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22:57:17

상동역(경부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천시에 위치한 수도권 지하철 7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상동역(부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밀양 - [ruby(대성, ruby=1945~1950?)] - 상동
상동역
서울 방면
경부선
무궁화호
부산 방면
청 도
← 10.4 ㎞
밀 양
9.4 ㎞ →
경전선
무궁화호
동대구 방면 진주 방면
역명 표기
경부선 상동
Sangdong
上東 / 上东 / [ruby(上東, ruby=サンドン)]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금산7길 4 (금산리)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272
관리역 등급
보통역
(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06년 5월 15일
<colbgcolor=#f55839>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파일:누리로 백색 로고.png 2024년 5월 1일
철도거리표
서울 방면
신 거
← 4.8 ㎞
경부선
상 동
부산 방면
밀 양
9.4 ㎞ →
파일:attachment/Sangdongs.jpg
3대 역사(1956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6. 연계교통: 유천시외버스정류소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06년 유천역이라는 이름의 간이역으로 출발
상동역은 1906년 5월 상동면 옥산리에서 유천역이란 이름의 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 1945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52년 공비의 내습으로 역사가 전소하면서 1956년 현재의 역사가 지어졌다. 적벽돌에 기와지붕이 잘 어울리는 소박한 시골 마을의 역사. 옛 상동역의 이름, 유천은 인근의 유천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약 2.5km 거리의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제 역사는 지역의 경계를 넘어 상동면에 위치해있다. 때문에 2000년 오랫동안 사용해오던 유천이란 이름 대신 상동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상동은 조선 초 밀양도호부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 그 위치가 북동쪽이라 상동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1884년(고종 21년)에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도 그 명칭을 그대로 이어받아 상동이라 불리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금산7길 4 (금산리) 소재.

경상남도 경부선 역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역으로 다음 역인 신거역부터는 경상북도에 있다, 이 역 옆에 유천 시외버스 정류소가 있다.

2. 역 정보

1906년 개업 당시에는 이름이 유천역(楡川驛)이었고, 역 위치도 지금의 금산리가 아닌 북동쪽으로 1.5km 떨어진 옥산리에 있었다. 그러다 1939년 경부선 복선화로 선로가 이설되고, 1945년 3월 역도 현 위치로 이전한 것이다. 청도천 서쪽에 있는 상동터널이 단선 시절 경부선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초대 역사는 1952년 1월 3일 열차 충돌에 의한 폭발사고로 불에 타 없어졌다. 열차가 역 북쪽에 있는 상구배를 넘지 못해서 유천역으로 퇴행하였는데, 뒤따라 오던 탄약 수송 열차와 유천역 구내에서 충돌했고, 불이 나면서 탄약에 불이 옮겨붙어 폭발하면서 역사도 전소된 것이다. 그 후 한국 전쟁이 마무리되고 1956년 2대 역사를 준공한 이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2000년에 역명이 상동역으로 바뀌었다. 유천은 청도천 건너편에 있는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와 내호리 일대를 가르키는 지명이라 역이 유천과 가까운 옥산리에 있었을 때는 나름 타당한 역명이었지만 남쪽으로 옮겨지면서 유천과 너무 멀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역 앞의 시외버스 정류소는 여전히 유천정류소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현재의 상동역은 밀양시 상동면 소재지에 위치해 있다. 상동면은 경남 소속이지만 경북과 접해 있는 관계로 부산보다 대구의 영향력이 크며, 그래서 부산역보다 동대구역 방면으로 가려는 이용객들이 많다.

2004년 이설된 신거~상동 구간(총연장 4.8km)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주 구간인 서울~천안 구간을 빼면 경부선에서 가장 거리가 긴 이설 구간이다. 본래 선로는 상행 방면으로 청도천을 건너 마을을 관통했는데 사철나무를 경남-경북이라는 모양으로 심어놓아 양도의 경계를 표시하는 인상깊은 포인트가 존재했었다. 이곳을 지나 청도천을 한 번 더 건넌 후에는 굽이치는 강물을 따라 동그라미에 가까운 선형을 그리며 청도역으로 향했는데, 경부선에서 제일 심한 굴곡을 자랑하다 보니 속도는 느릴지언정 차창 너머로 펼쳐지는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풍경은 매우 근사했었다. 그에 비해 지금 선로는 일직선으로 화끈하게 펴버려서 기나긴 어둠의 터널만이 반복될 뿐인데, 속도를 얻고 경치를 잃은 셈.

역명판을 새로 교체하였다 #

2021년 12월에 상동역에 원동역에 설치된 것과 같은 육교를 설치하려는 공사 현장이 보였다.

2022년 8월 1일에 육교와 엘리베이터가 개통되었다. 링크

2024년 5월 1일부터 누리로 열차가 상행 1회 정차한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210명
2005년 254명
2006년 235명
2007년 242명
2008년 266명
2009년 284명
2010년 306명
2011년 323명
2012년 323명
2013년 323명
2014년 300명
2015년 286명
2016년 250명
2017년 258명
2018년 246명
2019년 244명
2020년 158명
2021년 160명
2022년 182명
2023년 185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승강장

파일:20230630 상동역 청도방면.jpg
청도 방향 승강장
파일:20230630 상동역 밀양방면.jpg
밀양 방향 승강장
청도
| 2
(외)
2
(내)
1
(내)
1
(외)
|
밀양
1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물금·구포·부산 방면
경전선 창원·마산·진주 방면
2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대전·서울 방면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청도·경산·동대구 방면

5. 역 주변 정보

역사 반대편에는 빈지소라는 행락지가 있는데, 긴늪보다 소규모이지만 상류쪽인 데다 역에서 가까워서 여름철만 되면 관광객이 많다. 긴늪은 결정적으로 철도 연계가 안 된다. 부산이나 마산방면으로 가는 열차에서는 진행방향 왼쪽에 긴늪만 보일 뿐 세워 주지는 않는다.

빈지소(빈지늪)을 무대로 한 '그해 여름 빈지늪'(1982년 동아일보사 刊)이라는 소설도 있다. 이 소설에서는 상동역(당시 유천역) 맞은편 산에 밤나무 1천 그루를 심은 이유가 이무기를 쫓아내기 위한 점쟁이의 방편이라는 식으로 등장한다.[1] 가을철 밤송이가 급경사를 타고 빈지소 물에 풍덩풍덩 빠지면 그 밤송이에 찔린 이무기가 도망갈 것이라는 것. 말미에는 결국 주인공 일행들은 내려붓는 폭우 속에서 도망치는 이무기 비슷한 모습의 무언가를 보는 것으로 소설이 끝난다. 당시 부산의 배후 행락지역으로 활기찼던 상동역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6. 연계교통: 유천시외버스정류소

이 역 바로앞에 있는 버스정류소다. 노선도는 다음과 같다. 원래 버스가 양 방향 3회 정차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양 방향 각각 1회씩만 정차한다.
영남권: 동대구, 시지, 경산, 중앙병원, 남천, 남성현, 투우장, 무등, 청도, 옥산, 밀양직행, 금곡, 송백, 남명, 얼음골, 석남사, 언양, 신복, 태화, 울산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경산-밀양-울산 참조.

7.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1] 빈지소에서 행락철 사람이 계속 죽어나가는 게 이무기 소행이란 식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