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0:29:17

부산 버스 33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33H.png
파일:부산33일렉시티.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4.2. 여담4.3. 기타 사건사고4.4. 연간 일평균 승차량4.5.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한창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9.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33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연제공용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더래디언트금정산아파트)
종점
첫차 04:25 기점
첫차 05:50
막차 22:05 막차 23:20
평일배차 9분 주말배차 토요일 9분 / 공휴일 10분
운수사명 한창여객 인가대수 25대[토요일·공휴일]
노선 연제공용차고지 - 시민도서관 - 부산진고교 - 부산시민공원 - 하마정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암역 - 가야역 - 동의대역 - 개금역 - 냉정역 - 주례역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덕포역 - 모덕역 - 모라역 - 북구청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숙등역 - 남산정역 - 만덕그린코아 - 만덕역 - 만덕1동행정복지센터 → 상학초등학교 → 더래디언트금정산아파트 → 만덕1동행정복지센터 → 이후 역순

3. 역사

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

4.2. 여담

4.3. 기타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4.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5960.71
2015년 25988.29 △ 27.58
2016년 25259.86 ▽ 728.43
2017년 27798.14 △ 2728.28
2018년 23762.42 ▽ 4035.72
2019년 23488.00 ▽ 274.42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17978.57 ▽ 5509.43
2022년 12721.85 ▽ 5256.72
2023년 13304.42 △ 582.57

4.5.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상학산복길
만덕1동주민센터 ▼▲ 상학산복길
상학로
만덕시장입구 ▼▲ 만덕1동주민센터
만덕1로
남산정역 ▼▲ 만덕1동주민센터
만덕대로만덕2로
▲ 만덕2동주민센터
덕천로
▲ 만덕그린코아
만덕3로
▲ 이노비즈센터
만덕대로
구포시장 ▼▲ 덕천역
낙동대로
북구청 ▼▲ 구포삼거리
사상로
럭키아파트(주례역) ▼▲ 주례1동주민센터
가야대로
부전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
양정대원칸타빌 ▼▲ 송상현광장
거제대로
하마정 ▼▲ 하마정
동평로
국립부산국악원 ▼▲ 부산시민공원
성지로
초읍삼거리 ▼▲ 초읍초등학교
월드컵대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심야] 1005[A]
일반 8[A] 15 31 33
33-1[A] 59 62 77
110 138-1 148-1 160
161[A] 169 186[A] 338
마을 사상1-1[A] 사상7
[A] 경부선 사상역 정차 노선 [심야] 심야 노선만 정차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33 33-1 59[단]
110 126 127[단] 133
148 148-1 160 307
마을 강서5[단] 강서6[단] 강서7-2[단] 강서11[단]
강서13 북구2 북구6 북구8-1
다람쥐 강서7-1
김해 8 8-1[단]
911[단] 912[단] 912A[단] 913[단]
[단] 단방향(구포역 방면 정류장)만 경유하는 노선
}}}}}}}}} ||


[토요일·공휴일] 23대 운행[2] 이 노선 외에도 23번, 57번, 61번/161번, 81번, 구 111번, 160번, 167번, 202번에도 중형차량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23번 같은 경우는 이제 정리되는가 싶더니 2013년에 다시 중형 신차 3대가 들어가서 항의글이 부산시 홈페이지에 몇 건 올라간 적이 있었다.[3] 단 2007년에 대우 준저상 1대가 출고되기도 했다.[4] 3호선, 4호선의 역에 비하면 얕은 편이다.[5] 허나 만덕1로는 구만덕 차고지에서 연제공용차고지 방면 운행 시 경유하기에 등교 수요는 찾아볼 수 없었으나 반대로 하교 시간대 수요는 상당히 폭발적이었다. 다만 만덕1로 연선으로 오려면 북구2번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양방향 만덕1로를 경유하도록 노선을 조정시켜달라는 민원이 계속 올라오지만 서부터미널, 구포 일대에서 신만덕으로 가는 수요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변경하지 않고 있었다.[6] 그러나 33-1번이 개통하여 이 노선이 14대 감차되어 배차간격이 벌어져서 시민공원 방문객 수요마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평시 배차간격이 7~8분인 44, 63번에 치이는 것도 한몫.[7] 1위는 31번이며 1일 평균 약 3만명이었다.[8] 자세한 정보를 보고 싶으면 일단 이 사이트에 들어간 뒤 설정찍고 보면 된다.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7을 나누면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나오며 요일별 승객수를 더한 후 1주일 간의 운행대수(33번 264대)를 나누면 1일 대당 승객수가 나온다(평일과 주말의 인가대수가 다른 노선이 많으니 반드시 주말 인가대수까지 확인해야 한다.).[9] 10번은 감만현대아파트 방향 운행 시 경유한다. 2021년 12월 19일까지 133번연제공용차고지 방향 운행 시 경유했으나, 2021년 12월 20일 개편으로 더이상 미경유하게 되었다.[10] 44번과 54번&83-1번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르니 주의.[11] 이 노선은 수영구를 지나지도 않고 더군다나 광안대교는 자동차 전용도로라 입석버스인 이 노선은 지나갈수 없다. 대신 급행버스인 1006, 1011번은 광안대교를 건넌다.[12] 당시 해당 차량은 출고한 지 네 달도 채 지나지 않았다.[13] 6중 추돌이다.[만덕] 방향 한정. 연제공용차고지 방향은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