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5:20:34

부산 버스 강서13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노선과 비슷했던 구 300번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300(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6ebf46>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강서구 마을버스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A] 2[A] 5 6
7[A] 7-2[A] 8 9[A]
9-1[A] 11[A] 12[A] 13
15[A] 16[A] 19 20
21 22
강서1-1/6-1/7-1/12-1은 다람쥐버스 틀 참고
[A] :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강서13.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마을버스 노선. 총 운행거리는 53.2km이다.[1]

영어로는 GS13번이라고 표시된다.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1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강서13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1동(덕천교차로)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30
막차 21:30 막차 23:00
배차간격 30분
운수사명 대일교통 인가대수 6대
노선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 - 구포역 - (← 북구청 ←) - 구포대교 - 강서구청역 - 대저119안전센터 - 신덕삼거리 - 등구마을 - 강서브라이트센터 - 덕두역 - 김해국제공항(1층 출발층) - 서부산유통1단지 - (→ 서부산유통지구역 →) - 금호마을 - 맥도자연생태공원 - 염막1·2구 - 명지시장 - 명지새동네 - 을숙도 - 하단역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권장.

3. 역사

파일:부산_강서13_노선도_202409.png}}}

4. 특징

4.1. 시간표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1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남로
명지시장 ▼▲ 을숙도
르노대로
염막2구 ▼▲ 명지시장
공항로
서부산유통1단지 ▼▲ 금호마을
유통단지1로유통단지2로
유통단지1로57번길
▲ 서부산유통지구역
유통단지1로
동방 ▼▲ 서부산유통1단지
공항로
강서브라이트센터 ▼▲ 덕두
공항진입로
등구마을 ▼▲ 강서브라이트센터
공항로
신덕삼거리 ▼▲ 신덕삼거리
체육공원로
대저119안전센터 ▼▲ 강서체육공원복지회관
대저로
강서구청역 ▼▲ 부산은행대저지점
낙동북로
구포삼거리 ▼▲ 강서구청역
낙동대로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
백양대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구포시장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4[단] 1009-1[단]
일반 15[단] 33 33-1 59[단]
110 126 127[단] 133
148 148-1 160 307
마을 강서5[단] 강서6[단] 강서7-2[단] 강서11[단]
강서13 북구2 북구6 북구8-1
다람쥐 강서7-1
김해 8 8-1[단]
911[단] 912[단] 912A[단] 913[단]
[단] 단방향(구포역 방면 정류장)만 경유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2000
좌석 58-1
일반 3[A] 55 58 58-2[A]
61[A] 68[B] 123 124
128-1[A] 161[A] 171[A]
마을 강서7 강서9-1 강서12 강서13
강서15 강서20 강서21 사하10[C]
다람쥐 강서12-1
김해 220
[A]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B] 강서구 미경유 노선
[C] 중앙버스전용차로 미정차, 도로변 단독 정류장 정차 노선
}}}}}}}}} ||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해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1] 부산 마을버스 중 강서7-2, 기장3에 이어 세 번째로 긴 노선이다.[2] 남성교통이 강서8 노선의 주인이었으나 대일교통에 흡수되었다.[3] 전국적으로도 BS105마을버스로 운행했던 노선은 이 노선이 거의 유일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더불어 부산 시내버스의 BS105는 1998년에 전부 대차되지만 이 노선의 차량은 2001년까지 다녔다.[4] 부산 마을버스 구도색은 일반버스 구도색에 윗쪽 라인에 노란색을 입힌 도색이다. 하지만 강서구의 대형 마을버스들은 대부분 아랫쪽에 노란색을 입혀서 운행했다.[5] 구포 - 공항 노선이 많은데(307번, 강서11번)다 같은 날에 강서3번이 폐선되어 하단 - 유통지구 노선이 이 노선밖에 없다 보니 이렇게 처리한듯 하다.[6] 이게 어느 정도였나면 연선 주민들이 모두 강서구청으로 몰려와서 단체로 시위를 몇날며칠동안 진행할 정도였다.[7] 88번, 121번, 139번, 148-1번 등도 똑같은 케이스다. 한때 83-1번, 124번, 300번, 301번, 307번, 1006번, 9-1번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환승대기시간 60분이 적용되었다.[8] 강서구의 다른 마을버스 노선들은 종점만 사하구북구며 출발하는 기점은 강서구이다.[9] 1009번은 배차간격이 무려 45분이라 강서13번의 배차의 2배를 너으며 게다가 급행버스라 일부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수요층이 모두 강서13번으로 죄다 몰린다. 금호마을의 경우 강서3번이 금호마을 내부를 경유하지만 배차간격이 1일 7회로 매우 좋지 못하며 군라, 신노전, 사취등 등 제도로 일대를 경유해 빙빙 돌아가는 선형이라 13번을 주로 이용하는 편이다.[10] 현재 운행중인 300번과는 아무런 관계 없는 노선이다.[11] 바로 다음 순위가 강서20번, 3위가 강서9-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