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0:57:30

부산 버스 2029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시
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공항)
2029[A][C][E]
급행
(직행좌석)
2000[C][D]
급행
(일반좌석)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좌석 58-1[A] 20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태영2029.png
파일:부산부일2029.png
태영버스 차량 부일여객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김해공항리무진과 다른 점4.2. 여담
5. 시간표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개요

2024년 7월 13일 개통한 부산광역시의 도심고속형 급행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67.0km다. 위에 기재된 정류소에만 정차한다.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202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2029번 버스 노선도 V6.png
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부흥고.해운대백병원)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김해국제공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00 막차 22:00
배차간격 30~60분
운수사명 부산여객, 부일여객, 태영버스 인가대수 6대[1]
노선 부흥고.해운대백병원 - 장산역 - 해운대온천사거리 - 해운대해수욕장 - 동백섬입구 - 한화리조트해운대[단독] - 파크하얏트부산[단독] - 요트경기장.경남마리나아파트 - 올림픽교차로 - 벡스코 - 신세계센텀시티 - 수영구보건소/수영역 - 광안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황령터널 - 범내골교차로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가야대로 BRT - 주례역 - 사상IC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서부산IC - 김해국제공항(2층 → 1층)

3. 역사

4. 특징

4.1. 김해공항리무진과 다른 점


* 공항리무진과 다르게 2029번은 시내버스 노선이므로 인천 공항좌석버스와 마찬가지로 시내버스 운송약관 제16조에 의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차량 내 물품 반입을 중량 10kg 미만,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적극 협조해야 한다.[15] 만약 명시된 중량을 초과하는 물품을 들고 승차해야 한다면 환승이 번거롭더라도 부산 도시철도부산김해경전철, 택시를 이용해야 한다.[16] 2000번과는 달리 짐칸을 쓸 수 있는 차량이 없기 때문이다.[17]

4.2. 여담

5. 시간표

부산 2029번 운행시간표
출처
회차 김해공항 해운대백병원
1 06:00 05:00
2 07:00 07:00
3 08:00 08:00
4 09:00 09:00
5 10:00 10:00
6 11:00 11:00
7 12:00 12:00
8 13:00 13:00
9 14:00 14:00
10 15:00 15:00
11 15:30 16:00
12 17:00 17:00
13 17:30 17:30
14 18:30 18:30
15 19:00 19:30
16 20:00 20:00
17 20:30 20:30
18 22:00 22:00
태영버스
부산·부일여객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부산광역시 1005 1008 2029
울산광역시 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 9201 9202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해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005[A] 1006 1008[A] 1011 2000 2029[A]
[A] 고속도로 경유 노선
}}}}}} ||



[1] 부산여객 1대(1003번), 부일여객 2대(1001번), 태영버스 3대(1009-1번)[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단독] [4] 업체 측은 월 1억 원 적자로 인해 월 8,000만원(연 9억 6,000만원) 지원 요청 / 부산시 측은 연 9,200만원 지원 가능[5] 리무진 1번의 김해공항 ~ 서면 구간과 리무진 2번의 황령터널 ~ 해운대 구간을 그대로 가져와 결합했다.[6] 태영버스는 개통 초기 2주 동안은 김해 구산동 영업소에서 김해공항까지 공차회송한 뒤 운행했고, 가스 충전은 태영운송그룹 소유의 가야CNG충전소에서 했다.[7] 공항행의 경우 주례역 BRT 정류장에서 입석 승객이 있으면 모두 반강제로 하차시킨다. 입석 승객은 부득이하게 사상역까지 다른 노선으로 환승한 뒤 경전철을 통해 이동해야 한다.[8] 동의대역, 부암역 정류장을 제외한 모든 정류장에 추월 차로가 설치되어 있다.[9] 1004번도 가야대로 BRT를 경유하는 급행 노선이지만 가야대로 BRT 전 구간에 정차하기 때문에 추월 차로를 활용하지 못한다.[10] 그러나 황령터널 진입부와 수영로 구간이 상습 정체 구간이라 가야대로 BRT에서 아낀 시간을 여기서 다 잡아먹게 된다.[11] 맥도와 덕두는 대저동이라 북구, 사상구와 같은 북부학군 (3학군)에 묶인다.[12] 김해공항리무진대한항공에 의해 운영되었을 당시에는 1학군에 속한 경남고등학교서여고 또한 리무진으로만 갈 수 있는 학교였다. 대한항공이 운행했을 당시에는 바로 구덕터널로 들어가다보니 통학 소요시간만 따지면 사실상 경남고와 서여고가 가장 짧았다. 게다가 지금도 사상구에 고등학교가 부족한데 1학군으로 교차배정되는 걸 보면, 그리고 경남고나 서여고 쪽은 리무진 운임이 매우 비싸서, 실질적으로는 사하구 고등학교밖에 선택지가 없었다. 아니면 저 당시에는 경남고 등이 명문고라는 소문이 아직까지 있었으므로 비싼 돈을 내더라도 공항리무진 혹은 201번 - 주물공단 - 8번이나 15번 타고 경남고나 서여고 쪽으로 등하교했거나.[13] 그나마 덕두마을에 산다면 김해공항까지 걸어가서 이용할 수 있기는 하다.[14] 항공편 시간이 정해져 있어 공항에 1시간 ~ 3시간 전에 도착해야 하는데 이 노선은 거의 6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하고 이마저도 교통정체로 인해 김해공항 도착시간을 알 수 없다보니 도시철도를 이용하거나 자가용을 이용해 이동하는 수요가 여전한 상황이다. 시내버스 특성상 기점과 종점의 출발시간만 나와있기에 중간 정류장에서 이용하려면 실시간 도착 안내를 확인해야 한다.[15] 20인치 이하 캐리어, 40L 이하의 장바구니.[16] 307번 역시 해당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라 휴대승차가 불가능하다.[17] 다만 이럴 경우 승객이 직접 짐칸을 개폐하고 짐을 싣거나 내려야 할 것이다. 일단 2000번은 대놓고 조선소 통근버스에 가까운 노선인데다 하단역, 옥포시내와 고현터미널에서 우르르 타고 내리는 패턴이라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다만, 인천좌석 310번 수소버스처럼 화물칸 사용이 안 될 수도 있다.[18] 다만 주례역과 서면역 사이 중간 정류소에는 정차하지 않은 채 논스톱으로 운행한다. 가야대로 BRT의 경우 일부 정류장을 제외하면 추월 차로가 있어서 다른 노선들을 추월 가능하기 때문이다.[19]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2029번 버스 정류장 사진과 노선 정보가 계속해서 공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