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8:53:36

삼랑진역

삼랑진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 동
9.1 ㎞ →
부전 방면
}}}}}}}}} ||
역명 표기
경부선 삼랑진
Samnangjin
三浪津 / [ruby(三浪津, ruby=サムナンジン)]
경전선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송지리)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018
관리역 등급
보통역(3급)
(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경전선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05년 1월 1일
마산선 1905년 5월 26일[1]
경전남부선 1931년 4월 1일[2]
경전선 1968년 2월 7일[3]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5년 1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2년 11월 5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남도해양열차 2013년 9월 27일 }}}}}}}}}
철도거리표
경부선
삼랑진
기점
경전선[4]
삼랑진
파일:삼랑진역.jpg
현 역사(1988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명칭2.2.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연계교통: 시외버스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역 이름이 지역의 이름으로
삼랑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의 역사는 1940년에 이어 1999년에 신축 준공된 역사이다. 삼랑진역은 경부선의 역인 동시에 경전선의 시발역이다. 삼랑진역에서 시작한 경전선은 남해안을 동서방향으로 횡단하며,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하는 총 300.6㎞의 철도이다. 1905년 5월 25일 경부선이 개통되었던 다음날 삼랑진~마산 구간의 철도가 개통된 것이 그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삼랑진역이 위치한 곳은 과거 하동면이라 불리던 곳이었다. 그러나 삼랑진역이 유명해지면서 1928년 하동면이 삼랑진면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지역명을 따서 역명이 생기는 경우는 많지만, 역명이 지역명이 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그만큼 삼랑진역이 지역에게 중요했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송지리) 소재.

2. 역 정보

파일:삼랑진역 구역사.jpg
파일:Samnangjin.webp
구 역사(1940년 준공, 1998년 철거)

1905년 1월 1일에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고 1940년 10월 23일 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1984년 1월 열차등급이 개편되면서 무궁화호가 정차하기 시작하였고 1988년 1월 10일에 지금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4년 12월 12일 낙동강역을 제어하게 되었고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이 중지, 2014년 10월 1일 남도해양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2.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기념관
  3.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4.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과 강당
  5. 청주 내덕동 청주대성고등학교 구 본관
  6.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성당
  7.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8.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9.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10. 서울 구 국회의사당
  11. 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2.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13.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14. 대구 동산병원 구관
  15.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16.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17.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18.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19.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20.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21. 철원 노동당사
  22. 구 철원 제일교회
  23. 철원 얼음창고
  24. 철원 농산물검사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
파일:20230606 삼랑진역 급수탑.jpg
2003년 1월 28일 급수탑등록문화재 제51호로 지정되었다.

경전선 광역전철이 완공되어 경전선이 신선으로 운행하게 되면 이 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산신항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무궁화호가 선택정차하지만 사실상 반필수라 봐도 될 정도로 하루 왕복 20편 이상의 열차가 정차한다. 여기에 2022년 11월 시간표 개정으로 ITX-새마을도 정차하게 되었으며, 부산~광주송정 간 운행하는 경전선 남도해양열차도 왕복 2회 정차한다. 밀양시내와 마찬가지로 이곳도 철도 초강세 지역이기에 그만큼 열차가 많이 정차하는 것이다.

2.1. 명칭

본래 역 소재지의 지명은 밀양군 하동면이었으나 삼랑진역이 지어지면서 동네 이름도 1928년에 삼랑진면으로 지명이 바뀐 것이다.[5]

'삼랑진'이라는 명칭 자체는 삼랑진읍에 있는 삼랑리에서 따온 것이다. 삼랑리는 옛날에 조창이 있었던 유서깊은 곳인데,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고, 거기에 큰 조차로 인해 바닷물도 역류해와 3개의 물결이 있다는 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현재는 역이 있는 송지리가 읍의 중심지이다. 삼랑리에는 낙동강역이 위치하여 경전선-미전선 간의 연결업무를 수행중이다.

역 이름을 읽거나 쓸 때 주의해야 한다. 흔히 '삼진'으로 오인하기 쉬운데, 사실은 '삼진'이 맞다. 한자도 '물결 '(浪) 자로, 풍랑(風浪)이나 낭만(浪漫) 할 때 바로 그 글자이다.

2.2. 승강장

파일:20230606 삼랑진역 한림정방면.jpg
한림정 방향 승강장
파일:20230606 삼랑진역 밀양방면.jpg
밀양 방향 승강장
파일:20230606 삼랑진역 원동방면.jpg
원동 방향 승강장
한림정 밀양
1 2 3 4 5 6
원동
1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열차|
남도해양열차
]]
마산·순천·목포 방면
2 구포·부전·부산 방면
3·4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대전·서울 방면
5·6 물금·구포·부산 방면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남도해양열차|
남도해양열차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1,193명
2005년 1,370명
2006년 1,130명
2007년 1,172명
2008년 1,168명
2009년 1,227명
2010년 1,251명
2011년 1,278명
2012년 1,195명
2013년 1,238명
2014년 1명 1,214명 1,215명
2015년 1명 1,152명 1,153명
2016년 10명 1,144명 1,154명
2017년 6명 1,128명 1,134명
2018년 6명 1,090명 1,096명
2019년 7명 1,030명 1,037명
2020년 2명 699명 701명
2021년 0명 726명 726명
2022년 809명 [6]
2023년 61명 745명 806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연계교통: 시외버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창원시 거제시 김해시 밀양시
창원 · 창원역 · 가술 · 동읍ㆍ일동ㆍ남산 · 진동 · 용원 · 마산고속 · 마산시외 · 마산남부 · 내서 · 진해 사곡 · 고현 · 옥포 · 장목 · 하청 · 장승포 김해 · 진영 · 장유시외 · 장유고속 · 장유(공항) 밀양· 구기 · 무안 · 예림 · 평촌 · 은산 · 파서 · 금곡 · 송백 · 남명 · 수산 · 얼음골 · 유천 · 옥산 · 표충사 · 삼랑진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 · 곤양 · 용현 · 사천공항 · 선진 ·완사 · 곤양 · 삼천포 양산 · 통도사신평 진주고속 · 진주시외· 경상대 · 개양 · 진성IC · 진주혁신도시 · 정촌 · 봉곡 · 이현 · 문산 · 국제대 · 진성 · 사봉 · 반성 · 수목원 · 한골 · 길성 · 발산 통영 · 무전동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거창 · 가조 · 위천 고성 · 배둔 · 부포 · 상리 남해 산청 · 원지 · 생초 · 덕산 · 중산리 · 대원사 의령 · 대의 · 신반 · 이방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창녕 · 남지 · 부곡 · 영산 하동 · 진교 · 화개 · 옥종 함안 · 군북 함양 · 마천 · 백무동(지리산) · 서상 · 수동 · 안의 · 추성 합천 · 가야 · 적교 · 해인사 }}}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
밀양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밀양 일 5회 밀성여객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김해 → 밀양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밀양
운행시각표
예림 - 금동 - 평촌 - 화성 - 거족 - 미전 경유(1일 4회), 임천 - 용성 - 칠성 - 미전 경우(1일 1회)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
김해
행선지 운행횟수 운수회사
김해 일 5회 밀성여객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김해 → 밀양
경유지 소요시간 운임
김해
운행시각표
낙동 - 독산 - 송촌 - 성포 - 생철 - 마현 - 생림 - 사촌 - 나전 - 삼계 경유,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

5. 기타

역 구내에 새마을호 객차가 방치되다시피 있었는데, 이란의 모 사철회사로 매각될 차량들로 부품취거나 임의 이동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기준으로 회송 #7412 삼랑진발 신탄진행으로 대전조차장으로 끌려간 거 같다.

이광수의 소설 무정에서 수해가 난 곳이 이 역 근처라고 한다.

6.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경전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중지
}}}}}}}}}



[1] 삼랑진역-구마산 구간 운영[2] 삼랑진-진주 구간 운영[3] 경전북부선과 경전남부선 통합.[4] 이 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전마산선 개통 이후 서류상 부산신항선에 편입될 예정이다.[5] 1963년에 삼랑진읍으로 승격되었다.[6] ITX-새마을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