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5:55:57

부산 버스 171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171고상.png
파일:부산 버스 171EVH.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구.17번
4. 특징
4.1. 명지오션시티 노선조정 논란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영신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1.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71 노선도(2023.11).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부산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50
막차 20:40 막차 22:30
평일배차 12~13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영신여객 인가대수 22대[주말]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신호중학교 -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 엘크루 블루오션 - 동리 - (← 명지시장 ←)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당리역 - 사하경찰서 - 대동중고등학교 - 구평삼거리 - 감천항제5부두[단독] - 감천항해양파출소[단독] - 감천2동 - 송도입구 - 남부민초등학교 - 자갈치역 - 남포역 - 중앙역 - 부산역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할 것.

3. 역사

파일:부산 171 노선도.svg}}}

3.1. 구.17번

4. 특징

4.1. 명지오션시티 노선조정 논란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3년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1005 1009 1009-1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161[B] 171 520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220[B] 914
[A] 르노삼성대로만 경유하는 노선 [B] 낙동남로만 경유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역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일반
2회차
5-1후문
88-1회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6%"
171회차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2000
좌석 58-1
일반 3[A] 55 58 58-2[A]
61[A] 68[B] 123 124
128-1[A] 161[A] 171[A]
마을 강서7 강서9-1 강서12 강서13
강서15 강서20 강서21 사하10[C]
다람쥐 강서12-1
김해 220
[A]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B] 강서구 미경유 노선
[C] 중앙버스전용차로 미정차, 도로변 단독 정류장 정차 노선
}}}}}}}}} ||


[주말] 토요일 19대 / 공휴일 17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단독] [4] 총 4대가 감차되었는데, 1대는 61번, 1대는 161번에 증차되며, 2대는 55-2번에 투입되었다.[5] 운행거리가 이 노선보다 6km 가량 길고 인가대수가 2대 많은 40번보다 배차간격이 길어졌다.[6] 기존 휴식지인 하나은행 앞의 경우, 2번 뿐만 아니라 대형 관광버스 대기 및 부산역 U턴 노선 및 산복도로 진입, BRT 진입, BRT 개통에 따른 일반차로 감소로 인한 정체로 불편 민원이 많이 들어와 동구청 측 요청으로 휴식지가 변경되었다.[7] 과거 BRT가 없던 시절 영도로 향하지 않는 노선들이 정차하던 위치에 정차한다. 해당 위치에는 BRT 설치 이후 갓길이 신설되었는데, 그 자리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8] 아이러니하게도 애초부터 논란이 되고 있는 강서공영차고지의 계획안을 부산광역시장 재임 당시 승인 결재했다. # 게다가 당감동~충무동교차로 구간을 보존하기 위해 구.66번을 폐선시킨 후 17번으로 둔갑시키고 구.66번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167번을 어거지로 백양산 일대 당감동 구간을 경유케 하는 등의 엉터리 졸속 조치로 현재까지도 욕을 엄청나게 먹고 있다. 결국 이듬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북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여 전재수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9] 사하구1, 사하구1-1, 서구2, 서구2-2.[10] 해당 정류장은 123번이 서구청까지 운행하던 시절 휴식 공간으로 사용했으나 2023년 7월 29일부로 하단역 환승센터로 단축되었으며, 1003번의 휴식 위치가 해당 정류장으로 바뀌면서 1003번 전용 휴식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11] 2018년 초 이전까지는 하단교차로를 경유하였으나 2018년 말에 동아대입구 구간을 미경유하고 하신번영로를 거쳐가는 것으로 개편했기 때문이다.[12] 심지어 저들 두 노선은 171번보다 배차간격이 더욱 길다.[13] 오죽하면 영도로 가지만 남포동을 경유하는 9번을 이용하는 승객이 더욱 많아졌다.[14] 원래는 일주일 전인 11월 4일 연장 예정이었지만 후술할 명지오션시티 구간이 12로에서 11로로 변경되는 부분이 큰 논란이 되며 부산역 연장도 동시에 연기되었다. 명지국제신도시의 경우 61번이 부산역으로 이어주기에 이용 불편은 없으나 61번은 명지오션시티와 신호주거단지를 거쳐가지 않는다. 게다가 장림동 동원로얄듀크 아파트와 감천삼거리, 삼성여고를 경유하기 때문에 부산역까지 가기에는 171번보다 선형이 좋지 않다.[15] 감천2동과 암남동, 남부민동 구간에서는 진시장 방면 노선이 부재한 상황이라 환승을 해서 가야 한다. 61번은 신암으로 가기에 진시장을 미경유한다.[16] 단 1011번은 하행 노선만 암남동주민센터 정류장에 정차한다.[17] 반면 11로에는 58-1번, -강서9-2번-, 강서20번 등의 노선이 있었다. 물론 171번에 비해 배차간격은 상당히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