후 정상 복구되었다.

2016년 1월 25일 오전 6시 8분쯤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한 시민이 선로로 투신해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최초 신고자인 기관사는 처음에 사람을 친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다. 코레일 관계자는 “전동차가 승강장에서 출발 직후 선로에 누워있던 시민을 발견하지 못하고 치었다. 자살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사고 수습 과정에서 전체 4개 선로 중 인천 방향 급행 선로 1개를 통제하면서 10개 열차가 5분~20분 가량 지연됐다.

2020년 6월 23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대중교통 탑승 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상황에서 마스크를 하지 않은 40대 여성 때문에 소란이 일어나면서 운행이 약 7분간 지연되는 일이 있었다. 해당 여성은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8]

2024년 8월 9일 새벽 2시 20분 선로 점검차량과 작업용 모터카가 충돌해 직원 2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일이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구로역 직원교통사상사고 참조.

7. 여담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구로기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신도림역, 구로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구일역(KN)을 관할한다.[2]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점인 만큼 섬식과 상대식이 혼재한다.[3] 또한 구로역은 개통 당시부터 환승역인 최초의 역이기도 하다. 개통 당시부터 타 노선과의 환승역이었던 최초의 역은 신도림역이다.[4] 용산-서울 구간 선로가 6개이기는 하지만 맨 서쪽에 있는 선로는 용산역 북단에서 경원선으로 입체교차하여 진입하는 연결선이다.[5]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6]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7] 「국철 1호선 구로역-안양역 전력공급 중단으로 전철.KTX 운행 중단[박상권]」, MBC, 2006-01-19[8] 「"마스크 좀 씁시다" 말에 난동…지하철이 7분간 멈췄다」, 뉴시스, 2020-06-23[9] 관련 게시글, 출처: 오늘의유머[10] 서북 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