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3:54:19

부산 버스 1006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 1006번(해운대 - 정관신도시)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18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항목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해결방안 항목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시
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공항)
2029[A][C][E]
급행
(직행좌석)
2000[C][D]
급행
(일반좌석)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좌석 58-1[A] 20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1006엘강.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근황4.2. 문제점4.3. 연간 일평균 승차량4.4. 노선4.5.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9km다. 위에 기재된 정류소에만 정차한다.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6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태종대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동해선신해운대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15
막차 22:00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32분 / 평시 35분 주말배차 토요일 35분 / 공휴일 37분
운수사명 신한여객 인가대수 6대[1]
노선 태종대차고지 - 하리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 조양아파트 - 남고교 - 75광장 - 흰여울문화마을 - 영선2동행정복지센터 - 해동병원 - 봉학초등학교/HJ중공업 - 부산항대교 - 용당동 - 동명대학교후문 - 시립박물관.부산문화회관 - 유엔조각공원[단독] - LG메트로시티/남부면허시험장[3] - 광안대교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 센텀시티역.BEXCO ←) - 올림픽교차로 - 부산문화여고 - 동백역 - 운촌 - 해운대도시철도역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 이마트.중동역 - (→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 장산역 ←) - 동해선신해운대역

3. 역사

4. 특징

4.1. 근황

4.2. 문제점

1. 굴곡 구간2. 정차 정류소의 문제(해결)3. 수요의 문제
4. 불규칙한 배차간격 문제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 776.71
2019년 903.85 △ 127.14

4.4.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6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세실로
좌동로
양운로
장산역.장산지하철역(14번출구) ▼▲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해운대로
센텀시티역 벡스코 ▼▲ 올림픽교차로
센텀남대로APEC로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센텀3로수영강변대로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APEC로
남부면허시험장 ▼
신선로
▲ LG메트로시티
용소로
조각공원로유엔로
유엔조각공원 ▼
유엔로
시립박물관.부산문화회관 ▼▲ 유엔조각공원
유엔평화로
동명대학교후문 ▼▲ 시립박물관.부산문화회관
신선로
▲ 용당동
북항로
해양로
한진중공업 ▼
태종로
영선2동주민센터 ▼▲ 한진중공업
영선대로
흰여울문화마을 ▼▲ 영선2동주민센터
절영로
절영로▲ 75광장
중리북로
▲ 남고교
절영로
▲ 조양아파트
와치로
태종로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
해양로
하리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태종로
}}}}}}}}} ||

4.5. 시간표

2023년 09월 01일 기준 시간표.

부산항대교 및 광안대교 정체로 인해 교통 상황에 따라 자주 변동될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할 것.
(기사님 허락 하에 촬영)

파일:부산버스1006배차시간표(23.09.01.).jpg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139회차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자동차전용도로 경유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005 1006 1008 1011 2000 2029
}}}}}}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대연캠퍼스
교문 앞 10 20 22 24
27 39 131 155
남구2
경성대부경대역 1001 1003
40 41 42 51
83 83-1 108 남구1
사상6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1006 1011
더비치푸르지오써밋, 대연비치아파트 583 남구8
용당캠퍼스
교문 앞 10 68 134 138
138-1 155 583
동명대학교후문 1006 1011
}}}}}}}}}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17 30 88
101 186 190[A]
다운타운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71[B] 190[B] 508[B]
서부산융합캠퍼스
급행 1005
일반 55-1
마을 강서구7-2 강서구12[C]
{{{#!wiki style="margin: -2px -8px; letter-spacing: 0.3px; font-size: 0.8em"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해운대해수욕장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4098><colcolor=#fff>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해수욕장입구
급행
일반
해운대도시철도역
해운대시장
해운대구청
급행
일반
마을
}}}}}}}}} ||


[1] 공휴일 5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양 정류장 모두 다른 노선들은 정차하지 않고 이 노선과 1011번만 정차하는 급행버스 전용 정류장이다.[4] 1011번은 2018년 1월 29일부터 정차하였다.[5] 센텀시티 조성 이전에 올림픽공원 정류장이 있던 자리로 당시에는 수영에서 해운대, 재송동 방향으로 가는 모든 노선이 정차했다.[6] 회차는 중동 지하도 위쪽 롯데캐슬 앞에서 했었다.[7] 동명대학교 정류장에서 태종대로 가려면 134번을 타고 부산역에서 66번, 88번, 101번으로 환승해야 하고 영선동 및 절영로 방면으로 가려면 남포동에서 7번이나 부산역에서 508번으로 환승해야 한다.[8] 이외에 13번, 88번, 101번 등에도 좌석버스를 운행했으나 1998년 쯤에 전부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고 8번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다가 그마저도 2000년 폐선된다.[9] 금진여객은 좌석격하차량에 붙어있던 좌석면허 차량을 대차시켜서 투입했다.[10] 과거 307번부산공항여객에서 운행했을 때도 이런 형태였다. 지금은 일광여객에서 운행하는 해운대 시종착 노선이지만. 센텀시티 서쪽으로는 삼성여객115번, 삼화피티에스155번, 삼신교통1002번 등 여러 회사가 들어온다.[11] "1006번 노선은 고속으로 운행하는 구간이 많으므로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하여 주시고, 운행 중 이동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12] 입석 차량을 투입하는 1009번처럼 109번 등으로 등록하고 입석형 차량을 예비차로 투입하는 꼼수를 쓸 수는 있지만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지 않는 1009번과는 달리 절차가 약간 복잡하다. 신한여객의 다른 노선과 돌려쓰기 위해 입석 도색을 입힌다고 해도 시내좌석형 차량으로 개조 & 안전벨트를 설치해야하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인천 202번, 창원터널을 통과하는 창원 170번처럼 똑같이 입석금지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13] 남구10번 마을버스가 이 구간을 유일하게 지난다. 대연동 구간은 남구10번의 선형을 그대로 따라간다고 보면 된다.[14] 지사산단 관련 노선인 1005번 신설 때 1011번을 받지 않고 1005번을 받은 이유, 그리고 청강리 ~ 경제자유구역청 구간을 운행하는 1011번 신설 때 1006번을 받지 않고 1011번을 받은 이유와 같다. 신.1006번은 구.1006번 (현.182번)과 구간이 겹치지 않아서 혼란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기에 기존에 있었던 번호의 재활용이 가능했다. 2019년 7월 13일부터 해운대도시철도역까지 운행하긴 하나 정류장 위치가 완전히 달라서인지 혼선은 발생하지 않았다. 훗날 현 1006번이 신해운대역까지 연장되었지만 182번이 정착된데다 1기 노선이 다녔던 북좌동 지역 주민들이 2기 노선의 연장을 요구하여 이루어진 조정이라 그런지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참고로 현 1006번과 182번은 해운대문화회관 부근에서 만나고, 1006번 1기 노선과 2기 노선은 해운대역 ~ 장산역 구간에서 중첩된다.[15] 실제로 1011번을 타고 영선2동주민센터에서 내려서 다른 버스로 환승하거나 걸어서 흰여울문화마을로 가는 수요가 있다. 또한 주변에는 관광 명소로 유명해진 모 떡볶이집이 있어서 거길 가는 수요도 있다고 한다. 관광 수요에 대한 이야기는 제3차 교통개선실무위원회 회의록에서 나온 내용이다.[16] 지도 상으로는 반도보라아파트 ~ 남항대교 하부도로를 경유하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절영로 경유 노선 중 신선동을 경유하지 않는 유일한 노선으로 등극할 뻔 했으나 영선위교차로 통과로 인해 해운대 방면 한정으로 신선동을 1mm라도 통과한다. 게다가 지도대로 운행했으면 태종대행 한정으로 남항동3가를 잠깐 경유하기 때문에 영선대로 경유 노선 중 유일하게 남항동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등극할 뻔 하기도 했다. 참고로 이 원형교차로는 영도2번 마을버스가 회차하는 곳이기도 하다.[17] 그래도 대형버스가 지나갈 수는 있다. 부산시티투어버스절영로를 경유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앞에 일반노선이 정차할 경우 같이 정차했다가 출발하는 방법밖에 없다. 대피 차로가 마련되어 있는 곳은 함지골수련원 뿐이며 이마저도 태종대 방면에만 설치되어 있고 해운대 방면으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18] 외부유입노선까지 포함하면 1011번이 97km로 가장 길다. 반대로 영도 3사 노선 중 운행거리가 가장 짧은 노선은 유한여객에서 운행하는 88-1번이며 운행거리는 17.2km이다.[19] 3003번과는 달리 구포역까지 올라갔다가 김해공항으로 향했다.[20] 우진공항버스 부도 당시 201번307번은 다른 회사로 이관되었지만 310번은 그대로 폐선되었다는 걸 들고 있다.[21] 그렇기도 하지만 1006번의 태종대~흰여울문화마을 구간을 대체해야 하기 때문이다.[22]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받은 자료에서 나온 수치다.[23] 절영로를 운행하는 7번, 70번, 71번, 508번 역시 운송수입금이 평소보다 대당 기준 약 10~20만원 가량 감소했다. 1006번의 경우에는 평소보다 6~7만원이 감소했다.[24] 반면 1011번은 환승 수요가 대다수라 하루 2,800여명이 이용하는데도 대당 28만원밖에 못 번다.[25] 반면 이 시기의 1001번과 1003번은 각각 37만원 후반대와 40만원 초반대로 떨어졌다. 1006번과 1011번의 추가정차 등의 영향을 받는 것 뿐만 아니라 노선 특성상 코로나 영향까지 받고 있다는 의미이며, 코로나가 종식되어도 1006, 1011번 추가정차 이전으로 회복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26] 벡스코 나들목 방향은 퇴근시간대 광안대교 중간에서부터 밀리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반면 비슷한 시각 동래, 구서동 방면은 쌩쌩 달린다. 특히 해운대 방면은 줄줄히 밀려있는 차량들의 행렬을 매번 볼 수 있다.버스라서 끝에서 꼽사리끼지도 못한다[27] 이렇게 하면 재송동/반여동 수요 + 연산9동 토곡 수요 + 동부 망미동 수요 + 센텀시티 수요 + 일반철도 연계수요 + 쇼핑수요까지 끌어들일 수 있다.[28] 영도에서 유일하게 강서구로 가는 노선이라는 점과 부산역 이북으로만 가는 노선들이 존재하는 영선대로에서 유일하게 서구, 사하구로 가는 노선이라는 점이 작용했다. 거기에 하단역으로 단축된 58-1번의 부분적 대체노선으로 기능한 점도 있었다.[29] 여기에 반쪽짜리긴 하지만 다른 장점이 있는데 동래에서 LG메트로시티, 대연동 원룸촌 방향으로 갈 때 거제리 쪽으로 빙 돌아 오래 걸리는 131번 대신 이용할 수단이 생긴 것이다. 1002번과 1006번을 연달아 타고가는 경로로 두 노선이 센텀시티역.벡스코 정류장에서 연계된다. 광안대교를 통해 넘기기 때문에 이쪽이 더 빠르며, 용호동 방향도 환승저항이 심하긴 하지만 131번보다는 이게 빠르다. 단 반대로, 즉 남구에서 동래 방향으로 갈 때는 1002번으로 환승하려면 벡스코 광장을 건너가야 하므로 주의할 것. 센텀파크 쪽으로 들어간 게 아니라, 해운대역 쪽으로 연장된 건 영도 주민들의 보조생활권이 해운대역 ~ 중동 일대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30] 남좌동에서는 1003번을 타면 남포동으로 바로 갈 수 있다. 실제로 109번2003번 폐선, 이후 북좌동 굴곡이 있던 302번이 1003번으로의 전환 직선화 이후, 그러니까 2007년 준공영제 시작 이후 북좌동에서 남포동으로 나가는 노선은 하나도 없다. 40번은 그나마 국제시장/대청동을 경유하지만 문제는 우1동을 빙 둘러서 가며 1001번은 부산역에서 바로 대신동으로 빠진다.[31] 아마 입석금지로 운행하는 노선이라 일부러 중간 경유지 정차를 지정안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상당중학교는 신해운대역으로 걸어가서 이용할 수 있기는 하다.[32] 정류장 정차도 주민과는 전혀 상관없는 부산박물관, UN기념공원과 조각공원 등이 있다. 1011번도 관광 노선으로 홍보되었으나 정작 이 노선을 성공으로 이끈 주역들은 지역 주민들과 환승객이다. 즉 생활을 위해 타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 1011번의 1일 총 승객수 내역을 보면 잘 나오는데 평일에는 1일 평균 3,200여명 정도 타고 일요일에는 1,800여명 정도밖에 타지 않는다.[33] 이에 대해서는 절영로 연선과 남포동은 1011번이 맡고 태종로 연선은 1006번이 맡아서 수요분담을 해야 된다고 반론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진중공업에서 타는 사람들 다수가 청학동, 동삼동에서 다른 버스를 타고 와서 환승하는 사람들이 다수이고 걸어서 올 수 있는 인근 주민들라 해봐야 남부여객 봉래동영업소가 있는 봉래동4가, 봉래동5가 주민들과 유한여객 본사가 있는 청학고개 쪽 주민들, 그리고 신도브래뉴 주민들밖에 없기 때문.[34] 영선대로의 영선아래사거리에 유턴구간이 있으나 한진중공업 방향 도로의 차로가 3차로이기 때문에 대형차량의 유턴에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여담으로 200번이 비슷한 경로로 운행하고있는 연안로(안남초등학교앞)의 충렬대로 방향 도로의 차로와 똑같다.[35] 실제로 1011번이 주요 수요처를 거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많은 이유는 아무리 이 노선을 이용한 뒤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더라도 기존 노선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절반 정도로 단축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를 기대하고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은 편.[36] 2018년 2월 2일까지는 1011번 단독 정차. 공사 중인 대연자이 앞에 위치.[37] 그렇지만 해안순환도도로 관련 급행버스를 이용하는 수요들 다수가 1분 1초가 급한 사람들이라 10분 더 걸린다는 사실 자체에 반발하는 사람들도 있다. 1011번이 주요 수요처는 단 하나도 거치지 않는데도 수요가 많은 이유는 따로 있다.[38] 이 굴곡 구간의 수요와 함께 장점을 이용하려면 환승 연계로 특징을 차별화 가능한 데 그런 면에서는 정류장 선정이 잘못되어 있다. 1011번의 남구 구간 단점으로는 용호동과 경성대와 부경대를 연계해줄 환승이 불편하다. 오죽하면 1호선의 다대포 연장 이후 잉여화된 1000번을 1011번의 서부산 구간 보조를 명목으로 다대포 착발로 해안순환도로를 경유한 후 유엔로 쪽으로 보낸 뒤 경성대에서 끊고, 1006번은 1011번의 동부산 구간 보조 역할에 맞게 신선로 쪽으로 직선화하라는 의견이 존재할 정도다.[39] 한국해양대~동삼중리~절영로~부산항대교~LG메트로시티까지 1006번과 경로가 완전히 일치한다. 차이점은 통학버스는 동명대학교에 정차하지 않고 바로 신선대지하차도로 진입한다는 점 정도.[40] 사실 11번을 제외한 모든 절영로, 산복도로 연선 노선이 정차하는 흰여울문화마을에서도 환승수요를 잡을 수 있고 실제로 환승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영선윗로타리 미정차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영도 내 인구밀집지역에 정차하지 않기 때문이다.[41] 영선2동주민센터 정류장의 경우 경유하는 노선이 82번85번 단 둘 뿐이라 다른 노선으로의 환승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영선윗교차로 정류장은 절영로를 거쳐가는 8개의 노선들(6,7,9,70,71,82,85,508)이 모두 정차하는 정류장이라 환승 수요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곳이 회차 지점인 11번 역시 정차한다. 무엇보다도 해운대 방면 기준 영선2동, 신선동 주민들은 1006번으로 유도하고 남항동, 영선1동 주민들만 1011번을 이용하게 하여 영선2동주민센터 정류장의 포화상태를 해소하려는 측면도 있다.[42] 신해운대역으로 연장된 지금은 전체 정류장 중 영도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36%로 줄어들긴 했으나, 영도구 비중이 상당히 높은 건 부정할 수 없다.[43] 11번이 정차하는 남포동, 송도, 사하구 방면 정류장은 그나마 인도가 넓은 축에 속한데다 근처의 두 개의 특성화고 수요로 인해 어찌어찌 버텨왔던 것이다. 1006번이 영선위로터리에 정차한다면 부산역, 서면 방면 정류장에 정차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이고, 이쪽은 인도가 좁기 때문에 줄 서는 승객으로 인한 혼잡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억지로 남포동, 송도 방면 정류장에 1006번을 정차시킨다 하더라도 인도가 좀 더 넓다는 거 뿐이지 1006번 탈 승객들이 줄을 서는 바람에 11번을 비롯한 남포동 방면의 다른 노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본 노선의 사실상 전신인 109번이 영선아래교차로에서 회차한 이유가 이거 때문이다.[44] 비슷한 사례로 59번 버스가 부산역에서 충무동까지 연장하자 부산역 유턴 위험 우려도 해결하고 승객이 늘어난 사연이 있으며 또한 왕복거리가 비슷하다.[45] 이 노선과 1011번 전용인 동명대학교 후문 정류장은 583번만 정차하고 68번과 134번, 138번 시리즈 노선들은 동명오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되는 문제로 몇 미터 떨어진 다른 정류장에 정차하고 있어서 환승저항이 존재한다.[46] 평시에도 만석이 되는 경우는 왕왕 있으나 영도까지 들어와야 만석이 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명지 ~ 사하구 정도만 되어도 만석.[47] 이를 두고 1006번은 정류장에서 사람들이 줄서고 있어도 텅텅 비어간다며 1011번 운전기사들 사이에서 비웃음거리가 된 적이 있었다.[48] 2023년 연말부터는 개선되고 있다. 시립박물관~un공원 진입 시 하리~해양대에 오고 있는 중. 광안대교~ UN공원로~ 부산항대교의 정밀한 CCTV 교통트래픽 분석이 필요했다.[49] 올림픽교차로와 해운대역이 종점이던 시절엔 배차가 25분이었던만큼 노선연장의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50] 정작 남부여객 노선들은 가스 충전으로 신한여객 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는 것이 함정. 무엇보다 신성여객과 더불어 좌석버스를 운행해본 경험이 없는 회사라 좌석차량이 한대도 없다.[태종대]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