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삼랑진역 급수탑
1.#76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1.#126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4]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59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통영해저터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대구 대봉배수지
1.#276 정읍 나용균 생가와 사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여수 구 율촌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청주 대성여자중학교 강당
1.#376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신진 퍼블리카
1.#426 전차 363호
440-3. 백범 김구 인장 寬和, 金九之印, 白凡}}}
442-3. 백범 김구 유묵 思無邪}}}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건칠반
470-3.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470-4.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8] (태극기) 보물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새미리 수영복
509-3. 대한매일신보}}} 510-1. 독립신문 상해판 1.#511 친목회회보 1. 대조선독립협회회보 1.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1. 서울 이준 묘소 1. 서울 손병희 묘소 1. 서울 이시영 묘소 1. 서울 안창호 묘소 1. 서울 김창숙 묘소 1. 구리 한용운 묘소 1. 서울 신익희 묘소 1. 서울 방학동 전형필 가옥 1.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압사기 {{{-2 552-1.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 552-2.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559-2. 금성 라디오 A-50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강경 갑문 1.#626 진안 천황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알렌 수증 훈공일등 태극대수장
1.#676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모자이크 제단화 {{{-2 677-1. 군산 둔율동 성당 677-2.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681-2.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681-3.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헨리관 681-4.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식당동}}}
691-3.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방정환(方定煥) 묘소 691-4.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기만(吳基萬) 묘소 691-5.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광조(徐光朝) 묘소 691-6.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서동일(徐東日) 묘소 691-7.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오재영(吳哉泳) 묘소 691-8. 망우 독립유공자 묘역 - 유상규(劉相奎) 묘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718-3. 목포 번화로 일본식가옥-3 718-4. 목포 영산로 일본식가옥 718-5. 구 목포부립병원 관사 718-6. 구 목포 일본기독교회 718-7.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1 718-8. 목포 해안로 일본식 상가주택 718-9. 목포 해안로 교차로 상가주택 718-10. 목포 부두 근대상가주택 718-11. 구 동아부인상회 목포지점 718-12.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2 718-13. 목포 번화로 일본식 상가주택-3 718-14. 목포 해안로 붉은 벽돌창고 718-15. 구 목포 화신연쇄점}}}
719-3. 군산 내항 철도 719-4. 군산 구 제일사료 주식회사 공장 719-5. 군산 경기화학약품상사 저장탱크}}}
720-3.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720-4. 영주 영광이발관 720-5. 영주 풍국정미소 720-6. 영주 제일교회}}} 1.#726 구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청 관사
745-2. 이봉창 의사 친필 편지, 봉투 및 의거자금 송금증서 749-2. 매천 황현 유묵·자료첩(11책)1.#746 매천 황현 매천야록 1. 매천 황현 오하기문 1. 매천 황현 절명시첩 {{{-2 749-1. 매천 황현 시·문(7책) 749-3. 매천 황현 교지·시권(2점)·백패통}}} [12]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관
763-3.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1 763-4.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2 763-5.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3 763-6.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4 763-7. 익산 평동로 근대상가주택 5 763-8. 익산 보화당한의원 구 건조창고 763-9. 익산 구 이리금융조합 763-10. 익산 인북로 근대상가주택}}}
{{{-2 774-1. 대한민국임시정부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 774-2.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774-3.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 1.#776 광주 구 무등산 관광호텔
777-3.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1 777-4. 통영 중앙동 근대상가주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0px 10px; margin: 0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777-5. {{{-2 777-6. 통영 항남동 근대상가 777-7. 통영 구 대흥여관777-8. 통영 김상옥 생가 777-9. 통영 구 통영목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2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819-3.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1 819-4. 서천 판교 구 삼화정미소(오방앗간) 819-5. 서천 판교 근대상가주택 2 819-6. 서천 판교 구 중대본부 819-7. 서천 판교 구 판교극장}}}
820-3. 진해 화천동 근대상가주택 820-4. 진해 송학동 근대상가주택 820-5. 진해 대흥동 근대상가주택 820-6. 진해 흑백다방 820-7. 진해 일광세탁 820-8. 진해 육각집 820-9. 진해 창선동 근대상가주택 820-10. 진해 황해당인판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승학캠퍼스 | 부민캠퍼스 | 구덕캠퍼스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31816>
대학 정보
||역사 | 역대 총장 | 대학원 | |
생활 | 시설 | 사건 사고 | |
총동문회 | 출신 인물 | 동아리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BFC3C6> ||
야구부 | 축구부 | 육상부 | 레슬링부 |
태권부 | 씨름부 | 수영부 | 미식축구 |
}}}}}}}}} ||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무대 | 임시 중앙청 | 아미동 비석마을 | 국립중앙관상대 |
미국대사관 겸 미국공보원 | 부산항 제1부두 | 캠프 하야리아 | 유엔군 묘지 | |
우암동 소막마을 | | |||
둘러보기 틀: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 #E5007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부산과학관 | 국립수산과학관 | |
공립 | ||||
부산시립미술관 | 부산박물관 | 임시수도기념관 | 부산근현대역사관 | |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 | 복천박물관 | 정관박물관 | 부산영화체험박물관 |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 부산어촌민속관 | 부산현대미술관 | 사상생활사박물관 | |
사립 | ||||
록봉민속교육박물관 |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포민속박물관 | 애플컴퓨터박물관 | |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 유엔평화기념관 | 증권박물관 | 자본시장역사박물관 | |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 | ||||
대학교 |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동아대학교 석당미술관 | 부산대학교 박물관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東亞大學校石堂博物館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 |
<colbgcolor=#275cab><colcolor=#fff> 종류 | 대학 박물관 |
개관 | 1959년 11월 1일 |
관장 | 김기수 |
주소 | <nopad>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1] | |
우편 번호 | 49236 |
연락처 | 051-200-8493 |
|
1. 개요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전경 |
2. 연혁
박물관은 1959년에 개관하였다. 원래 동아대학교 설립자인 석당 정재환 박사의 개인 소장품 전시관으로 출발했으며,[3] 2009년 5월 19일에 구덕캠퍼스에 있었던 박물관을 부민캠퍼스의 옛 경상남도청 건물로 이전 개관하였다. 건물의 역사에 대해서는 경상남도청 문서 참조.박물관 건물 자체도 일제강점기에 붉은 벽돌로 중후한 서양 건축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며, 당시 기록에 따르면 부산에 주둔한 일본제국헌병대 분견대건물로 사용했다.6.25 전쟁 시기에는 임시수도 정부청사로도 이용되었던 역사가 서린 장소였다. 1983년에 창원시로 이전하기 전까지 경남도청으로 이용되었고, 이후 부산고등법원이 건물과 부지를 사들여 1987년 9월 1일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5-1번지에 개원한다.[4] 2001년 9월 20일 부산고등법원이 연제구로 이전하면서 동아대학교가 부산고등법원 부지를 사들였다. 2003년 법과대학 등을 부민캠퍼스로 이전하며 본격적으로 정부청사 건물의 리모델링이 준비되기 시작했지만, 실제로 공사가 진행된 때는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의 신축 건물이 완공된 이후였다. 위와 같은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구 정부청사 건물은 2002년 9월 13일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란 이름으로 국가등록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박물관에서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지 뒤에 있는 임시수도기념관[5]과 연계하여 견학코스를 만들고 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근대문화유산 여럿과 묶어 '피란수도 부산' 관련 사적지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고 추진 중인데, 성사될 경우 한국 내의 대학교 건물들 중 최초로 세계유산에 등재되게 된다.
2022년 12월 15일, 구 정부청사 건물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에 포함되었다.
2023년 5월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 / 한국박물관협회가 주관한 제 26회 전국박물관인대회에서 교육부문 올해의 박물관 / 미술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3. 관람
- 관람료 : 무료
- 개관 일시 : 매주 화~일 (월요일 및 개교기념일 휴관)
- 개관 시간 : 오전 9시 30분 ~ 오후 5시(4시 30분 입장마감)
4. 소장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국보 2점, 보물 18점 등 총 23,418개의 소장품이 있으며, 전국 대학 박물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축에 드는 박물관이다. 여기에 박물관 건물 또한 상술하다시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박물관의 주요 소장 문화재로는..
*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국보 제69호)
* 동궐도(국보 제249호) -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이전의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병풍 형태의 그림.[6]
* 초충도수병도(보물 제595호) - 오만원권 지폐 뒷면에 있는 그림.
* 조대비 사순칭경진하도 병풍(보물) / 현종가례진하도 병풍(보물)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보물)
* 쌍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등의 각종 조선시대 화기(보물)
* 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보물)
* 안중근, 김구, 신사임당, 이승만 등의 유묵.[7]
* 관북여지도(보물)
* 고려사(보물)
*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 / 토기 융기문 발(보물)
그 외에도 많은 왕실 가구나 유물들도 소장하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길 바란다. * 동궐도(국보 제249호) -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이전의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병풍 형태의 그림.[6]
* 초충도수병도(보물 제595호) - 오만원권 지폐 뒷면에 있는 그림.
* 조대비 사순칭경진하도 병풍(보물) / 현종가례진하도 병풍(보물)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보물)
* 쌍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등의 각종 조선시대 화기(보물)
* 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보물)
* 안중근, 김구, 신사임당, 이승만 등의 유묵.[7]
* 관북여지도(보물)
* 고려사(보물)
*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 / 토기 융기문 발(보물)
또한 현재 박물관 인근에는 한국에 단 하나 남은 미국제 부산전차 차량을 전시하고 있다.[8] 이 부산전차 차량은 피란수도 부산야행 행사 시즌 때는 행사 기간 동안에는 시민들에게 개방되었었다. 다만, 관련 문서에도 나오지만, 2017년 이후부터는 보존 처리를 위해 탑승이 중단되었다.
5. 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승학캠퍼스 | ||||
<colcolor=#000,#fff> 교내진입 | 사하10 | ||||
동아대입구 | 1001 | ||||
2 | 16 | 68 | 126 | ||
128-1 | 138 | 338 | |||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 |||||
교내진입 | 서구5 | ||||
동아대병원 | 167[A] | 190[A] | 중구1 | ||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 8 | 15 | 16[A] | 40[A] | |
67 | 81[A] | 161 | 168 | ||
서구1[A] | 서구3[A] | 서구3-1[A] | 3003 | ||
부민캠퍼스 | |||||
정문앞 | 15 | 16 | 40 | 70 | |
81 | 126[A] | 190 | |||
부용사거리 | 96 | 103 | 113 | ||
부민e편한세상APT | 서구3 | 서구3-1 | |||
[A] 단방향 경유 |
|
석당박물관 찾아오는 길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토성역 근처에 위치해있다. 대학교 소속 박물관이지만 다른 흔한 대학 박물관들과 달리 시가지 대로변 바로 앞에 있다.
6. 피란수도 부산야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란수도 부산야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피란수도 부산야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관련문서
[1] 부민동2가 1[2] 3대 대학 박물관의 원출처.[3] '부산의 간송'이라 불릴 만큼 경상도 지역에서 유명한 문화재 수집가였다고 한다. 간송은 간송미술관 문서 참조[4] 구 경남도청 건물에서 50m 거리에 신축된 건물이기도 하고, 어차피 경남도청 건물을 구매했기 때문에 부산고등법원은 부산고등법원이 임시수도 정부청사의 전통성을 이어간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부산고등법원에서 직원들에게 나눠준 기념품이 있었는데, 그 기념품에도 부산고등법원건물이 아닌 정부청사건물이 컬러 프린팅돼있었다.[5] 임시수도 시절 경무대 대신 대통령 관저로 이용된 건물. 당시 생활상 재현 및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6]
[7] 안중근 의사의 유묵은 보물(제569-6호)로 지정되어 있다.[8] ![파일:동아대 전차.jpg]()
1915년부터 1968년 폐선될 때까지 부산의 도시철도 역할을 했던 노면전차. 야인시대 같은 곳에서 나오는 도로에서 자동차와 섞여 달리는 그것 맞다. 박물관에서 배부하는 무료 티켓으로 일정 시간 동안 타볼 수 있다. 단 티켓 수량은 하루에 일정 수로 제한.
1915년부터 1968년 폐선될 때까지 부산의 도시철도 역할을 했던 노면전차. 야인시대 같은 곳에서 나오는 도로에서 자동차와 섞여 달리는 그것 맞다. 박물관에서 배부하는 무료 티켓으로 일정 시간 동안 타볼 수 있다. 단 티켓 수량은 하루에 일정 수로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