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부산진 - |
거제해맞이역 | ||
부전 방면부 전 ← 2.3 ㎞ | 동해선 (K111) | 태화강 방면 거 제 1.0 ㎞ → |
역명 표기 | ||
동해선 | 거제해맞이 Geojehaemaji 巨堤해맞이 / 巨堤迎日 / [ruby(巨堤, ruby=コジェ)]ヘマジ | |
동해선 | ||
주소 | ||
부산광역시 연제구 해맞이로 92 (거제동)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216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거제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동해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동해선 | 1940년 12월 1일[2] | |
동해선 | 2016년 12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 ||
승강장 구조 |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 부산진 방면 ]]부 전← 2.3 ㎞ | 동해선 거제해맞이 | [[삼척역| 삼척 방면 ]]거 제 1.0 ㎞ → |
현 역사 |
[clearfix]
1. 개요
좁은 승강장에 설치된 1940년대 대표적인 간이역
거제역에 이름을 넘겨주고 현대식 건축으로 거듭나 동해선의 거제역과 거제해맞이역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바로 거제해맞이역의 원래 이름이 거제역이었기 때문인데, 동해선과 도시철도 명칭 일원화 방침에 따라 남문구역에 그 역명을 넘겨주며 오늘날 거제해맞이역이 되었다. 옛 역사는 단층으로 대합실과 역무실이 한 건물에 있으며 역사 지붕은 대칭을 이루는 두 평면으로 되어 있었는데, 좁은 지형 때문에 역사가 승강장 위에 설치된 1940년대 대표적인 간이역이었다. 희귀한 형식의 건축물로 보존가치가 높았지만 2006년 간이역 문화재에 등록되지 못하면서 추억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뒤를 이어 들어선 거제해맞이역은 갈매기를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완성되어 새롭게 출발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거제역에 이름을 넘겨주고 현대식 건축으로 거듭나 동해선의 거제역과 거제해맞이역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바로 거제해맞이역의 원래 이름이 거제역이었기 때문인데, 동해선과 도시철도 명칭 일원화 방침에 따라 남문구역에 그 역명을 넘겨주며 오늘날 거제해맞이역이 되었다. 옛 역사는 단층으로 대합실과 역무실이 한 건물에 있으며 역사 지붕은 대칭을 이루는 두 평면으로 되어 있었는데, 좁은 지형 때문에 역사가 승강장 위에 설치된 1940년대 대표적인 간이역이었다. 희귀한 형식의 건축물로 보존가치가 높았지만 2006년 간이역 문화재에 등록되지 못하면서 추억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뒤를 이어 들어선 거제해맞이역은 갈매기를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완성되어 새롭게 출발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nopad> |
거제해맞이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거제해맞이역사를 형상화했다. |
동해선 광역전철 K111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해맞이로 92 (거제동) 소재.
2. 역 정보
구 역사 (1943년 준공, 2009년 철거)[3] |
1940년 12월 1일 거제역으로 개업하였고 1943년 6월 30일에 구 역사 준공되었으며 1951년 5월 1일에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54년 8월 1일에 육군기지창 전용선이 부설되었고 2005년 9월 30일에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06년 5월 1일에는 소화물취급도 중지되었다.
2006년 11월 1일에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되면서 무궁화호가 아침저녁으로 2회가 운행 중이었으나 2011년 10월 5일에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9년 10월 15일에 구 역사가 철거되었고 2016년 2월 12일에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하면서 여객 취급이 재개되었다.
2.1. 역명 변경
옛 이름은 거제역으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거제역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있었던 역사 깊은 역이다.그렇지만 이 역이 하루에 겨우 수십 명이 이용하는 잊힌 간이역으로 전락할 동안 3호선 거제역은 하루에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용하게 되어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지도를 쌓았기 때문에 전철역으로 재개업하면서 역명 혼동을 피해 3호선을 우선으로 두고 처음에는 화지산역으로 바꾸는 것을 검토하였다.[4]
화지산(和池山)은 인근에 있는 해발 199m인 나지막한 동네 뒷산으로 주민들은 동네 이름이 들어가는 것을 더 원해서 그다지 이 이름을 지지하지 않았고 이미 이때부터 추후 조정 가능성이 있었다.[5]
언뜻 일출을 연상시키기도 해서[6], 위 기사에서 언급한 대로 볕이 잘 들어 그런 줄 아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홰맞이마을이었다. 홰맞이라는 발음이 단음화 되어서 해맞이가 된 것으로 외지인들이 의아하게 여길 수도 있지만 역사적인 근거가 있는 명칭이다.
이 마을에서 부산장(현 부산진시장)에 장을 보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이 너무 멀고 험해[7] 늦은 밤이 되면 마을 사람들이 횃불을 들고 돌아오는 장사꾼들을 마중나가곤 했다는 데서 붙은 이름으로 유사시에는 동래 관아 관원들도 나가서 장꾼들 귀로를 살펴줄 정도로 길이 험했다고 한다.[8] 다만 중국어 역명은 지명의 어원을 고려하지 않고 巨堤迎日(거제영일)역으로 지어졌다.
2016년 2월 12일에 거제해맞이역으로 역명이 확정되었고[9] 2016년 10월 31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를 통해 거제해맞이역으로 역명이 개정되었다.
2.2. 승강장
동해선 승강장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평시에는 내선만을 이용하며 대피 시 외선을 사용한다. 다만 부전역과 워낙 가까운 관계로 실제 대피는 동래역에서 이루어진다.
↑ 부전 |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거제 ↓ |
1 | 동해선 광역전철 | 거제·벡스코·태화강 방면 |
2 | ||
3 | 부전 방면 | |
4 |
이 역은 거제 방면으로 3퍼밀 하구배가 있다.
내선과 외선 스크린도어가 모두 가동 중이다. #
부전역과 너무 가까워 열차 대피가 없었으나, 2024년 12월 20일부터 평일 한정으로 이 역에서 대피하는 열차가 생겼다.
3. 역 주변 정보
원래 역 주변은 일반주택단지였지만 거제2구역 재개발 사업에 따라 현재 삼성물산의 레이카운티로 재개발되었다. 거제2구역은 4,470세대로 워낙 단지가 커서 종합운동장역까지 이어진다. 2020년 착공해 2023년 11월 준공되었다. 2019년 12월 21일 기준 거제2구역 철거 현장.
재개발이 완료되면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계성여자고등학교 주변구역(거제해맞이역에 더 가까운 부지)도 재개발될 예정이다. 이 지역은 2027년 착공 2034년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청, 부산광역시경찰청과 도보 10분 거리 및 부산광역시교육청과 도보 15분 거리에 있으며, 이에 따라 동부산(해운대구, 기장군) 권역에서 주요 행정기관으로의 접근이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청·경찰청 정문은 시청역이 더 가깝기 때문에 교대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갈아타거나 29번이나 179번을 이용하여 가는 것이 더욱 빠르다.
부산에서 속칭 거제리[10]라고 불리던 지역이 바로 이 역 근방부터 종합운동장 역까지의 동네(일명 거제리 안동네)로 현재는 거제리를 부르는 지역의 개념은 현재 3호선이 지나는 법원까지로 그 의미가 넓어졌다.[11]
1990년대까지만 해도 부산지방법원과 부산지방검찰청 자리에 위치하였던 육군기지사령부[12] 인입선이 있어 화물 취급도 했던 적이 있다. 전용선은 의외로 현재 거제역과 환승할 수도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였다.
3.1. 출구 정보
1 | 거제대로, 지하철 시청역, 부산광역시청, 부산광역시경찰청 |
2 | 계성여자고등학교, 거성중학교 |
3 | 거제4동행정복지센터, 거제초등학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bgcolor=#0054a6> 비고 ||
2016년 | 927명 | [13] |
2017년 | 1,260명 | |
2018년 | 1,502명 | |
2019년 | 1,700명 | |
2020년 | 1,555명 | |
2021년 | 1,754명 | |
2022년 | 2,060명 | |
2023년 | 2,178명 | |
2024년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대부분 주변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탑승하기 때문에 평일 오전 시간대에는 승강장에 사람이 아무도 없는 텅 빈 모습을 볼 수 있다.
- 동해선을 이용하는 초읍동, 연지동 주민들은 버스 환승이 편리하여 주로 이 역에서 탑승한다. 비슷한 역으로는 양정역.[14]
- 하루 평균 이용객이 1,700명(2019년 기준)으로 동해선 광역전철 1단계(부전~일광) 구간 중 최하위이다.
그래도 석대역보다는 많다.거제대로가 바로 옆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지만 바로 다음 역인 부전역이 종점인 데다 배차 간격이 30분 내외여서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 매우 불편한 것이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 역세권이 거제2구역 재개발에 따라 철거중인 것이 부진한 수요의 원인이다. 4,470가구의 아파트가 들어서는 거제2구역 재개발이 완료되는 2025년부터 거제해맞이역의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4년 12월 입주 예정이므로 거제2구역 래미안 아파트 단지 입주민 이용객은 2025년부터 가산된다. 단, 계성여자고등학교 주변지구도 재개발 예정구역(계성여고주거환경개선지구, 조합설립단계)이다.
5. 연계 교통
- 동해선거제해맞이역(정류장 번호: 13-031)
- 동해선거제해맞이역(정류장 번호: 13-033)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6. 둘러보기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전 - 거제해맞이 - 거제 - 교대 - 동래 - 안락 - 부산원동 - 재송 - 센텀 - 벡스코 - 신해운대 - 송정 - 오시리아 - 기장 - 일광 - 좌천 - 월내 - 서생 - 남창 - 망양 - 덕하 - 개운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 - - - - - - - - - | }}}}}}}}} |
[1] 현 거제해맞이역 = 舊 거제역[2] 거제역으로 개업[3] 1943년에 지어진 역사가 제법 깊은 건물이었으나, 보존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4] 참고[5] 당시 주민들은 거제4동이 예부터 해맞이마을로 불려왔기 때문에 거제해맞이역으로 변경할 것을 원했다.#[6] '해를 맞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역은 교외선 일영(日迎)역이다.[7] 지금은 중앙대로와 거제대로가 잘 뚫려 있어서 상상이 가지 않지만 일설에 따르면 이곳에는 늪지대가 많았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는 현재 송상현광장이 있는 쪽이 원래 백양산과 황령산을 잇는 매우 험한 고갯길이었다고 한다.[8] 출처[9] 관련 기사[10] 서면, 수유리와 같은 관습 명칭이다.[11] 본래 거제동의 북쪽에는 아래에서 서술된 군부대가 있었지만 이전 후 시가지가 확장되었기 때문.[12] 현 육군군수사령부 예하 종합정비창, 지금은 덕산역으로 이전.[13] 개통일인 12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4] 부전역은 거리상으로 가까워도 부산시민공원으로 인한 단절, 교통체증, 버스 환승의 불편으로 자주 이용하는 역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