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39f> | }}} |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 | 3 | 5-1 | 6 | 7 | 8 |
9 | 10 | 11 | 15 | 16 | 17 | |
20 | 22 | 23 | 24 | 26 | 27 | |
29 | 30 | 31 | 33 | 33-1 | 36[A] | |
37[A] | 38[A] | 39 | 40 | 41 | 42 | |
43 | 44 | 46 | 49 | 50[A] | 51 | |
52 | 54 | 55[A] | 55-1[C] | 55-2 | 57 | |
58[A] | 58-2 | 59 | 61 | 62 | 63 | |
67 | 68 | 70 | 71 | 73[B] | 77 | |
80 | 81 | 82 | 83 | 83-1[A] | 85 | |
86 | 87 | 88 | 88-1 | 90 | 96 | |
96-1[A] | 99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00 | 100-1 | 101 | 103 | 105 | 106 |
107 | 108 | | 110 | 110-1 | 111 | |
111-1 | 113 | 115[A] | 115-1 | 121 | 122[B] | |
123 | 124[A] | 126 | 127 | 128-1 | 129-1 | |
131 | 133 | 134 | 138 | 138-1 | 139 | |
141 | 144 | 148 | 148-1 | 155 | 160 | |
161 | 167 | 168 | 169 | 169-1 | 171 | |
| 179 | 180[A] | 181 | 182[A] | 183[A] | |
184[A] | 185[A] | 186[A] | 187[A] | 188[A] | 189 | |
189-1 | 190 | 200 | 210 | 300[A] | 301[A] | |
302[A] | 307[A] | 338 | 506 | 508 | 520[B] | |
583[A] |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4번 | |||||
| |||||
기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일신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부산진구생활문화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4:50 | 기점 행 | 첫차 | 05:44 |
막차 | 22:28 | 막차 | 23:24 | ||
평일배차 | 출퇴근 6분 / 평시 7분 | 주말배차 | 7분 | ||
운수사명 | 일신여객 | 인가대수 | 24대 | ||
노선 | 일신차고지 - 반여3동 - 수협장산지점 - 반여시장입구 - 재송삼익아파트 - 부산원동역 - 동래한전 - 동래시장 - 동래역 - 미남교차로.미남역 - 사직 야구장 - 종합운동장역 - 법원.검찰청 - 하마정 - 부산시민공원 - 부산진고교 - 어린이대공원 - 삼광사입구 - 부암초등학교[단독] - 진양교차로 - 부산진구생활문화센터 |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82년에 개통되었다.
- 2023년 8월 21일 새로운 본사로 사용하고 있는 구.반여3동 제2공영주차장 앞에 정류장이 신설됨에 따라 공식적으로 소폭 연장되었다. 기존 공차회송 구간에 승객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운행거리의 변동은 없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1993년경에 일신여객 단독운행으로 신설되었다. 재송동(동부지청 부근에 있었으며 현재는 교회가 들어서 있다.) - 반여시장 - 왕자맨션 - 동래 - 미남교차로 - 사직운동장 간을 운행하던 노선으로 수요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1998~1999년경에는 44번 노선처럼 당감4동까지 연장하였으나 수요는 좀처럼 늘지 않았으며 결국 2000년대에 들어서고 나서는 인가대수가 2대로까지 감차되었다.
- 2001년이 되고 나서 기점이 재송동에서 반여3동으로 변경되었고 반여3동-재송중학교-부일교회-왕자맨션-44번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한때는 반여동 - 부산대 간 버스노선 요청으로 인해 반여3동 - 원동IC - 구서IC - 부산대 - 온천장 간 노선으로 변경하려고 검토했었다. 그러나 이 변경안은 무산되었고 결국 2001년 여름에 이 노선이 폐선됨과 동시에 144번이 반여3동 - 재송동 - 왕자맨션 - 동래시장 - 동래역 - 부산대 간 노선으로 신설되었다.[2]
4. 특징
- 다른 노선들은 모두 자잘한 변경이 있었으나 이 노선만큼은 1982년 개통 이후 차고지 구간을 제외하면 노선변경 없이 한결같이 운행 중이다. 굴곡이 꽤 심한 노선이지만[3] 그만큼 구간 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4] 반여3동, 안락2동 일대에서 사직운동장으로 유일하게 운행하는 노선이라 반여3동, 안락동에서 동래 방면 수요가 많고,[5] 사직동으로 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하는 단골수요도 상당하며, 신천대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이 수요도 상당하다.
- 당감동 안으로 한참 들어가는 타 노선들과 달리 유일하게 부산진구 생활문화센터에서 회차한다. 예전에는 141번도 있었으나, 2020년 노선 개편으로 당감동 안까지 한참 들어가는 노선이 되었다.
- 당감동에서 유일하게 사직운동장과 사직 야구장을 연계시키는 노선이라 고정 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다만 사직동 이북 구간부터는 조한데 굴곡 노선이기 때문에 이동 소요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물론 당감동 입장에서는 동평로 대신 진양교차로로 우회하는데다 부산어린이대공원에서 초읍고개를 넘어서 바로 사직동으로 가는 것이 아닌 하마정과 거제리를 거쳐 빙빙 둘러가지만 환승저항의 이유로 끝까지 타고가는 승객들이 많다.
- 국립부산국악원~부암교차로 구간은 동평로 직진이 아닌 성지로와 새싹로로 둘러간다. 이쪽에서 사직동 및 동래방면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며 구간 수요를 위해 빙 둘러간다. 이는 초읍동과 연지동에서 유일하게 수영/해운대로 가는 63번도 동일하다.
- 준공영제 때 52번이 양방향 세병교 직행노선으로 변경[6]되면서 이 노선은 동래역행 수요들을 흡수하면서 수요가 늘었다. 특히 반여3동 ~ 동래역 구간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헬게이트 오픈. 이후 144번 노선이 신설되며 동래역행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원동역부터는 31번, 200번도 동래역까지 가지만 배차는 이 노선과 31번이 제일 짧다. 승객 수는 31>44>200=144 정도.
- 롯데키즈마트(진양교차로)[7]에서 부암교차로로 넘어가는 신천대로 구간은 44번이 홀로 다니는 단독구간이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그저 묵념... 그 외에도 마을버스인 부산진15번가 다니니 서면 방향으로는 그걸 이용하면 된다. 초읍동 성지로 일대나 새싹로 연지동 일대에서 이쪽으로 넘어가는 수요가 꽤 많이 존재한다.
- 초읍동/연지동에서 동래로 넘어가는 노선이지만 동래까지 한 번에 가려고 이 노선을 이용하게 될 경우 사직 야구장 구간 때문에 소요시간을 많이 잡아 먹게 된다. 그리고 당감동에서 양정쪽으로 빠지는 점은 초읍을 경유하고 있는 탓에 비교적 직선으로 질러가는 179번에 크게 밀리고 있다. 하지만 44번의 노선구조상 사직동 구간과 초읍 구간은 전체수요의 구심점이기 때문에 현행유지가 맞다.
- 배차간격이 평일은 7분이라고 공지 했는데 막상 낮에는 배차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5548.43 | |
2015년 | 14631.43 | ▽ 917.00 |
2016년 | 14745.00 | △ 113.57 |
2017년 | 13852.14 | ▽ 892.86 |
2018년 | 13650.29 | ▽ 201.85 |
2019년 | 14547.86 | △ 897.57 |
4.2. 노선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4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당감서로 | |
화승삼성아파트 ▼ | ▲ (구)당감4동주민센터 | |
당감로 | ||
당감1치안센터 ▼ | ▲ 당감초등학교 | |
백양대로 | ||
부암초등학교 ▼ | ▲ 진양교차로 | |
신천대로 | ||
부산시설공단 ▼ | ▲ 부암교차로 | |
새싹로 | ||
어린이대공원 ▼ | ▲ 어린이대공원입구 | |
성지로 | ||
부산시민공원 ▼ | ▲ 국립부산국악원 | |
동평로 | ||
하마정 ▼ | ▲ 하마정 | |
거제대로 | ||
법원-검찰청 ▼ | ▲ 경남아파트 | |
월드컵대로 | ||
창신초등학교(종합운동장역) ▼ | ▲ 거성교차로(종합운동장역) | |
아시아드대로 | ||
사직운동장 ▼ | ▲ 창신초등학교 | |
여고로 | 사직로 | |
▼ | ||
종합운동장로 | ||
사직야구장 ▼ | ||
사직로 | ||
▼ | ▲ 사직운동장 | |
사직북로 | ||
사직사거리 ▼ | ▲ 사직야구장 | |
석사로 | ||
사직1치안센터 ▼ | ▲ 사직1동주민센터 | |
아시아드대로 | ||
광혜병원 ▼ | ▲ 미남교차로(미남역) | |
충렬대로 | ||
원동IC교차로 ▼ | ▲ 부산원동역 | |
해운대로 | ||
재송삼익아파트 ▼ | ▲ 원동IC교차로 | |
해운대로61번길 | ||
반여2동 ▼ | ▲ 반여시장입구 | |
재반로 |
5.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거제역, 종합운동장역, 미남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미남역, 동래역, 수안역, 낙민역
- 동해선 광역전철: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안락역, 부산원동역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신설당시 투입된 차량은 115-1번 출신 4520, 4558, 4504, 4533 모두 1999년형 에어로시티였다. 지금은 4558만 남고 전부 115-1번으로 돌아갔다.[3] 이와 굴곡이 비슷한 노선으로 29번, 42번, 54번, 57번, 131번, 155번, 190번 등등이 있다.[4] 실제로 이 노선은 115-1번을 제외한 일신여객 노선 중 52번 다음으로 운송 수입금이 높다. 구간 수요가 주인 만큼 장거리 수요는 사실상 0에 가깝다. 물론 반여동↔미남교차로 구간은 노선이 직선화되어 있어서 고정수요가 상당히 많다.[5] 자사 노선 52번과 144번이 수요를 분담한다. 144번은 재송동 센트레빌 아파트 경유.[6] 준공영제전에는 수정4동 방면시 동래역을 경유하였다.[7] 단독 정류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