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1:36:40

부산 버스 8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8EVA.png
파일:부산 버스 8EV.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구 8-1번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신한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8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태종대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종점
첫차 04:48 기점
첫차 05:38
막차 22:13 막차 23:13
평일배차 출퇴근 6분 / 평시 7분 주말배차 토요일 9분 / 공휴일 10분
운수사명 신한여객 인가대수 20대[주말]
노선 태종대차고지 - 동삼하리 - 해양대입구 - 동삼삼거리 - 영도구청 - 청학시장 - HJ중공업 - 한성맨션 - 해동병원 - 영도대교·남포역 - 남포동 - 서구청 - 보수초등학교 - 서여고 - (→ 동아대병원입구 → / ← 구덕운동장 ←) - 구덕터널 - 구덕고교 - 학장교차로 - 학장입구 - 새벽시장 → 코레일사상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새벽시장 → 이후 역순

3. 역사

3.1. 구 8-1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5000.43
2015년 14722.00 ▽ 278.43
2016년 15861.71 △ 1139.71
2017년 17084.00 △ 1222.29
2018년 13651.86 ▽ 3432.16
2019년 13482.29 ▽ 169.57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코레일사상역
15249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15073
파일:Busan2.svg파일:BGL_logo.svg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15290 파일:Busan2.svg파일:BGL_logo.svg
이상 회차 구간
신한은행
15083 파일:Busan2.svg파일:BGL_logo.svg
감전교회
15088
KEB하나은행
15087
감전시장
15092
감전시장
15091
새벽시장
15138
새벽시장
15137
대풍주유소
15139
대풍주유소
15136
학장입구
15134
학장입구
15135
사상전화국
15149
사상전화국
15150
학장교차로
15156
학장교차로
15155
여성문화회관
15157
여성문화회관
15162
구덕고교
15158
구덕고교
15161
구학초등학교
15159
구학초등학교
15160
구덕초등학교
02003
구덕초등학교
02002
구덕운동장
02007
동아대병원입구
02006
서여고
02025
동신초등학교
02029
서여고
02024
화랑초등학교
02019
화랑초등학교
02018
보수초등학교
01088
보수초등학교
01089
부평시장
01084
부평시장
01083
서구청
02085 파일:Busan1.svg
서구청.충무동
01080 파일:Busan1.svg
자갈치역.비프광장
01714 파일:Busan1.svg
자갈치역.비프광장
01713 파일:Busan1.svg
남포동
01712 파일:Busan1.svg
남포동
01711 파일:Busan1.svg
영도대교
01064 파일:Busan1.svg
영도대교.남포역
01061 파일:Busan1.svg
영도경찰서
04013
영도경찰서
04011
영도우체국
04009
영도우체국
04007
해동병원
04004
해동병원
04003
교통순찰대.센트럴에일린의뜰
04056
교통순찰대.센트럴에일린의뜰
04058
한성맨션
04060
한성맨션
04059
봉학초등학교
04063
HJ중공업
04195
신도브래뉴아파트
04065
SK부산저유소
04064
청학시장
04066
청학성당
04069
청학동부산은행
04067
청학주유소
04071
청학주유소
04070
영도구청
04072
영도구청
04073
동삼주공아파트입구
04075
동삼주공
04074
동삼삼거리
04082
동삼삼거리
04083
일동미라주아파트
04084
일동미라주아파트
04085
동삼시장
04087
동삼시장
04086
동삼국민은행앞교차로
04089
동삼국민은행앞교차로
04088
동삼혁신지구입구
04197
동삼혁신지구입구.동삼교회
04196
에일린의뜰2단지아파트
04091
에덴금호아파트
04092
에덴금호아파트
04215
해양대삼거리.동삼동패총전시관
04093
해양대삼거리.동삼동패총전시관
04094
하리
04096
하리
04095
태종대초등학교
04097
태종대초등학교
04020
태종대.태종대온천
04192
차고지
04024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광장로
신한은행 ▼▲ 코레일사상역
새벽로
학장입구 ▼▲ 대풍주유소
가야대로
사상전화국 ▼▲ 학장입구
학감대로
구덕초등학교 ▼▲ 구학초등학교
보수대로
보수초등학교 ▼▲ 화랑초등학교
흑교로
서구청 ▼▲ 부평시장
보수대로
자갈치입구(자갈치역) ▼▲ 서구청(충무동)
구덕로
영도대교 ▼▲ 남포동
태종로
일동미라주아파트 ▼▲ 동삼주공
동삼로
동삼혁신지구입구.동삼교회 ▼▲ 동삼혁신지구입구
태종로
}}}}}}}}}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심야] 1005[A]
일반 8[A] 15 31 33
33-1[A] 59 62 77
110 138-1 148-1 160
161[A] 169 186[A] 338
마을 사상1-1[A] 사상7
[A] 경부선 사상역 정차 노선 [심야] 심야 노선만 정차
}}}}}}}}}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부민e편한세상APT서구3서구3-1
[A] 단방향 경유
}}}}}}}}}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17 30 88
101 186 190[A]
다운타운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71[B] 190[B] 508[B]
서부산융합캠퍼스
급행 1005
일반 55-1
마을 강서구7-2 강서구12[C]
{{{#!wiki style="margin: -2px -8px; letter-spacing: 0.3px; font-size: 0.8em" }}}}}}}}}


[주말]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2] 현 영도대교[3] 현 구덕운동장[4] 이후 신한여객의 좌석버스는 2018년 1006번의 개통으로 부활한다.[5] 부평시장, 보수동 연선 주민들[6] 보수대로(동대신동3가) 연선 주민들.[7] 배차간격은 15번에 비하여 많이 밀리는 편이다. 하지만 15번은 2호선 사상역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BGL 사상역에 정차하는 이 노선만의 특색이 있다. 대표적으로 김해에서 경전철을 타고 나와 빠르게 남포동으로 가려는 환승수요라든지.[8] 분명 이 노선은 감차를 당하지 않은 30번보다 수요가 더 많다.[9] 학감사거리 부근에서 새벽시장쪽으로 우회하여 가는건 조금 아쉽기도 하다. 161번처럼 감전역을 경유하여 가면 더 빨리 갈 수 있을텐데... 하지만 새벽시장에서 영도구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라 여기에서도 수요가 많다. 그 밖에도 수요가 많이 발생하는 구덕로를 경유하지 않고 보수대로를 직통하여 운행하기에 서구 구간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환승 수요는 거의 없다.[10] 이와 비슷한 노선으로 27번, 41번, 81번, 99번, 110-1번 등이 있다. 또한 정관신도시 구간을 제외한 105번과 106번과 107번, 급행노선인 1008번도 있다. 서울의 141번, 160번, 260번, 270번, 470번, 741번과 비슷한 포지션이다.[11] 폐선 이전 135번도 보수대로를 직통하여 국제시장으로 갔다.[12] 그렇다고 편하게 앉아서 가겠다고 186번을 타는 것은 가급적이면 자제하고 차라리 15번이나 161번을 타고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자.[13] 서부터미널 방면은 흑교사거리 교차로 부근에 충분히 정류장 설치가 가능하지만(금정공영차고지 방면 신리삼거리 구간 단독 정류장에 정차하는 51번의 예시) 태종대 방면이 문제다. 아니면 태종대 방면만 단독으로 정류장을 만들어도 해당 구간에서는 영도로 가려는 수요보다 시내로 나가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에 이용 불편은 적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