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899년 | 1900년 | 1901년 | 1902년 |
1903년 | 1904년 | 1905년 | 1906년 | |
1907년 | 1908년 | 1909년 | 1910년 → | }}}}}}}}} |
서기 | 1906년 MCMVI 千九百六年 | 一九〇六年 | |||
← 1905년 | 1907년 → | |||
태세 | 병오년 丙午年 | |||
← 1846년 | 1966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기타 기년법에 따른 표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제국 | 광무 10년 | ||
단기 | 4239년 | |||
불기 | 2450년 | |||
청 | 광서 32년 | |||
일본 | 메이지 39년 (황기 2566년) | |||
베트남 | 타인타이 18년 | |||
이슬람력 | 1323년 ~ 1324년 | |||
히브리력 | 5666년 ~ 5667년 | |||
페르시아력 | 1284년 ~ 1285년 | |||
에티오피아력 | 1898년 ~ 1899년 | |||
인류세력 | 11906년 | |||
탄소측정연대 | BP[1] 44년 | }}}}}}}}} | ||
<colbgcolor=#b82647><colcolor=#fff> 밀레니엄 | 제2천년기 | |||
세기 | 20세기 | |||
연대 | 1900년대 | |||
양력 1906년 | 음력 1905년 12월 7일 ~ 1906년 11월 16일 | |||
음력 1906년 | 양력 1906년 1월 25일 ~ 1907년 2월 12일 | |||
일수 | 365일(평년) |
1. 개요
전년인 1905년에는 을사조약, 후년인 1907년에는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 강제 퇴위, 대한제국 군대 해산 등의 사건사고가 있었지만 1906년은 평온한 해였다. 오히려 한국의 주요 학교들이 많이 설립되고 의병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난 해이다.2. 사건
2.1. 실제
- 1월 16일: 스위스의 중앙은행인 스위스국립은행이 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 2월 1일: 일본 제국이 한성부에 한국통감부를 설치했다.
- 2월 11일: 한반도 첫 야구경기가 열리다. 황성 YMCA 야구단과 덕어학교가 맞붙었고 덕어학교가 승리를 거두었다.
-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대지진이 일어났다.
- 7월 22일 : 이인직이 만세보에 혈의 누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 9월 5일: 충숙공 이용익에 의해 보성고등학교(서울)가 설립되었다.
- 10월 15일: 대구광역시 최초의 근대적 학교 계성학교가 설립되었다.
-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황귀비 엄씨에 의해 진명여학교와 숙명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엄 귀비와 그녀의 친정 엄씨 가문은 교육사업에 관심이 많아, 이전 해인 1905년에는 남학교인 양정학교도 설립했다. 휘문의숙도 같은 해 설립.
- 1905년 해산된 헌정연구회를 이어받은 자강·계몽운동 단체인 대한자강회(大韓自強會)가 설립되었다.
- 토지·가옥 증명규칙 시행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개편안이 발표되었다.
2.2. 가상
3. 탄생
3.1. 실제
- 1월 11일 - 빌모스 좀보리: 루마니아의 전 축구 선수
- 1월 18일 - 닐스 악셀손: 스웨덴의 전 축구 선수
- 1월 26일 - 레오 할러: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 2월 4일 - 클라이드 톰보: 미국의 천문학자
- 2월 7일 - 선통제: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 2월 8일
- 3월 1일 - 페르난두 주디첼리: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 3월 3일 - 밀루틴 이브코비치: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의사
- 3월 5일 - 루돌프 크르칠: 체코의 전 축구 감독
- 3월 7일 - 야로슬라프 부르그르: 체코의 전 축구 선수
- 3월 11일 - 안동혁: 대한민국의 前 상공부장관, 한양대학교 명예교수
- 3월 18일 - 카를 세스타: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감독
- 3월 19일 - 아돌프 아이히만: 나치 독일 친위대 장교
- 3월 22일 - 에르네스트 리베라티: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 3월 23일 - 요한 발츠호퍼: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
- 4월 13일 - 알베르 헤레망: 벨기에의 전 축구 선수
- 4월 14일 - 갈홍기: 대한민국의 목사 겸 정치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 4월 26일 - 고형곤: 대한민국의 철학자
- 6월 4일 - 안토니 가웨츠키: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 6월 5일 - 에랄도 몬첼리오: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 6월 6일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교수
- 6월 19일 - 크누트 크룬: 스웨덴의 전 축구 선수
- 6월 21일 - 헬렌 코스텔로: 미국의 배우
- 7월 12일 - 에른스트 케제만;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 겸 신약학자
- 7월 17일 - 코후트 빌모시: 헝가리의 전 축구 감독
- 7월 30일 - 알렉스 테포: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 8월 5일 - 프란티셰크 스보보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전 축구 선수
- 9월 14일 - 플라비우 코스타: 브라질의 전 축구 감독
- 9월 22일 - 일제 코흐: 독일 슈츠슈타펠 여성보조요원 및 여간수
- 9월 25일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러시아의 작곡가
- 9월 30일 - 요제프 치티르조키: 체코슬로바키아의 전 축구 선수
- 10월 10일 - R K 나라얀: 인도의 작가.
- 10월 11일 -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 홀로코스트 생존자, 쥐: 한 생존자의 이야기의 주인공
- 10월 14일 - 한나 아렌트
- 10월 29일 - 브라니슬라프 세쿨리치: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 11월 11일 - 오귀스탱 샹트렐: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 11월 13일 - 빌리발트 크레스: 독일의 전 축구 감독
- 11월 15일 - 커티스 르메이: 미국의 군인
- 11월 22일 - 외르겐 유베: 노르웨이의 전 축구 감독, 작가
- 11월 30일 - 존 딕슨 카: 미국의 추리소설 작가
- 12월 5일 - 안익태: 애국가를 지은 대한민국계 스페인인 작곡가
- 12월 9일 - 한스 모크: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
- 12월 12일 - 피에트로 세란토니: 이탈리아의 전 축구 감독
- 12월 13일 - 드라고슬라프 미하일로비치: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 12월 16일 - 마르틴 벤톨라: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 12월 19일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 일자 불명 - 김종성(1906): 학교법인 육하학원의 초대 이사장
3.2. 가상
- 3월 3일: 이홍란 - 사쿠라 대전
- 4월 27일: 친 겐사이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6월 1일: 멜 레종 - 사쿠라 대전 3
- 6월 23일: 라쳇 알타이르 - 사쿠라 대전 5
- 11월 24일: 플럼 스패니얼 - 사쿠라 대전 5
- 12월 6일: 사지타 와인버그 - 사쿠라 대전 5
- 12월 31일: 클리브 스테플 - 사이퍼즈
- 일자 불명: 히나 - 플라잉 위치
4. 사망
4.1. 실제
- 2월 25일 - 심순택: 조선, 대한제국의 문신.
- 4월 19일 - 피에르 퀴리: 프랑스의 과학자, 마리 퀴리의 남편
- 6월 5일 - 에두아르트 폰 하르트만: 독일의 철학자
- 9월 5일 - 루트비히 볼츠만: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 10월 22일 - 폴 세잔: 프랑스의 화가
- 11월 17일 - 최익현음력: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