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0:36:36

영동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통 전 가칭이 영동역이었던 분당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한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영동 - [ruby(미륵, ruby=1938(1967)~1992)] - 황간
영동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김 천
42.2 ㎞ →
이 원
← 20.8 ㎞
지 탄
← 15.2 ㎞
심 천
← 10.8 ㎞
심 천
← 10.8 ㎞
추풍령
23.1 ㎞ →
}}}}}}}}}
역명 표기
경부선 영동
Yeongdong
永同 / [ruby(永同, ruby=ヨンドン)]
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87 (계산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05년 1월 1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4년 5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부선
영 동
파일:충북영동역.jpg
현 역사(1999년 준공)
파일:yeongdong.jpg
구 역사 (1956년 준공, 1999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2.2.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사건 사고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영동역 스탬프.jpg
영동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열사가 지키는 역
영동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됨에 따라 가역사를 거쳐 1956년 역사를 복구 준공하였는데, 당시의 역사는 328㎡ 규모의 벽돌기와 지붕 단층역사이다. 현재는 그 소박한 모습을 상상하기 힘든 주요 역사로 성장하였지만, 1973년 2월 4일 영동역 광장에 설립된 심석재 송병순의사 동상은 옛 역사에 이어 오늘날까지 영동역사를 지키고 있다. 현재의 역사는 1996년 준공된 것으로 영동 지역민뿐만 아니라 일대 지역 교통의 중심으로 역할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87 (계산리 205) 소재.

입지 면에서도 경부고속도로 영동IC의 접근성이 좋지 않아 열차가 선전하는 편이라서 인구 대비 열차 정차횟수가 많은 편이다.

2. 역 정보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현 역사는 1999년 지어졌으며 2009년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쳤다. 리모델링 후 화장실을 넓히면서 맞이방을 안쪽에서 입구 쪽으로 옮긴 탓에 냉난방이 잘 되지 않아 평가가 좋지 않았다. 다행히 2011년에 맞이방에 유리 칸막이가 생기면서 냉난방 문제가 해결되었다.

역 주변으로 영동군 읍내가 펼쳐져 있다. 역 북쪽에는 군청과 아파트 단지들이 있고, 남쪽에는 학교와 법원, 군민운동장 등이 있다.

이 역과 황간역 사이의 거리는 무려 14.6㎞인데, 두 역 사이에 있던 미륵역이 폐역되면서 역간거리가 벌어지게 된 것이다.

불과 몇 년 전까지 석탄 화물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중지된 것으로 보이며 인입선로가 있어서 아주 가끔 군용화물취급도 이루어진다.

영동역을 지나 황간역 가기 전 삽령터널까지는 계속 오르막길이라 디젤기관차로 넘기 꽤나 버거운 구간이다.

2011년 11월에 육군종합행정학교가 영동군으로 이전하면서 역 2층에 TMO가 신설되었다.

이 역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이기 때문에 무주군민들도 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이 역까지 온다.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 이후로는 무주의 장거리 이동 수요 대부분을 고속도로가 가져갔으나 여전히 영동역에서 무주터미널 가는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무주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해 대전으로 가는 버스는 많지만, 서울행 버스는 얼마 안 되고 철도가 갈 수 있는 지역이 더 많기 때문이다.

2.1. 열차 운행 정보

시외교통을 철도에 의존하여야 하는 영동군의 특성상 ITX-새마을이 상행 7편, 하행 8편 정차하고 있다.[2][3]

ITX-마음은 상행 1회[4]와 하행 1회[5]만 정차하고, 다른 하행열차 3회[6]와 상행열차 3회[7]는 통과한다.

무궁화호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도 비정기적으로 종착한다.

영동군충청북도이지만 충청북도청 소재지인 청주시보다 대전이 더 가깝기 때문에 옆 동네와 더불어 대전과 왕래가 잦은데, 버스 편수가 얼마 없어서 여객열차 승객이 많고 5만여 명의 인구 규모에 비해 열차 정차 횟수가 대단히 많다.

2.2. 승강장

파일:영동역 각계방면 20240121.jpg
각계 방향 승강장
파일:영동역 황간방면 20240121.jpg
황간 방향 승강장
각계
1 2 3 4
황간
1·2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천안·서울 방면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대전·청주·영주 방면
3·4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김천·동대구·부산 방면
경전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김천·구미·동대구 방면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282명 2,441명 2,723명
2005년 260명 2,584명 2,844명
2006년 237명 2,624명 2,861명
2007년 280명 2,722명 3,002명
2008년 368명 2,788명 3,156명
2009년 424명 2,784명 3,208명
2010년 410명 2,971명 3,381명
2011년 351명 3,292명 3,643명
2012년 300명 3,411명 3,711명
2013년 374명 3,468명 3,842명
2014년 402명 3,504명 3,906명
2015년 394명 3,343명 3,737명
2016년 333명 3,225명 3,558명
2017년 380명 2,983명 3,363명
2018년 413명 2,994명 3,407명
2019년 431명 3,005명 3,436명
2020년 249명 1,724명 1,973명
2021년 259명 1,698명 1,957명
2022년 438명 2,033명 2,471명
2023년 640명 1,871명 2,511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사건 사고

4.1.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그 외

5. 기타

역 건물 우측에는 1973년에 건립된 독립운동가 송병순의 동상이 있다.#

참고로 분당선 한티역의 공사역명이 영동(永東)이었으나 이 영동은 강남개발 당시에 영등포의 동쪽이란 뜻으로 관행적으로 불렸을 뿐 공식적인 지명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 정식역명 결정과정에서 제외되었다. 물론 두 역 모두 당시 철도청 관할이었기 때문에 역명 중복을 고려할 필요도 있었다.

이 역 인근에 시외버스가 다닌다.[8]

영동군에서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이곳 영동역까지의 연장을 바라고 있으며 김천시와도 셔틀열차의 개통을 바라고 있다. 만약 개통이 된다면 주변 지역으로 좀더 저렴하게 오갈 수 있을 것이다.

검정고무신 2기의 이기영이기철이 자신들의 외사촌인 춘식이와 헤어지는 곳이다.

6.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



[1] 신해운대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영동역을 통과하며 신해운대발 ITX새마을 한정으로 영동역 정차.[2] 상행 #1004, #1006, #1008, #1012, #1022, #1034, #1036 및 하행 #1001, #1005, #1007, #1009, #1011, #1013, #1031, #1035[3] KTX 2단계 개통 전만 하더라도 서울-부산, 서울-경주-부전, 서울-해운대 새마을호가 대거 정차했다. 서울-마산, 서울-포항은 KTX 1단계 개통 이전엔 일부 정차하기도 했으나 이후 모두 통과하다 운행 계통이 사라졌다.[4] #1106[5] #1105[6] #1101, #1107, #1103[7] #1102, #1104, #1108[8] 이 곳에서 무주, 학산직행, 설천, 구천동, 심천직행, 이원, 옥천, 남청주, 충북대병원, 청주, 부천 등 으로 갈 수 있다. 역 바로 앞에 서는 것은 아니고, 600번대 농어촌버스가 서는 곳 인근에서 조금 들어가면 시외버스정류장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