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정역 | ||
동대구 방면밀 양 ← 20.8 ㎞ | 경전선 무궁화호 | 목포 방면진 영 4.2 ㎞ → |
부전 방면삼랑진 ← 9.9 ㎞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한림정 Hallimjeong 翰林亭 / [ruby(翰林亭, ruby=ハンリムジョン)] | |
주소 |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한림로398번길 10 (舊 장방리 1253-161)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1](3급) (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
운영 기관 | ||
경전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마산선 | 1918년 11월 16일 ~1931년 3월 31일[2] | |
경전남부선 | 1931년 4월 1일 ~1968년 2월 6일[3] | |
경전선 | 1968년 2월 7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철도거리표 | ||
삼랑진 방면낙동강 ← 8.2 ㎞ | 경전선[4] 한림정 | 광주송정 방면진 영 4.2 ㎞ → |
구 역사 (1960년 준공, 2010년 철거) |
현 역사 |
[clearfix]
1. 개요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한림로398번길 10 (장방리) 소재.1918년 조그마한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한림정역은 1918년 지금의 우체국 자리에서 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진영역에게 속해있던 조그마한 간이역사는 1923년 보통역으로 승격, 1960년에 원래 위치에서 심봉마을 방향으로 100m 가량 옮겨 맞배지붕의 아담한 역사를 새롭게 신축했다. 한림면 중심에 위치했던 역사는 주로 시멘트 수송이 주 업무였기 때문에 1988년 현대 시멘트 싸이로와 1991년 성신양화 싸이로가 준공되면서 이색적인 모습을 갖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한림정역은 1918년 지금의 우체국 자리에서 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진영역에게 속해있던 조그마한 간이역사는 1923년 보통역으로 승격, 1960년에 원래 위치에서 심봉마을 방향으로 100m 가량 옮겨 맞배지붕의 아담한 역사를 새롭게 신축했다. 한림면 중심에 위치했던 역사는 주로 시멘트 수송이 주 업무였기 때문에 1988년 현대 시멘트 싸이로와 1991년 성신양화 싸이로가 준공되면서 이색적인 모습을 갖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역명은 이 지역 지명인 한림정에서 따 왔다고 한다. 세종대왕 때 한림학사와 한성판윤을 지낸 퇴은 김계희가 인근 화포천변에 정자를 지었는데, 처음 이름은 김계희의 호를 딴 퇴은정이었지만 이후 한림정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 일제강점기 때는 유림정(楡林亭)으로 불렸기 때문에 역명도 마찬가지로 유림정역이었다. 광복 이후 지명과 역명 모두 한림정으로 개칭된 것이다.[5]현재 일부 무궁화호만 정차하고 있으며, 인근에 위치한 진영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여객취급 비중은 적다. 그러나, 현대시멘트와 성신양회의 양회사일로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객영업보다는 화물영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08년 하행 기준 202,800톤의 화물을 처리해서 경전선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진영역과 진례역까지 화포천이 옆으로 흐르는데 이 지역의 습지 때문에 부산신항선이 진례역 직행 노선이 아닌 진영역을 거치는 현 노선으로 되었다.
남동쪽에 화포천이 흐르고 습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이 화포천의 습지로 인해 아래와 같은 큰 화를 불러온 적이 있었다.
2021년부터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어 열차 승차 후 여객전무에게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 단, 이 경우 코레일멤버십 일반열차 이용실적 적립이 되지 않으므로 코레일톡, 레츠코레일 홈페이지, 승차권 발매단말기가 설치된 타 역에서 발권하면 된다.
역 구내에 0.8퍼밀의 구배가 있다.
2.1. 집중호우
2002년 8월 6일~8월 7일에 낙동강 상류에 집중호우가 쏟아져서 낙동강의 수량이 급증했고, 이에 대한 여파로 8월 10일에 화포천이 범람해 한림면 일대를 물바다로 만들어 궤멸적인 피해를 입혔다.[6] 한림면 자체가 오래된 마을임에도 동네 대부분이 신축 건물이거나 구획 정리가 깔끔하게 되어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의 한림정역도 동네 일대보다 지대가 높아 다행히도 2009년 7월 7일과 7월 16일의 두 번이나 연속으로 이어온 경남권 폭우 사태때에는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하지만 아쉽게도 해당 역사는 2010년 경전선 복선 전철화 개통 직전에 철거되어 현재의 역사가 신축되었다.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63명 | |
2005년 | 68명 | |
2006년 | 65명 | |
2007년 | 73명 | |
2008년 | 85명 | |
2009년 | 69명 | |
2010년 | 68명 | |
2011년 | 76명 | |
2012년 | 79명 | |
2013년 | 75명 | |
2014년 | 69명 | |
2015년 | 60명 | |
2016년 | 53명 | |
2017년 | 48명 | |
2018년 | 40명 | |
2019년 | 38명 | |
2020년 | 28명 | |
2021년 | 29명 | |
2022년 | 32명 | |
2023년 | 35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한림면의 중심에 붙어 있으나 한림면의 인구 수에 비해 이용객이 상당히 저조한 편인데, 주된 생활권으로 삼는 진영과 김해 본시가지 일대를 이동하기에 철도가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 진영역은 진영시가지에서 동떨어져 있어 외면받으며, 김해 본시가지에는 일반철도가 들어오지 않는다. 게다가 시외교통면에서도 한림정역의 배차간격이 좋지 않아[7] 진영시외정류장에 상당수 내주고 있다.
- 부전, 구포, 마산, 창원, 동대구, 밀양 등 경전선 계통 상의 주요정차역에 이용객이 고루 분산되는 편이다. 김해에서 대구까지 열차를 탈거면 본 역을 이용하는 것이 동선상으로는 짧지만, KTX는 고사하고 ITX-새마을도 정차하지 않으며 열차 횟수도 적어 진영역이나 구포역에 내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4. 승강장
진영 방향 승강장 |
밀양, 삼랑진 방향 승강장 |
↑ 진영 | |||||||||||
ㅣ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ㅣ | ㅣ | ㅣ |
밀양, 삼랑진 ↓ |
1·2 | 경전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진주·순천·목포 방면 |
3·4 | 밀양·동대구·부전 방면 |
5. 연계 교통
- 한림정역(정류장 번호: 1953)
- 김해 버스 56 - 풍유동차고지행
- 김해 버스 58-1 - 풍유동차고지행
- 김해 버스 도시형1
- 한림정역(정류장 번호: 1948)
- 김해 버스 57 - 모정행
- 김해 버스 58-1 - 모정행
- 김해 버스 도시형1
역 구내에 택시사무실이 있다. 시내로 나갈경우 또는 시내에서 한림(시외지역)으로 갈 경우 요금이 많이 올라가므로 타기 전 요금을 확인해보는것이 좋다.
생림면 방면 도로는 있지만 정작 생림면으로 향하는 버스는 없다.
6.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
[1] 한림정역은 평일 야간과 공휴일에는 무인역으로 운영된다.[2] 삼랑진역 ~ 구마산역 구간 운영[3]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4] 삼랑진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전마산선 개통 이후 서류상 부산신항선에 편입될 예정이다.[5] 추가로 한림면도 본래는 이북면(二北面)이었으나, 1987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6] 한림면 일대는 이전에도 1991년 8월 23일의 태풍 글래디스로 인한 폭우, 1999년 7월 29일~30일의 경남권 폭우 사태로 인한 폭우로 침수된 전적이 있으나 주목을 받지 못했다.[7] 창원 방면은 그나마 편수가 어느 정도 있지만 부산 방면은 편수가 심각하게 적다.[8] 터미널-구산동-한림정역-진영터미널. 가장 자주 오는 노선이다.[9] 진영터미널-봉하-한림정역-모정[10] 터미널-세무서-한림정역-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