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1:04:20

임진왜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임진왜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임진왜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ddd>전쟁·정벌교전세력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4군 6진 개척 1433 ~ 1437여진족
모련위 정벌 1461여진족
정건주위(세조) 1467여진족
정건주위(성종) 1479여진족
정니마군 1491여진족
정서북로구 1492여진족
삼포왜란 1510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사량진 왜변 1544왜구
을묘왜변 1555왜구
니탕개의 난 1583여진족
녹둔도 전투 1587 ~ 1588여진족
임진왜란 1592 ~ 1597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정유재란 1597 ~ 1598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제2차 당포 해전 1604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일본 (도쿠가와 정권)
사르후 전투 1619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흥양 해전 1622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png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정묘호란 162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병자호란 163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가도 정벌 1637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송산 전투 1641명나라
나선정벌 1652 ~ 1658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병인양요 186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2제국
신미양요 1871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운요호 사건 1875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명나라 국새 인영.svg 명나라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800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F0C420> 명-호 전쟁
,1406 ~ 1407,
대우(호 왕조)
영락제의 몽골 원정
,1410 ~ 1424,
북원
람썬 봉기
,1418 ~ 1428,
대월(후 레 왕조)
토목의 변
,1449,
오이라트
경술의 변
,1550,
몽골 튀메드부
임진왜란
,1592 ~ 1598,
명청 전쟁
,1618 ~ 1644,
사르후 전투
,1619,
영원성 전투
,1626,
송산 전투
,1641 ~ 1642,
명-네덜란드 분쟁
이자성의 난
,1627 ~ 1644,
대순 }}}}}}}}}

파일:일본 황실.svg파일:투명.png일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전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고훈 시대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291년~720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신라-왜 전쟁
364년~40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아스카 시대 이와이의 난
527년
규슈 왜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관산성 전투
55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가야멸망전
562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백강 전투
663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tang_fel2.jpg
가마쿠라 막부 원나라의 1차 일본원정
1274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원나라의 2차 일본원정
1281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무로마치 막부 1차 대마도 정벌
1389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2차 대마도 정벌
1396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3차 대마도 정벌
1419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임진왜란
1592년~1598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명나라 보.svg
에도 막부 사쓰마의 류큐 침공
1609년
파일:류큐 왕국 국장.svg 류큐 왕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년·1864년
파일:미국 국기(1863-1865).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사쓰에이 전쟁
1863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메이지 시대 대만 출병
1874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만 원주민
운요호 사건
1875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동학 농민 혁명
1894년
파일:척왜양창의.svg 동학농민군
청일전쟁
1894년~1895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의화단 운동
1899년~1901년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러일전쟁
1904년~1905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남대문 전투
1907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남한 대토벌 작전
1909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호남계 의병
다이쇼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1918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1918년~1925년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삼둔자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봉오동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청산리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쇼와 시대 만주사변
1931년~1932년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봉천군벌
영릉가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쌍성보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열하사변
1933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경박호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사도하자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흥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동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대전자령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중일전쟁
1937년~1945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2년~1939년
하산 호 전투
1938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할힌골 전투
1939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1945년
태평양 전쟁
1941년~1945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소련-일본 전쟁
1945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40–1945).svg 몽골 인민 공화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현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이승만 라인 분쟁
1952년~196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년~1956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독도 대첩
1954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년~2011년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파일:투명.png파일:바트당 당기.svg 후세인 정권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日]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 농민 혁명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 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6.3 항쟁 · 김대중 납치 사건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임진왜란 · 정유재란
壬辰倭亂 · 丁酉再亂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mjin War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파일:임진왜란.png
시기 임진왜란: 1592년 (선조 25년) 5월 23일 (음력 4월 13일) ~
1598년 (선조 31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
정유재란: 1597년 (선조 30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 ~
1598년 (선조 31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
장소 한반도, 만주 용정시
원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명 연합
(수세)
일본
(공세)
교전 의사
표명국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건주여진[1]
파일:아유타야 왕국 국기.svg 아유타야 왕국[2]
지휘관[3][4]
[ 펼치기 · 접기 ]
정부 수반
파일:조선 중기 왕 용보.png 국왕 선조[5]
파일:조선 중기 왕세자 용보.png 왕세자 광해군[6]
파일:명나라 황제 용보_바탕.png 명 황제 신종 만력제

조선 지휘부
파일:조선 어기.svg 영의정 이산해[7]
파일:조선 어기.svg 좌의정 윤두수[8]
파일:조선 어기.svg 우의정 유홍[9]
파일:조선 어기.svg 도체찰사 류성룡[10]
파일:조선 어기.svg 도체찰부사 병조판서 김응남

조선 중앙군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도순변사 신립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종사관[11] 김여물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순변사 김성일[12]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도원수 김명원[13]

조선 지방군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부산첨사 정발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상좌방어사 성응일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상우방어사 조경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상도순찰사 김수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전라도순찰사 권율[14]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이각[15]
파일:조선군 좌독기.svg경상우도병마절도사 조대곤[16]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김해부사 서예원[17]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동래부사 송상현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밀양부사 박진[18]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안동부사 정희적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다대포첨사 윤흥신[19]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주부윤 윤인함[20]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주 판관 박의장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진주목사 김시민[21]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양산군수 조영규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황간현감 박몽열 †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울산군수 이언성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훈련원봉사 정기룡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김응서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함경도병마절도사 한극함
파일:조선군 좌독기.svg 충청도병마절도사 황진

조선 수군
파일:이순신 서명.svg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22]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경상좌도수군절도사 박홍[23]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원균[24]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25]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전라우도수군절도사 이억기[26]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충청도수군절도사 최호[27]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녹도만호 정운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만호 손문욱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조방장 홍윤관 †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조방장 유극량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조방장 배흥립
파일:조선수군수자기.png 조방장 박종남

의병
''' [[의병|
義兵
]] 곽재우'''
[[의병|
義兵
]] 권응수
[[의병|
義兵
]] 고경명
[[의병|
義兵
]] 김덕령
[[의병|
義兵
]] 심대승
[[의병|
義兵
]] 김득기[28]
[[의병|
義兵
]] 류식[29]
[[의병|
義兵
]] 송빈[30]
[[의병|
義兵
]] 유정
[[의병|
義兵
]] 영규
[[의병|
義兵
]] 원연[31]
[[의병|
義兵
]] 이대형[32]
[[의병|
義兵
]] 정문부
[[의병|
義兵
]] 정인홍
[[의병|
義兵
]] 조헌
[[의병|
義兵
]] 휴정
[[의병|
義兵
]] 유팽로 †

명 지원군
파일:명나라 국기.png 병부상서 석성
파일:명나라 국기.png 경략 조선군무사 병부상서 양호
파일:명나라 국기.png 병부상서 계료 총독 비왜 총독 군문 형개
파일:명나라 국기.png 경략군문 병부시랑 송응창
파일:명나라 국기.png 제독군문 도독동지 이여송
파일:명나라 국기.png 참장 유정
파일:명나라 국기.png 도독 정왜대장 마귀
파일:명나라 국기.png 전군 도독부 도독 진린
파일:명나라 국기.png 유격장군 심유경
파일:명나라 국기.png 우군 유격장군 오유충
파일:명나라 국기.png 좌협군 사령관 양원
파일:명나라 국기.png 우로군 사령관 장세작
파일:명나라 국기.png 중협군 사령관 이여매
파일:명나라 국기.png 우군 부총병(요동군) 조승훈
파일:명나라 국기.png 중로군 사령관 동일원, 이여백
파일:명나라 국기.png 부총병 등자룡
파일:명나라 국기.png 수위사 천만리

여진족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족장 누르하치
[ 펼치기 · 접기 ]
정부 수반
파일:다이코키리.svg 태합태정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
파일:고시치노키리.svg 관백 도요토미 히데츠구

지휘부
파일:마에다 가몬.svg 대로 마에다 도시이에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33]
파일:대일대만대길.svg 봉행 이시다 미쓰나리
파일:아사노 가몬.svg 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봉행 마시타 나가모리
파일:나츠카 가몬.svg 봉행 나쓰카 마사이에
파일:타치바나씨 가몬.svg 봉행 마에다 겐이
파일:우키타 가문 문장.svg 일본군 총대장 겸 8군 사령관 우키타 히데이에
제1군
파일:나카무스비기온마모리.svg 1군 사령관 고니시 유키나가
파일:소 가몬(전).svg 소 요시토시
파일:마츠라 가몬.svg 마쓰라 시게노부
파일:아리마 가몬.svg 아리마 하루노부
파일:아리마 가몬(검정).svg 오무라 요시아키
파일:고토 가몬.svg 고토 스미하루
오야노 다네모토
제2군
파일:가토 가몬.svg 2군 사령관 가토 기요마사
파일:나베시마 가몬.svg 나베시마 나오시게
파일:사가라 가몬.svg 사가라 나가쓰네
제3군
파일:쿠로다 가몬.svg 3군 사령관 구로다 나가마사
파일:오토모 가몬.svg 오토모 요시무네
제4군
파일:모리 와카쓰키 가몬.svg 4군 사령관 모리 가쓰노부(모리 요시나리)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시마즈 토요히사
파일:Crest-of-Akizuki-Clan.jpg 다카하시 모토타네
파일:Crest-of-Akizuki-Clan.jpg 아키즈키 다네나가
파일:이토 가몬.svg 이토 스케타카
파일:사츠마 시마즈 가문 문장.svg 시마즈 요시히로
제5군
파일:후쿠시마 가몬.svg 5군 사령관 후쿠시마 마사노리
파일:도다 가몬.svg 도다 가쓰타카
파일:쵸소카베 가몬.svg 조소카베 모토치카
파일:하치스카 가몬.svg 하치스카 이에마사
파일:이코마 가몬.svg 이코마 치카마사
파일:이나바 가몬.svg 도쿠이 미치유키
파일:이나바 가몬.svg 구루시마 미치후사
제6군
파일:토모에 가몬.svg 6군 사령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파일:모우리 가몬(검은 배경).svg 모리 히데카네
파일:나카무스비기온마모리.svg 다치바나 시게토라(무네시게)
파일:나카무스비기온마모리.svg 다카하시 무네마스
파일:소 가몬(전).svg 쓰쿠시 히로카도
제7군
파일:모우리 가몬(검은 배경).svg 모리 데루모토
제8군
파일:우키타 가문 문장.svg 우키타 히데이에
파일:아사노 가몬.svg 아사노 요시나가
파일:나카가와 가문.svg 나카가와 히데마사
미야베 나가히로
제9군
파일:고시치노키리.svg 9군 사령관 도요토미 히데카쓰
파일:도다 가몬.svg 나가오카 다다오키
파일:쿠로다 가몬.svg 하세가와 히데카즈
파일:토모에 가몬.svg 기무라 시게코레
• 수군
파일:구키 가문 문장.svg 수군 사령관 구키 요시타카
파일:토도 가몬.svg 도도 다카토라
파일:와키자카 가문 문장.svg 와키자카 야스하루
파일:가토 요시아키 가몬.svg 가토 요시아키
파일:소 가몬(전).svg 가메이 고레노리
간 미치나가
구와야마 가즈하루
구와야마 사다하루
호리우치 우지요시
스기와카 우지무네
하야카와 나가마사
파일:모리 다카마사 가몬.svg 모리 다카마사
파일:모리 다카마사 가몬.svg 모리 요시야스
파일:히토쓰야나기 가몬.svg 히토쓰야나기 나오모리
파일:히토쓰야나기 가몬.svg 핫토리 가즈타다
병력[출처1]
[ 펼치기 · 접기 ]
동원병력
조선 18만 8천여 명
명 22만여 명

임진왜란 참전병력
조선 10만여 명
명 9만 2100여 명

정유재란 참전병력
조선: 3만 7600여 명
명: 11만 7천여 명
[ 펼치기 · 접기 ]
동원병력
47만여 명

임진왜란 침공병력
15만 8700여 명[35]

정유재란 침공병력
14만 1400여 명
피해[36] 조선: 약 46만명~100만명
: 약 5만명~ 10만명
조선인 피랍자: 2~10만여 명[37]
사상자: 13만~20만 명
항왜: 1만 명+
결과 조선-명 연합의 승리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으로 일본군 철군
영향 조선의 정치적 혼란 가속
조선의 사회경제적 기반 초토화
일본과의 대외 교역 단절
의 막대한 국력 소모로 인한 쇠퇴와 후금의 성장
도요토미 정권 붕괴 및 에도 막부 수립

1. 개요2. 명칭
2.1. 교과서
3. 전쟁의 배경
3.1. 일본의 상황
3.1.1. 일본 내부 사정3.1.2. 히데요시 쇼군 야망 설
3.1.2.1. 반론
3.2. 건주여진 통일3.3. 조선의 대응
4. 병력 구성
4.1. 조선의 병역 체계
4.1.1. 정군(正軍)4.1.2. 조선 수군4.1.3. 오위(五衛)4.1.4. 조선의 방어 체계4.1.5. 조선군의 병력 구성
4.2. 일본군 병력 구성
5. 전쟁의 경과
5.1. 전쟁의 시작5.2. 정규군의 붕괴와 파천5.3. 반격의 시작5.4. 명나라의 참전
5.4.1. 참전 사유5.4.2. 명나라군의 참전과 역할5.4.3. 명나라군이 악평을 들은 이유
5.5. 교착 상황과 강화 회담
5.5.1. 기존에 잘못 알려진 설5.5.2. 왜 잘못 알려졌는가?5.5.3. 21세기 연구에 따른 실제 사실
5.6. 정유재란 발발과 전쟁 종결
5.6.1. 일본군의 퇴각 이유
5.7. 조선의 보복 논의
6. 각종 논쟁들
6.1. 탁상공론에만 몰두한 조선 조정?6.2. 율곡 이이의 10만 양병설?6.3. 동원된 조선군의 병력수?6.4. 육전은 의병과 승병의 독무대?6.5. 조총 때문에 초반에 무너졌다?
7. 평가
7.1. 한국에서의 평가7.2. 일본에서의 평가7.3. 당시 명나라측의 평가7.4. 당시 예수회 선교사들의 평가
8. 전후 영향
8.1. 조선의 전후8.2. 명나라8.3. 일본8.4. 조선인 포로
8.4.1. 정착, 또는 귀환한 경우8.4.2. 노예화
9. 기타
9.1. 후일담
10. 창작물11. 관련 문서
11.1. 조선 측 주요 인물
11.1.1. 조정11.1.2. 정규군 지휘관11.1.3. 의병장11.1.4. 기타 조선 측 인물11.1.5. 조선에 투항한 항왜
11.2. 명나라 측 주요 인물11.3. 일본 측 주요 인물11.4. 전투 전개 과정11.5. 기타 전투11.6. 기타
12. 참고 자료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년) 5월 23일[38]부터 1598년(선조 31년) 12월 16일[39]까지 약 7년간[40] 조선일본(도요토미 정권)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이다. 당사국인 한국과 일본 외에도 중국과 여진족의 정세에도 간접적 영향을 끼친 16세기~1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전이었다.

동아시아 3국인 한중일의 정권이 바뀌는 역사적 전환점이다. 조선은 선조의 환국정치를 거쳐 광해군 이하 북인정권이 집권했고, 중국 대륙의 - 교체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 도요토미 정권도 막대한 국력 소모로 붕괴하여 에도 막부 수립으로 이어진다.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유럽까지도 크고 작은 영향을 받았는데 명나라의 몰락으로 인한 타이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공격, 대중 무역로(路) 및 갑함무역에서 공행무역으로의 전환, 청의 영토 대확장, 외교관계 격변으로 이어지게 된다.

2. 명칭

언어별 명칭
한국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진왜란(), 정유재란()
파일:북한 국기.svg 임진조국전쟁()
중국어 만력조선지역(정체자/간체자)[41], 항왜원조()
일본어 조선출병(), 분로쿠(문록)・게이초(경장)의 역[42](文禄·慶長の役)[43]
일반적으로 임진년에 일어난 왜국(일본)의 전란이란 뜻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이라 칭한다. 그 밖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일어난 전쟁이란 뜻에서 조일전쟁(朝日戰爭), 임진년에 일어난 전쟁이란 뜻에서 임진전쟁(壬辰戰爭), 도자기공들이 일본으로 납치된 후 일본에 도자기 문화가 전파되었다 하여 도자기 전쟁(陶瓷器戰爭)이라고도 한다. 중국대만에서는 당시 명나라 황제였던 만력제의 연호를 붙여 만력조선전쟁(萬曆朝鮮戰爭, 중국어는 萬曆朝鮮之役), 혹은 조선을 도와 왜국(일본)에 맞서 싸웠다 하여 항왜원조(抗倭援朝)라고도 한다.[44] 일본에서는 당시 연호를 따서 분로쿠(문록)의 역(文禄の役)이라 하며, 그냥 직관적으로 조선에 출병했다고 해서 조선출병(朝鮮出兵)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에서는 소련의 영향을 받아 임진조국전쟁(壬辰祖國戰爭)이라고 한다. 7년 동안 일어났다 하여 백년전쟁처럼 7년 전쟁이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다. 국내 게임인 〈임진록 2〉에서는 영어로 Seven Years War라고 표기했다. 영어권에서는 학술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에서 어느 한 나라식 표기가 아닌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1592년 일본의 한국 침공)라고 표기한다. Korean-Japanese Seven Years War라고 표기하는 사례도 소수 있지만 명칭도 길고 서양에서 7년 전쟁이라 하면 18세기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관련된 7년 전쟁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런 표현은 서양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45]

1597년 8월에 일어난 정유재란은 일본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당시 고요제이 덴노의 연호를 따서 게이초(경장)의 역(慶長の役)이라고 한다. 일부 사람들은 해당 명칭이 일본이 침략의 주체임을 숨기기 위함이라는 주장을 펴지만, 원나라일본 원정 또한 일본에서는 분에이의 원정, 고안의 원정이라 부른다는 점에서 이는 사실이 아니다.

흥미있게도 영·미권에서 임진왜란에 관한 가장 유명한 책은 Stephen Turnbull이 쓴 《The Samurai Invasion of Korea 1592-98》과 Samuel Hawley가 쓴 《The Imjin War》인데, Turnbull은 일본 쪽 자료를 주로 인용해서 제목에 '사무라이'가 들어가고, Hawley는 한국 쪽 사료를 주로 인용해서 제목에 임진(壬辰)의 한국식 독음인 Imjin이 들어간다. 다만 96페이지에 불과한 《Samurai Invasion》보다 600페이지가 넘는 《Imjin War》 쪽이 더 내용이 충실한 건 당연한지라 자연스럽게 Imjin War라 부르는 서양인이 늘었다. 영어로 구글링을 하면 Imjin War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언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임진 전쟁'을 표제어로 삼은 경우가 흔하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Guerre d'Imjin)나 독일어(Imjin-Krieg), 포르투갈어(Guerra Imjin), 터키어(Imjin Savaşı) 위키 등등.

2.1. 교과서

2011년 입학생부터 커리큘럼(2014학년도 대학 수학 능력 시험부터 수능 사탐 과목으로 지정) 적용되는 '동아시아사' 과목이 신설되었는데, 이 교과서에 '임진왜란' 표기를 '임진전쟁'으로 하는 문제로 논란이 일었다. 동아시아사는 '한국사 위주의 관점에서 벗어나 새롭게 동아시아 관계를 들여다보자'는 취지로 한일관계사 전문 강원대 손승철 교수와 한국 중세사 전문 한신대 안병우 교수가 집필한 교과서다. 다만 손 교수는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와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차이나는 용어의 통일이 과제"라고 언급해 논쟁의 여지는 있다.

동아시아사와는 별개로 세계사 과목에서는 아직도 임진왜란, 정유재란이라는 표현을 고수하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이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었다.

3. 전쟁의 배경

전쟁의 원인에는 앞서 언급했듯이 히데요시의 정복욕이 주된 요인이지만, 조선과 명이 삼포왜란 이후로 가뜩이나 부족한 면포 수출량을 더욱 통제하자 일본의 면포 값이 뛰었고, 그것이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다.[46]

3.1. 일본의 상황

파일:external/castles.chicappa.jp/sokentenshu-sw-full3(600).jpg
오사카 성[47]

1592년 일본 전국을 통일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국내의 불만[48] 등을 억누르고 대륙을 차지하고자 하는 야심을 품고 조선을 상대로 일으킨 전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오래 전부터 계획된 것이었다. 도요토미는 1585년 7월 관백 취임 직후부터 대륙 진출을 언급하였는데, 그는 9월 히토츠야나기 스에야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명나라를 정복하겠다는 언급을 한 바 있다. 그 이후로도 도요토미는 전쟁 때마다 주변인들에게 "우리는 이제 곧 한양에서 매년 여름을 보내고, 베이징에서 매년 겨울을 보낼 것이다"라고 호언장담했다고 한다. 이런 '대륙 진출'이라는 이름의 침략 야욕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이전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오다 노부나가가 이미 여러 번 언급했다. 이런 언동은 초기엔 그저 말뿐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노부나가의 유력 가신이었던 히데요시가 충분히 영향을 받을 만 했다. 일본은 당시 동아시아의 정세를 아예 알지 못했었고 명나라 위주의 동아시아 질서 유지는 물론, 본인들의 봉건제로 인해 조선이 명나라의 속국인것으로 알았고 의병의 개념도 알지 못했고 선조의 몽진 또한 예상하지 못했으며 조선과 명의 전력을 심히 과소평가 한 것은 물론 누르하치의 세력과 몽골등의 다른 세력들도 전혀 알지 못했고 결국 그로 인해 명에 대한 공격은 물론 조선에서도 조명 연합군에게 무참히 패배했다.

1587년 6월, 하카타에서 쓰시마 도주 소씨(宗氏)[49] 부자를 만난 도요토미는 조선과의 교섭을 명령했다. 일본이 통일되었다는 사실을 알리고 조선 국왕을 불러와 자신을 알현토록 하라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그 기한을 1588년까지로 못박았다. 또한 불응할 경우에는 조선을 정벌하겠다고 말하였다. 이에 대해 쓰시마 도주는 조선으로부터 거부당할 것이 뻔한 선조의 입조(入朝) 대신 인질과 공물을 요구하자고 제안했지만, 도요토미는 선조의 입조를 고집했다. 결국 쓰시마 도주는 가신인 타치바나 야스히로(橘康廣)를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로 파견, 일본 국내 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1587년에 일본 사신은 교섭이 여의치 않으면 병화가 일어날지 모른다고 암시하였다. 하지만 조선 신료들은 ‘교화가 미치지 않는 야만국의 사신을 제대로 접대할 수는 없으며 바닷길이 험해 통신사도 보낼 수 없다’는 답변을 하며 통신사 파견을 거부하였다.[50]

이렇게 도요토미의 첫 번째 외교가 실패하자 그는 1589년 여름까지 조선 국왕을 입조시키라고 쓰시마를 다시 채근했다. 따라서 조선에 1588년 10월과 1589년 6월, 쓰시마에서 두 차례에 사신이 왔다. 1589년 6월엔 신임 쓰시마 도주 소 요시토시고니시 유키나가의 사위이며, 대표적인 반전파이기도 했다. 도요토미의 거듭되는 독촉과 조일 양국 충돌 시 쓰시마가 겪게될 고통을 우려한 그는 1589년 6월, 하카타 쇼후쿠사(聖福寺)의 승려 겐소와 함께 직접 조선으로 건너와 협상을 진행했다. 그는 쓰시마 도주로서 조선 조정에 통신사를 파견해주도록 다시 간청하면서 바닷길이 험하다면 자신들이 직접 안내하겠다고 나서기까지 했다. 조선과 도요토미 정권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사적인 몸부림이었다.

조선 조정은 조건을 제시했다. 본래 전라도 진도군 출신으로 왜구에 투항하여 노략질에 앞장섰던 사화동(沙乙火同)이란 인물을 잡아 보내면 통신사 파견을 고려하겠다는 것이었다. 반드시 보내겠다는 의미도 아니었다. 쓰시마는 이를 확답으로 만들기 위해 사을화동은 물론 왜구에게 잡혀갔던 조선인들까지 송환하는 노력을 보였고, 그리하여 결국 류성룡이덕형의 주장으로 조선은 1589년 9월 일본의 통일을 축하한다는 명목으로 통신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한다. 늦게나마 일본의 변화된 정세를 탐지하기 위한 목적도 지니고 있었다. 통신사는 정사 황윤길[51], 부사 김성일, 서장관 허성[52] 등으로 구성되었다. 황윤길은 서인, 김성일은 남인, 허성은 북인에 속하는 인물이었다.[53]

황윤길 일행은 1590년 3월 서울을 출발하여 7월에 교토에 도착했다. 하지만 일행은 도요토미를 바로 만나지 못하고 11월까지 기다려야 했다. 그가 동산도[54] 원정으로 출정하여[55] 아직 돌아오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돌아온 뒤에도 궁을 수리한다는 구실로 국서를 받지 않았다. 결국 11월 7일에야 통신사 일행을 접견했는데, 그리고 이 회견 자리에서 도요토미가 보인 태도는 방약무인 그 자체였다고 한다. 그는 황윤길 일행을 자신의 전국 통일을 축하하려고 온 대등국의 사절이 아니라 속국의 사신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통신사 일행이 가져온 선조의 국서에 대한 답서를 제때 주지 않는 무례를 저질렀다. 게다가 히데요시는 회견장에서 자신의 아들인 도요토미 츠루마츠를 안고 데리고 오는 무례를 범했다. 아래 영상과 실록의 기록을 보면 알겠지만 아기가 오줌도 지렸다고 한다. 일본 애니메이션 효게모노에서 묘사된 장면 ##

저 오줌 이야기는 결코 과장이 아닌 것이, 실록과 징비록에도 기록이 나온다.
수길의 용모는 왜소하고 못생겼으며 얼굴은 검고 주름져 원숭이 형상이었다. 눈은 쑥 들어갔으나 동자가 빛나 사람을 쏘아보았는데, 사모(紗帽)와 흑포(黑袍) 차림으로 방석을 포개어 앉고 신하 몇 명이 배열해 모시었다. 사신이 좌석으로 나아가니, 연회의 도구는 배설하지 않고 앞에다 탁자 하나를 놓고 그 위에 떡 한 접시를 놓았으며 옹기사발로 술을 치는데 술도 탁주였다. 세 순배를 돌리고 끝내었는데 수작(酬酢)하고 읍배(揖拜)하는 예는 없었다. 얼마 후 수길이 안으로 들어갔는데 자리에 있는 자들은 움직이지 않았다. 잠시 후 편복(便服) 차림으로 어린 아기를 안고 나와서 당상(堂上)에서 서성거리더니 밖으로 나가 우리나라의 악공을 불러서 여러 음악을 성대하게 연주하도록 하여 듣는데, 어린 아이가 옷에다 오줌을 누었다. 수길이 웃으면서 시자(侍者)를 부르니 왜녀(倭女) 한 명이 대답하며 나와 그 아이를 받았고 수길은 다른 옷으로 갈아 입는데, 모두 태연자약하여 방약무인한 행동이었으며, 사신 일행이 사례하고 나온 뒤에는 다시 만나지 못하였다.

ㅡ 《조선왕조실록》 선조수정실록 25권(선조 24년, 1591) 3월 1일 세 번째 기사[출처2]

츠루마츠와 오줌 문제에 비하면 소소한 면이지만 다른 접대 문제도 있었다. 위에 인용한 실록의 기록처럼, 당시 회담장에서의 접대 및 상차림은 해도 너무한 수준이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식생활 또한 소박함을 지향했다지만, 당시 문헌을 보면 문화적 상대성을 고려하더라도 외국의 사신에게 대접하는 상차림과 예법으로는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고 한다. 효게모노에서 도자기란 소재로 각색한 내용도 바로 이것이다.

거기에 뒤늦게 귀국길에 받은 답서의 내용을 본 조선 통신사 일행은 경악했다. 도요토미가 자신을 '태양의 아들'이라고 칭했는가 하면 명나라로 건너가 400여 주를 정복하겠다고 운운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선조를 전하(殿下)가 아닌 합하(閤下), 조선이 보낸 예물을 조공물을 뜻하는 방물(方物), 통신사의 일본 방문(來日)을 입조 등으로 서술했다. 이런 것들은 조선을 속국으로 여기는 듯한 무례한 문구들이었다. 통신사 일행은 격분하여 수정을 요구했지만 일본 쪽은 제대로 고치지 않았다.

실록에 나오는 도요토미의 답서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일본국 관백(關白)은 조선 국왕 합하[57]에게 바칩니다. 보내신 글은 향불을 피우고 재삼 되풀이하여 읽었습니다.

우리 나라 60여 주는 근래 제국(諸國)이 분리되어 나라의 기강을 어지럽히고 대대로 내려오는 예의를 저버리고서 조정의 정사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내가 분격을 견디지 못하여 3년 ~ 4년 사이에 반신(叛臣)과 적도(賊徒)를 토벌하여 먼 섬들까지 모두 장악하였습니다.

삼가 나의 사적(事蹟)을 살펴보건대 비루한 소신(小臣)이지만, 일찍이 나를 잉태할 때에 자모(慈母)가 해가 품 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는데, 상사(相士)가 '햇빛은 비치지 않는 데가 없으니 커서 필시 팔방에 어진 명성을 드날리고 사해에 용맹스런 이름을 떨칠 것이 분명하다.' 하였는데, 이토록 기이한 징조를 인하여 나에게 적심(敵心)을 가진 자는 자연 기세가 꺾여 멸망하는지라, 싸움엔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빼앗았습니다. 이제 천하를 평정한 뒤로 백성을 어루만져 기르고 외로운 자들을 불쌍히 여겨 위로하여 백성들이 부유하고 재물이 풍족하므로 토공(土貢)이 전보다 만 배나 늘었으니, 본조(本朝)가 개벽한 이래로 조정(朝政)의 성대함과 수도(首都)의 장관(壯觀)이 오늘날보다 더한 적이 없었습니다.

사람의 한평생이 백 년을 넘지 못하는데 어찌 답답하게 이곳에만 오래도록 있을 수 있겠습니까. 국가가 멀고 산하가 막혀 있음도 관계없이 한 번 뛰어서 곧바로 대명국(大明國)에 들어가 우리 나라의 풍속을 4백여 주에 바꾸어 놓고 제도(帝都)의 정화(政化)를 억만년토록 시행하고자 하는 것이 나의 마음입니다. 귀국이 선구(先驅)가 되어 입조(入朝)한다면 원려(遠慮)가 있음으로 해서 근우(近憂)가 없게 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먼 지방 작은 섬도 늦게 입조하는 무리는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내가 대명에 들어가는 날 사졸을 거느리고 군영(軍營)에 임한다면 더욱 이웃으로서의 맹약(盟約)을 굳게 할 것입니다.

나의 소원은 삼국(三國)에 아름다운 명성을 떨치고자 하는 것일 뿐입니다. 방물(方物)은 목록대로 받았습니다. 그리고 국정(國政)을 관장하는 무리는 전일의 사람들을 다 바꾸었으니 불러서 나누어 주겠습니다. 나머지는 별지에 있습니다. 몸을 진중히 하고 아끼십시오. 이만 줄입니다.

천정(天正) 18년[58] 경인 중동(仲冬) 일(日) 수길(秀吉)은 받들어 답서함

ㅡ 《조선왕조실록》 선조 수정 실록 25권(선조 24년, 1591) 3월 1일 네 번째 기사[출처3]

이에 대해 통신사인 김성일은 답서의 내용이 거칠고 거만하다고 여겨, ‘만일 이 글을 고치지 않으면 우리는 죽음이 있을 뿐, 가져갈 수는 없다.’고 따졌더니 현소가 서신을 보내어 사과하면서 글을 짓는 자가 말을 잘못 만든 것이라 핑계를 댔다. 그러나 전하와 예폐 등의 글자만 고쳤을 뿐, 기타 거만하고 협박하는 식의 말에 대해서는 ‘이는 대명에 입조(入朝)한다는 뜻’이라고 핑계대면서 고치지 않았다.
파일:고요제이 칙서.png

당시 천황이던 고요제이 덴노는 개전 초기에 조선으로 직접 건너가려고 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조선행을 만류하는 서신을 보냈다. 결과적으로 히데요시의 조선행은 연기되었다 하고, 실제로 조선행은 최종적으로 성사되지 않았다.

3.1.1. 일본 내부 사정

파일:external/www.dongponews.net/21941_14034_2919.jpg
조선정벌대평정도[60]

히데요시는 전국 통일 후 무사들의 불만을 다른 곳으로 돌리고 부하 제장들의 여력을 해외에 사용하기 위해서 조선 침공을 계획했다고 한다. 이시다 미츠나리 등의 측근들도 조선 정벌의 성공 가능성에는 의문을 표했고, 고니시 유키나가 등 이후 임진왜란에 참전한 주요 일본군 무장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히데요시만큼은 늙은 모친 오만도코로에게 "올해 가을은 명의 황궁에서 보내실 수 있을 겁니다."라고 말하는 등, 전쟁의 승리를 믿어 의심치 않은 면이 있다. 일본 역사를 통틀어 히데요시만큼 밑바닥에서 정상까지 올라가 성공을 거둔 사례가 없었던 만큼, 그의 자신감은 현실을 직시하지 못할 정도로 커졌던 것이다.[61]

히데요시의 의도는 정말로 조선과 명을 정복하는 것이며, 성공만 한다면 일본 내에서 자신에게 반항적인 군벌 따위는 무시해도 좋을 정도의 국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었다.[62]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히데요시가 조선 침공을 발표했을 때 도요토미 히데츠구 이하의 군대는 오슈 진압[63]에 동원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즉 일본의 통일 체제의 안정도 다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조선 침공을 계획한 것으로 이는 소속 무장이나 동맹 다이묘에게 상당한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조선에 파병된 군대 중 우에스기, 모리, 다테, 시마즈 등 대다이묘들도 일부분 참전하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히데요시에게 가장 가까운 히데요시 측근들의 군대가 중심이었다. 당시 히데요시 다음가는 대영주였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히데요시가 요청하기는 했는데, 전쟁에 나가봐야 좋을 게 없다는 걸 알고 있는 이에야스가 여러가지 핑계[64]를 대면서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그리고 존버는 결국 성공하고 만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참전을 강요하지 못했던 것은 이에야스의 세력이 히데요시가 섣불리 어쩌지 못할 정도로 강성했고 훌륭한 명분이 있었기 때문으로, 애초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히데요시에 고개를 숙이고 들어간 것은 외교전에서 패배했기 때문이지 전쟁에서 패배해서가 아니었다. 오다 노부카츠를 오다 가문의 후계자로 내세웠던 이에야스군은 산보시를 오다 가문의 후계자로 내세웠던 히데요시 군에게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에서 대승했었다. 당시 히데요시 측은 이케다 츠네오키가 전사할 정도로 참패당했다. 그런데 루이스 프로이스에게 지능이 모자라다는 평가까지 받은 오다 노부카츠가 히데요시 편으로 들어가면서 전쟁의 명분이 사라지고, 히데요시 측에서 이에야스에게 자신의 여동생과 이에야스를 혼인시키고 자기 어머니 오만도코로를 인질로 보내가며 화친한 것이다. 즉,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일본을 통일한 히데요시도 쉽사리 건드릴 수 없는 세력이었다. 그럼에도 히데요시가 이에야스파를 억지로 임란에 참전시키고자 했다면 조선 정벌은커녕 일본 내전이 다시 일어났을 수도 있다. 즉 애초에 병력요청이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에야스가 임진왜란에 참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임진왜란을 전 집권자의 삽질 탓으로 돌리면서 전후 조선과 다시 화친을 맺을 명분을 가질 수 있었다.[65]

조선통신사가 귀국한 직후인 1591년 9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전국의 다이묘들에게 조선 침략의 기일을 정해 통보했다. 그는 가토 기요마사에게 '원정이 성공하면 명나라 땅 가운데 20주를 주겠노라.'고 약속하기도 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1년 규슈의 북단 나고야(名護屋)에 조선 침략을 위한 전진 기지를 건설하는 공사에 돌입한다. 거리나 지형으로 볼 때 조선으로 가는 침공군을 실어 나르기에 안성맞춤인 곳이었다.[66] 그는 규슈의 다이묘들에게 기지를 건설하라고 명령하고 가토 기요마사를 축성 책임자로 삼아 속도전을 벌였다. 1591년 10월에 시작한 공사는 2달 남짓 만에 끝났다. 그동안 병력과 물자 수송에 필요한 큰 배를 건조하고 승조원들을 차출하고 군량을 운반하는 작업이 병행되었다.

당시 히데요시의 동원 명령으로 나고야 성에 결집, 후에 조선에 침공한 일본군의 주 병력 편제 및 참전 장수들의 목록. 흔히 세간에는 20만이 침공에 동원됐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16만 ~ 17만 정도. 과장해서 부풀렸을 가능성이 짙다. 당시 일본에서 히데요시가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약 30만 정도였다고 추정하는데 그 중의 절반의 병력이 동원됐다는 것은 히데요시가 조선 침공에 나름대로 사활을 걸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출처4] 참고로 조선 측 전쟁 참전 병력수는 60,000여 명, 재란 참전 병력수는 37,600여 명이었다.[출처5]

아래 편제를 보면 서 일본 내의 유력 가문의 다이묘들은 거진 다 참가했으나 동 일본 내의 무장들의 참여도는 비교적 낮다. 서 일본의 주요 다이묘는 주코쿠 지방의 모리 가문, 간사이 지방의 우키타 가문, 규슈시마즈 가문, 시코쿠 섬의 쵸소카베 가문인데 이들은 전부 참가했다.

반면에 동일본의 유력 다이묘들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더불어, 호리 히데하루, 마에다 토시이에 등이 빠졌다. 다만 초기 15만 대군에 포함 안되었을 뿐이지, 잠깐 짬을 내서 참전하거나 하다못해 군량이라도 댄 케이스는 적지 않다. 다테 마사무네, 우에스기 카게카츠, 난부 노부나오 등은 이후에 잠깐씩이나마 참전한 것으로 나와 있다. 우에스기 카케카츠의 경우 히데요시의 대리로서 3개월간 전선 감독만 하고 돌아온다. 모가미 요시아키는 참전하지 않았으나 군량을 내놓아야 했다. 가모 우지사토[69]는 병 때문에 빠졌고 전쟁 중에 죽었다. 나중에 히데요시의 유언 집행인으로 유명해진 오대로의 참전 여부만 보자면 서 일본의 모리 데루모토, 코바야카와 타카카게, 우키타 히데이에는 참전했으나, 동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마에다 토시이에가 빠졌다. 다만, 훗날의 에도 막부[70]와는 달리 히데요시 정권 하[71][72]에서 다이묘 간 영지 격차는 그리 크지 않았다.

실제로 일본내 석고[73] 10대 다이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마에다 토시이에 빼고 다 참전 했다. 다만 대부분의 유력 무장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참전한 모리 가문을 제외하면 대부분 한두달 조선에 들렸다 돌아간 수준. 즉 서부지역의 중소규모 다이묘들만 참전 하였다.

또 다른 특징은 히데요시와 히데나가의 시종 출신들이 선봉장을 맡은 것이다. 아버지의 신분조차 불분명한 히데요시는 가문 대대로 충성을 바치는 가로들이 없었다. 때문에 본인과 동생 도요토미 히데나가 휘하의 시종들을 중용했는데, 서 일본을 평정한 이후 이렇다할 공로가 없는 시종들에게 서 일본의 영지를 나누어 주고 다이묘로 신분을 격상 시켰다. 그리고 임진왜란 때 즐비한 네임드 무장들을 배제하고 이들 시종 출신 다이묘에게 선봉장을 맡기거나 기타 주요한 자리를 주었다. 히데요시의 시종 출신 다이묘들은 히데요시의 처 조카인 후쿠시마 마사노리를 필두로 가토 기요마사, 가토 요시아키, 와키자카 야스하루 등이 있다.[74] 그리고 히데요시의 동생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가신 중 유력했던 이가 바로 임진왜란 초기에는 수군 지휘관이었다가 정유재란 당시에 일본 수군 총사령관으로서 활약한 도도 다카토라이다.

이들은 위에서 언급한 네임드급 무장에 비해 영지도 작고 듣보잡에 가까웠는데 히데요시는 이들에게 선봉장 자리를 주며 키워준다는 의미가 강하다. 또한 각 군에서 제일 크고 강력한 무장이기보다는, 각군을 통제하기 위해 히데요시와 그 동생 히데나가의 심복들을 한 명씩 배치하여 대장으로 임명한 것이다.

1군 대장 고니시 유키나가와 3군 대장 구로다 나가마사는 그들의 아버지인 고니시 류사구로다 요시타카가 히데요시의 부하로 활약했고, 임진왜란 때야 처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젊은이들로 역시 히데요시의 직계 부하를 키워주기 위한 배치다.

4군 대장 모리 카츠노부는 주고쿠의 모리 가문과는 전혀 관계 없이 우연히 성이 같은[75] 사람으로, 도요토미 가문의 고참 가신이다.

8군 대장이자 총대장인 우키타 히데이에는 비젠의 효웅으로 유명했던 우키타 나오이에의 아들로 가문빨은 상당하긴 하지만 히데요시의 양자로 갓 20세의 어린 나이로 실제 총 사령관 역할은커녕 자신의 부대 지휘도 고참 가신들이 대신 해주었다. 9군 대장 도요토미 히데카츠는 성에서 알 수 있듯이 도요토미(하시바) 히데요시의 조카이자 양자.

그나마 6군 대장 코바야카와 타카카게(33만 석), 7군 대장 모리 데루모토(120만 석, 실지휘는 삼촌이자 코바야카와 타카카게의 형인 킷카와 모토하루의 삼남 킷카와 히로이에) 정도가 거대 가문 출신의 다이묘이다. 이 둘은 숙질 관계이며 이른바 오대로에 해당하는 인물들로, 일본 전체의 중신들이다.[76]

즉, 1~5군 대장들은 히데요시의 젊은 심복(4군대장만 고참 심복)이며 대부분 임진왜란 직전에 다이묘가 됨. 6~7군 대장은 히데요시와 좋은 관계인 모리가문. 8~9군 대장은 히데요시의 양자이다.

이런 시종 출신 무장들의 참여 때문에 임진왜란이 2선급 지휘관들만 참여한 전쟁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후대에 가토 기요마사 등의 명성 등을 고려해보면 참전시 군공이 적을 뿐이지 역량이 충분한 뛰어난 장수들도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전한 병사들도 오랜 전란으로 인해 전투경험이 풍부한 일본 역사 전체를 통틀어도 손꼽힐만한 정예병들이었다. 당장 일본과 맞붙은 명나라의 기록을 보더라도 일본군의 용맹함에 대해 고평가하고 있다. 또한 코바야카와 휘하에는 도요토미가 자랑하던 최고의 용장 타치바나 무네시게[77]도 있었다.

반면에 정유재란의 8명의 대장들은 심복들이 줄고, 유명 무장들이 전면 배치 되어 서일본의 올스타들이 전원 출전하였다(1~3, 8군 대장 동일. 4군 나베시마 나오시게, 5군 시마즈 요시히로, 6군 쵸소카베 모토치카, 7군 하치스카 이에마사). 단, 동일본의 무장은 여전히 불참.

한편 조선 조정에서는 일본군 지휘관들을 꽤 자세히 파악하고 있었는데, 일본측 사료에 남은 조선군과 명나라 장수들보다 훨씬 정확하다. 개전한지 반 년도 안되는 시점에 이미 주요 일본측 지휘관들 대부분을 알고 있었다.
관백 평수길대마도에 와 머물러 있고, 기집(岐集) 재상 평수충(平秀忠. 일본어로 읽으면 '다이라 히데타다'가 되는데, '기집 재상'은 도요토미 히데카츠의 별명이므로 오기인 듯)이란 자는 처음 경상도에 있었는데 전사하였으며, 가등(加藤) 주계두(主計頭)란 자는 함경도에 있으며, 흑전(黑田) 갑비수(甲斐守, 갑비의 태수라는 뜻)란 자는 황해도에 있으며, 봉두하(峰頭賀) 하파수(河波守, 하파의 태수)란 자는 충청도에 있으며,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이란 자는 개성부에 있으며, 삼(森)·일기(壹岐)[78]·도진(島津)이란 자는 강원도에 있으며, 모리요원(毛利耀元)이란 자는 전라도에 있으며, 우시(羽柴) 비전(備前) 재상 평수가(平秀家)[79]란 자는 대장(大將)으로 경성에 있는데, 목책을 설치하고 그 안에다 겹으로 담장을 치고 그 가운데는 누(樓)를 지어놓았다. 우리 백성들을 모두 목책 밖으로 내보내고서 자기 무리들만 살고 있다.

또 소서(少西) 섭진수(攝津守, 섭진의 태수) 평행장(平行長)·평의지(平義智)·평조신(平調信)[80]·평호(平戶) 도주(島主)[81]란 자는 모두 평안도를 주관하면서 평양에 있는데 거느린 적병의 수가 많고 가장 정예하여 여러 왜적들이 따르지 못하므로 선봉을 꺾거나 진을 함락할 때는 모두 이 진(陣)을 힘입고 있다. 지금 만약 아군이 먼저 평양을 꺾는다면 파죽(破竹)의 형세일 것이다. 왜승 현소(玄蘇)란 자는 평양에서 종군하고 있는데, 별다른 기술은 없고 중국의 문자를 약간 해득하기 때문에 항상 군중에 있게 한다.
선조실록 선조 25년(1592) 11월 11일 정묘 6번째 기사
또한 원정군 총대장이 우키타 히데이에고 부사령관이 이시다 미츠나리라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82] 물론, 조선 조정에서도 우키타 히데이에가 총대장이라도 별 실권없는 바지사장이라는 것도 잘 알고 있어서 우키타를 상대로 교섭을 시도하지는 않고 고니시 유키나가나 가토 기요마사를 상대로 직접 교섭했다.

참고로 조선 조정은 천황과 쇼군(관백) 및 각 다이묘[83]들과의 관계를 정확히 알고 있었다. 이미 신숙주가 쓴 해동제국기에서 천황쇼군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있으며[84] '천황은 국정과 외교 관계에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또, 임진왜란 개전 전에 통신사가 받아온 도요토미의 답서에서 히데요시 본인이 관백이라 칭했으니 조선 조정에서도 도요토미의 공식 호칭을 관백으로 불렀는데 관백(関白)은 '맡아 두고(関) 아뢴다(白)'는 뜻으로, 여기서는 물론 국정을 맡아서 천황에게 아뢰는 직책을 의미한다. 전한의 권신 곽광에게서 유래한 명칭이니, 한자를 아는 사람이라면 관백이 신하의 칭호라는 것을 모를 수가 없다.

3.1.2. 히데요시 쇼군 야망 설

21세기 근래의 일본발 설로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쇼군에 즉위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라는 설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천출이기 때문에, 쇼군 자리에 앉을 수가 없었다. 때문에, 오로지 지혜와 힘 만으로 그 자리를 차지했을 뿐인 히데요시가 죽으면, 도요토미 가문이 일본의 군통수권자로서의 권력을 대대손손 세습할 수 있는 명분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으며, 이 때문에 히데요시는 어떻게든 쇼군이 되어 도요토미의 천하를 후대에 계승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었다는 것이다.

히데요시는 덴노가와의 연줄을 강화해 관백이라는 조정의 관직을 얻었으나, 이는 허수아비 덴노가 내려준 명예관직일 뿐 아무런 실용성도 없는 말 뿐인 관직이었기에, 어떻게든 덴노에게 합법적으로 일본을 다스릴 수 있는 직위인 쇼군직을 받아내야만 했으나, 아무리 덴노와 친해본들 쇼군이란 직위는 덴노가 독단으로 내려줄 수가 있는 관직이 아닌지라, 일본의 모든 다이묘들이 납득할만한 큰 업적을 세우는데 말년의 히데요시는 전심전력으로 매달리게 된다.

그리고 히데요시는 쇼군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명분을 일본서기를 통해 발굴해내는데 성공하는데, 사실 일본 역사에서 등장하는 최초의 쇼군은 미나모토 요리토모가 최초의 막부를 세우기 위해 악용한 벼슬인 정이대장군이 아니라, 이보다 약 250년 앞선 정신라대장군이란 직위였고[85], 도요토미는 스스로 '정신라대장군'이 되어, 일본서기에 나와있는 한반도 남부의 영토(임나일본부설)를 탈환(?)하여, 이를 통해 합법적으로 쇼군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86]

때문에, 히데요시는 임란 당시 명나라를 정복한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웠어도, 정유재란 2년차로 들어가면 한반도 남부 일부의 땅만 어떻게든 확보하려 발악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반도 남부를 영구히 일본 영토로 확보해야만, 자신이 '정신라대장군'의 지위를 보존할 명분이 서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마자 모든 일본군은 한반도 남부에서 곧바로 철군해버리는데, 이는 일본땅 전체에서 한반도 남부를 경략하려는 확고한 목표의식을 지닌 인물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단 한 명 뿐이었기 때문이다.

훗날 메이지 정부의 정한론자들은 이러한 히데요시의 정치적 사상과 신념[87], 역사관까지 그대로 계승했으며[88], 이들이 히데요시를 자신들의 대외 팽창주의의 롤모델로 삼은 이유는, 실제로 정한론자들이 히데요시의 정신적 유산을 그대로 계승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히데요시가 쇼군이 되어 대대손손 일본을 다스리기 위한 명분으로 시작한 것이 조선 침공이라는 설이다.
3.1.2.1. 반론
이러한 설은 천하인이 된 히데요시의 행적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만들어 낸 낭설에 가깝다. 히데요시는 쇼군이든 관백이든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상황에서 관백이 된 것이지, 쇼군이 되지 못해서 관백이 된 게 아니다. 쇼군은 친왕과 후지와라씨, 미나모토 일문이 역임했고, 그 전신인 진수부 장군 같은 경우에는 여러 대귀족 가문이나 무가, 오슈 후지와라씨 같은 지역 호족 출신들도 역임한 바 있다. 그러나, 관백은 후지와라 일문이 아니면 할 수가 없는 일본 최고위 관직이었다. 격을 따지면, 쇼군 따위보다 관백이 훨씬 더 높은 관직이고 훨씬 더 되기 어려운 지위이다.[89]

후지와라씨의 양자가 되는 것으로 관백이 된 히데요시는 일본의 4대 성씨라 할 수 있는 원평등귤(源平藤橘. 겐페이토키츠)에 맞먹는 도요토미(豊臣)씨를 세웠다. 이것은 쇼군 따위가 되는 것보다 훨씬 더 난이도가 높고 훨씬 더 파격적인 일을 행한 것이다. 따라서, 관백이 된 히데요시가 쇼군 직책에 연연할 필요는 전혀 없었다.

관백이 된 히데요시는 천황의 대리자이자, 조정의 대표로서 전국을 통치했으나, 1580년대 후반부터 점차, 천황의 권위를 빌리지 않고 독자적인 권위를 쌓아 올리려 했다. 자신이 황족의 후예라는 설(皇胤設), 태양의 아들이라는 설(日輪設)을 써먹고 정기적으로 천황을 알현하던 일도 거의 그만두었으며 무가의 수장으로서의 면모를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히데요시는 겐지의 혈통에 집착하는 모습을 드러내거나 또 다시 노선을 변경해 관백의 권위를 강조하기도 했으며 임란 시기에는 명 황실로부터 책봉을 받아 권위를 확보하려 했다. 즉, 권위와 세력 기반이 약했던 히데요시는 불안정한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실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노선을 확실하게 정하지 못하고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히데요시는 쇼군이라는 군 통수권자로서 대대손손 세습하는 게 아니라, 관백으로서 천황을 대리해 일본 전체를 통치하는 위치를 세습할 계획을 추진했다. 그리고 그는 히데츠구를 관백으로 삼고 자신은 태합이 된 것, 히데요리의 관백 승계와 관련된 내용을 담은 유언에서 그 계획을 보여주었다. 애초에 오닌의 난이 터지고 전국 시대가 본격화된 뒤에는 쇼군의 권위도 떨어져서 일본을 다스리는 건 고사하고 본진인 교토의 주인이 수없이 바뀌는 처지였고, 이 시기가 무려 한 세기를 넘겼다. 즉, 히데요시가 천하인이 된 시점에서는 쇼군이 관백보다 나을 게 없었다. 그런 점에선 오히려 대놓고 동네 북 신세가 된 쇼군보다야 조정과 공가가 그 권위를 인정해주는 관백 쪽이 나았다.[90]

이는 과거 아시카가 막부의 성립 과정과도 맥이 통하는데, 당초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목표는 새로운 막부를 세우는 게 아니라 덴노 중심의 율령제 국가를 복구하고 그 안에서 실권자 노릇을 하는 것이었고, 이게 고다이노 덴노 정권 하에서의 권력다툼으로 어그러지자 그제서야 무사 집단을 규합해 막부를 연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정과 거리가 있는 신개척지 간토가 근거지인 역사상의 막부 가문들과 달리[91] 도요토미는 애초에 근거지랄 것도 없는 한미한 가문으로 시작했고, 기반이 된 오우미의 영지든 오사카 성이든 동일본과는 거리가 멀었다. 당연히 무가 기반의 막부 정권보다는 교토 조정의 율령제 기반의 권력을 선호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오히려 히데요시가 이런 식으로 조정을 선제 장악해버리니 안그래도 간토로 전봉당한 처지이던 이에야스는 무가에 기반을 둔 동일본 막부 정권 외에 선택지가 없었다. [92]

이 때문에 도쿠가와 가문은 에도 막부를 열고 도요토미 가문의 관백 직위를 박탈해 버렸지만, 오사카 전투 이전까지는 도요토미 가문을 자신들과 동등한 위치로 인정해야 했다. 바로 서일본에서 조정과 공가의 권력을 인정해줘야 했던 가마쿠라 막부의 초기 상황이 재현되었던 것이다. 이후, 에도 막부는 압도적인 무력으로 조정의 대표였던 도요토미 가를 오사카에서 몰락시키고 막부의 권위를 조정보다 우위에 두는데 성공했다. 불안 요소를 제거한 막부는 수백 년 동안 번영을 이뤘으나, 존황론자들의 토막 운동으로 인해 멸망하고 말았다.

3.2. 건주여진 통일

1588년 누르하치에 의해 건주여진이 통일된다. 너무 급격한 통일에 명과 조선은 바짝 긴장했으나, 명 황제인 만력제가 태업을 하는 도중이라 제대로 된 상황파악을 하지 못하고 조선은 북방에 정예병과 전쟁물자를 집중시키기 시작했다. 누르하치는 명과 조선에 수차례 화친 의사를 담은 조공을 보내왔지만 당연히 아무도 믿지 않았고 긴장상태는 지속되었다.

흔히 조선의 전쟁준비가 미흡했다는 이야기가 나도는 원인은 남도에 전쟁준비가 부족해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전쟁준비를 위한 여력이 이미 임진왜란 징후 감지 이전 수년간 북방에 소모되었던 것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3.3. 조선의 대응

파일:선조.jpg
파일:경복궁_근정전_전경 문화재청.jpg
선조 추정 어진 경복궁 근정전
왜인들이 명나라를 침범하고자 한다는 말이 유구국까지 번져 있고 조선도 이미 일본에 굴복하여 삼백 명이 투항해 가서 길을 인도하기 위한 배를 만들고 있다는 말이 퍼져 있었다.
선조 실록 1591년 10월 24일
이런 일을 겪은 뒤 귀국한 조선 조정은 일본이 전쟁 준비 중이라는 사실을 간파했으나,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극렬한 대립 중이던 조정은 당파간 세력 다툼으로 인해 일본이 침략하느냐 아니냐조차 의견이 갈렸으며 당시 집권당이었던 동인 측의 판단이 맞는 것으로 사료되어 일본은 침략할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났다고 배웠을 것이다.[93]
필시 병화(兵禍)가 있을 것이며 풍신수길의 눈빛이 반짝반짝하여 담과 지략이 있는 사람인 듯 하였습니다."
황윤길(黃允吉. 정사 正使, 서인)


김성일이 말을 마치자 류성룡이 김성일에게 말하기를, "그대가 황의 말과 고의로 다르게 말하는데, 만일 병화가 있게 되면 어떻게 하려고 그러시오?"라고 하니, 김성일이 말하기를, "나도 어찌 왜적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단정하겠습니까. 다만 온 나라가 놀라고 의혹될까 두려워 그것을 풀어주려 그런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1591년 3월 1일 기사
김성일과 류성룡의 대화는 훗날 동인의 실책을 덮기 위해 가필되었다는 설도 있다. 일본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한 이 발언 때문에 류성룡과 퇴계 이황의 수제자 자리를 다투던 거유(巨儒)[94]인 김성일은 두고두고 당파 싸움에만 집착하여 나라의 흥망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 간신으로 욕먹는다. 다만, 김성일은 세간의 인식과는 다르게 임진왜란이 터지고 난후 자기 책임을 지기 위해서 여러모로 노력을 했다. 일본군의 침입 주요루트였던 경상도 전장을 동분서주하며 의병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중앙군과의 대립을 중재하며 백성들의 구휼에도 신경썼던 실무형 인물이 바로 김성일이다. 다만 발발 이전에는 조정에서 실시하는 전쟁준비에 쓸데없다는 집단 항소를 올릴때도 참여하는등, 지속적으로 전쟁준비를 저지하였기에 위의 전쟁 이후 활약을 아는 사람들에게도 그리 좋은 평을 받지 못한다. 애초에 경상도 전장을 가게 된것 자체가 지속적인 전쟁반대에 대한 책임을 물어 결자해지 하라고 조정에서 보낸 것이지 자진해서 간것이 아니다. 저런 노력도 자신의 책임이 있음을 알았기에 어떻게든 소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쳐보기 위해 열심히 한 것이었다.

특히 일본군을 직접적으로 상대할 남부 지역의 방어에 공을 들였다. 경상 감사 김수와 전라 감사 이광, 충청 감사 윤선각은 각기 성곽을 전면적으로 보수하고 군비를 확충했다. 특히 김수가 두드러졌는데 영천, 청도, 대구, 성주, 부산, 동래, 진주, 안동, 상주와 경상 좌우병영성이 모두 증축되거나 새로 쌓았다. 단순한 왜구의 노략질 정도로 보지도 않았다. 기존 왜구는 대마도를 거점으로 섬이 많은 경상 우도와 전라도 지역을 침탈하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만약 왜구의 침탈 정도로 생각했다면 경상 우도와 전라도 지역을 집중적으로 강화했을 것이다. 그러나 조정은 왜구의 주 공격루트가 아니었던 경상 좌도 방어에도 심혈을 기울여 2개의 첨사진만 있던 부산 - 동래 방면에 1개 만호진을 통합시키고 6개 만호진을 이전시켰다.

김수는 축성 인원 확보를 위해 백성들 뿐 아니라 유생들까지 동원했다. 향교 교생을 뽑는 고강을 엄격히 실시하여 낙강 유생들을 모조리 충군시켰고 이로인해 지역 사족층과 크게 충돌하기도 했다. 선조는 재위 기간 내내 방군 수포의 폐단을 잡으려고 적잖이 노력했다. 이로 인해 1570년대부터 부족한 군액을 보충하는 작업이 행해졌고, 1590년대에는 30만 이상의 군액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백성들이나 식자층의 시각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김수는 사족층과 사이가 틀어지면서 전쟁 발발 후에 곽재우와 크게 충돌했고 선조는 성을 높일수록 민심이 피폐해졌다며 전쟁 준비로 인한 민심 이반을 인정했다. 의병장 곽재우의 첩 장인인 이로는 동년배 친구였던 류성룡에게 서신을 보내 우리 고을 앞에 정암진이 있는데 왜적이 어찌 날아서 쳐들어올 수 있겠나?며 축성에 반대했다.[95] 하지만 조정은 꿋꿋이 전쟁 준비를 진행시켰고 이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조선이 반격을 감행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다만, 김성일의 상소로 몇몇 공사를 중단하는 등, 사회의 반발을 이기지 못해 준비 속도는 상당히 더뎠다.

또한 유능하다고 판단된 장수들을 남쪽 위주로 배치하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종 6품 지방의 현감[96]였던 무명의 장수를 전쟁 발발 1년전인 1591년 2월 13일, 공을 세우라는 전교와 함께 단 하루만에 8단계를 뛰어넘어 정3품 전라 좌도 수군 절도사로 초수하기도 했다.[97] 그 외에 이억기, 이천, 양응지, 원균 등 당시 이름 있는 장수들을 대거 남쪽으로 배치했다.

을묘왜변도 겪었던 조선이기에 전쟁 준비를 하고 있긴 하고 있었다.[98] 하지만 조선으로서는 어디까지나 상식적인 수준에서 대비를 했고 김성일은 잘못된 보고를 한 탓에 파직되었다. 일본군의 규모를 수만 명 정도로 예상했다는 점과 통신사의 귀국(1591년) 이후 1년 남짓한 준비 기간은, 1585년부터 7년 이상 전쟁을 준비한 일본보다 부족했다. 이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조선이 일본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데 한계가 컸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조선은 조선 통신사를 파견하는 한편 일본이 조선으로 보낸 일본 국왕사를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일본 내부 정보를 꾸준히 수집했었다. 그러다 1467년 오닌의 난을 기점으로 일본이 전국시대에 돌입해 내부 사정이 혼란해지면서, 파견간 조선 통신사들이 조난당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생기면서 1479년~1590년동안 조선 통신사 파견이 이뤄지지 않아 사실상 직접적으로 정보 수집을 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조선에 들어온 일본 국왕사나 왜관에 들어온 일본인, 대마도를 통해 일본 관련 정보를 수집해야만 했다. 문제는 조선측에서 직접 정보를 수집할 방법이 없다보니 일본측에서 제공한 정보를 그대로 믿기가 어려웠다. 특히 공식적인 외교창구였던 대마도는 조선 일본 양국간의 이중 종속관계를 유지하고자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보를 부분적 내지는 가공해서 조선에 제공했다. 대마도가 몇 안 되는 정보 창구인지라 조선으로선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방법밖에 없었다.

1590년 조선은 조선 통신사를 파견해 일본의 조선 침공 정보를 수집했으나 근 100여 년 동안 정보가 없어 이해하기 어려웠던 데다 이듬해 명나라가 조선이 일본을 인도하여 명을 치려고 한다는 소문을 듣고 조선을 의심하는 외교적 마찰이 벌어지면서 일이 꼬였다. 즉 정확한 전쟁 정보를 입수했으나 정치적, 외교적 문제가 겹치는 혼선이 발생하여 일본이 왜, 어떻게, 얼마나 쳐들어 오는지 정확히 알기가 어려워졌다. 결국 조선으로선 조선 전기에 있었던 삼포왜란 등의 경험을 토대로 그저 규모가 좀 더 커진 (일반적인) 전쟁으로 예상해 준비할 수밖에 없었다.

일례로 1589년 8월 1일 석강에서 을묘왜변의 일을 상고하면서 선조가 "왜적 수만명이 쳐들어올 가능성도 있을까?"라고 묻자 비변사 제조 변협의 대답은 "걔네 배 한척에 100명밖에 못 태우는데 100척 띄워봤자 1만명밖에 안 될걸요?"였다. # 변협은 을묘왜변에서 공을 세워 출세가도를 달렸고 바로 2년 전에는 전라우도방어사로 녹도 일대를 침공한 왜적을 막아내기도 했는데 그런 군사전문가조차 일본의 대규모 침공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봤던 것이다.

이전까지 많은 사례가 있었던 북방으로부터의 침공에서도 10만 이상의 대병력을 동원해 쳐들어온 나라는 수나라, 당나라, 요나라 정도로 의외로 많지 않으며 마지막 사례인 요나라와의 전쟁도 16세기 말 기준으로 거의 600년 전의 일이었다. 물론 여요전쟁 이후로도 14세기말 홍건적들이 10만~20만 수준의 규모로 고려에 쳐들어온적은 있었는데 이 사례 역시 당시 기준으로 거의 200년도 더 이전의 일이었는데다가 이마저도 홍건적이 워낙 강적이라 고전한 게 아니라 당시 고려 상황이 워낙 막장이라 고전한 것이다, 이 당시 홍건적은 제대로 된 군대가 아니라 규모만 큰 도적떼나 다름없었다. 즉, 조선으로서는 어디까지나 상식적인 수준에서 대비를 했다. 문제가 2개 있는데, 첫째는 그 상식이 백 년 전의 상식이었다는 것이고, 둘째는 그 백 년 이후의 상식으로 가늠해 봐도 히데요시가 미친 수준으로 대군을 모았다는 것이다. 두 가지 의미에서 상식을 뛰어넘는 규모의 대(大)재앙이 닥쳤다는 것.[99][100]

여기에 전략적, 외교적 측면에서도 무한정 남부 지방 방위에 몰빵할 수가 없었다. 조선의 재정 및 인구 여건상 남부 지방에 군단급 이상의 상비군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북방의 방위력을 일부 희생시켜야 했는데, 고려 초부터 지속된 북방에서의 군사적 위협을 생각하면 이것도 무작정 강행할 일이 아니었다. 당장 니탕개의 난이 터진지 10년도 채 안 된 시점이었고, 200년 전 이야기지만 공요군 4만명을 일으켜 출정하자 남방이 다시 왜구로 들끓어 골머리를 앓던 역사가 있었는데 당연히 그 역도 성립할 수 있었다. 실제로 전쟁 발발 초기 조선의 판단은 일단 삼남과 북병을 소집하면 막아볼 수 있다는 것이었고, 어쨌거나 5만이 넘는 남도근왕군이 소집되어 수도권 방위를 시도하기도 했다.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조선도 작정하면 10만 이상의 대군을 모을 수는 있었지만 그 막대한 생산인구를 징집해서 붙들고 있느니 차라리 고향에서 농사를 짓게 하고 명군에게 군량을 대주는 쪽이 싸게 먹힐 지경이었다. 중국발 군비제한도 문제인데, 당장 왜와 손잡고 명을 침공한다는 참소를 받는 마당에 10만 대군을 일으킨다고 하면 왜란을 걱정하기 이전에 명에서 어떻게 나올지부터 걱정해야 했다. 실제로 중국 왕조들은 임진왜란을 겪은 이후에도 조선의 군비에 지속적으로 제한을 가했으며 군비 확충 명분으로 일본의 재침을 거론해도 씨알도 안먹힐 지경이었다.[101]

그 다음 문제는 남부 중에서도 어디가 1선이냐는 것이었다. 현대인들이야 임진왜란 사례와 오늘날 경부간선을 보고 당연히 부산으로 넘어오는 것이 상식 아니냐고 생각하기 쉽지만, 당시 조선 정부가 생각한 주전장은 경상도가 아니라 전라도(+경상우도)였고, 당장 위의 1589년 8월 1일 석강 기사에서도 주전장을 전라도로 상정하고 토론하고 있었다. 임란 이후인 1601년에도 남부의 방비 문제를 논하면서 선조가 대놓고 "을묘왜변 이후에 왜적이 전라도로 올 거라고 생각했는데 부산으로 와버렸잖냐?"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당연할 수밖에 없는 게 이전까지의 일본발 침공은 대부분 뜯어먹을 게 풍부한 전라도 등 서남해안 지역을 노리고 직공해왔고, 심지어 세종대에는 황해도 연안까지 왜구가 침공한 적도 있었다. 실제로 대마도를 기준으로 부산과 그 서쪽의 거제는 거의 비슷한 거리이고,[102] 전근대 조선의 교통여건 상 부산에서 출발해 백두대간을 가로지르는 한성행 육로는 효율이 심각할 정도로 낮아서 결국 호남을 점령하지 않고서는 죽도 밥도 못 될 상황이었다.

즉, 조선 조정 입장에서 보면
1. 상륙해봤자 백두대간 넘다가 힘 다 빼고 보급도 제대로 안 될 경상도 방면 육로 방어선에 투자할까?
2. 서남해안 통해서 곡창지대 장악하고 수틀리면 경강까지 쳐들어올 수 있는 전라도 방면 육해로 방어선에 투자할까?

라는 문제였다.

김수가 유독 악명이 높았던 것도 경상도 지역은 대체적으로 왜변에 크게 노출된 경험이 없는지라 지역민들이 필요성을 절감하지 못했던 게 컸다.[103] 결국 조선 측의 결정은 이미 수많은 사례가 쌓인 전라도 방면에 투자하는 것이었고,[104] 이는 임란 초기 경상좌도 지상군의 총체적 붕괴에도 전라도를 굳건하게 지켜내어 반격의 발판을 만드는데 기여했다.[105]

더구나 이전 고려를 공격했던 일본 무력집단은 어디까지나 왜이 아니라 대다수가 왜였으며,그 수효 또한 수만 단위를 넘지 못했다. 따라서 당시 조선의 입장에서 일본이 한반도를 공격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그 목적성을 노략질로 볼 수밖에 없었다.따라서 조선 조정의로서는 큰 규모의 전투 없이 수백년간 글공부와 당파싸움이 아닌 물리적인 싸움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평화에 찌들었던 조선과는 달리 천하통일을 목적으로 한 피도 눈물도 없는 전국시대를 겪은 뒤 수십 수백명을 죽여본 경험풍부한 병사와 지휘관들을 거느린 일본의 조선 멸망전이라고 볼 수 있을 근거가 단 하나도 없었다는 것.

사실 조선의 전쟁준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첫째는 병력의 규모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했다는 점이지만 둘째는 그 예측치를 뛰어넘는 과도한(?) 전쟁준비를 추진하면서 그 필요성을 설득력있게 제시하지 못했다는 데 있었다. 즉 왜적이 1~2만 정도라는 전제 하에서는 잘해야 해안가 지역 좀 축성하고 정 불안하면 남강 연안에 방어진지 정도 구축하면 될 것을 왜 구태여 유생까지 동원해가며 내륙지역에서까지 난리를 치냐는 것이 당시 경상우도 유림들의 불만사항이었다.[106] 위에서 소개한 이로의 편지도 당대의 예측에 의거하면 꽤 상식적인 소리긴 하다. 해안가 요새들을 돌파해 남강 연안까지 당도할 때쯤이면 이미 그야말로 민병대에게도 썰려나갈 수준일테고, 실제로도 정암진에서의 전투 결과도 그랬으니까.[107] 그럼에도 정작 전쟁이 터지자 관군이 일패도지하고 그동안 피땀흘려 준비한 전쟁대비책들이 아무 쓸모가 없는 꼴을 목도했으니 전쟁 초기 부왜배들이 속출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결론적으로 조선은 붕당으로 싸우기만 하고 전쟁 가능성을 부정하기만 한 게 아니라 남쪽 전장을 중심으로 전쟁에 대한 준비를 착실하게 하고 있었다. 문제는 준비 기간이 너무 부족했고, 그 전의 왜구들의 왜적질보다 좀 더 큰 국지전 정도를 예상한 것과 달리 일본은 전처럼 적당히 싸우고 물러갈 생각 따위는 전혀 없었고, 20만의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조선을 밟고 지나 바로 명나라로 진격하는 목적으로 한 대규모 출병으로 전쟁을 일으켰다. 설령 정확히 예측을 했다 해도 고질적인 재정부족과 전략적, 외교적 고려사항 등 발목을 잡는 문제가 한둘이 아니었다. 즉, 어느 정도 전쟁에 대한 준비는 했으나, 오랜기간 지속된 평화도 그렇고 갑작스러운 전쟁 준비로 인해 조선 내 사회의 반발이 심했고, 일본이 벌인 전쟁의 규모가 조선 조정의 예측을 아득히 넘어서버린 것이다.[108]
결국, 조선도 여러가지 상황들로 인해 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당시 조선의 상황이 좋지 않아서 선조가 함부로 전쟁 대비를 하기에는 백성들이 너무 힘들어했고, 전쟁 대비를 꽤 많이 했다고 해도 일본군의 규모가 적으면 그 책임 또한 선조가 책임져야 했기 때문에 일본군에 걸맞은 규모의 대비는 할 수 없었다.[109]

4. 병력 구성

4.1. 조선의 병역 체계

조선의 군대는 크게 일반병인 정병과 수군 그리고 직업군인 오위로 나누어진다. 조선의 군역체계는 매우 복잡해 한국사 시험난이도를 높이는 주범 중 하나로 꼽힐 정도라 이 문서에서는 임진왜란과 연관된 내용 위주로 설명하고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문서를 참고바람.

4.1.1. 정군(正軍)

원래 조선의 병력 체계는 양인개병제로 모든 양인[110](16세~60세)은 군역의 의무를 지며, 평소에 농사를 지다가 순번이 되면 1~2개월씩 현역복무를 해야 했다. 이때까지는 양반도 군역을 져야했다. 3정1군의 자연호별로 편제해서 가족원 성인 남성 3명 중 한 명이 복무하면 나머지 두 사람이 면제되는 식이었으며 이것이 봉족제다.

그런데 아들이 없는 사람은 맨날 군역만 져야 하고, 가난한 사람은 군역을 지면 농사를 못해 먹고 살길이 없었다. 세조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유있는 사람이 정병이 되어 현역복무를 하게 하고, 가난한 사람은 정병에 포를 바쳐 재정을 돕게 만들었다. 이렇게 군역을 지는 사람을 정군 혹은 정병(正兵)이라 하고, 군포를 바치는 사람을 보인(봉족)이라 하며 이것을 보법(保法)이라고 한다. 갑사는 2보(4명), 정군은 1보(2명), 수군은 1보1정(3명)에게서 포를 받는다. [111]

한편 부득이한 사정으로 현역복무(입번(立番)이라 한다)할 수 없는 사람은 1달에 베 3필, 또는 쌀 9말을 징수하게 했는데 이것이 방군수포제였다. 그런데 보법의 시행으로 군역대상자는 늘었는데 보인의 수가 줄어들자 정병에 포를 바칠 사람이 줄어들게 되었다. 게다가 현역으로 복무해야 하는 사람도 입대하기 싫어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내고 재물을 주는 행위도 빈번했다. 결국 원래 불법이지만 방군수포제가 워낙에 성행하여 결국 중종때 이를 법제화해 군적수포제로 바꾼다. 군적수포제는 지방 수령이 관할 지역의 장정으로부터 연간 군포 2 필을 징수하여 중앙에 올리면, 병조에서 이것을 다시 군사력이 필요한 지방에 보내어 군인을 고용하게 한 제도였다.[112] 또한, 이때부터 양반은 모든 군역에서 면제되고 군포도 내지 않아도 되며, 양반이 다시 군역을 부담하게 되는 것은 흥선대원군이 호포제를 도입한 이후였다. 이렇게 조선의 군대는 모병제에 가깝게 변화한다.

즉, 조선의 군사 제도는 만인개병제→선별징병제→준모병제로 바뀌었다. 농사만 짓는 일반 농민은 군사가 되지 않고 면포를 받아 생활하는 정병이 조선의 군역을 책임지게 되었다. 물론, 정병도 완전 상비군이 아니라 평소에는 농사짓다 순번마다 돌아가며 복무하는 반농반병의 신분으로 모병제에 가까운 일본의 아시가루와 상당히 유사하다. 당연히 병력 수는 양인개병제였던 조선 초기보다는 크게 감소하게 되지만 그래도 이들이 전쟁 기간 내내 조선군의 주력이 된다.

학자들은 임진왜란 당시 인구를 약 1000만으로 보고 있는데[113] 근거는 1626년 호패청의 기록에서 발급된 인구가 226만이라는 기록이다. 전쟁으로 감소한 인구가 약 30년간 회복되었을 것을 감안하면 1626년의 인구가 임란이 일어난 1592년과 비슷할 것으로 본다. 호패호패법에 따라 군역과 납세를 위해 성인 남성에게만 지급되니까 여성을 합치면 약 450만, 호패가 지급되지 않는 미성년자와 노령층을 합치면 약 800만, 기타 국가에서 파악하지 못한 인구를 약 200만 정도로 잡는다.

성인 남자 220만여 명 중 약 40%는 노비고, 7~8%는 양반이니 실제 군역을 담당하는 인구는 대략 120만 정도다. 이 중 직업군인이 약 2만 3천명에 1명당 보인 4명이 붙고, 수군은 약 4만 명에 1명당 보인 3명이 붙으니 대략 30만 명 정도가 여기에 해당한다. 남은 90만이 정군에 해당하는데 정병 1명당 보인 2명이 필요하니 수치상 동원가능 병력은 30만 정도이겠으나, 장부기록의 불일치는 여러 번 지적되었고, 질병이나 장애 등으로 복무가 힘든 인원, 늘상 따라붙는 행정적 착오 등을 종합하면 실제 동원가능한 정군은 약 20만 명(+보인 40만) 전후일 것이다. 이는 아래 기록된 실제 운용된 병력과 대략 일치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이 병력들은 상비군은 절대 아니고, 평소에는 상번군 약 4만 명이 돌아가면서 훈련받다가 전시에 전원 동원된다.

다만 인조 재위 초기에는 호패를 차고 다니지 않으면 효수하겠다는 강경책을 쓴 덕에 호적에 등록되어 호패를 차고 다니는 비율이 이전에 비해 증가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정군과 보인에는 양반층과 노비만 빠졌던 것이 아니다. 일단 향리, 율생, 의생등 중인층에 해당되는 사람 상당수가 정군과 보인에서 제외되어 잡색군에 소속되었다. 이들뿐만 아니라 여러 장인들, 고공, 무당, 백정 등을 포함한 여러 직역들도 정군과 보인 체계에서 제외되어 잡색군에 소속되었다. # 양반들과 노비들도 마찬가지로 잡색군에 소속되었다.

그리고 위의 문단에서 호패청에서 발급된 호패의 수가 226만이라는 기록을 근거로 당시의 남정 수가 226만이였다는 서술이 있는데 정확히 말하면 이전에 기록된 것이 103만, 호패청이 완성해 올리는 책에 나오는 것이 123만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1639년 만들어진 호구총수에 나오는 인구 수가 200만에 미치지 못하는 점, 그리고 인조 4년 호패법 시행 결과 전국의 인구가 120만 수준이였다는 장만의 발언# 등과 종합해서 보면 인조 4년에 호적에 등록된 남정의 수는 123만 정도였고 226만은 이전에 조사된 결과가 중복 집계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직전 시기의 호적에 등록된 군정의 수는 35만명 정도이며 중종 20년 6월 13일의 기록에 따르면 중종 20년의 정군의 수는 18만 6,691명, 잡색군은 12만 5,074명이였다. 잡색군도 전시에는 동원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종 시기에 전시에 최대로 동원할 수 있는 군사는 문서상으로는 30만 수준, 임진왜란 직전의 시기에는 35만 정도였다. 물론 잡색군의 경우 훈련도 제대로 받지 않는 이들이 대부분이였기 때문에 동원해도 큰 도움은 안 됐다.

병력 수로는 상당하지만 200년간 평화가 지속되던 조선의 군사훈련이 대충대충이었을 거라는 점을 유추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반면, 일본의 아시가루들은 오닌의 난부터 100년 넘게 이어진 전국시대로 실전에서 살아남고 단련된 베테랑 병사들이었으니 숫자만으로는 조선군이 도저히 상대가 안되었다. 용인 전투에서 동원된 8만(혹은 5만)의 근왕병 대다수가 바로 이 정군이었는데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지휘한 고작 일본군 1600여 명에게 와해된 것으로 그 실태를 짐작할 수 있다. 그래도 조선 병사들도 실전경험이 쌓이면서 전쟁 초반의 추태는 차츰 줄어들게 된다. 그 예가 방금 언급된 전라도 근왕군으로 용인 전투에서 처참히 패배한 코바야카와 타카카게가 전라도로 밀고 들어왔을 때 웅치 전투, 이치 전투에서 숫적 열세 임에도 용인전투의 패잔병들이 맞나 싶을 정도로 자리를 사수하고 치열하게 싸웠으며 나중에는 권율, 황진과 함께 다시 한번 북진하여 독성산성 전투,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4.1.2. 조선 수군

조선 수군도 기본적으로는 정병과 같은 제도를 따라 정병 대상자 중 일부를 수군으로 편제하는 식이었다. 수군은 대표적인 3D 직책으로 고되고 열악한 근무조건 탓에 아주 인기가 없던 군역이었다.[114] 때문에 방군수포제로 돈 주고 빼는 일이 비일비재했고, 인원이 모자라서 양천불명자나, 죄인으로 충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때문에 요역 담당자가 부담해야 하는 면포도 3필로 육군인 정군의 2필보다 많았다.[115] 그래도 기피하는 사람이 많자 성종대에 아예 수군을 강제로 세습되게 바꾸어 버린다. 이렇게 고된 직책이라 조선 후기에는 수군이 칠반천역 중 하나로 천시되었다.

4.1.3. 오위(五衛)

한편 농민군인 정군만으로 모든 국방을 감당하기 힘드니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것이 중앙군인 오위였다. 수도를 지키는 경군(한양에 주둔하던 군대) 대다수가 오위에 해당한다. 오위에는 시험을 통과한 직업군인인 갑사, 별시위, 파적위 등과 농민군인 정병, 그리고 왕실 종친 및 공신의 자제들로 구성된 충의위, 충찬위, 족친위 등[116] 이 모두 소속되어 있었다. 즉 오위군 전부가 숙련된 직업군인은 아니었다.

갑사[117]는 태종 1년부터 국가의 녹을 받는 상비군으로 편제되었다. 원래는 양반들이 주로 하던 직책으로 특히 기갑사(기병)는 서양의 기사들처럼 본인이 말을 준비해야 하니 부유한 자제가 아니면 하기 힘들었다. 일반 보병도 무장과 갑옷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서양의 맨앳암즈와 비슷해 서양에서는 맨앳암즈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

대우도 좋아서 과전과 녹봉을 받았고, 만호(종4품의 무관)나 지방관으로 승진할 수도 있어서[118] 조선 초기에는 경쟁이 심해 시험도 어려웠다. 어차피 이때는 양반도 군역을 져야 했는데, 갑사가 되면 일반 군역에서 빠지는 데다 봉록도 받고 잘하면 벼슬도 할 수 있으니 인기가 좋았다. (현대 단기하사처럼 어차피 가야 할 군대면 월급이라도 받자! 정도)

하지만 군적수포제 실시 이후 어차피 양반은 군 면제 대상이 되어 군역을 질 필요가 없어지니 갑사도 기피하는 경향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갑사가 되는 것은 일반 양인들이었고 대우와 지위도 조선 초기에 비해 나빠지게 되었다. 그래도 직업군인인 만큼 일반 농민병인 정병보다는 훨씬 정예병력이었다.

갑사의 규모는 편제상으로는 14800명이였고 중종 때 정원이 초과되었다는 기록이 나오는 걸 보면 이때까지는 수가 부족하지는 않았다. # 하지만 명종~선조 시기에 갑사의 수가 감소하면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경이 되었다.

현대의 대통령 경호처에 상당하는 금군(내금위, 겸사복, 우림위)[119]은 병력 약 7백여 명을 거느렸고, 그 밖에 국왕의 친위군이라 할 수 있는 별시위[120]와 한량들을 모아 만든 특별 군사조직인 정로위[121]가 있었다. 이들은 취재를 통해 선발된 직업군인인 만큼 일반 농민병인 정군보다는 상당한 훈련도를 자랑했다.

신립이 경군에서 기병 8천여 명을 경군 중 차출해서 탄금대 전투에 참전하였다는 기록을 보건데, 여타 경군 병력도 최소 8천여 명은 되어 보인다. 물론 8천 명의 자질과 숙련도는 별개지만 말을 탈 수 있었다는 점으로 이들 중 상당수가 직업군인인 기마갑사 및 별시위임을 추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류성룡의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약 2만 3천여 명으로 구성되었다.

4.1.4. 조선의 방어 체계

조선의 기본적인 방어 체제는 제승방략 체제로 전시에 각 군의 병력을 한데 합친다음 중앙에서 장수를 내려보내서 이를 지휘하게 하는 체제로 전쟁 당시 여러 문제점을 보여 전후 속오군체제로 개편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제승방략, 진관 체제 문서 참고 바람.

4.1.5. 조선군의 병력 구성

위 병역 제도를 통하여 조선이 실제로 가용한 병력이다. 임진왜란 개전 당시의 병력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파악하기 힘드나 개전 1년 뒤인 1593년 1월 조선군의 병력이 얼마인지는 사료가 남아있다. 이하는 장부상 병력이 아니라 실제 운용중이던, 혹은 최소한 운용중이라고 조선 조정에 보고된 병력들이다. 출처는 조선왕조실록.#
<경기도> - 19,300명
강화부(江華府) 전라도 절도사 최원(崔遠)의 군사 4,000명
경기도 순찰사 권징(權徵)의 군사 400명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의 군사 3,000명
의병장(義兵將) 우성전(禹性傳)의 군사 2,000명
수원부(水原府) 전라도 순찰사 권율(權慄)의 군사 4,000명
양주(楊州) 방어사(防禦使) 고언백(高彦伯)의 군사 2,000명
양근군(楊根郡) 의병장 이일(李軼)의 군사 600명
여주(驪州) 경기 순찰사 성영(成泳)의 군사 3,000명
안성군(安城郡) 조방장(助防將) 홍계남(洪季男)의 군사 300명

<충청도> - 10,800명
직산현(稷山縣) 절도사 이옥(李沃)의 군사 2,800명
평택현(平澤縣) 등처의 장관(將官)들이 각각 수백 명을 합해서 약 3,000여 명
각처의 의병 합해서 약 5,000여 명

<경상도> - 77,000명[122]
경상좌도 안동부(安東府) 순찰사 한효순(韓孝純)의 군사 10,000명
울산군(蔚山郡) 절도사 박진(朴晉)의 군사 25,000명
창녕현(昌寧縣) 의병장 성안(成安)의 의병 1,000명
영산현(靈山縣) 의병장 신갑(辛碑)의 군사 1,000명
경상우도 진주(晉州)에 순찰사 김성일(金誠一)의 군사 15,000명[123]
창원부(昌原府) 절도사 김시민(金時敏)의 군사 15,000명[124]
합천군(陜川郡) 의병장 정인홍(鄭仁弘)의 군사 3,000명
의령현(宜寧縣)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군사 2,000명
거창현(居昌縣) 의병장 김면(金沔)의 군사 5,000명[125]

<전라도> - 25,000명
순천부(順天府) 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의 수군 5,000명
우수사 이억기(李億祺)의 수군 10,000명
각처에 나누어 주둔한 조비군(措備軍) 10,000명

<함경도> - 10,200명
함흥부(咸興府) 절도사 성윤문(成允文)의 군사 5,000명
경성부(鏡城府) 평사(評事) 정문부(鄭文孚)의 군사 5,000명
안변부(安邊府)·별장(別將) 김우고(金友皐)의 군사 100명
조방장 김신원(金信元)의 군사 100명

<강원도> - 2,000명
인제현(麟蹄縣) 순찰사 강신(姜紳)의 군사 2,000명

<평안도> - 17,903명[126]
순안현(順安縣) 절도사 이일(李鎰)의 군사 5,680명
법흥사(法興寺)에 좌방어사 정희운(鄭希雲)의 군사 2,273명
의병장 이주(李柱)의 군사 370명
소모관(召募官) 조호익(曺好益)의 군사 300명
용강현(龍崗縣)우방어사 김응서(金應瑞)의 군사 7,770명
조방장 이사명(李思命)의 군사 1,090명
대동강 하류 수군장[舟師將] 김억추(金億秋)의 군사 420명

<황해도> - 8,800명
황주(黃州) 본도 좌방어사 이시언(李時言)의 군사 1,800명
재령군(載寧郡) 우방어사 김경로(金敬老)의 군사 3,000명
연안부(廷安府) 순찰사 이정암(李廷馣)의 군사 4,000명

이상 합계 172,400명.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1593) 1월 11일 병인 15번째 기사)

다만 이 기록에서도 "적의 향방에 따라 기회에 따라 진격하므로 주둔하거나 가는 곳을 확실하게 지적할 수 없으며 또한 군사의 수효도 첨가되거나 나뉘어져서 많고 적음이 일정하지 않다."라고 했다. 그러니 어느 정도 중복집계 되거나 가감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이중 의병의 병력 20,000여 명을 제외하면 조선 정규군은 15만 명 정도라고 사료에 기록되었다. 그런데 1593년 1월은 선조가 의주에 피난가 있고, 고니시 유키나가의 1군이 평양성을 점령하고, 가토 키요마사의 2군은 함경도로 진격중인 임진왜란 최대의 위기 상황이었다. 때문에 경상도, 충청도, 경기도 등이 멀쩡하던 임진왜란 개전 당시 최대 동원 가능한 병력은 이보다는 많았을 것이다. 또 다른 자료로는 류성룡이 선조에게 올린 보고서인 '진시무차'(1594년 4월)의 내용이다. 군적상 조선군 전체 군인수 145,620명, 그 중 정로위, 갑사, 별시위가 23,620명, 정예군 중 군사 7,920명 보인 15,700명. 위 자료와는 달리 의병은 기록에서 빠졌다.

그 밖의 다른 자료로 1509년의 조선 병력은 "이 해에 군적(軍籍)을 고쳤는데, 정군(正軍)이 177,322명, 잡군(雜軍)이 123,958명이었다."(중종실록 10권, 중종 4년 12월 30일 정사 7번째 기사) 전쟁 당시에도 이 병력과 큰 차이가 없다면 총 병력은 30만, 전투병인 정군은 18만 정도를 동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즉, 모든 자료를 종합해 볼때 개전 당시 조선이 운용한 관군의 전투 병력은 약 18만 내외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조선 수군의 개전 초기 병력은 약 3~4만 이상으로 추정되는데[127] 위 1593년 1월의 자료에 남아있는 기록상으로는 15,420명에 불과하다. 이렇게 된 원인은 개전초기 경상좌수사 박홍이 도주하고 경상우수사 원균이 보유 군선을 자침시켜 조선 수군 중 가장 많은 병력을 보유했던 경상도 수군이 통째로 와해되었기 때문이다.

이 많은 조선군이 어디서 뭘했길래 주요 전투에 안보였냐고 묻는다면, 원래 전쟁이란게 최일선 병력만으로 하는 게 아니다. 일본군도 임진왜란 초반 핵심전투인 부산진 전투, 동래성 전투, 상주 전투, 탄금대 전투, 평양성 전투 등은 모두 고니시 1군의 18,000여 명이 주도적으로 치르었고, 가토의 2군 22,000여 명이 그 다음으로 많이 싸웠고, 나머지 10만이 넘는 일본군들은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충청도, 황해도 등 조선팔도 각지에 흩어졌는데 이들과 대치한 게 이 병력들이다.

양적으로 조선의 병력은 상당했지만, 누차 언급되었다시피 이 병력들은 질적으로는 좋지 못했다.[128]

이상은 임란 초반의 병력 상황이고 정유재란 당시에는 조선의 재정이 그 동안의 전란으로 많이 악화된 데다 선조가 전후 복구를 위해 병력들 상당수를 고향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바람에 병력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그 빈 자리들을 명나라 군이 상당 부분 다시 채워주었다.

4.2. 일본군 병력 구성

최종 동원 병력 288,710명 + @
동원 선박 2,100여 척 이상[138]

5. 전쟁의 경과

5.1. 전쟁의 시작

8천 조선군, 16만 대군과 맞서다
전쟁 발발 전인 3월 23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슈인조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등에게 조선출병을 명했으니 너(가토 기요마사)도 전장에 나가라. 이국(조선)의 자(者)는 그렇게 강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방심하지 않도록 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는 공문을 전국에 보냈다.#

1592년 4월 13일(양력 5월 23일)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시작되었다.[139]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700척 18,700명(경상 우수사 원균은 90척, 경상 감사 김수는 400척으로 보고)을 이끌고 제일 먼저 침공했다. 갑작스레 적의 대군을 맞은 부산진 첨사 정발은 매뉴얼대로 백성들을 성안으로 대피시키고 배 3척을 자침시킨(전선, 중선, 방패선 각 1척) 다음 600명이 채 안되는 병력으로 끝까지 싸우다 전사했다.[140][141] 개전 직전 서평포(부산 사하구 일대)와 통합된 다대포진 군사들도 첨사 윤흥신의 지휘 아래 14일 ~ 15일 이틀에 걸쳐 싸우다 전멸했다. 남동부 방위 중심지인 동래성에는 개전 하루도 채 되지 않은 4월 14일 경상 좌병사 이각과 양산 군수 조영규, 울산 군수 이언성의 병력이 집결했다. 경주 판관 박의장과 밀양 부사 박진이 도착하기 전에 동래성은 이미 포위되었다. 경상 좌수사 박홍도 군사들을 소집해 육전에 나섰다. 외침에 대비한 매뉴얼이 사전에 만들어져 있었고 급박한 상황에서도 작동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군은 너무 많고, 또 강했다. 동래성도 하루를 버티지 못했고 동래성 북쪽 소산역에 진을 친 박진의 군사 500여 명도 압도적인 수적 열세에 손쉽게 무너졌다.

경상 좌수사 박홍은 동래성 구원에 실패한 후[142] 경상 좌수영의 함선을 자침시킨 후 경주로 퇴각했고 경상 좌병사 이각은 자신이 지휘해야 할 울산의 경상 좌병영 군사들을 내버린 후 북쪽으로 달아나 버렸다. 이에 따라 울산과 경상좌도 지역은 무방비 상태가 되었으며 관군에 의하여 방어되지 못하였다. 결국 회야강 전투에서 관군이 패배하고 경상좌병영과 울산군이 순식간에 함락되면서, 경주와 언양 등지에서 방어는 사실상 전무하게 되었다. 이후 울산과 경주지역 의병들이 모여서 경상좌병영과 일대 지역을 탈환해보려고 하였는데, 바로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이다.

분군법에 따라 동래성을 지키러 떠난 양산 군수 대신 양산을 지키던 영산 현감 강효윤은 4월 17일 일본군 선봉대의 공격을 받자 동래읍성 북문으로 빠져나와 밀양으로 퇴각했다. 4월 18일 고니시 군의 본대가 양산에 입성했다. 1차 방어선이 무너지자 박진은 영남에서 북상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낙동강변 험로 황산과 작원 잔도에 2차 방어선을 쳤다. 진주에서 개전 소식을 접한 경상 감사 김수는 4월 16일 낮 밀양에 도착해 도내 총동원령을 내리고 진주와 함안의 군사들을 동원해 박진을 지원하고자 했다. 당시 박진이 거느린 군사는 너무 적어서 황산과 작원관 전체 구간을 방어하긴 무리라고 판단한 후, 작원관의 끝부분만 차단하고 있었다. 그리고 황산 잔도를 건넌 고니시 군 선봉대는 작원관에서 박진 군과 교전을 벌였다. 전투는 상당히 치열했는데 선두가 차단된 고니시 군 선봉대는 주력 일부를 금병산 능선으로 우회시켜 조선군의 배후를 차단해 포위 섬멸을 시도했다. 허를 찔린 박진 군은 무너지고 박진은 간신히 빠져나와 밀양성에 불을 지르고 가족을 대피시킨 다음 빠져나왔다. 이로써 영남의 2차 방어선도 무너졌다. 4월 17일 영산으로 물러났던 김수는 18일 박진의 패전 소식을 듣고 초계로 물러났다.

경상 우도는 4월 19일 구로다 나가마사와 모리 요시나리의 3번대, 4번대 485척이 김해 죽도에 상륙하면서 본격적인 전란에 휩싸였다, 김해성은 하루동안 치열하게 저항해 4차례 공격을 막아내었으나 초계 군수 이유검이 먼저 서문으로 달아나버렸다. 김해 부사 서예원이 이유검을 붙잡으려고 성을 나갔다 그대로 진주로 도망쳤지만 사충신의 주도로 의병들과 백성들이 혈투를 벌였다. 그러나 결국 함락되었다. 창원에 있던 경상 우병사 조대곤이 지원하려 했으나 급하게 모은 병력 2백여 명으로는 성에 접근조차 할 수 없었다. 초계 군수 이유검은 4월 26일 김수에게 참수되었고 병력 운송 중에 사고가 생겨 아예 지원도 못 간 의령 군수 오응창 역시 6월에 처형되었다.

한편 유사시 비상 연락망으로 쓰이던 봉화가 전달되지 않았다. 선조 수정 실록 4월자에 실린 경상 좌병사 이각의 장계에는 봉수군 오장이 일본선 400척을 목격하고 즉시 보고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봉화 체계가 완전히 작동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143] 그러나 당일 저녁에 한양으로 들어와야 했던 봉화는 들어오지 않았고[144], 여러 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것은 봉수군이 실수로 반대 방향으로 봉화를 올렸다는 것. 한성부의 조정은 4월 17일 신시, 저녁 무렵에나 상황을 파악했으며 그리고 이 속도는 그냥 마편으로도 도달 가능한 속도인 만큼, 봉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이 맞다.

제승방략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는데 중앙에서 경장을 파견하는 건 진관체제도 똑같다. 진관 체제는 소규모 병력이 각지에서 분산되어 방어하게 되어있고 각 진관이 윗선의 허가없이 타 진관을 지원하는 일은 성종 대에 법으로 금지되었다. 즉, 일개 고을 내지는 도 단위로 감당할 규모를 넘어선 대규모 공격에 대한 고민이 매우 부족했다. 그런 사태가 일어나면 1개 ~ 2개 도에서 병력을 모으고 중앙에서 파견한 경장이 이들을 지휘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진관 체제라고 현지 지휘관에게 대규모 병력 지휘권을 주진 않았다. 그런 면에서 북방 지역은 현지 병사가 지휘하게 하고 남방도 지방군과 중앙군의 역할을 나눠 상당 부분 재량권을 부여해 병력을 집결시키고 다중으로 방어선을 구축한 제승방략은 상당히 진보된 제도였다. 왜침이 전례없는 대규모에 속도가 빨랐고 지방군의 훈련도가 워낙 저열했기 때문이지 제승방략이 병력 모아놓고 경장만 기다리는 제도라서 무너진게 아니다. 결정적으로 조선 육군이 임란 최대 규모로 투입된 용인 전투가 경장이 아닌 전라감사가 지휘했던 점을 생각해보면 경장의 파견 문제가 큰 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진왜란 이전의 조선군은 오위 진법을 기본 전법으로 채택하고 있었는데 이는 북방 기마 민족과의 투쟁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대 기병 전술로 보병 중심인 일본군을 상대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았다. 이 문제는 전쟁 후 명의 절강 병법을 받아들인 후에 개선되었다. 이 절강병법도 척계광의 기효신서를 몰래 들여와서 해냈고, 그 전까지는 한양이 불타오를 때 전술서 등이 같이 불타버리며 손자병법 수준의 기본서 외에 제대로 된 전술 군략서가 없어 "아 이거 군제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어떡하지" 하는 상황이었다.[145] 그럼에도 경상도의 1선 방어군들은 어쨋든 필사적으로 일본군과 맞아 싸웠다. 하지만 문제는 그 이후부터 시작된다.

4월 18일에는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제2군 22,000여 병력이 부산에,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가 이끄는 제3군 11,000여 병력이 다대포를 거쳐 김해에 상륙, 침공을 개시하였다. 이와 함께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 도도 다카토라 등의 9,000여 수군 등 총병력은 약 42,000이었다.

5.2. 정규군의 붕괴와 파천

이런 상황임데도 당시 조선 조정은 삼포왜란 같이 왜구들의 준동으로만 파악하고 있었고[147] 조선 최고의 명장 중 하나라 칭송받던 이일을 내려보내 간단히 사태를 수습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일의 군대가 먼저 상주에서 고니시에 의해 패배하였고 이일은 갑옷은 물론 융복까지 벗어 던지고 도망쳤으며, 당황한 조정은 북방에서 명성을 날린 신립을 보내나, 그 역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하고 자결했다.

신립이 이끌었던 경군(京軍) 기병대의 수효는 사료에 따라 다르나 5천에서 1만 정도로 보이고, 대략 8천으로 보기도 한다.

신립은 전투에 앞서 넓은 들판으로 적을 끌어내어 기병전을 벌이려고 하였으나 패배했다. 신립이 그러한 탄금대를 전장으로 선택한 것에는 여러가지 설이 분분한데, 당시 신립이 지원받았던 병사들의 기량 문제가 크며, 병사들의 기강이 해이하고 심지어 행군 중에도 탈영할 정도였고, 이러한 병사들을 이끌고 싸우기 위해 신립은 배수진을 선택했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에 신립이 북방 유목민(주로 여진족)과의 기병 전투에서 승리하며 명성을 날린 것을 고려할 때 기병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평지를 고르다 보니 전투 장소가 탄금대로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48] 하지만 탄금대 자체가 육계도 사주 지형이라 말을 달리기에는 장애물이 많은 곳이었던데다가, 전투 당일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바람에 질척거리는 땅 때문에 기병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어 신립은 지리멸렬하게 패주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일본군은 이 충격력이 급전직하한 궁기병을 제압하고 남한강변에 몰린 조선군 주력을 궤멸시키는 데 성공했다.[149]

다만 신립이 받았던 병사들이 저질이라는 말은 연려실기술에만 나오는 말로, 선조 수정 실록에는 이들은 한양을 지키던 중앙군과 군적에 올라간 병사들로서 전마를 지급받은 경군 기병 8천여 명, 혹은 거기에 경기도와 충청도의 정병 8천 명을 합하며 1만 6천 명에 달하는 병력이었다. 따라서 신립의 부대가 오합지졸이었다는 설은 신립의 과오 덮어주기용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프로이스 신부의 일본사에 이 탄금대 전투가 묘사되어있는데, 조선군이 8만이라는 점은 의구스러우나 반월진으로 돌격한 조선의 기병대가 양익에 조총 사격을 받고 후퇴했다가 1차례 - 2차례 재공격을 가했으며, 일본군이 붕괴하지 않고 창검 따위로 조직적으로 대응하자 조선군이 붕괴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탄금대 전투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

전쟁 발발 초기 조선군이 부산진-탄금대에 이르기까지 투입한 병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으나 탄금대 전투의 전력 규모를 보면 일본 1~3군의 절반 정도는 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 정도면 방자(防自)의 이점을 살려 적을 완전히 격퇴시키지는 못해도 지연은 충분히 가능했다. 그러나 조선군은 탄금대에서 너무 쉽게 대패했으며,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일본군은 수급 3천 개를 얻는 전과를 올렸다. 이로서 한양과 일본군 사이를 가로막는 야전군은 사라졌고(설령 신립이 조령을 틀어막았어도 일본군은 3로로 진격하는 중이었다.) 방법이 없어진 선조는 수도인 한성부에서의 방어 대신에 북쪽으로의 피난을 선택하였다. 참고로 이 시점에서 한양 농성이란 선택지는 불가능했다. 신립이 이끈 경군이 탄금대에서 섬멸되면서 한양을 지킬 만한 병력부터가 사실상 없었고, 그 전에 한양도성 자체가 방어에는 매우 불리했다. 특히 당대 한양도성은 조선후기와 달리 성곽에 치성이나 곡성 등이 전무한 상황이었으며, 성이 너무 넓고 교통로의 대부분이 평지에 접한 형태라서 대군으로 공성전을 펼치면 쉽게 뚫릴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조정은 적군의 수도 공격에 대비하여 우의정 이양원(李陽元)을 수성대장(守城大將)으로 삼아 도성의 성곽을 축성하게 하는 한편 전 북병사(北兵使)였던 김명원(金命元)을 도원수(都元帥)를 삼아 한강을 수비하게 하였으나 실패하고, 한강 전투의 패배후 개전 20일 만인 5월 3일 한양이 함락되었다.

일본군은 최단 시간 내에 한양을 점령하였으나 이미 선조가 파천을 떠나서[150] 왕을 사로잡아 전쟁을 빨리 끝낸다는 목적은 실패한다. 그리고 최단 시간 한양 점령만을 목표로 하면서 제껴두었던 다른 지역들을 기반으로 관군과 의병의 저항이 일어나면서 전쟁의 양상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경부가도에서 비껴나 초기에 아무런 피해를 받지 않았던 조선 최대의 곡창 지대 호남이 아래 서술하는 반격의 근거지가 된다.

또한 임진왜란이 시작된지 1년이 지나자 일본군 20만명 중 동원이 가능한 병력이 7만 안팎이었는데 이는 점령지 관리로 빠진 병력도 있지만 대부분이 전사, 부상, 탈영 등에 의한 것으로, 일본군도 초기에 많은 승리를 했지만 그만큼 손실을 보았다는 뜻이 된다.

5.3. 반격의 시작

정의를 위하여 일어서라

(전략)

강개한 심정으로 곳곳마다 조국을 그리는 노래 부르고 도의를 숭상하려 집집마다 예절을 닦는 글을 읽었건만 불행하게도 나라의 운명이 위태로워져서 섬 오랑캐들이 이 땅을 침범하였다.
조정 신하들은 북으로 물러서고 임금의 행차도 서울을 떠났다.
사직이 위태로워지고 백성들은 도탄에 빠져 있다.

바라노니 씩씩하고 용감한 여러 선비들이여! 나의 이 글을 읽고 나의 이 말을 귀담아 들어라!
찬란한 지금의 문물은 모두 선왕들이 쌓아놓은 업적들이다.
흉악한 저 원수를 치려는데 그 누가 충성을 다하고 용맹을 떨치려는가?
절개 높은 용사들이 대열에 모여드니 나라 위한 싸움에 내닫는 병사들의 의기도 드높으니라.
지사들이 군중을 불러일으키니 죽음을 아끼지 않는 의병들은 모여들라.
남쪽 지방이 비록 좁지만 몸과 마음을 바치려는 군중들이 그 얼마인가.
나라의 혜택이 널리 퍼졌으매 반드시 한 마음으로 협력하려는 장사들이 많으리라.
우리 함께 힘을 모아 일편단심 싸워 나간다면 여러 의병들의 충성된 공훈과 장렬한 절의는 천추에 길이 빛나고 역사에 영원히 남으리라.
- 의병장 김천일의 격문
가만히 생각건대, 원수와는 한 하늘 아래에서 함께 살 수 없다는 것이 예기의 큰 의리이고, 9대의 원수도 반드시 갚으려 하는 것이 춘추의 아름다운 말이다. 임금을 위하여 원수를 제거해야 하니, 신민(臣民)으로서 어찌 소홀히 하겠는가?
- 의병장 박춘무의 격문, 花遷堂集 卷1, 「檄文」
지금 이 잔악한 왜적의 소행은 짐승보다 더 심한 것이 있다. 백성들을 살육함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자연물을 모질게 해침에 가옥과 식량을 모두 불살랐다. 길에서 아낙네 한 명을 만나면 사내 열 명이 다투어 음행(淫行)을 하니, 이는 바로 하늘 아래 수많은 오랑캐들도 하지 않고 지각이 없는 짐승도 오히려 하지 않는 짓이다. 태평한 세월이 오래되어 비록 감히 막는 자가 없지만 천지 산천의 귀신이 모두 은밀히 주벌할 것을 의논하고 중국과 오랑캐들이 모두 드러내 처형할 것을 생각하니 비록 죽음을 앞두고 잠시 목숨이 붙어 있는 사이에 우리 백성들을 죽일 수는 있어도 천정인승(天定人勝)의 날에 그 죄를 자복할 것이다.
- 의병장 조헌의 격문, 「告諭本國人爲倭所擄君文」
나 고경명은 진실된 마음의 노인이며 백발 부유(腐儒)로서, 한밤중에 닭소리를 듣고 많은 고난을 견딜 수 없어 중류의 노를 쳐서 외로운 충성을 스스로 다짐하였다. 이는 한갓 견마가 주인을 그리워하는 정성을 품었을 뿐이요, 모기가 태산을 짊어지는 미약한 힘을 헤아리지 않는 것이다. 이에 의병을 규합하여 곧장 서울로 향할 것이니 옷소매를 걷어붙이고 단상에 올라 눈물을 뿌리며 군중에게 맹세하는 도다. 곰을 잡고 범을 넘어뜨릴 장사들이 천둥 울리듯 바람이 휘몰아치는 듯하고 수레를 뛰어넘고 관문을 뛰어넘을 무리들이 구름처럼 모이고 비처럼 모이니 이는 절대로 강박해서 응하거나 억지로 나온 것이 아니라 오직 신하로서의 충성된 마음이 함께 지성에서 나온 것이다. 위급존망의 날에 처하여 감히 하찮은 몸을 아끼겠는가. 처음부터 의병이라 칭한 이상 직분에도 매이지 않았으며, 병졸은 곧은 것으로서 장렬함을 삼았으니 강약을 따질 것도 없다. 대소인원의 모의를 하지 않고도 뜻이 같았으며 원근의 사민들은 소문을 듣고 일제히 분발하였다.
아! 우리 열읍 수령, 각 처 사민(士民)들아! 충심이 어찌 임금을 잊을 것이며 의리상 마땅히 나라를 위해 죽는 것이니, 혹은 무기를 빌려 주고 혹은 군량을 도우며, 혹은 말을 달려 전장에서 앞장서고, 혹은 분연히 쟁기를 던지고 밭두둑에서 일어나리라. 제 힘이 미치는 데까지 오직 의로 돌아가서 능히 임금을 위해 난을 막는 자가 있다면 그와 더불어 행동하기를 원한다.
- 의병장 고경명의 격문. 『제봉선생집』권7, 정기록, 마상격문

조선군 전위(前衛)가 맥없이 붕괴한 초기 전황과는 달리 개전 후 2달이 지나자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곽재우, 조헌, 60세의 고령인 고경명 등의 재야 인사들, 정부에서 내려보낸 수령들의 주도로[151] 집결한 지방군들이 일본군의 육상 보급로를 압박하며 각지에서 공세를 퍼붓기 시작했던 것이다. 즉, 초반부에 너무나 빠른 진격에 놀라 급격하게 와해됐던 군세는 후퇴 후 본격적으로 재정비하면서 일본군의 공세에 침착하게 대응하기 시작한 것이다.[152] 1592년 6월 이후 당 해 말까지 벌어진 주요 지상전투가 약 17회였는데, 일본군이 주도해서 공격해온 횟수는 고작 4회뿐이었고, 나머지는 조선군과 의병이 오히려 선공을 날렸다. 승률에 있어서도 조선 측이 8번의 승리와 3회의 무승부를 기록한 반면 일본은 6회의 승리를 거두었다. 전체적인 판세는 일본 측이 쥐고 조선 팔도 각지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었지만 피해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누적되고 있던 것이다.[153] 거기다 겨울이 전보다 일찍 찾아오고 조선군 경기병대가 산골을 따라 기습을 감행하여 땔감의 공급을 차단하자 육지에서의 일본군의 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기 시작한다. 설상가상으로 이러한 손실분을 메꿔줄 일본의 보급 선단은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에 의해 모조리 고기밥이 되고 있었다. 이로써 일본군의 전략인 수륙병진에 차질이 생기고 전황은 고착되었다. ## 일본군은 손자병법의 기본 방침대로 속전속결로 전쟁을 마칠 구상을 하고 여름에 대비한 보급품을 위주로 준비했는데, 날이 추워지자 이게 그대로 일본군의 발목을 잡았다. 특히 군량보급 문제가 심각하여 일본군은 뒤로 갈수록 노략질로 버티는 형편에 이르게 된다.

의병장 조경남이 쓴 문헌인 난중잡록에서는 임진왜란 시절 정인홍이 의병을 이끌고 싸운 활약상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김준민(金俊民)과 더불어 군사 2천 8백여 명을 거느리고 안언(安彦)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여 다 섬멸했다고 한다.
적이 무계(茂溪)로부터 떠나서 성주로 향하는데 4백여 명이 왕래하는 적이 날마다 이러하였다. 소ㆍ말 백여 바리에 짐을 싣고 많은 깃발을 벌여 두어 마장에 연이어 뻗쳤다. 그중 혹은 금은의 가면(假面)을 쓰고 금은의 갑옷과 투구를 하였으며, 혹은 닭의 깃으로 만든 옷을 입고 포를 쏘며 칼을 휘두르니 사람마다 간담이 서늘했다. 이윽고 합천의 좌선봉 한 부대가 대응해 포를 쏘며 돌연히 일어나자, 적들이 행군하지 않고 길 왼편에 집결하여 고갯마루를 차단하여 실은 짐들을 중간에 두고 칼 쓰고 총 쏘는 군사를 앞뒤로 배열하였다. 김준민ㆍ정방준(鄭邦俊)이 활 쏘는 군사 천여 명을 거느리고 말을 달려 산을 내려가 일시에 발사하자, 적도 역시 고함을 치며 칼을 휘두르고 나왔다. 맨 앞에 선 왜의 한 장수가 청흑색을 지닌 큰 준마를 탔는데, 말 위에서 닭의 털로 만든 옷을 입고 금으로 된 가면을 썼으며 붉은 자루로 된 큰 칼을 휘두르고 있었다. 칼 쓰는 군사 수백이 그 뒤를 따라서 크게 외치며 돌격해 오니, 우리 군사는 일시에 놀라 퇴각하였다. 청흑색 말이 워낙 빨라서 날듯이 산으로 올라오자, 우리 군사들이 함께 쇠뇌를 쏘아서 그 말의 뒷다리를 맞혔다. 말이 곧 놀라 뛰어 오르는 바람에 왜장이 우리 진 앞에 떨어지자, 곧 그 말을 빼앗고 그 장수를 베니, 남은 적은 화살을 맞아 다리를 끌고 후퇴해 달아났다. 고령 군사는 남쪽에서 기세를 타고 들어오고, 성주 군사는 북쪽에서 기세를 타고 들어왔다. 김준민ㆍ정방준 등은 결사적으로 혼전을 벌이고 복병은 사방에서 일어나, 고함 소리가 골짜기를 진동하며 좌우의 산상에서는 화살이 비오듯 했다. 적은 포위망을 헤치고 달아날 양으로 포수ㆍ검수(劍手)로써 뒤를 막게 하고 성현(星峴)을 향해 달아났는데, 정인홍이 산상에서 깃발을 휘두르며 싸움을 독려하여 적 한 놈도 빠져 달아나지 못하게 하라고 하였다.적은 군수품과 깃발들을 모두 버리고 달아났다. 가천 군사가 또 불의에 돌격해 나오니 적은 대항해 싸울 생각조차 못하였다. 여러 군대가 20여 리를 추격하며 죽였으므로, 죽은 시체가 서로 이어지고 흐르는 피가 들판에 가득했다. 남은 적은 화살을 맞은 채 성현을 넘어 들어갔는데, 성현은 성주 읍과 가까운 곳이라 우리 진은 드디어 군사를 정돈해 돌아왔다. 이 싸움에 적의 한 진을 쾌히 무찔러서 여러 군이 활기를 띠었다. 다만 장령이 적의 목을 베어 오는 것을 귀히 여기지 않았으므로 머리 수효는 많지 않고, 빼앗은 것으로는 짐 싣는 말이 백 50여 필, 해와 달이 그려진 큰 기 3개, 그리고 철환(鐵丸)과 화약 등속이 매우 많았다. 빼앗은 준마는 이마 사이에 육각(肉角)이 있어 길이가 한 치 남짓하며 잘 달려 날아가는 것 같아서, 김준민은 매양 그 말을 타고 싸움에 나가 군 앞에 기세를 올렸다. 가장 큰 칼은 버들 판자에 도금한 것이었다.
난중잡록
내가 지금 그 곳으로 출진한다면, 안변에 병력을 잘 남겨두고 뒷일을 신경 쓸 필요 없이 조처를 해두고 가야 하기 때문에 기요마사가 이끌고가는 병력은 잡병 3천에도 못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게다가 그 곳까지 가게 된다면 병력의 반은 지쳐버려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 왕자를 안변에 두고 갈 수는 없으므로, 만약 전투에 나선다면 데리고 갈 수밖에 없다. 왕자의 경호를 위해서도 병력을 할당한다면 전투에 임하는 병력은 천명에도 못 미칠 것이다. 그렇기에 가더라도 제대로 싸울 수 없을 것이니 해가 바뀌어 눈서리가 조금 녹을 때까지 성을 잘 방비하도록, 길주에 병력을 보내므로 너희들의 주둔지도 잘 지키도록 하라. (중략) 길주 지역을 지키지 못하고 모두 죽었는가? 그렇지 않고 倉所 까지 후퇴했다면, 倉所도 버리고 단천을 한계로 하여 잘 방비하도록 하라.
1592년 11월 21일 가토 기요마사가 단천의 구키 히로타카 등에 보낸 서장 - 구귀문서(九鬼文書11).

그 곳에서 잇키를 일으킨 惡逆한 놈들을 처단하기 위해 출진하려하였으나, 군무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던 이시다 미츠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오타니 요시츠구로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잇키가 일어나서 부산으로부터 한성까지의 길이 막혔으며, 게다가 진주성 전투에서 패배하였기에 우리들이 함경도에서 나와 전투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는 요청이 수차례 들어왔다.그 곳으로 직접 출진할 필요는 없다고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말하므로, 퇴각하는 병력을 지원하기 위해 사사 히라자에몬, 쇼바야시 하야토, 마츠시타 코에몬, 3인을 보낸다. 퇴각시의 군법은 적어서 보낸다. 이를 조금도 위반하지 말고 조금이라도 서둘러 돌아오는 일이 중요하다.
(1593년) 1월 11일 구귀문서(九鬼文書 14)[출처6]

이 과정에서 광해군이 급히 세자로 임명되어 분조를 이끌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몸소 보여줘, 광해군의 인기가 상당히 올라갔다. 반면 임해군의 경우 부하였던 국경인이 임해군의 처신[155]에 불만을 가지고 임해군을 넘겼을 정도이니 말 다했다. 당시 선조는 분조를 맡긴 자기 아들 광해군마저 경계하는 행태를 보인다.[156]

왕이 몽진하자 분노한 민중이 선조의 도주행렬을 가로막는 등 반발했고, 선조 수정 실록에 따르면 선조가 한양에서 도주한 직후 들이닥쳐 방화와 약탈이 발생 장예원[157]에서 불을 질러 시작해 곧 전체 궁궐을 태워버렸다고 기록한다. 그런데 이 기록은 반론이 많은 게 최근 일본에서 발견된 당시 한양에 도착한 일본군 병사의 것으로 보이는 기록에 궁궐 양식의 아름다움에 대한 극찬과 궁궐 전개도, 심지어 기와의 색까지 세심하게 기록되어 있어 부정하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보면 적어도 일본군이 한양에 입성한 시기까지는 궁궐이 불타지 않았으므로 그 시간 차이를 생각할 때 일본군이 다시 밀려서 한양을 빠져나갈 때 불태우지 않았는가 하는 의견이 제기되었고, 실록에도 저자간에 떠도는 소문이 그렇다더라 식으로 적혀있다. 이 때문에 이 기록이 지배층에 대한 피지배층의 불신과 이를 의식한 지배층의 피지배층에 대한 적의에 가까운 감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있어 사회상 분석에는 유용하지만 진실로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의주로 피난간 선조는 조선을 버리고 요동으로 망명하려고 수 차례 요동 총독에게 망명의사를 타진하였으나, 너무 빨리 도망쳐 온 것을 오히려 일본과 합세해서 중원을 침공하려는 걸로 의심한 명에서는 수행원을 100명으로 제한했다. 수행원 100명은 지방 고을 수령 정도의 의전에 해당되는 인원이었고, 일국 군주의 수행원이라 하기에 턱없이 적었다. 사실상 오지 말라는 뜻이었다. 결국 배를 전부 자기들 쪽으로 가져가 버리자 단념했다. 당시 명나라에서는 조선을 의심하기에 이유가 충분하였는데 명나라는 홍무제 이래로 조선을 수나라를 아예 멸망으로 몰아넣었고 당나라 최고의 군주인 이세민조차 정복하지 못했던 고구려의 계승자로 인식하고 있었고[158] 바로 얼마 전 니탕개의 난을 평정했었던 만큼 조선의 군세는 예로부터 강대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선이 일순간에 주력군이 섬멸당하고 일본에 수도를 내주었다는 소식에 명은 조선이 일본과 내통하고 있는 것이라는 루머가 퍼진 것이다. 명의 의심에 조선은 명나라에 여러차례 사신을 보내고 염탐하기 위해 보내오는 사신에게 조선이 정말로 일본과 한 통속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
양사가 아뢰었다.
"옛부터 국가가 재난을 당하면 재난을 구제하는 데는 만 사람도 부족하고 국가를 망치는 데는 한마디의 말로도 넉넉하다고 하였습니다. 전일 유근이 파견되어 갔을 적에 영위(迎慰)한다는 명분을 갖고 갔지만 실지는 거절하여 물리치는 뜻을 보인 것은 이미 부당한 일입니다. 변신(邊臣)이 잘못 대하여 왕인(王人)028) 이 성을 내기까지 했으니 별도로 시신(侍臣)을 보내서 왕인의 마음을 위로하는 것이 정례(情禮)로 보아 마땅한데도 무단히 정지했습니다. 만일 중국의 관원이 전보다 더 의심하게 된다면 2백 년 동안 해온 사대(事大)의 정성이 이제 와서 수포로 돌아가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장차 하소연할 데가 없게 됩니다. 막중한 국가의 일을 일개 역관에게 일임하여 마치 평범하게 왕복하는 것처럼 조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답답하게 여기고 있으니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닙니다. 속히 시신(侍臣)을 파견하소서."
【이때 변란이 창졸간에 발생하였으므로 와언(訛言)이 전파되었다. 요좌(僚佐)에서 ‘조선과 일본이 서로 짜고 침략당했다고 거짓말을 한 것이다. 국왕과 본국(本國)의 용맹한 병사들은 북도(北道)로 피해서 들어가 있고 다른 사람을 가짜왕으로 내세워서 침략을 받았다고 칭탁하지만 실은 일본을 위해서 향도(嚮導)가 된 것이다.’는 말이 일어났는데, 이 유언 비어가 중국에 들어간 것이다. 중국 조정에서는 반신 반의하다가 병부 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이 비밀히 요동(遼東)에 유시(諭示)하여 최세신(崔世臣)과 임세록(林世祿) 등을 파견시켰다. 그들은 명분상은 왜적의 실정을 살핀다고 하였지만 실은 평양으로 달려가서 우리의 국왕과 만나 그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돌아오려는 의도였다. 이때 우리는 중국에게 구원병을 요청하려 했었는데 대신들의 말이 요동·광동 사람들은 성품이 매우 포악하여 그들이 강을 건너와서 우리 나라를 유린한다면 적에게 함락되지 않은 패강(浿江) 이서(以西)의 여러 고을들도 모두 황폐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두 의견이 서로 논쟁하느라 오랫동안 해결이 나지 않은 상태였는데 중국에서 최세신과 임세록을 보냈다는 말을 듣고 대신들은 유근(柳根)을 파견하되 겉으로는 영위(迎慰)를 표방하고 내용은 우리 나라의 피폐한 사정을 직접 호소하여 중국 구원병이 오래도록 머물기가 어렵다는 것을 이야기하게 하였던 것이다. 지금 차관(差官)이 평양에 오지 않고 의주(義州)에서 돌아갔으므로 양사가 이렇게 아뢴 것이다. 】
선조실록 26권, 선조 25년 5월 29일 무자 8번째기사
대가가 저녁에 선천에서 유숙하였다. 요동 순안 어사(遼東巡按御使) 이시자(李時孶)가 지휘(指揮) 송국신(宋國臣)을 보내어 자문(咨文)을 가지고 왔는데 그 자문에 ‘그대 나라가 불궤(不軌)를 도모한다.’고 하고, 또,
"팔도(八道)의 관찰사가 어찌 한마디도 왜적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없고, 팔도의 군현(郡縣)에서 어찌 한 사람도 대의(大義)를 부르짖는 자가 없는가. 어느날 아무 도(道)가 함락당하였고, 어느날 아무 주(州)가 함락당하였으며, 어떤 사람이 왜적에게 죽고, 어떤 사람이 왜적에게 붙었으며, 왜적이 장수는 몇 명이고, 군사는 몇만 명인가? 우리 나라는 본시 개산대포(開山大砲)·대장군포(大將軍砲)·신화표창(神火鏢鎗) 등이 있고, 맹장(猛將)과 정병(精兵)들이 안개처럼 벌여 있고 구름처럼 달리니, 왜병 백만쯤이야 세잘 것도 없다. 더구나 문무(文武)의 지략을 갖춘 선비가 간사한 모의를 환하게 꿰뚫어 보고 음흉한 조짐을 미리 꺾어버릴 수 있으니, 아무리 소진(蘇秦)·장의(張儀)·상앙(商鞅)·범저(范雎)의 무리가 다시 세상에 나온다 하더라도 어떻게 우리 나라의 천심(淺深)을 엿볼 수 있겠는가."
하였는데, 상이 자문을 보고 두려워하면서 이르기를,
"이것은 대개 우리가 왜적과 동모한 것으로 의심하여 이렇게 공갈하는 말을 하여 우리의 대답을 시험해 보려는 것이다."
하였다. 이에 앞서 명나라 복건성(福建省)의 행상(行商) 허의후(許儀後) 등이 명나라에 은밀히 보고하기를,
"조선이 일본에 나귀를 바치고 일본과 모의하여 명나라를 침범하려 하면서 조선이 그의 선봉이 되기로 하였다."
하니, 명나라에서는 자못 우리 나라를 의심하였으므로 우리 나라의 패전 소식이 명나라에 이르자 명나라 조정에서는 의논이 흉흉하였는데, 각로(閣老) 허국(許國)이 홀로 큰 소리로 말하기를,
"내가 일찍이 조선에 사신으로 간 적이 있어 그 실정을 익히 아는데, 조선은 예의(禮義)의 나라이니 결코 이와 같은 짓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구원병을 요청하는 주계(奏啓)가 이르자 요동(遼東) 사람이 전언(傳言)하기를,
"조선이 실지로는 왜노(倭奴)와 함께 배반하고는 거짓으로 가짜 왕(王)을 정해 길을 인도하여 쳐들어온다."
하였다. 당시 송국신(宋國臣)이란 사람이 전에 명사(明使) 왕경민(王敬民)을 수행하여 와서 주상(主上)의 얼굴을 보았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국신이 스스로 말하기를,
"내가 일찍이 사신의 두목(頭目)으로서 조선에 이르러 그 국왕을 보았으니, 내가 지금 가서 보면 반드시 기억하여 알아볼 수 있겠습니다."
하니, 명나라에서는 그의 말에 의하여 자문을 전달한다는 핑계로 와서 살펴보도록 하였다. 국신이 주상을 뵙고 나와 역관(譯官)에게 말하기를,
"순안(巡按)이 내가 일찍이 사신을 따라 와서 국왕의 얼굴을 본 적이 있기 때문에 나로 하여금 와서 진위를 살피도록 한 것뿐이고, 지금 자문 중에 말한 것은 모두 가설로 한 말이니 의아스럽게 여기지 마오."
하였다.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18일 병오 5번째기사 [159]
윤근수가 아뢰기를,
"서일관(徐一貫)·황응양(黃應陽)·하시(夏時) 등 세 사람이 왜서(倭書)를 보고는 가슴을 치고 눈물을 흘리면서 의심을 깨끗이 푸는 듯한 뜻이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응양이 ‘평양으로 가지 않고 바로 중국으로 되돌아가려 한다.’ 하였습니다. 아마 우리 나라가 왜국의 향도(嚮導)가 되었을 것이라고 의심하여 그 진위(眞僞)를 탐지하려고 왔을 것입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알았다. 왜서를 주어 보냄이 무방하니, 자문을 속히 마련하라."
하였다.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7월 1일 무오 10번째기사
명나라는 건국 초기 15만 병력으로 북원을 쓸어버리고, 베트남에 20만 군대를 보내 베트남 호 왕조를 무너트렸지만 유독 왜구들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 명나라는 이 시기 동남부 해안을 왜구들에게 유린당했다. 반면 200여년 전 일이긴 하지만 그런 왜구들의 소굴까지 쳐들어가서 박살낸 전력이 있는 데다 조선이 한때 만주를 호령했던 고구려의 후예라는 이유로 전쟁에 능할 것이란 인식이 있었다. 그래서 명나라는 조선의 군대를 과대평가했고, 그런 조선에서 왕이 자기 나라를 버리고 도망온다는 사실은 생각조차하지 못했다. 특히 조선과 일본은 교린 관계로 우호적이었으니, 명나라에서도 더욱 그 저의를 의심했다. 임진왜란 전 조선과 일본은 교역도 활발해서 삼포에 머무는 왜인들 숫자만 3000명이 넘었다.[160]
상이 이르기를, "만일 불행하여 적세가 온 나라에 가득 찬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수상(水上)으로 가야 될 것입니다"하고,
신잡은 아뢰기를, "현재에는 다만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 바다로 나가는 것, 수상으로 가는 것 이 세 계책이 있을 뿐입니다. 중국에서는 장전보(長奠堡)에 머물러 있기만을 허락했을 뿐이니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은 결코 할 수가 없습니다. 의당 정주(定州)에 가서 사변의 추이를 살피든지 혹은 바다로 나가거나 수상으로 가든지 편의에 따라서 조처하는 것이 옳습니다"하고,
덕형은 아뢰기를, "수상은 위험할 듯하니 해로(海路)가 합당합니다"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바다로 나가려 하나 어디로 갈 것인가? 내가 가는 데는 적도 갈 것이다"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강계는 길이 험하니 피란할 만합니다"하고,
항복은 아뢰기를, "이곳은 두 강(江)이 앞에 있으므로 중국군이 구원하면 적은 반드시 바로 돌아오지 못할 것입니다"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적이 요동을 침범하려 하는데 어찌 소소한 원병(援兵)을 꺼리겠는가. 적이 나오지 않는 것은 두려워서가 아니라 반드시 간사한 계책이 있어서일 것이다"하니,
신잡이 아뢰기를, "인심이 차츰 안정되는 까닭은 대가(大駕)가 이곳에 머물고 있어서이니, 가볍게 움직일 수 없습니다"하고, 또 아뢰기를, "이 도(道)의 인심이 크게 소란한 까닭은 오직 대가가 요동으로 건너간다는 것 때문입니다. 만일 장전(長奠)으로 간다면 그 중간의 길이 험하고 어려운 것은 돌아볼 겨를도 없겠지만 난에 임하여 강을 건너게 될 때 그곳의 인심 또한 헤아리기 어렵습니다"하니, 상이 이르기를, "이 말은 지나치다"하였다.
신잡이 아뢰기를, "요동을 건너면 필부(匹夫)가 되는 것입니다. 필부로 자처하기를 좋게 여긴다면 이 땅에 있더라도 피란할 수 있을 것입니다"하고,
성중은 아뢰기를, "요동으로 건너간 뒤에 중국에서 적을 막지 못하여 그들과 화친(和親)한다면 뜻밖의 변고가 없지 않을 것입니다"하고,
신잡은 아뢰기를, "여기 있는 군신(群臣)들이 누군들 국가를 위하여 죽으려는 마음이 있지 않겠습니까? 대가가 우리 땅에 머물러 계신다면 거의 일푼의 희망이라도 있지만 일단 요동으로 건너가면 통역(通譯)하는 무리들도 반드시 복종하지 않을 것은 물론, 곳곳의 의병들도 모두 믿을 수가 없게 될 것입니다. 제장(諸將)들은 패배를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대가가 요동으로 건너가는 것만을 두려워합니다"하였다.
군신들이 차례로 나갔다. 신잡이 나가려 하자, 상이 만류하면서 이르기를, "경의 말과 같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는가?"하니,
신잡이 아뢰기를, "의당 전진하여 수습할 계책을 생각하셔야 합니다"하니,
상이 이르기를, "오늘의 형세로 보건대 정주(定州)에는 결코 갈 수가 없다"하였다.
선조실록 29권, 선조 25년 8월 2일 기축

당시 선조와 함께 의주까지 몽진했던 대신들도 하나같이 요동으로의 망명은 반대했는데, 강과 바다를 통한 피난 의견은 제시하면서도 중국 망명은 결사반대했다. 6월쯤에 처음 선조가 요동 망명을 이야기했을 때 신하들의 반응은 예의를 갖추어 달래는 느낌이었다면, 가면 갈수록 표현의 수위가 높아진다. 6월 13일 기사에서는 '요동으로 가려고 해도 중국에서 받아주지 않을 것이다' 정도였다면, 8월에는 당시 선조와 동행한 대신 중 한 명인 신잡이 국왕, 심지어 그 선조 앞에서 "요동을 건너면 필부(匹夫, 보통의 남성)가 되는 것입니다"라고 하면서 협박에 가까운 말투로 반대했다. 즉 '요동으로 가면 더 이상 왕이 아니게 된다'라는 뜻이었다. 당시 사대부들이 국왕을 평소 대하는 태도를 생각해보면 평소 같았으면 도저히 불가능한 수위의 발언이다. 하지만 상황이 상황인지라 어느 누구도 신잡의 발언이 심하다고 비판하지 않았으며, 말을 마치고 나가는 신하를 붙잡고 조언을 구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권위가 땅에 떨어졌다.

이때 여진족을 이끌고 세력을 넓힐 기회를 노리던 누르하치가 입지를 넓히기 위해 몇 차례 원병을 제안했으나 선조는 이를 거절했다. 누르하치가 여진족 전체를 통일한 것은 1613년이고 대칸의 직위에 오른 것, 즉 완전 평정이 끝난 것은 1616년이지만, 이때의 누르하치는 약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당시 누르하치는 이미 이성량 등의 지원을 받아 거병한 지 10년이 넘은 다음으로, 1586년에 벌써 원수인 니칸 와이란을 죽이고 건주 여진을 완전히 통합하여 건주 여진의 칸이 되었고, 건주 여진의 수도까지 새롭게 축성할 정도로 강한 세를 키운 상태였고, 여진족 중 가장 강한 라이벌이었던 예허부와는 사돈 관계를 맺고 동맹을 맺어 사실상 여진족 최강자로서 주변에 대적할 자들이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급하다지만 질적으로나 수적으로나 뭐로 보나 믿을 수가 없는, 임진왜란 이전 최고 주적이었던 여진족에게까지 손을 벌릴 정도로 조선 조정이 분별이 없진 않았다(임란 와중에도 여진족 분파와 조선의 군사충돌은 지속되었다). 또한 실제로 여진족에 대한 위협은 자세한 정보 수집을 통해서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으며, 누르하치가 정말 엄청나게 위협적인 인물이라는 것도 이미 파악이 끝난 상태였기에 원병을 거절한다. 일본에는 마상에서 돌격하는 기병이 없으며 가토 기요마사 역시 함경도 이북에서 오랑캐들에게 발려서 진군을 그만 둔 기록이 있으니 원병이 왔다면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여진족이 남의 나라 전쟁에 과연 제대로 싸우기는 했을지가 의문이니 선조의 판단은 틀리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누르하치 쪽에서도 조선에 파병을 하지 못한 게 신의 한수가 되었는데, 파병 제안 다음 해에 사돈 관계를 맺었던 하다 부족과 예허부 등이 누르하치를 견제하기 위하여 누르하치의 뒤통수를 쳐서 각 여진 부락을 규합, 무려 9개 부족이 연합하여 건주 여진을 침공하는 전쟁이 벌어진다. 그를 견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명나라는 이미 조선에 파병하고 벽제관 전투로 주력이 터진 상황이라 누르하치를 전혀 견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1595년에 누르하치를 용호 장군으로 봉하며 지원해준다. 그리고 누르하치는 이 내전에서 대승을 거두며 여진에서 부동의 No.1 세력이 되었고, 명나라는 전쟁이 끝나고 그제서야 누르하치를 견제하고자 하였으나 그때는 이미 늦어버렸다.

고니시의 부대는 평안도, 가토의 부대는 함경도, 구로다의 부대는 황해도로 진격하였다. 강원도와 황해도 방면으로 모병하러 간 임해군순화군은 현지에서 음식과 물목이 부족하다며 행패를 부리다 조선인의 밀고로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다. 가토의 부대는 이 시점에서 한발 더 나아가 본격적인 중국 침공을 시험 삼아 두만강 너머의 용정시에서 여진족들을 공격하고 그들의 성 하나를 점령하여[161] 일본 역사 최초의 대륙 침공에 성공했지만[162] 이후 여진족의 강렬한 반격을 계속 받자 피해를 최소화하자는 차원에서 바로 후퇴하고 조선에만 집중하기로 하지만.. 이후 함경도에서 거병한 의병장 정문부와 벌인 북관대첩에서 패하고 함경도의 혹한으로 인한 동사, 아사까지 합쳐 근 9,000명에 이르는 심각한 타격을 입은 데다가 명군이 참전하면서 할 수 없이 철병하였다.

5.4. 명나라의 참전

파일:신종만력제.jpg
파일:external/www.iiconservation.org/5974-palace_museum_photo_1.jpg
만력제 자금성 태화전

5.4.1. 참전 사유

명나라가 임진왜란에 참전한 이유에 관해서는 명백한 사료가 남아있지 않다. 그런고로 여러가지 잡스러운 야사들이 많지만 사실 이 전쟁의 목적부터도 그렇고 전략적으로 봐도 명나라가 참전할 이유는 충분했다. 하지만 상대 측에선 명분도 없이 다짜고짜 쳐들어간다니 황당할 뿐이다.

우선 상술한 내용을 보면 알다시피, 당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쟁을 일으킨 궁극적인 명분은 명나라를 정복[唐入り]하여 대륙에 진출하는 것이었지, 단지 조선을 정복하는 것만이 아니었다. 게다가 본래 도요토미가 조선에 보낸 국서에서 통보한 요구 사항도 정명향도(征明嚮導), 즉 명을 정벌할 것이니 조선은 (명을 치는 데) 앞장서라. 즉, '군사통행권을 넘겨라' 라는 말을 아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런데 당시 조선과 일본의 경계에 위치하여 양속관계에 있던 대마도의 도주 소 요시토시는 그 요구 사항이 조선의 입장에서 받아들이기엔 너무나 불손한 내용이라고 판단한 나머지 국서의 내용을 온건하게 돌려 말한답시고 살짝 바꿔서 전했는데[163], 그마저도 가도입명(假途入明), 즉 명을 치러 가려 하니 조선은 그 길을 빌려달라는 것이었으므로, 어느 쪽이든 일본이 명나라를 침공하겠다는 의사는 분명했다.[164] 이에 머리 끝까지 화가 난 만력제는 비전투지원은 물론이고 대규모 파병을 실시했다.

따라서 일본이 명나라를 정벌하겠다고 대놓고 적대적인 데다가 병력을 20만 이상 동원할 수 있는데, 만약 조선을 정복하는데 성공한다면 정복한 조선에서 물자를 수탈하여 군사력이 더 커질 것이고 명나라와 국경을 맞닥뜨려 요동, 동남부 해안가, 그리고 수도 북경까지 위협받게 된다. 그렇게 되면 명나라의 동북 국경에 못해도 수십만 병력을 상시 주둔시켜야 하고 그 대가로 막대한 군비를 감당해야 한다. 실제로 일본이 한반도를 집어삼키는데 성공할 경우 중국에 얼마나 큰 위협이 될 수 있는지는 후대의 만주사변중일전쟁만 봐도 충분히 알수 있다. 만약 일본이 조선을 정복하는데 성공하고 명나라라는 공통의 적을 둔 만주족적의 적은 나의 친구 논리로 동맹을 맺고 연합하여 중원을 침공한다면 임진왜란과는 차원이 다른 대전쟁이 될 수도 있었다.

반면, 조선 왕조는 개창 전부터 조공국으로서 큰 마찰없이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왔으니 당연히 변경의 울타리 역할을 맡은 조선을 살려두는 게 명나라에 이득이 된다. 주변에 적국을 늘리는 것은 명나라로서도 결코 바라지 않을 일이었을 것이다.

또한 만력제 본인에게도 임진왜란 참전은 상당히 매력적인 수단이었다. 이미 임진왜란 발발 전부터 만력제는 후계자 문제로 인한 쟁국본과 본인의 태업으로 인해 신하들과의 갈등이 매우 심각한 상태였다. 따라서 만력제는 권위를 확보할 수단이 필요했다. 그런데 마침 터진 임진왜란은 만력제로선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다. '위기에 처한 번국인 조선을 구원하고 감히 천조의 질서를 어지럽힌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명분은 천자로서의 위엄을 떨치고 권위를 확보할 매우 확실한 방법이었다. 게다가 이는 만력제 본인 뿐만 아니라 명나라 전체의 국가 위신과도 연결되는 부분이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게 명나라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참전하는 편이 훨씬 이득이었다. 실제로 임진왜란은 만력제가 동의한 것도 사실이나 더 중요한 건 당시 명나라 병부상서인 석성의 적극적인 참전 주장 때문이었다. 석성은 홍순언과의 야사가 유명하지만, 종계변무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야사는 야사. 실제로는 저런 야사 때문에 조선을 도운 게 아니라 병부상서를 맡았던 인물인 만큼 당시 명나라의 국제 정세를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5.4.2. 명나라군의 참전과 역할

아무튼 그 사이 조선의 연이은 요청으로 명나라도 심각성을 느끼고 대규모의 병력을 보내 참전했다. 참전 초기에는 빠르게 일본군을 밀어내며 금세 일본군을 몰아낼 줄 알았으나 오히려 일본군이 종전 협상을 요청할 때마다 그걸 들어주느라 시간을 끌어서 전쟁이 7년이나 지속되게 된 큰 이유가 되었다. 조선군이야 어떤 방법을 쓰든 당장 일본을 몰아내고 싶었겠지만, 명나라군은 일본이 한반도 전역을 차지하지 못하게만 하면 된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서두를 이유가 없었다. 싸우지 않고 공을 세울 수 있다면 그렇게 하고 싶었을 것이다. 게다가 외교를 담당한 게 심유경인 게 문제.[165]

명나라군의 참전은 의의가 없지는 않았지만 명나라군이 지나치게 폄하당하는 것에 대한 반발인지 재평가를 넘어 지나치게 과대평가를 받기도 하는데 임진왜란에서 명나라군 덕분에 이긴 전투는 실질적으로 4차 평양성 전투밖에 없다. 심지어 4차 평양성 전투도 제대로 이겼다기엔 애매한 부분이 있는 전투이고 조선군도 1만명이 함께 싸웠기에 승리할 수 있었던 전투이다. 명나라군이 형편없는 군대였다면 전쟁 중 조선에서 명나라군의 편제와 교리, 무기를 다급하게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명나라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불과 몇십년 전 정규군도 아닌 (사실 이 왜구들이 이후 정규군으로 편제되었지만) 왜구들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고 국토 남부가 유린당하는[166] 모습을 보였다.

제1차 조승훈의 3,000~5,000명은 평양성 공격에 실패(7월), 제2차 이여송이 이끄는 40,000명이 12월 압록강을 건너 다음해 정월 불랑기포라는 신무기로 포격해(육상군 주제에 대포 500문을 퍼붓는 중국의 스케일을 보여주었다) 평양성을 탈환(1593년 1월 27일)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무리하게 남하하다가 고양 벽제관(碧蹄館)에서 매복에 걸려 대패하였고, 개성으로 퇴각한 뒤 전선은 임진강을 경계로 교착 상태를 벌인다. 그 뒤 일본군은 행주대첩에서 패배, 북쪽으로는 명나라군과 동장군, 남쪽으로는 조선군으로 쌈싸먹힐 위기에 처하였고, 연합군과 교섭을 진행하여 결국 한양을 포기하고 후퇴하였다. (1593년 5월 18일) 다만 한양 수복을 위해 12만 대군을 박박 긁어모은 조선은 벽제관에서 패배하고 그대로 셧다운 상태가 되어버린 명나라군 5만까지 17만의 보급물자를 대느라 하루하루 말라죽었고, 결국 한타 싸움이 아니라 장기전 압박과 협상으로 한양을 탈환하긴 했지만, 이때는 보급물자도 민생도 파탄나버린 후였다. 이렇게 올인 한타를 벌였다가 심각한 피해를 입은(식량소비량 급증 +식량생산량 급감) 조선은 병력을 축소할 수밖에 없었다.
파일:external/www.kjclub.com/8.jpg
명나라 기병대를 묘사한 기록화
이여송이 평양부를 우수한 화력과 기술력, 전략으로 점령했다. 그러나 일본군도 조총으로 명나라군을 엄청나게 사살한 끝에 고니시와 그의 군대는 안전하게 평양에서 빠져나온다. 그렇다고 해도 평양성 탈환으로 조선군의 사기는 고조되었다.[167] 당장 고니시가 평양부 점령 후 선조를 추격하지 않은 것도 고니시군이 공세 종말점에 도달해 여력이 없었던 점도 있지만 명나라군의 참전에 대한 소문이 심리적으로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의견도 존재한다. 만약 고니시군이 지치지 않고 명나라의 조선에 대한 지원이 없었다면 이순신이나 조선군과 의병의 활약도 의미가 없이 전쟁이 거기서 끝장났을지도 모른다.[168] 더구나 원나라 시대에 쓴 《송사》에는 한세충과 같은 사기적 명장이 있어도 지도자인 황제가 한심해서 금나라에게 결과적으로 지고 있었는데, 선조도 명나라로 도주할 생각까지 했던 만큼 그와 비슷한 한심한 작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없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명나라군은 전선이 명나라 땅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인들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전란 중 각지에서 명나라군은 조선군과 연합해 활약했다. 비록 많은 추태와 패배를 하기도 했지만 명나라군의 참전으로 인해 조선군의 사기는 크게 올라갔다. 전쟁 막바지에는 유정과 같이 명 육군이 전투를 회피하는 일이 빈번히 생겨 이순신 장군이 조금 고생하기도 했다. 반면 명 수군을 이끌던 진린은 유정과 달리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같이 싸우긴 했다. 대표적으로 노량 해전에서는 일본군이 철수하므로 명군은 더이상 싸울 이유가 없었지만 진린은 끝까지 이순신과 협조했고, 자신이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비록 조선 수군의 활약으로 승리를 거두기는 했으나 이순신은 물론 자신의 휘하 장수인 등자룡을 잃었다.

더불어 명나라군이 대규모의 육군을 파병하게 되면서 조선은 그때까지 유지하던 군인들을 고향에 돌려보내며 숫자를 줄이게 된다. 병농 일치제인 조선에게 있어 생산 가능 인구를 군대에 잡아두는 건 국가 생산력에도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란으로 조선 경제가 굉장히 피폐해진 상태여서 군인들을 고향에 돌려보내어 농사짓게 하는일이 급했다. 한때 17만에 육박했던 조선군은 명나라군의 참전 이후 크게 줄어든다.

따지고 보면 임진왜란 당시의 명나라군은 후반의 조선 조정의 주요 탱커 역할을 수행한 셈이었고, 정유재란 때는 대규모 파병으로 아예 명나라군이 주력이 되었다.[169]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군은 최대 17만, 명나라군은 약 5만~7만 4천 명이었지만 정유재란 당시에 조선군은 약 3만, 명나라군은 9만~11만 7천 명에 달했다.

조선인에 대한 약탈이 엄청나게 심했던 명나라군이 아니라 명나라가 조선에 큰 도움을 준 바가 또 있다. 가령, 임진년 이후부터 명나라는 산동 등지에서 군량을 조달하여 현지의 명나라 병사들과 조선인들에게 뿌렸는데, 이 덕에 전쟁과 기근[170]에 따른 조선의 식량 사정이 나아졌다.[171]

비록 벽제관 전투의 패배로 전선을 고착화시키기도 하고 민폐도 많았지만 명나라군의 전투력과 지원이 있었기에 조선군이 재정비할 여유를 가질 수 있었고 조선이 거둔 승리가 빛을 발할 수 있었다. 특히 정유재란 당시에는 명나라 군이 한반도 남부에서 일본군과 전면전을 전개하며 일본군을 압박하였고,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 역시 사실이다. 만약 명나라 군의 이러한 활약이 없었다면 설사 히데요시가 죽었더라도 일본군이 한반도 남부에서 철수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상정할 수 있다.#

선조는 이후 재조지은이라며 명나라군을 드높이는데 이는 명나라군의 역할이 큰 영향을 끼치기도 했으나 당시 선조가 조선군의 업적을 깡그리 무시한데는 정치적 입장도 반영되어 있다.[172] 한국의 TV 드라마나 미디어에서는 민족주의 + 근대 이후로 중국을 멸시하게 된 풍조 + 사대주의에 대한 반감 등으로 명나라군의 활약을 묻어가는 경향이 강한데, 그리고 백성에게 패악질을 한 게 잘한 건 결코 아니지만, 경략 송응창은 조선에서 명나라 병사들의 대민약탈을 항의했을 때 사과했고 군대와 그를 지휘하는 장수들에게 군령삼십조(軍令三十條)를 하달하여 군기를 확립시켜 조선의 백성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도록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군령 삼십조'에는 조선 백성들에게 민폐를 끼치지 말 것을 명하는 조항이 3개가 있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관과 장졸들은 조선의 지방을 지나며 개와 닭이라 할지라도 놀라지 않도록 하여 조금도 범하지 말 것, 감히 민간의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라도 함부로 범하는 자는 군령에 의거해 목을 벤다.'(제 5조), '조선 부녀자를 함부로 범하는 자는 군령에 의거해 목을 벤다.'(제 6조), '조선의 강산은 곧 황상의 강산이며 조선의 백성들은 황상의 백성이니 함부로 조선의 남녀를 죽이거나, 투항한 자나 부역한 자를 죽이는 자는 군령에 의거해 목을 벤다.'(제 20조)]였다.[173] 게다가 명나라군의 개개인 단위의 횡포와는 별개로, 명나라 조정은 공식적으로 조선에 식량까지 지원해줬다. 또한 징비록에서는 백성들이 굶어 죽어가자 자기네 군량 50석을 내어줬다는 기록도 있다.

명나라는 피해를 준 부분이 있지만 분명 큰 도움이 된 것도 사실이다. 거기다 일본이 이길 줄 알고 일본군에 붙거나 협력한 조선인[174]들도 의외로 적지는 않았는데 명나라군이 참전해서 상대적으로 조선에 힘이 더 실려 그런 내부적 불안 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정감이 생겼다. 일단 명의 황제가 계속 지원을 해준다고 하니 조선 혼자서 일본이란 강적[175]과 싸울 때보다는 사기도 올랐을 것이다. 하지만 선조가 재조지은을 외친데에는 전란으로 인해 왕권이 땅에 떨어졌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선조는 전란 극복의 공을 자국의 전쟁 영웅이 아니라 명나라에서 찾았는데 그 이유는 명나라를 높이 세우면서 명나라군을 요청한 자신의 공을 인정해달라는데 있다. 이후 조선 조정은 청조의 감시까지 피해가면서 경복궁 뒤뜰에 대보단을 만들어서 새벽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명군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이기도 하지만, 이것 역시 인조삼전도의 굴욕을 당하면서 청나라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하자 청에 대한 반발 심리 역시 적용된 것이다.

다만 그와 별개로 횡포 또한 극심했던 것도 사실이다. 백성들에 대한 수탈이야 조선까지 와놓고 정작 식량 구하는 게 어려운 사정이 있어서 굶어죽을 수는 없으니 시도했다고 하더라도 명나라 장군들의 횡포도 만만찮아서 예를 들어 1597년 병조참판 박진[176]이 죽었는데 죽은 사유가 황당하게도 명나라 장군 누승선에 의한 구타였다. 병조참판이라면 현재로 치면 국방부라 할 수 있는 병조의 수장인 병조판서 바로 아래로 오늘날로 치면 국방부 차관에 해당된다. 국방부 말단 관리도 아니고 차관씩이나 되는 사람이 외국 장군에게 맞아죽는 일이 벌어진 것. 고위 관료조차도 맞아죽었는데 그보다 못한 이들은 얼마나 맞았을지 알 수 없다.

5.4.3. 명나라군이 악평을 들은 이유

상기한 이유로 참전한 만큼의 몫을 해준 명나라군이지만 후대에 이르면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고 민폐만 끼친 양 묘사되기도 한다.

이는 명나라군의 입장상 적극적인 전투 참여가 적었고[177]벽제관 전투에서 패전하여 전선을 고착화시킨 것도 있지만, 명나라군의 심각한 약탈과 엉망진창인 군기의 역할이 컸다. 명나라가 초기 파병한 병력은 조총홍이포, 불랑기포를 운영하는 화기 위주 남병이 아니라 기병으로만 구성된 북병으로 북병은 몽골인, 여진족,[178] 거란족 계통인 다우르족[179]의 혼성부대로 대부분 만주연해주, 시베리아 그리고 내몽골 출신이었으며 한족 기병들도 이들 몽골이나 여진 등 유목민 흉내를 내서 유목민과 한족의 구분이 불가능했을 정도였다. 명나라 사료들에서도 북방 한족 기병들이 오랑캐 기병들을 흉내내어 둘이 용모가 비슷해졌다고 언급한다. 변발, 호복 등 오랑캐 스타일을 본받아 모습이 얼추 비슷해졌던 것이다.

특히 이 중에 내몽골 차하르부[180] 밑 투메드부[181], 칼간[182] 부 출신 몽골족 기마부대의 약탈은 상상을 초월했다.

그리고 수천 문의 화포를 동원해 성 안에서 방어만 하고 있어도 적 지휘관이나 부대를 전멸시키던 과거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시대가 발전해서 절대적인 기준에서는 더 나아진 무기들도 있었지만 과거에는 무장의 질적 구성이 좋았던 반면 이 시기에는 암군들의 영향으로 기강이 개판이라 전체적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비유하자면 과거에는 보병들이 소총으로 무장했지만 전차자주포의 지원, 보급도 풍부한 반면에 이쯤 오면 보병들이 자동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전차자주포 등의 지원이나 보급 수준이 크게 떨어졌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과거 서달의 북벌군만 해도 사막과 혹독한 기후를 넘어 북원의 근거지인 내몽골은 물론 막북의 카라코룸, 울란바토르까지 가서 오이라트를 전멸시키고 도시를 초토화시킬 정도의 보급을 유지할 체계가 되었으나 임진왜란 때는 조선에서의 삽질이 있었다고 해도 손실된 군마나 장비 등을 쉽게 보급하지 못하고 있었다.

물론 일본군은 화약무기는 조총만 있고 화포가 없었기 때문에[183] 화력이 딸린 건 아니었지만, 초기 북병들의 경우 화포를 제한적으로 운영하고[184] 만구다이로 불리는 궁기병 위주에다 보급체계가 허접했다. 남병이 오자 비로소 보급도 나아지고 일본군이 갖지 못했던 화포의 위력이 나오기 시작했다. 일본에는 조총만 전래되고 화포는 없었으며[185], 화포 대용으로 대구경 조총인 대조총을 사용했다. 이 대조총도 원본은 조총인지라 50보 내의 유효사거리밖에 안 되어 사거리가 더 긴 화포에는 무력화되었다. 이순신의 경우는 절대 조총 유효사거리 내에 안 들어가고 화포를 퍼부어 조총수가 대거 탑승한 적선을 격침시켜 승전이 가능했으며[186][187], 부산포 해전에서 전사한 녹도 만호 정운은 적을 추격하다 조총 유효사거리 내에 들어오는 바람에 대조총에 맞아 전사한 것이었다.

게다가 징비록 등 여러 신뢰할 만한 사료에서는 명나라군의 장수들이 조선의 장수와 관료를 폭행하거나 무례하게 군 일이 많아서[188] 애를 먹게 했다고 기록돼 있는데[189], 이렇게 명군이 장수와 병사 할 것 없이 조선의 조정, 백성들에게 일관되게 나쁜 모습을 보여준 탓에, 명나라는 멸망의 원인 중 하나로 이 임진왜란에서의 조선 지원이 꼽힐 정도로 성심껏 자국의 역량을 다 들어바쳐서 조선을 도와주고도 비난받는 꼴이 됐다. 당시의 명나라군은 기강이 엉망이었고[190], 여러 지방에서 온 장수들이 군벌처럼 병사를 거느린 탓에 상호 협조나 전략적 교류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몇 년 안가 모문룡 같은 막장스러운 장수[191]가 나타난 것도 명나라군의 말기적 상태를 보여주는 좋은 예.

약탈과 보급상 무리수가 발생한 이유를 살펴보자면, 명나라 군대의 규모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명나라 군대도 사람이니까, 식량은 먹어야 살기 때문이다. 명나라 군대가 식량을 조달할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조선에서 돈을 주고 사먹는 방법과 중국에서 조선까지 식량을 운반하는 방법이다.[192]

명나라는 조선에게도 식량을 사들일 것과 은광을 개발해 은을 채굴할 것을 요구하였지만, 전란으로 혼란스러운 조선 입장에서 이를 해결하는 것은 무리였다.[197] 여기에 이런 군량 수송을 맡은 명나라 상인들이 식량을 착복하는 행위가 자행되어 보급 문제를 심화하기도 했다.[출처9]

여기에 명나라군의 군기마저 매우 나빠서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당시 명나라군은 내몽골만주와의 국경을 지키는 몽골인여진족 그리고 다우르족 (거란 잔존 세력) 혼성 부대인 북병과 조총불랑기포로 무장한 남병이 있었다. 북병은 주로 기병이었고 거의 주축은 몽골족 차하르부 기병이었으며 남병은 보병포병이었다. 여기서 북병은 대부분이 말도 안 통하던[199] 유목민들로 기강이 엉망이었으며 되려 평양을 명나라군의 차하르 몽골 기마부대가 약탈하기까지 했다.[200] 실제로 조선은 명나라에게 북병의 약탈이 너무 심하다면서 남병 중심으로 지원군이 왔으면 하고 바라기도 했다. 유성룡도 이 부분을 징비록에서 수시로 불평하고 있다.

이런저런 이유로 명나라군은 약탈을 자행했고, 이것이 명나라군에 대한 이미지를 극히 나쁘게 하여 후세에는 한 것도 없이 짐만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약탈의 정도만 따지면 일본군이 심하면 심했지, 명군보다 덜하진 않았다.[201] 히데요시는 조선 관리고 백성이고 가리지 않고 처단하라고 지시했고, 심지어 조선의 닭과 개도 남기지 말라고 말했다. 히데요시는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조선 재침략 일본군 지휘관으로 임명하면서 해마다 군사를 보내어 조선인을 다 죽여 빈 땅을 만든 후에 일본 서도의 사람을 이주시키길 10년을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으리라 여겼다고 한다. 조선에 포로로 잡힌 일본군 장수 후쿠다에 의하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걸을 수 있는 자는 포로로 잡고, 걷지 못하는 자는 모두 죽이며 후에 중국까지 정복할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일본 좌군을 따라 함께 움직인 종군 의승 게이넨[202]도 자신의 일기에서 일본군이 들도 산도 섬도 죄다 불태우고 사람들을 학살하는 모습이 악귀나 저승사자 같다고 적었다. 물론 히데요시의 명령에 싫증이 난 일본군은 돈[203]을 받으면 살려주기도 하고 이순신과 지방 양반들의 저항이 격렬한 전라남도에서는 대대적인 회유책[204]을 쓰기도 했다. 성과도 없지는 않아서 전라남도에서 일본에 붙은 양반들이나 백성들도 꽤 많았다고 하며 대부분 경상도에 설치된 왜성 중 유일하게 전라남도에 축성된 순천 왜성은 순천에 사는 양반인 박사유[205]의 공이 컸다.

물론 이에 대해서 명나라군을 그럼 배제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긴 했지만, 명군의 숫적 우세가 그래도 필요했다. 조선군은 의병들이 일본군을 상대로 유격전 이상의 활약을 기대하기 어려웠고[206], 정규군도 개편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수성전에 치중했다. 그렇다보니 조선으로서는 명나라군을 어떻게든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거기에 명나라군에게는 일본에는 아예 있지도 않았던 대포인 불랑기포가 대거 있어서 화력전에서 일본군을 확실하게 압도가 가능했다.[207] 조총을 쏠려고 폼을 잡는 순간 명군의 화포가 쏟아져 버리니 일본군이 도저히 어떻게 할 도리가 없었다.

단적인 사례로 고대일록(孤臺日錄) 1592년 6월 15일을 보면
○ 6월 15일 계묘(癸卯) 충청도 순찰사(忠淸道巡察使) 윤선각(尹先覺)ㆍ전라도 순찰사(全羅道巡察使) 이광(李洸)ㆍ경상도 순찰사(慶尙道巡察使) 김수(金睟)의 군대가 수원(水原)에서 궤멸되었다. 군대가 패배하던 날은 6월 초순이었지만 도로가 막히는 바람에 전갈이 비로소 도달했다. 이에 앞서 이광은 스스로 근왕(勤王)을 칭하며 군사 5,000여 명을 거느리고, 윤선각은 군사 수천 명을 이끌고, 김수는 50여 명을 거느리고 수원에 진을 쳤다. 일본 기병 여섯이 깃발을 세우고서 일본도를 휘두르며 오자, 조선 군인 10,000여 명은 겁먹고 무너져 갑옷과 활을 내팽겨치면서 달아났다. 버려진 양식과 궁시(弓矢)ㆍ깃발ㆍ북 등의 물건이 산처럼 쌓였다. 그 외에 상실한 것은 파악조차 할 수가 없었다.

보다시피 제대로 된 전투 병력이라 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진 병사들도 있었다.[208][209]

그리고 가뜩이나 바다에서 제해권을 뺏겨 보급이 되질 않고 있던 일본군 입장에서 명나라군의 참전은 일본군이 조선 정복에 회의적으로 변하게 만들었다. 물론 이는 전선에 있던 일본 장수들의 의견이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아니었다. 히데요시는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감에도 망상에 사로잡혀 명나라 수도 연경에 황궁을 만들고 칭기즈 칸처럼 중국 대륙을 정복할 것이다조선 8도 중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의 조선 4도를 일본에 편입할 것이다 등의 뻘생각이나 하고 있었고 결국 죽을 때까지 현실감각이 없이 망상 속에서 지내다 죽었으며, 조선군이 반격을 거칠게 하자 정유재란 때는 조선인의 씨를 말리고 조선을 빈땅으로 만든 후 일본인들을 이주시키겠다며 일명 귀무덤[210], 코무덤을 만들기까지 했다.

참고로 고대일록은 공문서나 사문서를 참고해 비교적 객관적·사실적으로 역사를 전하고 있으며, 특히 1592년부터 1593년까지의 임진왜란 초기 사회에 대한 기록이 상세하게 들어 있고 전쟁 당시 사대부들이 겪은 애환과 향촌 사회 연구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 또한 다수 포함하고 있어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명나라에서는 왜란 이후 이 재조지은을 빌미로 조선에게 엄청난 양의 은을 요구했는데 이는 만력제의 잘못으로 명나라의 경제가 어려워지자 만력제는 자신의 국고를 여는 대신 광세라고 하여 세금이라는 명목으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전국의 은을 긁어모았으며 불똥이 조선으로도 튀어 조선에 엄청난 양의 은을 요구한 것이다. 즉 재조지은을 빌미로 명나라는 조선에게 무리한 은 지출을 요구했고 이게 후대 한국에서 명나라의 이미지를 악화시키는데 일조했다.

5.5. 교착 상황과 강화 회담

전쟁이 교착상태가 되면서 강화 회담이 시작되었다. 히데요시는 회담의 진행에 적당히 개입하고 강화 조건을 조절하였다. 명나라의 '책봉은 가능하지만 조공무역은 안 된다'는 일관적인 입장에 대해 묵인하는 태도를 보였고 조선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불쾌감을 드러냈다. 책봉을 받고 나서 '조선에서 사죄의 표시로 왕자가 오지 않았다'는 명목으로 화를 낸 후 전쟁은 모두 조선의 탓이라는 내용의 세 가지 이유를 들먹이며 전쟁을 재개하였다. 책봉 당시 받았던 책봉 교서, 만력제의 칙유, 관복, 인장이 지금까지도 남아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5.5.1. 기존에 잘못 알려진 설

20세기까지만 해도 강화파였던 고니시 유키나가심유경이 전쟁을 끝내려고 국서를 조작해 양쪽을 구슬려 삶으려다 승려 사이쇼 조타이에 의해 탄로가 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대노하고 강화가 파기되었다라고 알려져 있었다. 위조한 내용대로 글을 읊기로 한 승려 사이쇼 조타이(西笑承兌)가[211] 명나라의 봉공안을 그대로 읽어버렸고, 일본국왕 책봉 따위는 필요없다며 분노한 히데요시가 외교문서를 찢고 사신들을 추방함으로써 화의는 결렬되었다고 민간에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심유경은 문서 조작과 강화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본으로 귀화하기 위해 남쪽으로 도주하다가 의령 부근에서 명나라 장수 양원에게 잡혀 국제 사기죄로 압송되어 목이 잘리고, 고니시도 히데요시한테 책임 추궁으로 처형 당할 뻔했으나 이시다 미츠나리의 만류로 다시 전장에 복귀해 이듬해(1597년) 정유년 정유재란이 발발했다는 설이 대략적인 이야기이다.

5.5.2. 왜 잘못 알려졌는가?

민간에 널리 퍼진 설이 거짓이라는 것은 사료만 찾아봐도 알 수 있었다. 1900년대 초 도쿠토미 이이치로(도쿠토미 호소)의 근세일본국민사(1918)에서도 사실이 아님이 지적된 바 있었다. 2010년대 한중일 학계의 연구 역시 속설이 가짜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한일역사공동역사 위원회도 이것이 거짓임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다음 내용은 이에 관한 논문과 연구들을 요약한 것이다.[212]

사료를 검토해 본 한중일 학계의 결론은 이 이야기가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유학자와 병법가들이 내용을 왜곡하여 기록하였고 이게 민간에 널리 퍼지면서 해당 이야기가 실제 사실인냥 알려졌다는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서 일본적인 것을 강조하는 국학이 등장하면서 자국을 높이고 타국을 깎아내리는 풍조가 성행했다.[213] 책봉의 진상을 알고 히데요시가 화를 내고 강화를 깼다는 왜곡된 이야기는 임진왜란 당시가 아닌, 에도시대의 유학자 후지와라 세이카의 제자인 호리 교안(堀杏庵)이 1659년 출판한 '조선정벌기(朝鮮征伐記)'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이것은 이후 병법가인 야가마 소코(山鹿素行)의 '무사가기', '신편무사가기'(1673년)에서 책봉문을 찢었다는 내용으로 발전하였고, 유학자 하야시 라잔의 '풍신수길보'에 윤색되었다. 이는 국학자모토오리 노리나가가 1796년 펴낸 어융개언(馭戒慨言)에서 임진왜란이 한반도를 재복속하는 것이고 조선통신사는 조공사라는 내용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이러한 기록들은 당대 유명한 학자들이 쓴 것은 맞지만 사실을 기록했다기보다 당시 유행한 국수주의적 국학의 관념을 깔고 있는 것이었고 일본을 미화하는데에 집중한 것들이었다. 이 책들이 당시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히데요시의 강화 파기에 대한 잘못된 사실이 널리 퍼지게 되었고 일본의 자국 찬양과 한반도의 멸시, 나아가 정한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5.5.3. 21세기 연구에 따른 실제 사실

일본군은 임란 최대의 분수령인 이치 전투에서 권율 장군의 조선군에게 패배하고, 김시민 장군이 진주성을 지켜내어 진주성 함락이 수포로 돌아가자 조선의 전라도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실패한다. 그러다보니 일본군 내부에서도 더이상 진격하기 힘드니 물러서자는 분위기가 되었다. 진주성이 함락되었던 2차 진주성 전투(1593년 6월)는 그 물러나는 가운데 히데요시의 김시민에 대한 분풀이와 일본군의 세력 과시를 위해 벌어진 전투다.[214] 주로 조선군은 진주 대첩 때의 두 배 정도인 6~7천여 병력으로 방어전에 나섰으나[215] 9만 명이 넘는 적[216]을 상대로 9일동안이나 항전했으나 황진 등이 전사하고 갑작스런 폭우로 성벽 일부가 무너지면서[217] 성이 함락되고 살아있는 모든 것들이 학살되었다. 하지만 일본군 역시 성을 함락한다고 피해가 심각했다.

또한 곽재우, 정문부 등의 의병들과 정기룡 같은 정신차린 관군들이 반격을 시작했고, 사명당이 승군을 조직하며 일본군을 곳곳에서 격파하고 향토의 방위를 책임진다.[218] 이 과정에서 의병 중 다수가 경험 부족과 전략적 결함으로 전사하기도 했다. 조헌과 고경명이 그 예.

1593년이 되어 행주 대첩의 승리로 한양을 되찾고 전선이 안정화되자 조선은 의병, 수군을 제외하고 13만 대군을 뽑는 기염을 토한다.[219]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17만 5천의 병력이 3만 5천 정도로 줄어드는데, 핵심적인 이유는 기근과 역병 때문이었다. 1593 ~ 94년에 연달아 기근이 일어나고 (계갑 대기근) 지역별로 역병까지 터져서 도저히 병력을 유지할 수가 없었던 것. 당시 조선군 최강의 전력이었던 이순신의 수군 또한 군량 확보 문제를 겪어 둔전과 개간을 통해 자체적으로 군량미를 모았고, 역병으로 인한 비전투 손실이 수천이 넘어 전체 수군 병력의 30% 이상이 감염자였다. [220]

기존에 확보한 비축미들은 임진년에 조선 관군과 의병, 일본군이 확보해 소모해 버렸고 남은 게 없었다. 게다가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제대로 농사를 지을 여건이 마련되지 않아 갑오년에는 상황이 더 악화되어 식인(人相食)이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사람 고기를 내다 판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가 되었다. 상황이 이러니 보급이 곤란해진 명군은 약탈을 벌여 부족한 물자를 채우거나 조선측에서 진주성 지원이나 남진을 애원해도 이를 들어주지 않았다. 명에서도 산동, 요동 일대에 기근이 발생해 조선을 제대로 지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고 운송을 하는 일도 난이도가 높았다.

일본군 또한 병량이 곤란해져 진즉에 부산포로 총퇴각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1593 ~ 94년부터 전쟁은 소강기로 접어들었고, 명 · 일 양국의 정치적 이유로 인해 강화 협상이 진척되었다. 이밖에 조선군의 규모가 줄어든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소소한 주장이 있다.

그러는 사이 일본의 대표적 반전파인 고니시 유키나가와 명나라 장군 이여송, 심유경 등이 주축이 되어 평화 협상을 벌이는데, 명에서는 협상의 대가로 도요토미를 일본의 왕으로 삼고 그 입공(入貢)을 허락한다는 봉공안(封貢案)을 보냄으로서 국면을 해결지으려 했으나, 히데요시는 본인 특유의 허세블러핑이 섞인 요구조건을 제시한다. 하지만 아무리 블러핑이 섞였다곤 해도 히데요시가 제시한 요구 조건은 일부를 제외하면 명과 조선이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이었다.

히데요시는 이러한 조건들을 외교를 전담하던 오선승(五禪僧, 외교 담당 승려)을 통해 강화사로 위장한 송응창 부하인 사용재와 서일관에게 물었으나 당연하게도 '이대로 전할 수 없고 특히 명나라 황녀를 보내라는 첫 번째 조건은 절대적으로 불가하다'는 답변을 들었다. 이에 무엇으로 증거를 삼을 것인지 질문하자 순의왕(順義王, 알탄 칸)[221]의 예가 있다면서 증거는 필요 없으니 조건을 삭제해 달라고 하였다. 히데요시는 ‘명나라 공주와 천황의 결혼, 조선 왕자의 인질이라는 조건이 아니면 4개 도를 반환할 수 없다’고 명확히 하며, '일본과 명나라의 관계가 끊긴 지 오래이기에 조선을 통해 관계를 개선하려 했지만, 조선이 시간만 끌고 속이기에 징벌하게 되었다. 이제 명나라 사절이 왔으니 사절이 우리의 요구 조건을 잘 전달해 달라'고 하였다.

송응창이 내세웠던 조건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1. 조선에서 완전히 물러갈 것.
2. 조선의 두 왕자를 송환할 것.
3.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번 전쟁을 공식적으로 사죄할 것.[222]

일본의 요구조건들은 조선과 명나라의 입장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대명일본화평조건(大明日本和平条件)
1.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의 후궁으로 삼는다.
2. 무역 증서제를 부활한다.
3. 일본과 명나라 양국 대신이 각서를 교환한다.
4. 조선 8도 가운데 4도를 일본에 이양한다.
5. 조선의 왕자와 신하를 볼모로 일본에 보낸다.
6. 포로로 잡고 있는 조선의 두 왕자(임해군, 순화군)를 석방한다.
7. 조선의 권신이 일본을 배반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한다.

이 조항들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명나라 황녀 문제: 화번공주라 하여 역대 중국 왕조에서 황녀를 외국의 지배자와 공식 혼인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양국 관계를 우호적으로 만든 선례는 분명 많았다. 따라서 만약 히데요시가 천황의 정비, 혹은 최소한 실권자인 히데요시를 명나라 황제가 일본 국왕으로 봉한 다음 정실 부인으로 황녀를 맞이하겠다고 주장했다면 명나라로선 조금이나마 고려할 가치가 있었다. 하지만 정식 황후도 아니고 겨우 후궁이었으니 이는 고려하고 말고가 없는 무리한 요구였다.

2, 3. 무역 증서제 부활 및 각서 교환: 무역 증서제란 감합 무역이라 부르는 것으로, 무로마치 막부 시절에 행했던 일로 이 배는 일본에서 명나라랑 무역하기 위해 온 배라는 것을 증명하는 문서를 명나라에서 작성해 반쪽은 일본에 주고 반쪽은 명나라가 갖고 있다가 배가 오면 증서를 맞춰 맞으면 일본에서 온 배임을 인정하는 것인데 전국 시대에 다이묘들이 너나없이 명나라와 교역하려고 하자 폐지되었다. 그러나 처음부터 명나라 조정은 책봉은 하되 무역은 허락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에 관철되기 불가능한 조건이었다.

4. 조선 4도의 할양: 항목 중에도 제일 황당한 조건이며, 조선이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조건.[223] 명나라가 강화 협상 당시 조선에 약속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조선 영토 보장. 즉 일본을 평화롭게 물러가도록 하겠다는 것이었고, 그게 아니라도 영토 절반을 빼앗길 판에 명나라가 강요한다고 해서 조선이 들을 리 만무하다. 히데요시가 주장한 4도 할양은 사실상 일본군이 그 시점에서 점령한 경상도를 비롯한 조선 남부 지역 4도(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 경기도 또는 강원도)를 내놓으라는 뜻이다. 쓸모없는 황무지로만 가득찬 변방 지역이라고 해도 조선 측에서 수용할 리가 없는데, 이 지역은 인구나 경제력이나 다 수위권에 드는 조선의 금싸라기 땅이다. 이걸 내놓으라는 건 조선 전체를 갖다바치라는 얘기나 진배없다. 게다가 이 중 경상도를 제외한 지역은 일본군이 점령한 상태도 아니었다.

명나라에서조차 이건 받아줄 마음이 처음부터 없었고, 명군 내부에서 벌어진 논쟁도 '철군한 뒤 조선에게 전쟁을 맡기자 vs 우리가 영토를 다 찾아주고 난 뒤에 철군하자'는 쪽으로 일찍 후퇴하냐 아니면 같이 싸워 이긴 뒤에 후퇴하냐가 요점이었지, '영토를 넘기느냐 마느냐' 같은 건 안중에도 없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로선 대륙 정벌의 망상에서 최소한 조선 절반이라도 건질려고 내건 조건이었겠으나, 그건 히데요시 입장이고 명과 조선이 이걸 신경써줘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으니까. 거기다 이 요구는 들어줘도 문제인 게 당장 전라도, 경상도부터가 의병이 들끓고 있어서 군대를 주둔시켜도 통제를 제대로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어찌어찌 조선의 4도를 일본이 먹었다 쳐도 해당 지역 조선인들이 그걸 순순히 받아들일 리도 없고, 정복이 아니라 통치를 해야 할 상황이 오면 민중의 호응 없이는 불가능하다. 당시 일본은 전국시대가 막 끝나가는 참이라 자국 통일조차도 엉성한 봉건 할거 상황이었고 조선 왕조를 멸망시키지도 못한 상태였으니, 조선의 일본군은 바다 건너 적대적인 피지배민 속에서 고립된 영지로 임나일본부 실사판이나 찍다가 히데요시 사후, 잘해봤자 얼마 못가 조선 점령지에서 쫓겨났을 확률이 훨씬 높다. 설령 만에 하나 정말로 일이 잘 풀린다고 해도 결국은 조선에 동화되거나 아니면 도요토미가 있는 본국에 반기를 일으킬 것이 뻔했다. 어차피 바다 건너에 있는 도요토미의 명령이 조선땅에 와 있는 다이묘한테 먹힐 리도 없을 테니.

5, 6. 왕자의 석방 및 볼모 송환: 임진왜란 이전의 한국사에서 일반 신하도 아니고 왕자를 해외에 볼모로 보낸 것은 삼국시대 신라에서 실성 마립간이 복호와 미사흔을 일본에 보낸 것과, 고려 때 여몽전쟁 및 이후의 원 간섭기 시절 왕자를 보낸 사례 정도가 있다. 그나마 전자는 인질을 빌미로 선왕의 아들들을 숙청하려는 의도였고,후자는 고려가 몽골에게 굴복하여 보낸 것이다. 즉, 조선이 일본에게 고개를 숙이고 굴복하라는 소리였다. 당연히 조선 측에선 받아들일 수 없었다.

7. 일본을 배반하지 않겠다는 서약: 여기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먼저 '권신'이라고 표현한 이유를 해석해야 하는데, 여기서 권신이란 류성룡같은 조선의 재상이 아닌 국왕인 선조를 지칭했을 확률이 높아보인다. 만약 그렇다면 히데요시는 알았건 몰랐건[224] 선조를 왕으로 여기진 않았다는 것으로, 그 자체만으로도 조선의 국체를 훼손하는 일이다. 다음으로 조선을 침공한 책임은 엄연히 일본에게 있었는데, 이 책임은 전혀 대가를 치르지 않고 오히려 조선에게 신의를 강요하는 주장은 그야말로 적반하장으로 조선 입장에선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소리였다.

사용재와 서일관은 히데요시의 요구조건을 명 조정에 그대로 보고하는 대신 ‘히데요시는 자신을 일본국왕으로 책봉하여 무역을 부활시켜 줄 것을 요구한다’라고 허위 보고한다. 사실 명 조정에는 '일본의 본심을 믿을 수 없다', '히데요시를 일본국왕으로 책봉하면 일본과의 무역도 허해야 되고 이는 경제적 손해로 이어질 수 있다', '양쯔강 이남 지역이 위험해진다' 등의 논리로 일본과의 강화 반대에 반대하는 이들도 상당수 있었다. 그러나 명 내의 강화론자들은 조선까지 끌어들여, '조선 역시 강화를 원한다'고 강변했다. 일본과의 강화는 생각조차 않았던 조선 조정은 당연히 격앙되었으나, '강화에 반대하면 명군을 모두 철수시키고 다시는 조선을 돕지 않겠다'는 경략 고양겸의 으름장에 못 이겨 끝내 선조의 이름으로 '왜를 책봉하여 전쟁을 멈춤으로써 우리 나라 사직을 보존케 해 달라'는 굴욕적인 상주문을 명에 보내게 된다.

조선을 끌어들임으로써 강화론이 대세가 된 명나라 조정에서는 강화의 조건으로 히데요시의 항표문을 요구했고 강화사 파견에 대한 답례사 겸 가짜 항표문을 가지고 있었던 유키나가의 심복 나이토 조안이 만력제를 배알하고 명나라 병부상서 석성을 만나 책봉 할 무장의 명단도 함께 제출하였다.[225]

이에 명나라 조정은 이전의 조건과 더불어 책봉은 허가하지만, 조공 무역은 허락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석성은 일본에게 다음의 세 가지를 요구한다.
1. 조선에서 완전히 물러갈 것.
2. 히데요시를 일본국왕으로 책봉은 하지만 무역은 요구하지 말 것.
3. 조선과 화해하고 (일본이) 명나라의 번속국이 됐으므로 (같은 번속국인) 조선을 침략하지 말 것.

이후 명나라 책봉사가 부산에 도착하지만 일본군의 완전 철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일본에 가기를 거부하였다. 명 사절단 측은 일본이 조선에서 완전히 철군해야 일본으로 출발하겠다고 했으나, 일본은 병력을 찔끔찔끔 물리고만 있었던 것. 이런 줄다리기 속에서 명나라 내 강화론자들은 행여 강화가 파탄 나지는 않을까 몸이 달아, 조선 내 주둔 중인 일본군을 해치지 말라고(?) 조선인들에게 요구하는 무리수까지 둔다. 특히 명의 강화론자 심유경은 사실상 일본군의 권익을 대표하게 되어, 조선에 잔류 중인 일본군들에게 표첩(증서)을 내려 준 후, 표첩을 소지한 일본군을 건드리지 말라고 조선 관민들에게 엄포를 놓는다. 1596년 이원익이 조선 조정에 올린 보고에 따르면, 왜군들이 이 '심유경 표첩'을 휴대한 상태라 이들이 횡행해도 조선 관민은 아무런 조치도 취할 수 없었다고 한다. 명이 조선을 도와 철천지 원수 왜군을 몰아내 줄 거라는 기대를 품었던 조선 백성들로서는 그야말로 알 수 없는 일이었을 터.

각설하고, 고니시로부터 이 보고를 받은 히데요시는 새로운 3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조건을 살펴보면 히데요시는 이미 자신이 일본 국왕에 책봉됨을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서를 지참하는 것, 무역을 하게 될 경우 금인으로 증거를 삼고자 하였다.
대명조선여일본화평조목(大明朝鮮與日本和平条目)
1. 조선의 왕자를 자기에게 데려오면[226] 일본이 가지고 있는, 조선의 4개 도를 반환한다.
2. 왕자가 고니시의 진영이 있는 웅천까지 오면 진영 15개 소 중 10개 소를 소각하고 일본군이 철수한다.
3. 명나라 황제의 부탁 때문에 조선을 사면하는 대신 명나라 칙사가 조문을 가져오고 무역의 재개를 바란다.

고니시 유키나가는 조선으로 돌아와 부산 지역에 있던 일본군의 군영 2/3를 불태웠지만 여전히 책봉 정사 이종성이 일본으로 건너가기를 거부하였고 책봉사의 일정이 지체되는 것을 다시 보고하러 가게 되었다. 이때 정사 이종성이 도망가는 일이 일어났고 더이상 반대하는 사람이 없어진 책봉사절은 책봉 부사였던 양방형이 정사로 승격되고 심유경이 부사가 되어 1596년 6월에 일본으로 출발한다. 조선 측에서는 황신을 정사로 삼아 8월에 사절단을 보낸다.[227]

그러나 히데요시는 조선 사절의 접견을 거부하였기에 이들은 명나라 관리들에게 책봉식장의 상황을 전해듣는 데에 그쳤다. 거부 이유는 왕자가 안왔다는 점, 사절의 벼슬이 낮은 점, 늑장을 부려 책봉사보다 늦게 도착했다는 점이었다. 이는 단순한 트집잡기는 아니었는데 이미 야나가와 시게노부와 요시라가 경고했던 부분이었기 때문이다.[출처10][출처11] 심유경은 정사보다 먼저 도착하여 히데요시를 만나는데, 심유경의 행렬에는 구경꾼들에게 명나라 황제가 히데요시를 일본국왕으로 임명한다는 것을 알리는 팻말이 있었다고 프로이스가 기록하고 있다.

만력 24년(1596년) 9월 2일 다이묘들이 배석한 가운데 히데요시는 일본국왕으로 책봉되었다.[230] 다이묘들 또한 각기 서열에 따른 명나라 관직에 임명되었다. 이때 책봉문, 금인, 관면을 수령했는데 현재까지 남아 오사카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이 장면을 기록한 대표적인 1차 사료들이 일본의 승려 겐소(현소)의 선소고, 유럽의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의 기록, 조선 사절의 정사 황신의 일본왕환일기, 조선왕조실록이다. 이들 모든 사료에 다이묘들은 명나라에서 하사한 관복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히데요시의 명나라 관복 착용 여부에 대해서는 기록이 다소 다른데, 선소고, 루이스 프로이스의 기록, 황신의 일본왕환일기와 조선왕조실록 내 황신의 보고에는 입었다고 되어 있고, 조선왕조실록 내 조덕수의 보고에는 입지 않았다고 하고 있다.

추가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명나라 책봉사 양방향과 심유경의 말에 의하면 봉작례 때 히데요시는 신종 황제(만력제)의 칙서에 ‘다섯 번 절하고 세 번 머리를 조아리는 예’(五拜三叩頭禮)를 행하고 만세까지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일본 측의 기록인 '선소고'에서도 '만세'를 '삼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국왕 책봉문
>봉천고명.
하늘의 뜻을 받아 황제는 제[231]를 이르노라.
성인광운,
무릇 하늘이 보호해주고 땅이 받쳐주는 황제의 명령을 존친하지 않는 자는 없고
널리 바다 구석의 해 뜨는 곳까지 미쳐 복종하지 않는 자가 없다.
더불어 옛날 나의 황조께서 여러 지역을 길러주시어
황제의 인장과 깃발을 멀리 부상까지 내려주셨는데,
비석에 크게 전각하여 영예를 진국의 산에 베풀었다.
황위를 계승하면서 바다의 파도가 높아졌고 마침 풍점도 멀리하게 되었다.
이제 융성한 시대가 되어 마땅히 이장(彝章)을 이어가고자 한다.
아아! 그대 풍신 평수길은 해방에서 굴기하여 중국을 받드는 법을 알았다.
서쪽으로 한 신하를 보내어 하나가 됨을 흔모하였고, 북쪽으로 만리의 관문을 두드리며 내부를 간곡히 구하였다.
정이 이미 매우 공순하니 회유하는 은혜를 아낄 수 있겠는가.
이에 특별히 그대일본국왕에 책봉하며 고명을 하사하고 은총이 지함에 빛나니 의관을 바다에 내린다.
풍속을 섬 오랑캐에게 행하니 천조의 번위를 단단히 하라.
그대는 신하의 직분을 마땅히 닦고 약속을 정성스레 지켜,
황제의 은혜가 이미 두터움을 느끼고 정성을 달리하는 일 없이 삼가 윤음에 복종하고 영원이 성교를 따르라.
공경하라.
만력이십삼년 정월 이십일일

奉天誥命

奉天承運皇帝制曰
聖仁廣運

天覆地載莫不尊親帝命
漙將曁海隅日出罔不率
俾昔我皇祖誕育多方
龜紐龍章遠錫扶桑之域
貞珉大篆榮施鎭國之山
嗣以海波之揚偶致風占之隔
當玆盛際宜續彛章
咨爾豊臣平秀吉堀起海邦知尊中國
西馳一介之使欣慕來同北叩万里之關懇求內附
情旣堅於恭順恩可靳於柔懷
玆特封爾爲日本國王錫之誥命於戱寵賁芝函襲冠裳於海
表風行卉服固藩衛於天朝
爾其念臣職之當修恪循要束
感皇恩之已渥無替疑誠祇服綸言永遵聲敎
欽哉
萬曆二十三年正月二十一日
만력제의 일본국왕 도요토미 히데요시 칙유
>황제칙유일본국왕평수길
짐은 천명을 받아 만방에 군림하는데 어찌 오직 중화만을 편안하게 하겠는가.
또한 널리 바다의 안팎과 해가 비치는 땅 모두에 즐겁지 않은이가 없는 후에야 비로소 흐뭇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다.
그대, 일본의 평수길은 군사를 일으켜 조선을 침략하였는데,
무릇 조선은 우리 천조에 대해 2백년 간 삼가 직공을 지킨 나라이다.
짐에게 급함을 고해왔기에 짐은 매우 진노하여 일부의 군사를 보내어 구해주었으나 죽이고 베는 것으로 위력을 떨치는 것은 짐의 본뜻이 아니다.
곧 그대의 장수 풍신행장등원여안을 사신으로 보내어 군사를 일으킨 이유를 자세히 말하였다.
본래 천조에 책봉을 요청하기 위해 조선에 전달을 부탁하였는데, 조선이 성교를 멀리하여 통하는 것을 거부하였기에, 문득 그대가 군사를 일으켜 천병을 번거롭게 한 일은 이미 후회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제 조선의 수도에서 물러났고 조선 왕자와 배신을 돌려보냈으며, 공손히 표문을 갖추어 보내며 앞서의 요청을 하였다.
경략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이 전후로 그대를 위해 전주하였으나 그대의 군대가 다시 조선의 진주를 침범한 정상은 반복무상하여 짐이 끝내 논의를 파하였다.
근래에 조선국왕 이연이 그대를 위해 대신 청하였고, 또 부산의 왜군이 해가 지나도록 소란을 일으키지 않고 오직 책봉사를 기다리면서 공손히 성의를 보이고 있다는 보고를 올렸다.
따라서 짐이 특별히 등원여안을 북경으로 불러들여 문무제신으로 하여금 궐정회의를 통해 시말을 조사하고 세 가지 약속을 정하였다.
지금부터 부산의 왜군은 모두 철수하여 한 사람도 남기지 말 것.
책봉 이후에는 감히 별도로 공시를 요구하여 사단을 일으키지 말 것.
감히 다시 조선을 침범하여 이웃 간의 호의를 잃지 않도록 할 것.
실정이 그러하고 그대가 과연 공손히 성의를 보인 것이라면, 짐은 이에 미루어 믿고 의심하지 않으며 선을 함께 할 수 있음을 기쁘게 여길 것이다.
이에 전에 파견했던 유격 심유경에게 칙을 내려 부산에 가서 선유하게 하였으니, 너희 군대는 모두 귀국하라.
특별히 후군도독부첨서 서도독첨사 이종성을 정사로 삼고,
오군영우부장 좌군도독부 서도독첨사 양방형을 부사로 삼아
부절을 지니고 가서 고명을 내려 그대 평수길일본국왕에 책봉하고 금인을 하사하고 관복을 더해주겠다.
배신 이하에게는 또한 각각 헤아려 관직을 내림으로서 은혜를 널리 퍼트리려 한다.
이에 그대 나라의 사람들에게 조서를 내려 그대의 호령을 받들고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대대로 너희 땅에 살며 대대로 너희 백성을 다스려라.
대개 우리 성조 문황제께서 너희 나라를 책봉한 이래 지금에 이르러 다시 책봉하는 것이니,
세상에 드문 성전이라 하겠다.
책봉 이후에 그대는 세 가지 약속을 삼가 받들고 영원히 마음에 새겨 충성으로 천조에 보은하고 다른 나라들과 신의를 돈독히 하라.
부근의 오랑캐들은 힘써 제어하여 연해에서 일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라.
66개 섬의 백성들은 오랫동안 동원되어 본업에서 유리되어 있었으니 마땅히 위무하여 부모처자와 함께 모여 살 수 있도록 하라.
이것이 그대가 짐의 뜻을 받들어 체득하는 것이며 천심에 답하는 것으로 공헌은 그대가 공손한 성의를 다하는 것이다.
단 우리 해변의 장수와 관리들은 오직 전수만 알고 있으므로 바람과 파도를 타고 출몰하면 옥석을 구분하기 힘들며,
효순함이 이미 굳건한데 짐이 어찌 보답하지 않는 것을 책망할 수 있겠는가.
조공을 일체 면제하여 후일의 흔단을 없애겠다.
짐의 명령을 준수하여 위반하지 말라.
하늘의 눈은 매우 엄하며 왕법은 혁연하다.
공경하라.
이에 칙유를 내린다.
만력이십삼년정월이십일일

皇帝勅諭日本國王平秀吉
朕恭承天命君臨萬邦豈獨而安中華
將使薄海內外日月照臨之地罔不樂生而後心始慊也
爾日本平秀吉比稱兵于朝鮮
夫朝鮮我天朝二百年恪守職貢之國也
告急於朕朕是以赫然震怒出偏師以救之殺伐用張原非朕意
廼爾將豊臣行長遣使藤原如安來具陳稱兵之由
本爲乞封天朝求朝鮮轉達而朝鮮隔越聖敎不肯爲通輙爾觸冒以煩天兵旣悔過矣
今退還朝鮮王京送回朝鮮王子陪臣恭具表文仍申前請經略
諸臣前後爲爾轉奏而爾衆復犯朝鮮之晉州情屬反覆朕遂報罷
邇者朝鮮國王李㫟爲爾代請又奏釜山倭衆經年無譁專俟封使具見恭誠
朕故特取藤原如安來京令文武群臣會集闕廷譯審始末幷訂原約三事
自今釜山倭衆盡數退回不敢留往一人
旣封之後不敢別求貢市以啓事端
不敢再犯朝鮮以失鄰好披露
情實果爾恭誠朕是以推心不疑嘉與爲善
因勅原差遊擊沈惟敬前去釜山宣諭爾衆盡數歸國
特遣後軍都督府僉書署都督僉事李宗城爲正使
五軍營右副將左軍都督府署都督僉事楊方亨爲副使
持節賚誥封爾平秀吉爲日本國王錫以金印加以冠服
陪臣以下亦各量授官職用薄恩賚
仍詔告爾國人俾奉爾號令毋得違越
世居爾土世統爾民
盖自我成祖文皇帝錫封爾國迄今再封可謂曠世之盛典矣
自封以後爾其恪奉三約永肩一心以忠誠報天朝以信義睦諸國
附近夷衆務加禁戢毋令生事於沿海
六十六島之民久事徵調離棄本業當加意撫綏使其父母妻子得相完聚
是爾之所以仰體朕意而上答天心者也至於貢獻固爾恭誠
但我邊海將吏惟知戰守風濤出沒玉石難分
效順旣堅朕豈責報
一切免行俾絶後釁
遵守朕命勿得有違
天鑑孔嚴王章有赫
欽哉
故諭
萬曆二十三年正月二十一日
책봉정사 양방형의 보고
>"책봉 일본 정사 등관 오군영등 아문서 도독 첨사(冊封日本正使等官五軍營等衙門署都督僉使) 양(楊) 등이 동봉(東封)을 완보(完報)하는 일입니다. 본직이 본년 6월15일에 부산에서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넜던 것은 이미 본제(本題)에 갖추어 알렸습니다. 길이 험난하고 풍파가 매우 거세었지만 황상(皇上)의 위령(威靈)에 힘입어 다행히 목숨을 보전하여 8월 4일에 이르러서 비로소 화천주(和泉州)에 도착하니 곧 풍신수길이 미리 준비한 사신 접대소인데, 이곳에서 일본국의 신도(新都)와의 거리는 1백 30여 리나 되었습니다. 수길이 여러 차례 왜장 장성(長盛)과 삼성(三成) 등을 파견하여 글을 보내어 영접하고 위로했는데, 자못 성심을 다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황제께서 내린 용절(龍節)·고명(誥命)·조칙(詔勅) 등은 윤8월 18일이 되어서야 비로소 도착하였으므로, 본직 등이 즉시 수행원을 거느리고 배 위로 나아가 머리를 조아리고 받들어 저의 숙소에 안정시켜 놓았습니다. 왜장 행장이 수길에게 치보하여 9월 2일을 택해 대판(大坂)지방에서 책명(冊命)을 받들어 봉(封)을 받기로 정하였으므로 본직 등은 9월 1일에 절(節)을 가지고 먼저 가서 당일로 대판에 도착하였습니다. 다음날 수길은 황제께서 하사하신 규인(圭印)·관복(冠服)을 받아 즉시 찰 것은 차고 입을 것은 입고는 중국의 궁궐을 향하여 오배 삼고두례(五拜三叩頭禮)를 행한 다음 고명(誥命)을 받았습니다. 봉을 받은 다음 우리들이 머무는 곳에 이르러 다시 황제의 은혜에 감격하면서 저희들이 멀리 바다를 건너 오느라 수고했다는 등의 말로 위로하였습니다. 저희들은 감히 오래 머물 수가 없어서 즉시 떠나가겠다는 인사를 하고, 4일에 절(節)을 받들고 화천주에 돌아와서 현재 배가 준비되기를 기다리는 중이니, 준비되는 대로 즉시 길을 달려 귀국하여 궐하(厥下)에 복명하겠습니다. 이 때문에 구제(具題)할 뿐만 아니라 구제해야겠기에…. 만력 24년 9월 5일."
책봉부사 심유경이 병부에 보낸 품첩
>"동봉(東封)을 완보(完報)한 일입니다. 윤8월 18일에 비직(卑職) 등은 용절(龍節) ·새서(璽書) 등을 받들고 일본국에 도달하니, 수길이 9월 2일을 택하여 대판(大坂)에서 영접하고 책봉 조서를 받기로 하여, 비직이 먼저 가서 예식을 가르쳤는데 그들은 신중히 받들어 행하였습니다. 기일이 되자 책사를 영접하여 곧바로 중당(中堂)으로 안내하므로 고인(誥印)·관디복(冠帶服) 등을 반사하니, 수길은 무리를 거느리고 오배삼고두례(五拜三叩頭禮)를 행하고, 절차가 끝날 때마다 중국음을 익혀 만세를 부르며 망궐 사은(望闕謝恩) 하되 일일이 의식에 따라 하고, 예가 끝나자 사신 및 수행하는 각 관원에게 연회를 베풀어주었습니다. 이날 밤에는 수길이 몸소 비직이 유숙하는 곳으로 찾아와 사례하고, 다음날 아침에는 양 정사(楊正使)를 찾아 가 사례하며 의도(衣刀)와 갑마(甲馬)를 선사하는 한편, 각 마관(馬官)에게도 칼과 폐백을 선사하며 황제의 은혜를 입은 데 대하여 감격해 극구 칭송하면서 재삼 위로해 주었습니다. 비직이 부산에 주둔한 병졸을 속히 철수할 것을 특별히 효유하니, 그는 말하기를 ‘지금 황제가 사봉(賜封)한 왕작(王爵)을 받았으므로 마땅히 병졸을 철수하여 이웃 나라의 우호를 닦아야 할 것이나 다만 조선이 전일의 원한을 풀지 않을까 염려되니 앞으로 황제의 처분을 기다려 다시 명령을 내리기를 기다리겠다.’ 하므로, 비직이 정색하고 개유하니, 면전에서는 비록 수긍하였으나 아직 실행을 보지는 못하였습니다.

비직은 오기에 돌아오다가 화천(和泉)에 이르러 한편으로는 배를 준비하고 한편으로는 누차 재촉하는 개유를 하다가, 9일에 배에 올랐습니다. 비직이 정성(正成) 과 행장을 일본에 보냈더니 중도에서 돌아와 즉시 명령을 따르겠다고 했다 하였고, 일행이 명호옥(名護屋)에 이르렀을 때에 다시 정성을 보냈으니, 그가 돌아오는 날에야 사실을 모두 파악하여 치보(馳報)할 수 있겠기에 우선 이와 같이 품달합니다. 만력(萬曆) 24년 10월 모일."
일본의 '선소
'太閤(태합) 秀吉(수길)은 기쁨에 들떠서 金印(금인)을 拜領(배령)하고 冠服(관복)을 몸에 걸쳤다. 그리고 ‘만세’를 삼창했다'
太閤喜氣溢眉, 領金印著衣冠, 唱萬歳者三次,
루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232]

'모두 일본 의식으로 히데요시와 책사는 다다미에 앉아서 양자가 대등한 형태로 알현하였다. 출석자는 家康(도쿠가와 이에야스), 筑前(마에다 토시이에), 越後(우에스기 카게카츠), 中納(우키타 히데이에), 金吾殿(코바야카와 히데아키), 毛利(모리 데루모토)이었지만 이들은 모두 일본 국토에서 최대의 국주들이었다. 주연 후에 관백은 영예있는 서책, 즉 커다란 황금 서판인 금인을 수리하고, 이것을 머리로 추대하고, 이때 관면(冠冕)도 수령했기 때문에 이것을 착용하기 해서 별실로 갔다'

조선 측 기록은 두 가지이다.
'듣건대, 관백이 이미 책봉(冊封)을 받고, 모든 왜장(倭將) 40인이 관디를 갖추고 벼슬을 받는다고 하였다.'
조선 사신단 정사 황신의 '일본왕환일기' 9월 3일

'조선왕조실록'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선조가 자세한 내용을 묻자
' 다음날 두 중국 사신이 봉작례(封爵禮)를 행하였는데, 관백은 뜰에 서서 오배삼고두(五拜三扣頭)의 예를 행하고 경건한 태도로 내려주는 의복을 받았으며, 그의 신하 40여 인이 모두 차등 있게 황제의 하사품을 받았다고 합니다. 신은 관백이 출입을 금지하여 참석하지 못하였으므로 친히 보지 못하여 그간의 내용을 상세히 알 수는 없고 인편으로 전해 들었으나 또한 모두 믿기가 어렵습니다.'
1596년(선조 29년, 만력 24년) 12월 21일 황신의 보고, 선조실록
고 앞서의 기록과 동일하게 말한다.

그러나 조덕수는 책봉장에 있었던 왕귀가 이야기한 것을 황신과 같이 들었다고 하는데
'봉왕(封王)할 때에 적장(賊將) 40여 인은 다 당복(唐服)을 입고 행례하였으나, 관백만은 의관(衣冠)을 갖추지 않았습니다'[233]
1596년(선조 29년, 만력 24년) 11월 6일, 선조실록
라고 황신과 다르게 보고한다.

두 가지 다른 보고에 대해 우준민이
'역관(譯官)·군관(軍官) 등이 다 보지 못하였으니, 그 사이의 사정은 어떤지 모릅니다'
1596년(선조 29년, 만력 24년) 11월 6일, 선조실록
라고 첨언하는 등 실제 보지 못했던 점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234]

자신의 요구 조건 중 하나였던 '조선의 왕자'가 일본에 와야 한다는 건이 실현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책봉식 이전부터 불쾌감을 가지고 있던 히데요시는 이어진 명나라 책봉사와의 회담에서 일방적인 철군 요구가 이어지자 격노하는 모습을 보였다.
"천조(天朝)는 사신을 보내어 나를 책봉(冊封)하였으므로 내가 우선 참겠으나, 조선과는 결코 화친을 허락할 수 없으므로 나는 다시 전쟁하기를 바랄 뿐이다. 천사(天使)도 오래 머무를 것 없으니, 내일 곧 배를 타도록 하라. 나는 병마(兵馬)를 다시 징발하여 조선에 가서 전쟁하겠다."

어제 적승(賊僧) 장성(長成)이 나에게 말하기를 『관백이 왕자가 오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더욱 성내어 처음에는 사신을 책살(磔殺)하려 하였으나 나와 삼성(三成) 등이 겨우 구제하였다.
선조 29년 11월 10일

‘우리가 4~5년 고통을 받았습니다. 당초에 우리가 조선에 부탁하여 전주(轉奏)하도록 하여 책봉을 청구하였는데 조선에서 즐겨하지 않았고, 또한 길을 빌려 조공하려 하였는데 조선에서 허락하지 않았으니, 이는 조선이 우리를 경홀히 여김이 심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군사를 출동하기에 이르렀지만, 이는 이미 지난 일이니, 다시 제기(提起)할 것이 없습니다. 그 뒤에 노야(老爺)께서 왔다 갔다 하며 좋게 지내기를 강구하는데도, 조선에서는 힘을 다해 무너뜨렸고, 소서(少西)가 급히 들어가 아뢰던 날에도 조선에서 상본(上本)하여 군사를 청하여, 단지 다 죽이기로만 하였으며, 천사가 이미 왔는데도 조선에서 통신(通信)하지 않으려고 하여, 앞서는 노야를 따라오지 않았고, 또한 양 노야(楊老爺)도 따라오지 않다가 이제야 비로소 이르러 왔습니다. 또한 우리가 일찍이 두 왕자(王子)를 놓아 보냈는데, 큰 왕자는 비록 오지 못하더라도 작은 왕자는 와서 사례할 수 있을 텐데, 끝내 보내려 하지 않으니, 나는 매우 조선에 노했습니다. 이제 온 사신을 볼 필요 없고, 가든지 머물든지 그에게 맡기겠습니다.……’
일본왕환일기 9월 4일

이에 명나라 사절들은 자리를 파했고, 며칠 후 히데요시는 책봉에 대한 사은표문과 함께 별폭을 제출하며 전쟁을 재개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은표문(謝恩表文)

일본 국왕 신(臣) 풍신수길은 진실로 황공한 마음으로 머리를 조아립니다. 삼가 생각건대, 해와 달이 비추니 대명(大明)을 만국에서 우러러 보고, 강과 바다처럼 흠뻑 적셔 주니 성화(聖化)를 한없이 유지하실 것입니다. 천자의 운수를 높이 받드니 황제의 은혜가 널리 미치셨습니다. 공손히 생각건대, 조종(祖宗)의 덕을 밝혀서 인민의 마음을 안정시키시니, 원근(遠近)과 대소(大小)가 은혜를 입은 것이 요순(堯舜)의 성세(聖世)보다 못하지 않으며 위의(威儀)와 진퇴(進退)가 예절(禮節)에 합한 것이 주(周)·하(夏)의 융성한 기풍보다 넘치는데, 어찌 동해(東海)의 소신(小臣)이 직접 중화(中華)의 성전(盛典)을 받을 것을 생각이나 했겠습니까. 고명(誥命)·금인(金印)과 예악(禮樂)·의관(衣冠)에 모두 은총이 담겨져 있습니다. 신은 일일이 감격스럽고 지극한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날을 택해 반드시 방물(方物)을 갖추어 구중 궁궐에 감사함을 표하겠습니다. 삼가 충심에서 우러나는 정성을 다하겠으니, 원하건대 어리석은 정성을 굽어 살펴 주소서. 천사(天使)가 먼저 돌아가는 편에, 우선 삼가 표문(表文)을 올립니다.
1596년(만력 24년, 선조29년)
진천조별폭(進天朝別幅)[235]

지나간 해 조선의 사절이 와서 잔치하였을 때부터[236] 하정(下情)[237]을 잘 알고도 끝내 천조에 아뢰지 않았고, 그 뒤에도 무례한 일이 매우 많았으니 그 죄가 하나입니다. 조선이 맹약을 어겼으므로 정토하여 군중(軍中)에서 두 왕자[238]와 부처(婦妻) 이하를 사로잡았으나, 심 도지휘(沈都指揮)가 칙명(勑命)을 전하였으므로 너그러이 용서하였으니 곧 먼저 사례해야 하는 것이 마땅한 분수인데, 천조의 사신이 바다를 건너온 뒤에도 몇 달을 흘려 보냈으니,[239] 그 죄가 둘입니다. 대명(大明)과 일본의 화교(和交)가 조선의 반간(反間)으로 인해 몇 해나 지나갔으니, 그 죄가 셋입니다. 우리 나라의 군사가 노고하고 세월을 오래 보내게 한 것이 처음에는 황도(皇都)의 계략인 줄 알았으나, 조선이 천조의 사신보다 뒤져서 온 것만 보아도 조선이 일마다 속이려고 꾀한 것을 잘 알 수 있습니다. 사사건건 죄를 지은 것이 한둘이 아닌데, 대명에서 정벌할 것입니까, 우리 나라에서 정토할 것입니까. 대개 또한 칙명에 따라 할 것입니다.

한마디로 책봉은 받겠으나 조선 때문에(?) 전쟁이 일어났음에도 자기만 일방적으로 철군을 하면 손해라는 입장이었다. 그리고 일본은 명과의 통교를 희망했는데 조선이 이간질했으니 오히려 명에서든(!) 일본에서든 조선을 징벌해야 한다는 기이한 논리를 폈다. 개전 당시의 목적과 포부는 조선을 길잡이 삼은 명백한 명나라 '정복'이었음에도 전황이 좋지 않자 그것이 어느새 명과의 '통교' 시도 정도로 축소되었으며, 자국 방어 목적은 물론이고 책봉-조공 관계로 엮인 명과의 의리도 있기에 일본과 싸웠던 조선의 행동을 명과 일본 양국의 화교 시도를 가로막은 이간질로 둔갑시켜 버린 것이다.

그야말로 정신승리이자 현실적으로 보면 명나라 정복은 이미 글렀으니 전쟁을 주도한 자신의 권위와 체면을 위해서라도 조선 땅 일부라도 차지해야겠다는 집념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결국 그렇게 강화는 실패하게 되고 명나라의 강화 책임자였던 심유경은 자신을 천거하기도 했던 병부상서 석성의 도움으로 목숨은 부지했으나, 정유재란 발발 이후 일본으로 망명하려다 경남 의령 부근에서 명나라 장수 양원에게 잡혀 황제와 조정을 기만한 죄로 참형에 처해진다.

5.6. 정유재란 발발과 전쟁 종결

파일:천조장사전별도.jpg
천조장사전별도{天朝將士餞別圖} 중 일부[240]
정유재란 종군기
1597년 8월 27일[241], 일본은 총 14만[242]의 군세를 이끌고 다시 조선을 침공한다. 조선에서도 하삼도를 청야하며 명나라에 지원을 요청하고 수군을 보내 배후를 차단하라는 명을 내렸다. 하지만 그때 일어난 것이 칠천량 해전. 자세한 건 해당 문서와 원균 참고. 조선 수군이 무너지자 일본군은 바람같이 진격해서 1달만에 임진년에는 발도 못 붙였던 전라도 남원전주를 함락시키고 좌군은 전라도 전체를 점령하기 위해 남하하고 우군은 충청도로 북상한다.

이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조선 백성들의 코와 귀 베기가 시작됐는데, 남원 전투 전후로 일본군 장수들이 소금에 절여 나무통에 담아 일본으로 바친 코 숫자가 3,500개가 넘는다. 자세한 건 귀무덤 참조. 초기엔 코부터 인중과 윗입술까지 도려내어 수염의 유무로 코 주인이 남자인지 아니면 여자나 소년인지, 또 수염의 색깔로 검은수염이면 청장년, 흰수염이면 노인인지 알 수 있기에 병력자원인 검은수염이 달린 코를 수집하라 했으나 나중에는 잔혹성을 통해 공포를 조장하고 조선 사회에 혼란을 일으키기 위한 심리전의 일환으로 죽이지는 않고 코만 베기도 했고, 할당량을 채운 후에는 코 베기를 하지 않으며 식량을 주고 안전을 약속하는 등 조선 백성들에게 유화적인 모습을 보인다. 난중잡록을 보면 이것 때문에 항복한 조선 백성들이 상당히 많았다. 더불어 조선의 백성들이나 관리들을 많이 잡아갔는데, 아무래도 조선에서의 지배가 오래 가지 못한다고 판단한 데다 노예 장사나 착취를 해서라도 전쟁에서 들어간 비용을 벌충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조선군은 흩어지거나 산성에 틀어박혀서 고립되어서 전멸을 당하는 편이고, 명군은 남원, 전주, 충주, 성주 등에 분산돼 있다가 각개 격파 당하거나 후퇴했다. 이렇게 순조로운 진군이 가능했던 것은 임진왜란과는 다르게 강으로 보급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에 맞설 명군은 고작 5,000명 안팎으로 적이 경기도, 한성을 노리는 상황까지 가자 명군은 기병 4,000 명을 출격시키는데 이것이 직산 전투다. 이때 명군이 적을 크게 격퇴했다고 하는데 일본군이 큰 피해를 입은 정황은 없다. 실록을 보면 그 이후에도 일본군이 직산 근처에 남아 있거나 오히려 진격해 와서 조정이 혼란에 빠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243] 9월 중순에 적이 갑작스럽게 후퇴하자 조정은 유인이 아니냐며 다시 혼란해 할 정도였다.[244]

일본군이 정확히 무엇 때문에 후퇴했는지는 논란거리지만, 한양이 지었다는 것과 추위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히데요시의 명령에서 한양을 무조건 공격할 필요는 없다고 한 것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 일본군의 종군 승려였던 케이넨의 일기에는 '한양을 치기 위한 회의를 했다', '한양으로 가는 길이 즐겁다' 같은 말이 나오고 9월 중순부터 "항구"로 가기 위한 후퇴를 하는 모습도 나온다. 즉 이때 일본군의 후퇴에는 해상으로의 보급이라는 이유가 있었고, 보급만 잘 된다면 재차 한양을 노릴 수 있는 전력이었다.

그 때문에 일본 수군은 앞선 칠천량 해전에서 조선 수군의 정예 병력을 궤멸시켰다고 판단, 300여척의 압도적인 수군 병력의 우세를 믿고 육군의 진격에 맞추어 서해로의 해상 보급로를 확보하기 위해 서해 진출을 시도하는데...

서해로 통하는 길목인 울돌목에서 이순신이 이끄는 단 13척 전력의 조선 수군에 다시 한 번 대패한다. 이로 인해 서해로의 보급 가능성은 완전히 끊기고 일본 수군은 전라도 무안까지 살짝 진출했다가 후퇴한다. 육군도 보급 가능성이 완전히 끝났으니 역시 그대로 후퇴한다.[245]

결국 일본군은 남해안 일대로 퇴각하여 왜성을 쌓고 농성전에 들어간다. 그리고 조명연합군은 전쟁을 끝낼 총공격으로서 사로병진책을 실행한다. 비록 조선 영내로의 진격 가능성이 완전히 좌절되고 의지도 꺾인 상황이긴 했지만, 이 전투 양식은 일본의 장기를 가장 잘 살린 것으로서 전쟁을 장기화시켰다. 일본의 성은 본래 전투 요새의 기능을 극대화한 형태의 성이었고, 개머리판이 없는 일본의 순발식 조총은 이런 성 내에 숨어 총안구를 통해 사격하는 것에 적합했다. 그 결과 공격하는 조명연합군의 입장에서는 안 그래도 잘 무너지지도 않는 성에서 총알이 쏟아지니 공략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었다. 비록 조명연합군이 포병 전력에 있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긴 했지만, 조선군이나 명군이나 야전에서 적군 진형을 갈아버리는 데 쓰이는 불랑기, 현자총통, 호준포, 변이중 화차같은 중소형 대포 및 오르간 건을 주력으로 굴렸고, 대형 화포는 효율성 문제로 인해 거의 운용하지 않았던데다 공성전에 사용한 경험도 적었다. 그래서 포병이 강해도 성을 공격하는 데에는 애로사항이 많았다. 공성전에 적합한 서양식 대포인 홍이포가 명나라에 도입되는 것은 임란이 끝난 지 몇 년 지난 후였다.

이 와중에 가토 기요마사울산에서 조명 연합군에 의해 엄청난 손실을 입기도 했다.[246] 그 외에도 일본군이 자기들이 조선 남부에 쌓은 왜성들 속에 농성을 하여 조명 연합군이 공성 과정에서 피해만 크게 보고 함락도 못하였기에 명군도 필사적으로 싸우려는 의지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던 1598년 9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일본군이 본국으로 급히 철수하려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에 고니시 유키나가 등의 일본군 철수를 차단하려는 조명 연합 수군과 일본 수군 간의 전투인 노량 해전, 그리고 일본군이 본국으로 철수한 이후 잔존 일본군을 소탕한 남해왜성 소탕전을 끝으로 7년 간의 대전쟁이 종결됐다.

다만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전쟁이 이 시점에서 공식적으로 종결된 건 아니다. 조선과 일본 양국 모두 합의하에 공식적인 종전선언을 갖추지 않았기 때문.[247] 왜냐하면 정유재란 직후 조선은 조선대로 피해 복구에 여념이 없었고 일본도 세키가하라 전투라는 내부 싸움으로 다른 일에 신경쓰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사상 초유의 대규모 전쟁에 휘말린 만큼 상대국에 대한 악감정이 극에 달해서 종전이고 뭐고 없었다. 오히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승리로 설립된 도쿠가와 막부는 임진왜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벌인 일이고 자신은 거기에 병사 한 명 쌀 한 톨도 안 보탰으니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조선에 교류를 재개하자고 요청하자, 조선에서는 도쿠가와인지 도요토미인지는 알 바 아니니 너도 책임을 지라고 날선 반응을 보여서 제2차 당포 해전이 발생하는 등 갈등이 계속 이어졌다. 그러다 양국이 싸우면 싸울수록 손해가 커지는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가 양국이 주고받는 국서를 중간에 모두 조작해서 서로의 요구사항이 매우 잘 협상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주작질을 하기에 이르렀고, 양국은 어느 정도는 눈치를 채긴 했으나 계속 일을 키우긴 싫었으므로[248] 결국 1609년 기유약조를 체결함으로서 1609년에서야 공식적으로 임진왜란이 종결된다.

5.6.1. 일본군의 퇴각 이유

이 일련의 사태를 이해하려면 아래와 같은 지식이 필요하다.

당시 일본의 정치 체제는 봉건제로, 조선이나 명나라 같은 중앙집권식이 아닌 힘 있는 영주들의 이해 관계가 맞물린 연합국가 성격이 강했다. 그것이 전국시대를 거치며 그 중 제일 강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 아래 무력으로 통합되었지만, 여전히 다이묘들은 사병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군의 경우, 경기도 수원부(水原府) 전라도 순찰사 권율(權慄)의 군사 4천 명이라고 한다면, 권율이 이끈 군사 4천 명은 조선군이지 권율의 사병이 아니었다. 하지만 왜군의 경우,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사 7,000명이라고 하면, 고니시 가문에 소속되어 있는 고니시군이다.

왜장들은 피로 피를 씻고, 자식이 아비를 축출하거나 죽이고[249], 가신이 주군을 죽여 다이묘가 되던 센고쿠 시대의 인물들이었던 만큼 철저히 출세 지향적이었고, 의심이 많았다. 조선으로 출병을 결정한 다이묘들은 도요토미 가문에 충성을 바치려 한 것이 아니라, 조선에서 땅을 넓혀 더 크게 성장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출병한 경우가 많았다.[250] 이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만 보아도 알 수 있는데, 한가닥 하던 다이묘들은 언제든지 도요토미의 뒤통수를 칠 기회도 노리고 있었다.

한편, 규슈 정벌을 끝으로 일본 전역을 통일한 만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신들에게 더 줄 것이 없었다. 일본 자체가 영주들이 우글거리는 봉건 국가였기에, 전공에 대한 보상은 '고쿠다카' 즉, 토지 였고, 토지여야만 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특유의 정치력을 발휘해 숙청개역을 벌여 논공행상을 정리하였고[251], 히데요시도 전봉 조치[252]나 개역을 하지 않은 건 아니나 아무래도 한계가 있었다. 그렇기에 휘하 가신과 다이묘의 불만을 누를 겸, 본인의 과대망상도 실현하고자 명나라와 조선이라는 외부의 적을 설정해 침공한 것이다.

여기서도 도요토미 정권의 한계가 드러나는데, 히데요시 최대 정적인데다 세력도 가장 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물론[253], 일부 다이묘들은 끝까지 이런저런 핑계로 출전을 미루며 가문의 병사들을 최대한 보전시켰다. 80만석 이상의 대영주이자 히데요시에게 충심이 깊었던 마에다 토시이에는 참전하지 않았고, 모리(+코바야카와), 시마즈[254]를 제외한 기타 대영주들도 참전하지 않거나, 참전해도 조선땅 찍고 다시 돌아갔다.[255]

조선 정벌에 나선 병력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직속 병력들로 대략 20만 내외로 추산되며, 그나마도 이 20만 선봉조차 1군과 2군으로 나뉘어 서로 협력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모리, 코바야카와, 쵸소카베, 시마즈 등 센고쿠 시대에서도 이름난 대가문을 출동시켰는데, 거기에다가 딱히 전공도 없는 우키타 히데이에를 총대장으로 앉혀놨다. 당연한 일이지만 우키타는 할 줄 아는 게 없어서 사실상 무시당했고, 오죽하면 그나마 총지휘를 했다는 행주대첩조차 본인은 얼굴마담이고 실제 지휘는 이시다 미츠나리가 했을 정도였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전투가 아니면 협력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선 침략의 선봉이던 1군 고니시 유키나가와 2군 가토 기요마사의 반목은 매우 극심했으며[256], 오죽하면 침공 루트도 아예 동서로 전혀 달랐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엔 결국 전쟁을 하는 지경에 이른다. 고니시에게 1군을, 가토에게 2군을 맡긴 것 자체가 둘의 안 좋은 사이를 이용해 선봉 경쟁을 하게 만들어 잘 싸우게 하려 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있을 정도이니 말을 다 한 셈이다.[257]

이런 와중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조선에 출병해있던 다이묘와 병사들은 얼마 안가 일본 내에서 영주들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질 것이라는 점을 쉽게 예측할 수 있었다. 승산 없는 전장인 조선에서 시간 질질 끌고 있어봐야 이미 무의미한 상황이었기에 황급히 철군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나마 자신에게 충성스럽고 능력 있던 고니시는 이 전쟁에서 군대를 거의 다 잃어 이후 도쿠가와파와의 싸움에서 제대로 기여하지 못한 채 본인은 참수당하고 가문은 멸족당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그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결과적으로 이 전쟁에서 자기 살만 과하게 깎아먹은 탓에 본인 사후 정적이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시대를 만들어준 꼴이 돼버린다.

5.7. 조선의 보복 논의

1598년 12월 노량해전 이후 왜란이 종결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명군이 아직 조선에서 철수하지 않았던 시점에서, 당시 전라도 관찰사 황신(黃愼)은 상소로 대마도에 대한 보복전을 건의했다. 왜란 중에 일본에 사신으로 건너가서 일본에 대한 사정을 잘 알고 있던 황신은 대마도가 지리적으로 일본 본토에서 구원하기 어려운 점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명군과의 연합작전을 진지하게 이야기했다. 1591년 조헌의 지부상소 때와 달리, 다년간의 왜란으로 시달려서 일본에 이를 갈고 있던 선조는 이번엔 이 상소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였고, 비변사에 진지하게 논의하게끔 한다. 특히 당시 선조가 하루 안에 이 안을 논의하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 공격전에 상당한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변사는 왜란으로 인해 조선군이 손실이 커서 병력이 부족하고, 황신의 견해와 달리 대마도는 일본 본토에서의 구원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이에 우의정 이덕형은 명군과 상의했는데, 명군도 대마도를 점령한 후에 지켜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황신이 봤을 때와 달리 전황이 달라져서 대마도에 방어 병력을 두었을 거라며 역시 난색을 표하고, 점령 후 수성이 아닌 단순 응징차원의 공격이라면, 선 정탐 후 움직이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대마도를 직접 정벌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후 실록의 기록상, 조정 차원에서 논의한 기사가 없기에 그 사이에 진행되던 명군의 철군이나 여러가지 정황으로 볼 때, 중앙 조정에서 논의되는 수준의 움직임은 없었다. 항왜 소운대를 일본에 첩자로 보낸다거나, 정벌 목적의 정탐 움직임은 있었던 정도였다.

다만 지방 차원에서는 이 작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는지, 이후 1599년 4월에 경상 좌병사 김응서가 김경립 등 10인을 시켜 일본 내에서 배를 탈취하는 등의 작은 전과를 기록하며, 정탐한 결과가 조정에 보고되었다. 특히 대마도에서 조명연합군의 응징 공격이 두려워 겁을 먹고 성을 쌓고 밤낮을 쉬지 못한다고 했다는 보고 내용으로 보면[258] 당시 일본 측에서는 조명연합군의 보복 공격에 대한 방어 의도가 확실히 있었던 것이 드러난다. 김응서는 이 치계(보고서)에서 명군에 통보해서 같이 대마도를 치자는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마무리지었으나, 실록에서는 이 치계에 대해서 조정 차원에서 논의한 내용은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김응서 부대의 작은 전과는 민간에도 퍼진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인지 소설 임진록에서는 일본을 응징한다는 가상 이야기에서 김응서가 꽤 중요한 인물로 부각된다.

또한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1년 전인 1591년부터 명나라에서는 전쟁을 일으키려는 일본의 의지를 꺾어버리고 상국의 위신을 세우기 위하여 일본 본토를 정벌하기 위한 움직임이 4차례나 있었지만, 마지막인 1598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병사(病死) 함으로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259]

6. 각종 논쟁들

6.1. 탁상공론에만 몰두한 조선 조정?

임진왜란 때 정부 측(특히 선조)이 잘 싸우는 장수들을 갈궜다는 이미지가 있어 전쟁 당시 조선 조정에 대한 현대 한국인의 인식은 상당히 나쁘다. 당시의 조정 인사들이 다수 매체에서 묘사되는 것처럼 무능한 것은 아니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조선 측에서도 나름대로 가능성을 인지하고 대비를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미비한 점이 적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별 볼일 없는 탁상공론과는 거리가 멀었다.[260] 찌질하다는 이미지가 있는 윤두수도, 이순신을 험담한 것 때문에 폄하받으나 전시 조정을 이끄는 기둥으로 한 축을 담당하였다.

또 전쟁 초반에 선조와 조정이 북쪽으로 도망가고 중앙군이 패퇴하는 등 세가 크게 꺾였던 것은 사실이나, 초반의 충격 효과가 사라지고 첫번째 겨울이 올 즈음이 되어서는 중앙에서 파견된 군관들과 각 지방 수령들의 노력으로 조선의 군세가 어느 정도 복구된 상황이었다. 의병이라는 존재는 스스로 일어난 경우도 있지만 이런 병력 동원에 호응하여 결성된 경우도 많다. 이들 의병은 전쟁 초반이라면 모를까, 전열이 정비된 이후부터는 독자행동을 하지 않고 조선 조정의 통제에 따라 움직였다. 조선군은 이를 기반으로 지원 온 명군과 합세하여, 이미 1593년이면 일본군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며 그들을 남부 해안 지역으로 도로 밀어버릴 수 있었다. 당시 퇴각하던 일본군이 조선군과 명군의 공세를 맞아 입은 피해는 전근대의 전쟁임을 감안해도 매우 컸는데, 총병력 22만 중 절반인 대략 10만에 달하는 병력이 개전 1년 만에 사라졌으며[261] 나고야에 주둔하던 예비대가 공백을 메우기 위해 바로 투입되었다.

6.2. 율곡 이이의 10만 양병설?

이이의 십만 양병설이 유명하지만, 현재로서는 실제로 이이가 이런 주장을 했는가에 대하여 의문이 많다.

십만 양병설은 당대 기록에는 나오지 않는 주장'이며, 후대에 이이의 제자들(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에 개수한 실록에 "이이가 십만을 양병하자고 했으나 류성룡이 반대하였다."는 단 한 줄만 적혀있다. 기록을 굉장히 철두철미하게 남기는 조선을 고려하면, 실제로 이이가 10만 양병설을 주장했는지는 굉장히 미심쩍어진다. 때문에 서인들이 이이를 추앙시키기 위해 후대에 지어낸 이야기라는 주장도 있다.

더욱이 당시 병농일치제였던 조선은 편제상 군대 10만 이상을 전시에 징집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 개전 1년 후에 조선이 정규군만 17만 이상을 동원한 걸 보면 10만 양병설의 진의가 더욱 미심쩍어진다. 현재 국사 편찬 위원회에서도 이런 주장을 회의적으로 본다. 오히려 이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민덕기 교수는 이이의 발언 시점(1580년대)을 주목하며 이 당시에는 남쪽의 왜구보다 북방의 니탕개를 위시한 여진족의 위협이 더 위협적이었다는 점을 들어 십만 양병설이 임진왜란을 겨낭하고 제안한 것이 아니라고 본다.[262]

이이의 십만양병설에 대한 논란은 이이(조선)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6.3. 동원된 조선군의 병력수?

동래성 전투 같은 전쟁 초기에 중과부적으로 패한 전투들이나 행주 대첩 등 소수의 조선군이 다수의 적을 격파한 승전들 탓에 조선군이 일본군보다 압도적으로 소수였던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조선군의 절대적인 물량은 그렇게까지 적지 않았다. 임란 초기에 실록에 나오는 병력들을 전부 다 합치면 최소 10만 명이 넘는다.

대충 추려서 합쳐도 조선군은 100,000명 이상의 대군이 나온다. 그리고 실록에 나온 집계로는 임진년 초기에 조선이 동원한 병력이 140,000명이 넘는다. 단, 누적으로 집계된 병력 수인지라 중복집계된 인원들이 포함되어 있다.

임진년 중반쯤 조선이 임진강 방어선에 13,000명을 투입하고, 후방에서 하삼도 근왕군 50,000명 ~ 80,000명이 북상하자 일본 측에선 크게 긴장했다고 한다. 이 당시엔 일본은 1군, 2군, 3군만 한양에 있고 나머지 병력들은 전부 후방에만 있어서 병력의 질과는 별개로 전선에서의 병력의 수는 되려 조선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물론 요격에는 성공했지만 애초에 농민들 긁어모아서 일단 북상하고 본 거고 또 와키자카에게 요격당하고 나서 전멸한 게 아니라 대부분 도망쳤기 때문에 조선 정규군에게 실질적으로 입힌 타격이 그렇게 크지 않았다.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인구가 더 적고 행정체계도 부실했고 흑사병으로 국가가 거의 무너져가던 고려말에도 홍건적과 맞서서 일시적으로나마 20만[267]을 동원했고 위화도 회군 당시에는 공요군이 5만을 동원했는데, 조선이 전국토가 전쟁터가 되는 전쟁이 터진 마당에 10만을 동원 못할 리는 없다.[268]

물론 조선측 기록에서도 "적의 향방에 따라 기회에 따라 진격하므로 주둔하거나 가는 곳을 확실하게 지적할 수 없으며 또한 군사의 수효도 첨가되거나 나뉘어져서 많고 적음이 일정하지 않다."라고 했다. 즉, 전근대의 한계상 정확한 집계는 매우 힘들었으니 당시 조선군의 총 병력 수는 어느 정도 중복집계 되거나 가감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269]

다만 농업국가에서 이 생산인구를 마냥 군대에 붙잡아둘 수는 없었고 또 용인 전투에서 보듯이 야전에서 제대로 활용하기에는 질적 수준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에 정유재란 때는 대부분의 조선군을 농사를 짓기 위해 고향으로 돌려보냈고 육군의 주력은 명군이 된다. 물론 일본군을 상대로 농민병으로 백병전을 벌일 수 없다는 점도 고려된 게 맞다.[270] 이 시기를 기준 잡으면 조선군이 압도적으로 소수인 것이 맞다. 당장 울산성 전투만 봐도 명군이 숫적으로 주력이었다.

6.4. 육전은 의병과 승병의 독무대?

과거 조선의 군사·행정체계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미진하던 시기에는 '조선 정규군은 이순신을 제외하고는 한 것이 없고 육군 중에도 권율같은 일부 명장을 제외하고 무능해서 의병으로 때웠다'는 인식이 팽배하였다.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시 조선 관군은 비록 임란 초기에 상정한 규모를 넘어서는 일본군에 맞서 싸우는 바람에 무력한 모습을 보였으나 전쟁 중반기에 실전 경험이 쌓이면서 좋은 성과를 낸다. 조선 전역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소규모의 유격전, 공성전 등의 승리는 관군이 이루어낸 것이다. 의병은 독자적으로 행동하기도 했지만 관군과도 자주 힘을 합쳐 활동했다.[271]

제승방략에 의해 조정에서 보낸 장수가 농민병인 정병을 집결시켜 지휘하면 그게 관군이고, 그 장수가 없을 때 (싸워야 할 의무는 없었음에도) 지방 유력자가 정병들을 징집해 지휘하면 그게 의병이다. 물론 의병 중에는 병역 의무가 없는 천민이나 양반들이 지원한 경우도 많았으나 기본적으로는 군사훈련을 조금이라도 받아본 적 있는 정병 출신 의병들이 당연히 더 많았다. 그나마 1593년 기준으로 의병의 수는 22,600명으로 관군의 4분의 1 정도였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의병의 숫자는 점차 감소 추세에 접어드는데, 임진년 이후에 발생한 계사 - 갑오년 기근으로 군 유지가 어려워진 점, 의병들의 관군 편입, 조정에서 의병들을 물자 운송에 동원했던 일 등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일부에서는 관군들은 안전한 후방에서 놀고먹으면서 의병들을 모함하고 공적을 가로채는 막장으로 표현하지만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병력은 관군이 주전력이었고 의병은 일종의 보조군으로 활동하였다. 거기다 전쟁으로 생긴 혼란시 의병을 사칭하면서 재물을 약탈하던 자들이 관군에게 토벌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272]무엇보다 아무리 의도가 좋다고 해도 공권력의 통제를 받지 않는 군대는 개인 사병이나 반란군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에 조선조정과 관군이 이들을 경계하는 것은 당연했다.

6.5. 조총 때문에 초반에 무너졌다?

조선이 전쟁이 터지고 나서야 조총이란 걸 처음 접했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당시 신립 등 조선군 지휘관들과 관리들은 조총이라는 게 있다는 사실 자체는 잘 알고 있었다. 당장에 조선과 전쟁을 할 이유가 하등 없는 대마도주부터가 히데요시의 침략을 경고하는 뜻으로 조총을 보내기도 했다. 또 조총은 위력은 강력하지만 장전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것도 조선은 알고 있었다. 문제는 병력을 시간차로 투입해서 단점을 극복해낸 오다 노부나가의 전술이 조선에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 일본군의 경우 조총병을 사격조와 대기조로 나눠 분리하거나 활을 사용하기도 했다. 조선 육군도 조총'만' 없었을 뿐이지 총통과 같은 화포들은 고려말 우왕 때부터 왜구를 상대로 운용해 왔으며[273], 장전 방식과 운용면에서 조총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승자총통과 같은 개인 화기도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조선군 지휘관들이 조총을 과소평가한 것과 일선의 조선군들이 조총을 접해본 적이 없다는 건 분명 문제였다. 일선 병사들은 조총에 대응하는 훈련을 받지 못했고, 일선지휘관들도 조총에 대한 경험이 없었다.[274] 조선군 지휘부조차 한성의 최고수뇌부가 조총으로 시험 사격해본 정도가 전부이지 정규군이 집단적으로 운용하는 위력은 임진왜란에서 처음 경험한 것이다. 당시 조총의 유효 사거리 자체는 50m를 넘지 않았다. 따라서 유효사거리가 130~150m 정도인 국궁을 압도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원래 머스킷으로 무장한 군대의 위력은 단발의 명중률이 아니라 집단으로 쏘는 화망에서 구축된다.[275] 이를 조선군 수뇌부가 경험한 것은 임진왜란이 처음일 것이다. 반면 조선 각궁의 그 우수한 사거리는 정작 사수들의 저열한 훈련상태로 인해 제대로 발휘될수가 없었을뿐더러[276] 사거리와 별개로 저지력은 총에 비해 한참 밀렸다. 총의 강력한 장점은 살상력이 압도적으로 우수해 갑옷을 무력화한다는 점이며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조총에 의한 피해를 기록한 사료가 무수히 나온다.

의외로 일본군의 조총 비중은 생각보다 적었다. 임진왜란을 다룬 사극 등의 창작물에서는 아직도 일본군의 절대 다수가 조총으로 무장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실제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조총병의 비중은 최대 14% 수준이었다 임진왜란 와중에 의병으로 활동한 조경남이 쓴 문헌인 난중잡록을 보면, 1592년 5월 8일 한양에 주둔 중인 일본군을 염탐하였더니 조총에 들어가는 총알을 가진 자는 4~5명 중에서 겨우 1명이고 그나마 1명이 가진 총알의 개수도 15~16알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나머지는 전통적인 창과 칼, 그리고 활 등이었다. 다만 이걸보고 적다고 하는 것 또한 과소평가다. 당대 일본의 조총 보급률은 세계적으로도 높은 편이였다. 당대는 총기의 초기단계라 서양에서도 총병의 수는 적었고, 총기가 본격적으로 서양 전쟁사에서 두각을 드러낸것도 임진왜란이 종전하고도 70여년 전인 1525년 파비아 전투 부터다. 총알이 15~16발에 불과하다는 것도, 애초에 1800년대 서양 전쟁사에서도 십여발 이상 총을 쏘는 경우는 적었기에 부족한 것도 아니었다.

물론 매치락 화승총은 느린 장전 속도 때문에 이를 보조하는 전술을 잘 활용해야 한다. 예를들어 병자호란 당시 쌍령 전투에서 조선군이 병력2천 대부분이 조총병이었음에도 기병이 부족하고 장창병을 제대로 운용하지 않아서 청나라 기병대의 돌격에 패하게 된다. 대기병 전술이 부재하고 대단위 조총병을 처음 운용해 보았기 때문에 나온 실책일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이지 전국시대에서 조총을 운영해 보았기에 어느 정도 경험이 있었고, 그래서 이런 문제도 적었다. 그렇기에 조선에서, 후대가 아닌 당대에도 조총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순신도 조총의 성능에 감탄하여 정철총통을 개발해 찍어댔을 뿐 아니라, 명군조차 앞에서는 화포 앞에 조총 따위 뭔 소용이냐며 까다가도 뒤로는 조선에게 조총 좀 구해달라고 사정했을 정도였다. 이는 일본과는 전혀 다른 조선의 전장 환경이 큰 영향을 미쳤다. 왜군의 숫적 주력을 차지했던 장창병대는 무지막지한 리치의 대가로 실제 찌르기 성능은 형편없었기 때문에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넓은 전장에서 보병간의 회전이 벌어져야 했는데, 조선군이 보병을 대규모로 동원해 평원에서 회전을 시도해본 것은 용인 전투가 사실상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그나마 여기서도 일본군은 장창대로 정면대응하기보다는 문소산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조총으로 사격하며 농성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이를 조선군 기병이 제대로 파훼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후로 임진왜란의 전투는 조선군이 최대한 회전을 피하는 가운데 주구장창 공·농성전, 고지전, 유격전 위주로 치러졌고, 야전을 치를 때는 조선군이나 명군이나 기병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어느 쪽이든 낭창낭창한 일본식 장창이 역할을 맡을만한 자리가 아니었다.[277]

조선군이 탄금대 전투에서 기마대를 다 소진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당장 용인 전투만 해도 삼도근왕군은 다수의 기병을 보유하고 이를 과신해서 패전의 빌미가 되기도 했을 정도였다. 이후로도 함경도 북병 기병전력은 건재해서 동북전선에서는 해정창 전투나 북관 대첩 등 조선군 기병이 주력을 맡은 전투도 여럿 있었고, 서북전선도 벽제관 전투직산 전투 등 명 기병이 중심이 된 굵직굵직한 전투를 치렀다.관련 포스팅 심지어 조선 의병조차 기병이 적지 않았다. 보병 간 전투 역시 일본과는 달리 너죽고 나죽자는 진짜배기 공성전과 고지전의 연속이었고,[278] 자연히 원거리 병기의 역할이 높아진 상황에서 화포 전력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궁병 역시 능력이 저열한 일본군이 동원할 수 있는 원거리 전력은 조총 뿐이었다. 당장 초전인 부산진 전투에서부터 철포대가 언덕을 점거해 공격하면서 공세에 활로를 찾을 수 있었다.

물론 조총의 가장 큰 약점인 사격속도와 명중률 때문에 야전의 일본군은 이와 병행해 근접전도 자주 치렀다. 당장 조선도 전쟁도중 항왜들로부터 적극적으로 근접전을 배웠고 이들이 몇십년이 지난 이괄의 난때도 근접전 전문부대로 활약하고 실록같은 조선기록에도 일본의 단병접전을 높이 평가하고 그들이 근접전에 밀려 조선군이 밀렸다는 기록들이 상당하다. 다만 상술했듯이 야전에서는 주로 기마대를 상대했기 때문에 장창보다는 '큰 칼', 즉 오오타치를 주로 활용했다. 조선 측에서 임진왜란 초기 전역을 가장 자세하게 기록했다고 평가받는 신흠의 상촌집에서는 탄금대 전투 파트에서 조령을 넘어오는 일본군의 '칼빛'이 번쩍였다(劍光閃爍)고 기록했고#, 벽제관 전투에서도 징비록&선조수정실록의 기록을 보면 왜군이 긴 칼을 휘두르며 돌격해들어왔다(賊奮長刀, 左右突鬪)고 적고 있다.# 이러한 노다치 운용능력과 효과를 높게 평가한 조선군은 이후 중국식 쌍수도를 도입하여 무예도보통지에도 포함시킨다.[279]

조선군도 일본군과의 전투경험을 쌓아가면서부터는 전투의 양상이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서 동래성 전투에서는 병력 3,000 - 4,000으로 일본군 20,000명에게 반나절 정도밖에 버티지 못했지만, 전투경험이 쌓인 이후로는 1:7의 병력차에도 불구하고 5일간이나 버티면서 수성 성공(제1차 진주성 전투), 조총보다 훨씬 우월한 사거리와 화력을 갖춘 각종 화포와 신기전등 화약무기를 이용한 (행주 대첩) 등, 우수한 전과를 거두었다. 화차, 현자총통, 비격진천뢰등 조선의 화약무기로 역관광시키는 양상의 전투도 많이 나왔다.

결론적으로 조선군은 오랜 내전으로 전투경험이 쌓인 일본군의 근접전과 조총을 활용한 선진 전쟁기술에 초반에 많은 고전을 했으나, 계속된 전쟁으로 일본군들의 전술에 익숙해지면서부터 대등한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총이 전쟁 자체의 향방을 결정지었다고 보기엔 어려우나 유의미한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는 셈.

이와 같이 조선이 전쟁을 치르면서 실제로 상대해 본 뒤에는 조총이 전쟁병기로서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는 기록들이 수두룩하다. 조선왕조실록 이외의 각종 기록들에서도 숱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일단 활의 경우 활은 물론이고 화살도 까다로운 관리가 필요하다. 화살은 조총탄보다 부피도 크고 습기에 예민하다. 아교로 만들어진 활은 덥고 습하면 녹아내려 활시위가 풀리기 일수이며 목재 특성상 틀어질 수도 있다.[280] 더욱이 활은 정확히 쏘기 위해서는 자세와 탄도를 바람에 따라 계산해야 하고 사수의 활시위를 당기기 위한 근력 등의 많은 숙련도를 요하는 등 조총보다 마냥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없다.

무엇보다 왜란 이전에는 총통에도 사용되는 화약의 재료인 유황 대부분을 일본이나 명나라등 외국에서 수입에 의지하고 있었고 조선 내부의 유황광산에서 유황을 수급하는 유황점이 설립된 것은 왜란 이후 17세기 일이다. 총통에 쓸 양도 부족해서 매체에서 나오는 해전에서 처럼 포격전을 수행할 수 없어, 조선 해군이 오히려 왜군의 함선에 배를 붙여서 백병전을 벌였을 정도니,[281] 조총을 대량양산하여 배치하기엔 큰 무리수였을 것이다.

7. 평가

7.1. 한국에서의 평가

수천년의 한국사 모든 전쟁을 통틀어서도 대중적 관심도가 가장 높은 축에 드는 전쟁이다. 전쟁의 기간이 7년에 이르는 장기전이었고[282],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있었던 전쟁이라 기록도 상세하게 남아 이순신, 권율, 김시민, 곽재우, 사명대사 등 전쟁에서 이름을 떨친 인물들의 무용담이나 민간전설도 많다. 비록 피해가 컸을지언정 전쟁의 끝도 결과적으로 방어와 반격에 성공하고 승리로 귀결되었기에, 몇십년 후 일방적으로 밀리다 종국엔 왕이 굴복하여 바닥에 머리를 박는 한국 역사의 최대 흑역사 중 하나로 남은 병자호란과 비교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도 많다.

역사학자들도 임진왜란이 남긴 전쟁의 여파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21세기인 지금까지도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말할 정도다. 조선시대의 시대 구분을 양란을 기준으로 해서 전기/후기로 양분하는 관점이 일반적일 정도.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근대의 일제강점기와 더불어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취급되기도 한다. 비교적 가까운 근세에 있었던 사건이며, 전란 시기의 전투가 워낙 참혹했고 현재까지도 왜란의 참상이 발굴되기에 고대부터 조선 전기까지 있었던 전쟁과 비교해 보다 생생한 역사로 인지된다. 또한 세계적으로 보아도 상당한 국력을 가졌던 중견국이자 문명국인 전기 조선이 왜란을 기점으로 국력이 약화되고 도공 등 기술력이 대거 유출되었기에 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더욱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 심지어 현대 들어서도 왜란 초기 전투에서 학살당한 조선군과 민간인들 심지어는 어린아이의 유골까지 대거 출토된다는 점에서 임진왜란의 역사적 상처는 여전히 유효하다.

전기 조선의 사회적 모순이 누적되어가던 와중에 터진 이 미증유의 재난은 이후 양자 호란경신대기근으로 이어지는 1세기에 걸친 중기 조선의 고난의 행군을 알리는 시발점이었고 결국 늦어진 사회 발전은 세도정치 등 기형적 정치체제와 국력 쇠퇴를 낳는다. 반면 일본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도자기, 활자 기술 등 조선의 소프트파워를 흡수했고 패전으로 도요토미 정권이 몰락한 후에도 에도 막부가 수립된 것이 되려 전화위복이 되어 급격한 경제, 사회, 문화 발전을 이루게 된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기존의 봉건적인 체제인 도요토미 정권과 명이 무너지고 에도 막부이라는 새로운 국가 체제의 수립으로 이어져 부국강병을 이룩했던 일본, 중국과 비교하여 한국이 임진왜란 이후 낡은 체제의 조선왕조가 무너져 개혁적인 새로운 국가가 세워지지 않고[283] 후기 조선으로 이어져 17세기~19세기의 긴 시간을 정체 상태로 보내 무늬만 근대적 국가인 대한제국으로 20세기를 맞이한 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다만 명에서 청으로 교체된 중국은 정통 중국의 역사가 아니기에 경우에 따라선 해석을 달리 할 수도 있다.[284]

일각에선 전쟁 양상이나 국제전 성격 등에서 6.25 전쟁과 임진왜란의 유사점을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지도부(선조, 이승만)의 미흡한 준비와 대처로 초기에 수도 서울을 함락당하여 국가 멸망 직전까지 수세에 몰렸다.[285] 지원군(명, 미국) 참전과 극적인 반격을 통해 장기전에 돌입하고 결과적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방어에 성공했다. 두 전쟁을 일으킨 일본, 북한(중국, 소련)의 주요 정치 세력이 전쟁에 부정적 견해를 내비쳤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김일성이라는 독선적 1인자의 고집으로 벌어진 무모한 국제전이기도 하다. 반대로 북한 입장에서 보면 김일성이 강계까지 피난 간 것이 선조가 의주까지 피난간 것과 유사하고, 중국의 참전이 명나라의 참전과 유사하다.

여기에 정전 협정에 있어 당사국인 한국과 조선 대신 미국과 명이 대표로 나섰다는 점도 비슷하며, 전쟁이 마무리된 시점에 한국의 친미, 조선의 친명 성향이 더욱 강해져 미국과 명의 전쟁에 지원, 참전했다는 역사도 유사하다.[286] 물론 차이점도 있는데 선조는 개성-평양-의주로 북쪽을 향해 피난갔지만 이승만은 대전-대구-부산으로 남쪽으로 피난갔다는 점, 임진왜란은 끝내 일본군을 몰아냈지만, 한국전쟁은 종전이 아닌 정전으로 끝난 것이 다르다.

다만 한국전쟁은 한민족끼리의 전쟁이었다는 점에서 외세와의 전쟁이었던 임진왜란과 큰 차이가 있다. 대통령(임금)의 피난, 외국 지원군의 참전,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쟁이라는 점 등에서 비슷하다고 느끼는 것에 가깝다.

7.2. 일본에서의 평가

일반적으로는 말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아집으로 일으킨 실책으로 취급하거나[287] 가만 있던 이웃나라 조선과 명나라를 건드려서 고립을 자초한 부질없는 일로 기록을 한다. 명분상으로도 밀리는 침략자의 입장이며 조선 정복 및 대륙 진출이라는 본래의 목적도 달성하지 못하고 패퇴하여 도요토미 정권의 붕괴만 초래한 패전이기에 긍정적으로 다루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임진왜란(분로쿠-케이쵸의 역)을 제대로 언급하는 것을 꺼린다.

일본은 패전으로 전국시대를 거치며 양성한 막강한 군대와 인재들을 대거 잃고 돌아와야만 했고 에도 막부의 도쿠가와는 사죄를 받으러 온 조선의 사절단을 두고 해당 전란을 도요토미의 독단적인 횡포로 규탄하며 포로교환과 배상요구를 받아들였다. 일본의 오사카성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생애를 패널로 분류해 소개하고 있는데 임진왜란에 대해서도 패널 하나를 할애하여 조선에서의 학살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영어 설명에서도 genocide라고 표현하고 있는만큼 임진왜란을 일본의 침략 전쟁으로 규정한다.

임진왜란 이후 도요토미 정권은 몰락의 길을 걸었으나 국가적으로는 각종 인적 물적 자원을 조선으로부터 약탈해 도자기 제조 기술이나 금속활자의 약탈, 성리학 유입과 같은 문화적인 수혜를 얻었다. 또한 7세기 백강 전투의 패배 이후 섬에서 웅크려 살던 일본이 천여년만에 대규모 정규군을 바다 너머로 투입시켜 동아시아의 발전한 문명국인 조선 및 패권국 명나라와 전쟁을 치르면서 국제적인 존재감을 높였다. 그와 동시에 일본이 더 이상 동방의 일개 변방국이 아니라 원정으로 해상 다자전을 치르는 것이 가능한 국력을 가진 세계적 강국으로 성장했음을 각인시켰다. 전후 에도 막부 치하 일본에서는 국학의 영향을 받은 자국중심사상이 싹트기 시작하여 막부에서 조선통신사를 조공사절단으로 왜곡하여 막부의 권위를 높이는 목적으로 활용하는 등 왜곡된 인식이 퍼지게 된다.[288]

이후 제국주의 시대 일본에서는 대외 정벌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임진왜란을 일본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항왜와 같이 당시 일본측 입맛에 맞지 않는 사실을 부정하고 조선보다는 명나라와의 대결을 크게 부각하곤 하였다. 특히 히데요시를 일본을 통일하고 대륙진출을 시도한 영웅으로 재평가를 하는 작업이 이루어 졌는데, 이에 따라 에도시대에는 신사 하나 없던 히데요시의 신사를 세우기에 이른다. 한편 그동안 군담소설에 가까웠던 일본측 자료를 근대적으로 연구하였고 1924년에는 히데요시의 서신이나 각 무장들의 개인 기록을 모은 일본전사 조선역(日本戦史 朝鮮役)을 일본군 참모본부가 발행하였다. 다만 교차검증되지 않는 일화가 많고 당시 지휘관들이 히데요시에게 거짓보고를 했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서는 조선과의 교역으로 이익을 얻고 있던 세력이 명나라 정복이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야욕을 과소평가하고 조선 조정과 간파쿠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이의 의사소통을 왜곡함으로써 전쟁을 초래했다고 독창적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 상인 세력들은 해당 전쟁이 교역에 방해가 될 것으로 보고 반대했다고 서술한다. 조선에서 벌어진 전투 자체는 소략하게 다루지만 왜란이 초래한 일본 정치의 혼란상이 잘 드러난다.[289]

도요토미 정권을 타도한 당대 에도 시대 일본 식자층은 임진왜란을 보다 솔직하게 비판하고 있다. 성호사설에서 저자인 이익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해서 번역한[290] 저자 미상의 한 역사 평론에서는 임진왜란을 이렇게 평가하고 있다.
수길 공이 본래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들을 편안히 할 만한 술법이 없으면서 한갓 쓸데없이 군사를 일으켜 멀리 이웃 나라를 쳐서 죄 없는 사람들을 죽이고, 군량과 무기를 천릿길에 운수하여 우리의 생령을 못살게 한지라, 이 때문에 신명에 죄를 얻어 그 몸이 죽고 3년이 못 되어 나라가 크게 어지러웠으며, 그 아들 수뢰공까지 마침내 원화(元和)[291]의 전역[292]에 죽었다. 그러므로 작은 것으로써 큰 것을 치는 자는 앙화를 받는다 한다.
성호사설 권12 인사문 일본지세변급 격조선론
강항간양록에서도 비슷한 반응이 있는데, 당시 강항과 대화를 했던 일본의 승려 등 몇몇은 조선의 처지를 동정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당시 강항도 간양록에서 '일본 애들 중에도 사람 꼴하고 사는 사람들은 꽤 있구나' 하는 견해를 표했다고 한다.

역사저널 그날에서 패널로 나왔던 한 일본 교수는 임진왜란이 도요토미가 일으킨 침략전쟁이었다는 점엔 동의하면서도, 그가 왜 전쟁을 일으켰는지에 대해선 색다른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사실 색다른 주장이랄 것도 없는 게 상기한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서 언급한 것과도 유사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명나라와의 무역을 독점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으며, 일본 본토와 조선에 끼어 있던 대마도주 때문에 전쟁이 확대, 장기화됐다는 주장이다. 애초에 대마도 번주는 대 조선 무역을 위해서도 조선과 관계를 적절히 유지해야 했지만, 그러면서도 일본과의 관계 또한 유지해야 했다. 그래서 이 번주가 일본이 조선을 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염탐하기 위해 보낸 통신사를 조선이 일본의 명나라 공격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항복 사절로 자기 맘대로 목적을 바꿔 전했다는 것. 도요토미 히데요시 입장에서는 본인이 명나라를 치면 온 조선이 자신의 편을 들어 합세할 것이라고 생각한 와중에 조선의 격렬한 저항을 받았기 때문에 이를 배신으로 규정, 코나 귀를 베는 등의 잔인한 진압을 했던 것이라는 해석이다.

일본에서는 아무래도 명분이 안 서는 전쟁이라 그런지 인지도가 높은 전국시대 도중에 일어난 일임에도 공중파 매체에서는 자세한 행적은 다루길 꺼리는 듯한 모습도 있었는데[293], 21세기 들어 인터넷과 유튜브 활성화 등으로 역사, 전쟁사 덕후들이 자체 발굴해서 언급하는 경우도 늘어나는 편이다. 하지만 전국시대 이후 일본에는 조선왕조실록 같은 정사라고 할만한 게 없고 각 가문의 위상을 추켜세울 목적으로 영웅담처럼 곡해한 자료가 난립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내 자료만 가지고 임진왜란을 설명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일본 역사학자들이 전국시대와 에도시대를 연구 할땐 각 지방의 자료를 긁어모으고 사실여부를 확인하는 고된 작업을 하곤하는데 아마추어 네티즌들이 이정도 수준의 지식이 있을리는 거의 만무하다보니 주로 다루는 것도 일본 내에선 조회수가 나올법한 임진왜란-정유재란 사이 일본측이 승전한 전투들 위주가 많고, 그것도 일본 기록에만 근거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혐한 성향이 강한 일본어 위키백과는 임진왜란에 관한 일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료 취사 선택과 폐쇄성으로 악명이 높다.

7.3. 당시 명나라측의 평가

"명조 200년 이래 적국이 없었지만 이제부터 적국이 생겼는데, 이를 어찌 세월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볼 수 있겠는가!"
주공교
"오랜 시간이 지난 후,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여러 왜구는 돛을 올려 돌아가고, 조선의 환란 역시 평온해졌다. 그러나 관백이 동국을 침략하면서부터 전후 7년 동안 수십만의 군대가 손상되고 수백만 량의 군향이 소모되어, 중국 조정과 조선은 최후까지 승산이 없었다.[294] 관백이 사망하여 전쟁의 재앙이 비로소 그칠 수 있었고, 여러 왜구 역시 모두 퇴각하여 열도의 소굴을 지키게 되어 동남 지역에 조금씩 편안하게 잠잘 수 있는 날이 찾아왔다. 히데요시는 모두 2대만에 망하였다. 명나라가 끝날 때까지 왜와 통교를 금지하는 법령은 대단히 엄했으며, 마을의 평민들은 왜구를 지칭하면서 서로 모욕을 주었는데, 심지어 이를 통해 어린 아이들의 입을 다물게 했다고 한다.
명사 일본전

7.4. 당시 예수회 선교사들의 평가

당시 예수회 선교사들은 일반적으로 히데요시가 명분 없는 전쟁을 일으켰다고 생각했다.[출처12] 이러한 인식은 알레산드로 발리냐노(Alessandro Valignano)[296]가 1592년에 총장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벌써 조선국을 정복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이 전쟁은 아무런 명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오로지 그(히데요시)의 정복욕에 의한 것입니다.
Alessandro Valignano, Adiciones(1592) del Sumario de Japon, Adicion 4, IV, 487.

그레고리오 데 세스페데스[297] 신부조차도 일본군의 침략에 비판적인 글을 남겼다.[298]
아무도 원하지 않은 전쟁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무모함에 의해 저질러졌다
세스페데스 신부의 보고서 中 #

다만 이들 선교사들이 임진왜란을 비판한 기록들은 모두 개전 후에 남긴 글들이며, 임진왜란 개전 직전, 그러니까 히데요시가 이른바 ‘대륙 출병’을 계획하기 전의 선교사들의 관점 및 그러한 관점 뒤의 저간 사정이나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예수회, 나아가 일본에서의 예수회 및 기독교라는 종교의 위치에 대해 조금 더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센고쿠 시대 일본에서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처음으로 오우치 가문으로부터 다이도지라는 빈 절간 하나를 받아 일본 최초의 교회를 세우고 일본에 기독교 전도를 시작한 뒤, 일본에서 기독교는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조금씩 교세를 확장해 나갔다. 규슈 지역에서는 심지어 다이묘들까지 개종하는 경우가 나타나, ‘기리시탄[299] 다이묘’라고 불린다.

히데요시 초기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정책을 이어받아 기독교에 대해 긍정적이었지만 갑자기 태도를 바꿔 1587년 바테렌[300] 추방령을 내린다. 동기로는 일본의 천하인으로써 일본의 전통 종교인 불교-신토의 비위를 맞출 필요가 생겼다는 것, 기독교 포교가 상대국의 식민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과[301] 규슈 정벌 중에 구마모토 지방에서 일본 백성들을 노예로 팔아넘기는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의 행태를 목격한 사건이 주로 꼽힌다.

일본인 노예들은 주로 서양인들과 교류가 잦은 규슈 지방을 중심으로 팔려나갔고, 이를 불쾌하게 본 히데요시는 16세기 말에 기독교 금압과 함께 일본 내에서 노예매매 또한 금지시키면서 노예로 전락시키는 대상을 임진왜란 당시 끌려온 조선인 포로들로 바꿨다. 하지만 일본의 노예무역은 17세기 초 에도 막부 시절에 가면 사실상 완전히 사라지면서[302] 조선인 노예들은 전국시대 당시 일본인 노예들만큼 많이 팔려나가지는 않았다고 한다.

히데요시가 바테렌 추방령을 강하게 밀어 붙이지 않은 것은 지나치게 밀어붙였다가는 자칫 남만 무역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계산도 있었다. 선교사들이 포르투갈 상인과의 통역까지도 맡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노예 무역에 대해 예수회 선교사들은 원칙적으로는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1598년에 일본인도 아닌 조선인 노예를 팔아 넘기는 상인들에게 "자꾸 사람을 노예로 팔아 넘기면 아예 파문시켜 버리겠다"며 위협하여 제재하기까지 했다(물론 이런 강경한 조치도 바테렌 추방령 이후의 일이기는 하지만). 일본인들이 노예로 팔려나가는 것은 선교사들 때문이 아니라 상인들이 문제라는 걸 히데요시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노예 무역은 좀처럼 근절되지 않았고, 여전히 일본인들은 기리시탄 다이묘나 포르투갈 상인들의 협잡으로 국외에 노예로 팔려 나갔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시 이를 가스파르 코엘류에게 힐문하면서 "니네들은 왜 기독교 전도도 모자라서 일본 사람을 잡아다 노예로 팔아 먹느냐"고 항의했고, 가스파르 코엘류의 대답은 "파는 사람이 있어서 어쩔 수 없다"는 것이었다. 실제 코엘류의 말처럼 이러한 일본인 노예 매매에는 판매자 역할을 하던 일본인들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어떤 형태로든 관여했다는 것을 당시의 기록인 「규슈어동좌기(九州御動座記)」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히데요시나 노예 무역에 부정적인 입장에서는 코엘류의 말은 "그럼 니들이 대놓고 파는 데 안 사가냐? 대놓고 팔든 말든 니들이 안 사면 되잖아"라고 반발을 품기 충분했다.

일본 국내에서는 그리스도인 신자들이 늘어나면서 전통적인 일본 문화가 기독교 선교사나 신자들에 의해 '야만' 내지 '이단'으로 몰려 부정당하고 신사나 사찰이 '우상숭배'라고 매도당해 헐려나가면서 충돌이 벌어진다. 히데요시로써는 자신의 돈줄인 남만 무역을 중지해 버릴 수도 없고 또 서양 상인들과 무역하려면 선교사들의 통역이 필요한데 선교사들이 일본에서 기독교를 전도하면서 세를 키우고 자신의 정치 권력까지 위협하고 있는 것은 참아 넘기기 어려운, 즉 서양과의 관계에 있어서 종교와 무역을 어떻게 하면 분리해서 관리할 수 있겠는가의 문제가 걸렸기 때문이기도 했다. 이 문제를 히데요시 정권 패망 뒤에 들어선 에도 막부는 일본 국내에 금교령을 선포해 일본에서 기독교라는 종교 자체를 금지하고 그리스도인 신자는 국외 영구 추방 내지는 강제 개종, 그리고 서양과의 무역은 포르투갈이나 에스파냐 등 기독교 국가를 비롯한 다른 서양 국가와의 무역은 일절 끊어 버리고 개신교 국가로 가톨릭과는 연이 없고 또한 종교 전도에는 일절 관심이 없고 관심이 있어도 그게 일본과의 무역에 대한 욕구만큼 우선하지는 않는 네덜란드(화란)와의 제한된 무역만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303]

사실 오다 노부나가가 예수회 선교사들을 밀어준 것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예수회, 나아가 기독교에 대한 제재에 나선 것도 모두 종교적인 이유만큼이나 정치적 이유가 더 강한 결정이었다. 다이묘들뿐 아니라 혼간지를 중심으로 하는 정토진종(일향종)이 노부나가에 저항해 벌이는 잇코잇키 등 불교 세력과의 마찰도 잦았던 오다 노부나가는 이들과 맞서는데 루이스 프로이스 같은 예수회 선교사들이 쓸모가 있다는 걸 알고 중용했고[304] 애초에 히데요시의 바테렌 추방령은 에도 막부의 금교령처럼 무차별적이고 무조건적인 기리시탄 박해에 비하면[305] 그렇게 심각한 것도 아니었다. 바테렌 추방령의 내용은 신토나 불교에 대한 기리시탄들의 훼철 행위[306] 그리고 강제개종(하거나 혹은 시키거나)을 금지하되, 백성들이 자기 의사에 따라 기독교를 믿는 생각까지 막은 것은 아니었고 다만 다이묘가 기리시탄(그리스도인)이 되려거든 내 허락 받고 되라고 함으로써, 예수회가 다이묘들에게[307] 선교를 빌미로 접촉해 연계하고 나아가 그들을 지원하는 상황이 되는 것을 막으려는 것이었다. 히데요시가 살아있던 시절에도 고니시 유키나가호소카와 가라샤, 쿠로다 간베에 등 기리시탄 인사들이 이런저런 보이지 않는 제재는 있을 망정 버젓이 살아서 활동했다.

선교사 자체는 이미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던 시절부터 여러 차례 보아왔던 것이었지만, 예수회, 나아가 기독교라는 종교를 히데요시가 달리 보게 된 것은 대체로 규슈 정벌(1586.7~1587.4)을 전후해서의 일이다. 당시 규슈 지역에는 고니시 유키나가[308], 아리마 하루노부[309], 타카야마 우콘[310], 오토모 소린[311], 오무라 스미타다[312], 가모 우지사토[313] 같은 기리시탄 다이묘들이 꽤 많이 있었다.[314] 이들은 선교사들과의 연줄을 통해 '남만'이라 불리던 유럽 국가들의 상인들과 교역하면서 재력을 쌓거나, 조총이나 불랑기포[315] 같은 신무기를 수입해 보유하기도 했으며[316] 동시에 기리시탄 다이묘들에게 종교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하면서 그들 다이묘의 생활 및 영지 백성에 대한 통치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모습은 가뜩이나 밑바닥부터 기어올라와 만인의 꼭대기에 서고 싶어 안달이 난 히데요시에게는 결코 좋은 모습이 아니었다.

루이스 프로이스에 따르면 규슈 정벌이 시작되기 전인 덴쇼 14년(1586년) 3월 16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사카성에서 예수회 선교사 가스파르 코엘류(Gaspar Coelho)[317]와 접견했는데, 그 자리에서 히데요시는 “규슈 정벌이 끝나면 조선에 출병할 것이고 명나라인도까지 점령할 것이다”는 자신의 계획을 코엘류에게 털어 놓으면서 “대륙 정복에 성공하면 각지에 교회를 지을 수 있도록 선교사들을 지원해 줄 테니까, 그때가 오면 포르투갈 선박 2척과 항해사를 나한테 좀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고, “명나라 정복에 성공하면 내가 조선과 중국 전역에 교회를 지어 줄 것이고 기독교 전도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회유했다.

사실 선교사들 입장에서 보면 히데요시의 전쟁 계획을 찬성할 이유보다는 반대할 이유가 더 많았다. 아니, 반대할 이유가 그냥 차고 넘쳤다. 단순히 성직자로서의 양심 때문만이 아니어도, 당장 일본보다 먼저 중국에 들어가 기독교를 전도하면서 명나라의 국력에 비하면 일본의 국력은 애초에 비교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 체험한 사람들이 선교사들 본인이니까. 나중에 가서 히데요시의 전쟁은 명분도 정의도 없다고 비판하기는 했지만, 정작 히데요시의 이 말도 안 되는 계획을 처음 들었던 그 오사카 성에서 예수회 선교사들은 히데요시의 중국 침공 계획을 대놓고 말리거나 또는 우회적으로 반대하기는커녕 오히려 자신들이 나서서 히데요시의 계획을 적극 돕겠다고 맞장구를 쳤다. 루이스 프로이스에 따르면 가스파르 코엘류는 장차 조선을 치고 중국을 정복하겠다는 히데요시의 계획에 찬동하면서 “규슈에는 기독교를 믿는 다이묘들이 많습니다. 선교사인 제가 주선할 테니까, 그들과 합동해서 작전을 짜보도록 하시지요. 필요하다면 포르투갈 본국의 군함과 항해사도 추가로 더 지원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라고 제안했다.[318]

히데요시가 예수회 선교사들 앞에서 '중국 들어가기(唐入り) 작전' 즉 임진왜란 계획을 밝혔던 1586년 3월 16일의 오사카 성에는 루이스 프로이스나 가스파르 코엘류 말고도 오르간티노 그네키 솔도(Gnecchi-Soldo Organtino)[319], 그레고리오 데 세스페데스, 로렌소 등 30명이 넘는 예수회 신부 및 수도자도 함께 있었는데, 이들의 이야기는 루이스 프로이스의 기록과는 정반대이다. 히데요시가 조만간 조선과 명을 공격할 것이라는 계획을 천명하고, 여기에 필요한 서양식 군함과 항해사를 히데요시에게 제공한다는 안건을 논의한 이 날의 자리에서 프로이스나 코엘류와 함께 히데요시를 접견하는 그 자리에 있었던 오르간티노 그네키 솔도 신부는 "서양식 군함 및 항해사를 히데요시의 대륙 공격에 맞춰 제공하는 안건은 히데요시가 아니라 프로이스와 코엘류가 먼저 꺼낸 말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루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전12권)를 일본어로 완역한 일본의 사학자 마쓰다 기이치(松田毅一)는 저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남만인>에서 정황상 오르간티노 그네키 솔도의 증언대로 히데요시의 대륙 공격에 대한 서양 군함과 항해사 제공에 대해 히데요시가 아니라 루이스 프로이스와 가스파르 코엘류가 먼저 제안한 것이 맞다고 보았다. 그 근거로써 이미 코엘류 본인부터가 히데요시와 접견하기 2년 전인 1583년부터 "일본의 기독교를 군사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루손의 에스파냐 총독에게 지속적으로 군사 지원 요청을 보내고 있었으며, 같은 시기에 루손에서 활동하던 사제 알론소 산체스(Alonso Sánchez, 1547~1593)는 코엘류와 시기를 같이 해서 (필리핀멕시코에서 한 것처럼) 에스파냐가 중국을 무력으로 정복해서, 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오고 있었던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명나라 정복 구상을 1586년에 루손 총독은 실제로 승인하고, 산체스를 마드리드로 보내어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2세에게 보고하도록 했다. 히데요시가 조선 침공을 구상하기 이전에 이미 에스파냐나 예수회의 종교적인 '콩키스타도르' 대상에 엄연히 중국도 포함되어 있었던 셈이다.

애초에 산체스를 비롯한 이들 기독교 신부들은 당시 명에서 활동하며 기독교 전도에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던 마테오 리치를 앞세우면 쉽게 명을 정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고, (나중의 일이지만) 히데요시에게 몰수당한 규슈의 예수회 영지를 되찾겠다며 에스파냐 병력을 일본으로 지원해 달라는 코엘류의 요청을 거절하고 본국에 보내는 편지에 "분명한 것은 이 전쟁은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고 딱 잘라 말할 정도로 온건파였던 알레산드로 발리냐뇨조차 히데요시의 중국 정복 구상에는 찬성했다. 한국의 학자 김시덕루이스 프로이스가 원래 중국에서의 전도를 꿈꾸던 인물이었음을 지적하며 히데요시가 "내가 조만간 조선 및 명에까지 침공하겠다"고 호언하는 것을 듣고 중국을 기독교 국가로 '복음화'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가스파르 코엘류와 루이스 프로이스가 먼저 히데요시에게 "저희가 군사적으로 서양 군함과 항해사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라고 히데요시에게 제안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출처13] 선교사들이 먼저 히데요시의 조선 및 명나라 침략에 대한 지원을 제안했든 히데요시의 조선 및 명으로의 침략 계획에 못 이기는 척 맞장구친 것이든, 분명한 것은 최고 권력자가 된 히데요시의 기분을 맞춰주면서 동시에 일본에서의 기독교 전도를 더욱 수월하게 하고, 나아가 중국(+조선)이라는 더 넓은 (전도) 시장을 얻어 그곳에까지 기독교를 전도하고 싶다는 욕심이 당시 히데요시를 접견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임진왜란은 바티칸 예수회가 배후에서 조종해서 일어난 동아시아판 십자군 전쟁이라느니 예수회 세력과의 대규모 전쟁이었다느니 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이자 비약이란"이라는 것이다. # 실제로 예수회 선교사들이 히데요시의 계획에 찬동하며 "원하신다면 서양식 군함과 항해사도 지원하겠습니다"라고 약속은 했어도 실제로 서양 군함이 조선에 투입되지는 않았다. 당시 항해 기술의 한계상 서유럽과 남유럽에서 일본까지 거리는 사실상 지구 반바퀴가 넘는 거리로 일본까지 가는 데만 1년이 걸렸기에 보급 문제 때문에서도 지원은 곤란했다. 당시 선교사들이 히데요시에게 서양식 군함을 제공하겠다고 한 약속과 달리 막상 임진왜란 때 당시 일본군 함대에 서양식 군함은 거의 없었고 거의 대부분의 전선은 조선의 판옥선보다 훨씬 작은 세키부네들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의 배후에 예수회가 있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지만 중요한 것은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예수회 선교사들을 오사카 성으로 불러 자신의 대륙 침략 계획을 밝히며 예수회 선교사를 통해 조선 및 중국 정복 이후 그곳에서의 전도 활동 지원을 조건으로 서양 군함 및 항해사를 지원받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던 날, 이러한 히데요시의 말 같지도 않은 제의에 당시 중국과 일본의 국력 차이가 말 그대로 넘사벽이라는 것을 결코 몰랐을 리가 없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히데요시의 전쟁 계획에 '찬성' 내지 '지지'를 표명했으며, 그 배경에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을 계기로 삼아 조선, 나아가 중국에까지 그들의 '전도 시장'을 넓히고 싶다는 '욕심'이 작용했다는 것은[321]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이다.

혹자는 임진왜란의 발발은 예수회가 아니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개인적인 욕망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며 그 근거로 조선왕조실록을 가져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한 직후 조선에 보낸 국서에도 '본인이 태양의 아들이니 본인의 소원은 중국을 정벌해서 자신의 명성을 전세계에 영원히 오랫동안 펼치고 싶기 때문에 나중에 중국에 군대를 보낼 때 길을 비켜 달라'고 말할 뿐 기독교란 종교를 소개하면서 대륙에까지 기독교를 전파하겠다는 언급은 그 어디에도 없다."고 하지만, 애초에 기록으로 남은 히데요시의 발화 대상과 목적은 조선왕조실록에서 다르고 예수회측 기록에서 다른 것이 당연한 일이다. 기록이 모든 사실을 전해 주지도 않고 기록되어 있다고 모두 사실인 것도 아니다. 이쪽 기록에 없다고 해서 이쪽 기록이 무조건 잘못되었다고만 딱 잘라서 볼 수는 없다는 얘기다.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히데요시의 발언은 조선 조정을 향해 "우리가 이번에 통일한 김에 명나라까지 점령해야겠으니까 니들이 앞장서서 책임지고 길 내놔라"라고 히데요시의 힘을 과시하고 협박(+통보)하는 것이 발화의 목적이고, 루이스 프로이스 등 예수회 선교사측 기록에 나온 히데요시와의 면담과 그의 발언은 일본이 중국으로 쳐들어가는 것이 기독교 전도를 위해서라는 목적을 밝힌 게 아니라 그냥 예수회에 기독교 전도 허락을 떡밥으로 서양식 군함 지원을 요구하는 내용이다.


히데요시는 이후 다시 한번 기리시탄 다이묘 뒤에 있는 예수회나 기독교라는 종교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자각하게 되는데, 규슈 정벌이 끝난 뒤인 덴쇼 15년(1587년) 6월 10일 히데요시가 하카타에 왔을 때 가스파르 코엘류는 다시 자신이 타고 온 범선인 푸스타(Fusta) 호를 타고 하카타 해상에서 히데요시를 접견했다. 이때 거의 군함 수준으로 무장이 되어 있는 예수회 소유의 범선 푸스타 호 안을 둘러본 히데요시는 군함이 아니냐, 나에게도 이런 군함을 만들어 줄 수 있느냐며 놀라워했다고 한다. 이때의 경험도 히데요시에게 서양의 군사력에 대한 욕망과 동시에 이런 무장력을 가진 예수회라는 집단에 대한 공포감을 더 부추겼다. 선교사로써 코엘류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전도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권력자 히데요시에게 “예수회는 언제든 히데요시님 당신의 편에 서서 당신을 위해 힘을 보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라며 환심사기용으로 예수회가 가진 무장력을 보여준 것이었지만, 히데요시는 굳이 평화적으로 종교를 전도하러 왔다는 인간들이 무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를 못마땅해했을 뿐더러 또 그 무장력이 확실히 히데요시 자신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강력함을 확인하고서 코엘류가 보여준 푸스타 호를 히데요시를 은근하게 압박하는, 그러니까 "우리는 이 정도의 무장력을 가지고 있으니 권력자라고 히데요시 네가 우리를 무시하려 들면 어떻게 될지 생각 잘 해라."라는 메시지로 받아들인 것이다.[322][323] 오무라 스미타다가 덴쇼 8년(1580년) 예수회에 기증한 나가사키, 모테기(茂木), 아리마 하루노부가 1584년에 예수회에 기증한 우라카미(浦上)[324]의 '교회령'도 바테렌 추방령과 시기를 같이해서 모조리 몰수당해 히데요시의 직할령이 되었다.

몰수당한 예수회 영지를 되찾으려 가스파르 코엘류는 기리시탄 다이묘들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필리핀에 "일본으로 2,300명의 병력을 보내 달라"고 한 것도 알레산드로 발리냐뇨에 의해 무산되었다. 1590년 인도 총독의 대사 자격으로 주라쿠다이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회견하고 외국의 진기한 물품을 선물한다. 이는 히데요시가 내린 바테렌 추방령, 즉 선교사들에 대한 추방 명령을 철회시켜보려는 목적이었고, 히데요시를 달래기 위해서라도 그의 조선 침략 계획에 전면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다시금 밝히게 된다.[출처14] 이때, 발리냐뇨와 함께 히데요시를 만난 게 덴쇼 소년사절단이다. 물론 이들 역시 각지에서 노예로 팔려온 이들과 그들 사이에 끼어 있는 일본인을 목격했다.

8. 전후 영향

임진왜란은 조선과, 원군을 보내준 명이 승리한 전쟁이다. 일본의 전략적 목표는 조선의 영토를 교두보로 삼은 명의 침략과 조선 정복이었고[326] 조선의 전략 목표는 일본군을 자국의 영토에서 격퇴하는 것이었다. 도요토미 정권 일본은 원했던 전략 목표를 단 하나도 달성하지 못한 채 조선을 떠나야 했고 퇴각 과정에서도 조명 연합의 노량 해전을 통해 철저하게 응징되었으므로 도요토미 정권 일본이 패배한 전쟁임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327] 결국 일본 측에서는 패배한 전쟁으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일본이라는 국가가 아닌 도요토미 세력이 일으키고 패배한 동란 정도로 축소시키는 시각도 있다.[328]

전후 처리와 결과 측면에서도 조선은 기유약조를 통해 침공 행위에 대한 공식 사죄와 포로 쇄환 등을 받으며 새로 수립된 에도 막부와 국교를 회복하였다.[329] 광해군 시대 원년에 맺어진 이 기유약조는 한일 양국의 조속한 관계 개선을 원했던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의 조작으로 이루어졌으나, 그것은 사실상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수립한 에도 막부의 공식 입장이 되었고 이후 조선과 일본은 19세기 후반 제국주의 시대가 동아시아에 도래하기 전까지 우호관계를 구축한다.[330]

8.1. 조선의 전후

파일:임진왜란 전후 인구 변화.jpg파일:임진왜란 전후 토지 변화.jpg
▲ 전후 인구 변화 ▲ 전후 토지 변화

조선은 승전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조선은 국토가 황폐화되고 문화와 인적 자원도 잃었다. 사실상 조선시대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전환점이 된 사건으로 조선의 경제와 사회를 통째로 뒤바꾼 계기이기도 했다.

전쟁에서 패한 도요토미 정권 일본도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많았고 결국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져 나라의 주인조차 바뀌었다는 점에서 실속없는 전쟁이 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선을 약탈함으로써 얻었던 인적, 물적 자원을 토대로 에도시대에는 경제적, 문화적 수혜를 얻었다. 반면 조선은 국가의 멸망을 막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폐허가 된 국토만이 남은 상처 뿐인 승리였다.

150만결에 달했던 경작지가 임진왜란 후엔 30만결로 대폭 줄어들어버렸다. 농업을 제 1의 산업으로 치는 농경국가에서 이정도면 아예 파산상태나 다름없는 수준이다. 이는 전란 과정에서 농지를 경작할 인구가 일본군에게 살해 또는 납치되고, 전란을 피해 흩어지거나 조선군에 징병되어 사라진데다, 토지를 조사하고 관리하는 행정력이 일시적으로 붕괴해서 대부분의 농지가 황폐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춘궁기를 견디게 해줄 환곡미는 일본군과 조선군의 군량으로 소모 또는 소실되었고, 1593년~1594년 계갑대기근이 벌어져 많은 사람들이 기아와 전염병으로 굶어 죽어 인구가 급감한다. 여기에 몇 십년 후 두 차례의 호란과 경신대기근을 겪으며 다시 타격을 받지만 전후 복구가 이어져 이전의 경제력을 급속도로 회복한다. 대략 17세기 초중반에 조선은 전쟁 이전의 경제력을 넘어섰다.#

사회, 문화 측면에서는 신분을 증명할 문서 대부분이 소실되고 전란으로 예산이 부족한 조정에서 공명첩을 남발하며 신분제 자체가 흔들렸다. 덕분에 관직 대신 족보가 양반임을 증명하는 물건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점차 세습적인 특성을 띄게 된다. 징비록과 선조수정실록에서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3궁과 종묘가 방화로 없어졌고[331] 보신각, 사대문을 제외하고는 궁성과 육조가 모두 소실되었다고 기록한다. 선정릉은 도굴되어 내부의 부장품과 시신이 유실되어버렸다. 불국사와 일부 사찰들도 일본군의 약탈당하거나 불에 타버렸다. 약탈된 문화재들은 일본 열도로 반출되어 일부는 파손되었거나 혹은 완전히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고려실록은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었으며 조선왕조실록조차 전주 사고의 판본 1질만 남기고 다 소실되었다. 그 외의 관련 사료들이 대거 소실되면서 선조실록은 임진왜란 이전 기록이 매우 소략하게 되었으며 승정원일기비변사등록도 임진왜란 이후의 기록[332]만 남아 있다. 조선 왕들의 어진 역시 태조, 문종, 세조을 제외하면 전부 유실되었다.[333] 현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해당하는 대다수 유물들이 소실 되었다는 것만 봐도 문화적 피해가 얼마나 큰지 실감나게 해준다.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국제전쟁이라는 중요한 성격도 띈다. 전쟁 이후 동아시아의 상호 외교 관계 또한 급격하게 뒤바뀌었다.

임진왜란의 여파는 곧 만주족의 흥기로 이어졌다. 만주족은 급속히 강성해져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을 명나라로부터 분리시키고 동아시아의 새로운 주인이 된다. 임진왜란은 중국에 만주족 왕조인 청나라가 들어서게 만들었고, 조선의 대외관계도 뒤바꾸는 나비효과를 일으킨 것이다.

조선은 폐쇄적인 지형에도 불구하고 청나라와의 교류 덕분에 임란 이전에 비해 서양 학문과 더 빈번하게 접촉한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조선 내부에 서양식 과학이 소개되고, 청나라를 배우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실학자라고 불리는 학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일본과 명분상 비교적 만족할만한 내용으로 국교 회복에 성공하고 청-일 직접 교역이 어려운 현실 속에서 양국 간의 육로 무역을 중개하면서 상당한 무역 흑자를 누리게 된다. 이후 농업 측면에서도 전란으로 인한 농업 생산력의 파탄이 역으로 대동법 개혁이 추진되는 동력으로 작용하여 농업 생산량이 급증한다. 국가 재난으로 인해 조선이라는 국가 체제가 재정비되기도 했다.

군대 역시 개편되어 중앙군은 유명무실해지던 오위를 대신해 훈련도감이 창설하여 조총으로 무장한 포수, 원앙진을 바탕으로 한 살수, 활로 무장한 사수로 구성된 삼수병 체제가 확립되었으며, 지방군 역시 속오군으로 재개편하였다. 이러한 개편은 효과가 있어서, 1600년 노토 부락 정벌 당시에는 병사(兵使) 이수일(李守一)이 이끄는 5천 명의 기병을 중심으로 한 정벌군이 조직되어 명천현감(明川縣監) 이괄(李适), 회령부사(會寧府使) 조경(趙儆), 길주목사(吉州牧使) 양집(梁諿)이 각각 부대를 이끌고 좌위, 중위, 우위의 3로로 나누어 진격해서 여진족 가옥 1천여 채를 불태우고 적 110명을 참수했다. 당시 원정에서 조선군 전사자는 7명에 불과했다.

전후 조선에서는 반왜(反倭), 척왜(斥倭) 성향 및 호국 의식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전후 복구와 경제 회생 등에 총력을 기울였다.

일반적으로 전쟁이 끝나면 무장들이 전공과 대중의 지지를 얻어 정치계에 큰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지만 조선의 경우엔 좀 달랐다. 당시로선 고도로 발달한 중앙 집권, 관료제 국가였던 조선은 원래 공직자인 무장들은 물론 향촌에서 일어난 의병들을 국가의 통제 아래 편입시키려 노력했고 성공했다. 무엇보다 도원수 권율이나 전쟁 이후 의병 활동을 명분으로 집권한 북인의 예에서 알 수 있듯 지휘관 중에 적지 않은 수가 문신이었기에 무장들이 치고 올라올 여지가 별로 없었다. 또한, 이순신, 김시민 같이 전공이 혁혁한 무신들이나 의병장들이 전란 도중 사망하고, 곽재우, 정문부 같은 일부 의병장들도 전후에 관직활동을 계속 이어가지 않아서 고려 말 이성계최영같은 신흥 무장들의 집권 같은 일이 일어나기 어려웠다.

과거에는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재난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바뀐 것이 없다는 편견이 있었다. 전쟁의 피해를 져야 할 국왕과 양반 세력이 물러나거나 하지도 않았고, 어떤 정치 체계가 바뀌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워낙 중앙 집권의 관료제가 발달되어 있어 어떤 재난을 겪어도 조선의 통치 체계는 끄떡 없었기 때문이다.[334]

현대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일대 국란을 겪고도 체제를 유지한 개혁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더 주목하는 추세다. 여말선초 당시 많은 농민들이 권문세족의 토지겸병으로 인해 권문세가에 노비로 투탁하고, 양인과 천인과의 혼인이 잦아진데다, 경국대전에서 일천즉천이 확립되면서 천인들의 수가 계속 늘어났다. 이 문제는 16세기에도 해결되지 않아 천인들의 수가 굉장히 많아졌다. 당시에 이를 개혁할 의지를 보인 인사는 조광조와 이이를 빼면 많지 않았다. 이런 국가 체제가 임진왜란이라는 전란을 거치면서 변화가 불게 된다. 전란으로 노비 문서가 소실되고, 병력과 예산이 필요했던 조정에서 납속책을 대규모로 시행하고, 군인으로 복무한 천인이 적의 수급을 가져오면 면천 시켜주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결과적으로 노비의 수가 대폭 감소하게 된 사회 체제로 전환되었다.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의 농노 수가 감소하자 이후 농노에 대한 지위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다만 실질적으로 15~16세기 호적자료가 제대로 남아있는 것이 없어 이 시기 노비 비율은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기 때문에 임진왜란이 노비비율을 얼마나 낮추었는지 의견이 서로 갈릴 수밖에 없다. 전란 때문에 국토가 황폐화된 바람에 생계를 이어가기 힘들어진 양민들이 양반들에게 생계를 보장받는 대가로 양반들의 사노비가 되는 협호현상이 광범위하게 일어나 17세기에 노비 비율이 전체 인구의 3~40%에 이르렀다는 해석도 존재하지만 이 협호에는 노비 뿐만 아니라 머슴, 신분이 양인인 소작인도 포함되기에 협호를 마냥 노비로 동일시하긴 어렵다.

승병들이 많이 활약한 전쟁이기도 해서 사대부들이 이들을 보고 스스로 반성하는 기록도 남겼다.[335] 사명대사는 일본인들이 승려와 친숙하다는 특성 때문에 전후 사실상의 외교관으로 활동하였으며 훗날 선종할 당시 왕인 광해군이 친히 병세를 살피고 약을 보내주었다고 한다. 승병들의 전공에 대한 대가로 조정 측에서는 사찰 수리와 중창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였는데 덕분에 ‘전장’이 되어버려 불타버린 사찰들을 급속히 복구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은 숭유억불 기조 하의 조선 불교가 이전보다는 사회적 위상을 높인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8.2. 명나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 4대 암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임용한 박사가 말하는 명-청 전환기에 대한 이야기-건들건들

이미 국운이 기울고 있던 명나라는 자신들의 군사적 방패막이 되어줄 조선이 왜에 함락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선에 대군을 파병한 이후로 더욱더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336] 조선과 일본에 집중하느라 여진족을 방치한 탓에 여진족이 세력을 키워 후금 - 왕조가 성립되어 명나라에 심각한 위협을 주게 된 것. 엎친데 덮친 격으로 경진년의 대기근까지 겹치며 재정이 파탄나고 이자성, 장헌충 등의 농민 반란#까지 겹쳐서 일어나며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337]

그러나 임진왜란 탓에 명나라가 멸망했다는 말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임진왜란(1592)에서 명나라 멸망(1644)까지는 몇십 년의 세월이 더 소요되었다. 암군인 만력제 치하의 명나라는 임진왜란 이전에 이미 국가적인 활력을 잃었다. 임진왜란이 이미 침체된 명의 쇠퇴를 가속화 했을 수는 있겠지만, 명나라가 전쟁 이전에는 잘 나가다가 전후에 갑자기 쇠퇴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8.3. 일본

조선이 입은 피해에만 주목하는 역사계의 관행과 달리 일본 입장에서도 이 전쟁의 피해는 참혹하기 이를 데 없었다. 일본은 2년간 전쟁을 준비하고 7년에 걸쳐 침공을 반복했으나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막대한 물적 인적 피해를 입은 채 패배하고 물러나야 했다. 침공을 주도한 도요토미 정권은 애초부터 명분도 없고 승산 가능성도 낮은 전란을 일으켜 국내외를 막론하고 위신이 심각하게 떨어졌으며, 그를 따르던 수많은 영주들의 원성이 높았다. 과거 무리한 고구려 침공으로 한창 국력을 떨치던 수나라가 무너졌는데 그보다 못한 국력으로 바다 건너 조선을 공격하려 드는 히데요시의 전쟁은 자신의 권력을 걸고한 도박에 가까웠다. 반면 출정 명령을 받은 영주 개개인 입장에서는 자기 영지에서 인력과 자비를 들여 출정한 것이었고 조선 점령 혹은 통지조차 실패할 경우 싹다 잃는 전쟁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긴 전란으로 인해 착실하게 쌓아온 막대한 병력과 물자를 헛되이 써버린 탓에 경제적으로도, 군사적으로도 후유증이 심했다.[338] 당연히 그 피해는 고스란히 백성들이 떠안았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어버리자, 히데요시가 억누르고 있었던 전국시대 말기의 라이벌들, 특히 파병을 회피하며 세력을 온존하고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시 일어서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 서쪽의 다이묘들과 그 백성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상식적으로도 명나라조차 조선 파병으로 재정이 흔들렸을 정도인데, 명나라보다 경제력이 떨어지고 병력은 더 많이 보냈으며, 그리고 패배하기까지 한 일본이 아무 문제가 없었을 리가 없다. 병량 등 물자의 수송을 맡은 인부들, 왜성의 건축 등을 맡은 인부들도 조선땅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陣夫라고 불렀다) 적극적으로 전쟁에 참여했던 일본 서부 지방의 백성들은 막대한 병역과 부역으로 인해 피폐해졌다.

1594년서생포왜성에 있던 가토 기요마사가 자기 영지인 히고의 인부들에게 '지금이라면 집단으로 히고로 돌아가더라도 대관의 단속이 없으니 도망치려면 지금이다'라고 지시를 내린 문서가 발견되었다. 일본 측 유력 지휘관 중 하나가 자기 인부들에게 도망치라고 종용할 정도였으니 얼마나 고생이 심했을지는 알만하다. 일본 사극에서 임진왜란이 묘사될 때 비판적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도 이러한 영향이 있다. 다만, 일본에는 조선왕조실록이나 명사(역사책) 같은 국가 편찬 정사 역사서가 없고,[339] 정식 사료는 유력 가문들의 행장기 등을 통해 볼 수밖에 없는지라 일본이라는 국가 자체가 전체적으로 얼마나 피해를 입었는지는 직접적으로 집계하기가 힘들다. 임진왜란이 일본에게 부를 가져다 준 실리를 얻은 전쟁이라는 일반적인 통설과 달리 일본 역시 명분과 물질 모두 큰 타격을 입었다. 실리 이전에 일본이라는 나라가 전쟁이라는 국가적 위신이 걸린 상징적인 대외사업에서 실패하고, 더욱 중요한 명분을 잃은 것이다! 실리를 얻었으므로 일본이 이겼다고 주장하는 것은 말 그대로 국가의 위신을 무시한 정신승리에 불과하며, 이는 일본의 이후 행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340] 무려 수십만에 달하는 일본의 총력을 들여 진행한 대대적인 원정을 당대부터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을 상세히 남기지 않았다는 것은 일본 스스로 이를 수치로 여기고 있다는 증거이다. 임진왜란은 일본에게 있어 곧 트라우마이고, 지우고 싶은 치욕이었던 것이다. 또한 임진왜란에 참전한 병사들과 장수들의 숫자와 질을 생각하면 일본이 후에 메이지 유신 이후 창설한 근대화된 일본군이 나오기 전까지 최대이자 최강의 원정군이었고, 그런 이들이 목숨만 건진 채 돌아왔다는 것은 100년 전국시대를 거친 강군, 무사의 나라 일본의 이미지가 크게 훼손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전란을 주도한 무리의 후손들은 300여년 뒤에 조선 식민지배, 중국 침공에 그치지 않고, 다시 한 번 히데요시와 같은 팽창욕을 거하게 불태우며 대대적인 전란을 일으켰으나 이번엔 하필 명나라 따위와도 비교가 안 되는 엄청난 강대국건드리는 바람에 제대로 얻어터지고 나서 무조건 항복이라는 훨씬 더 비참한 결말을 맞이했다.

임진왜란 마지막에 일본군이 철수하게 되었을 때 일본 내부에서 내린 교지는 무조건 귀국해라였다. 또한 조선에서는 이순신권율 등을 필두로 일본군에 대해 아주 이를 갈며 증오하며 후퇴하는 일본군을 단 한 명도 남기지 말고 모두 죽여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었다. 거기에 고니시 유키나가가토 기요마사는 각각 왜성에 갇혀 그 동안 각자 타고 다니던 군마를 도축해 말고기로 연명해야만 할 지경까지 간 상황인지라 그들은 후퇴할 때 부하들을 딱 둘로 나눠서 처우했다. 걸어다니는 게 가능한 병력들만 데리고 도망갔고 부상으로 걸어다니지 못하는 병력들은 그냥 버리고 갔다. 왜군 격멸에 모든 것을 건 이순신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으려면 빨리 도망쳐야만 해서 어쩔 수 없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들은 다 버리고 진짜로 몸뚱이만 도망쳤다. 이후 남겨진 일본군 부상병들은 전부 끔살 당했다. 조선군에게 걸렸든 명나라군에 걸렸든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일과 노량해전의 일로 인해 세키가하라 전투 시점에서 고니시 유키나가시마즈 요시히로고쿠다카에 비해 병력이 말도 안 되게 쪼그라든 상태였다. 시마즈 요시히로는 고쿠다카 대로 병력을 뽑으면 18,000명 가량의 병력을 뽑아야 정상이지만 노량해전으로 너무 날려먹은 나머지 그의 병력은 10,000명도 안 되는 상황인데다가 시마즈 요시히사 등이 병력 차출을 거부했기 때문에 실제로 시마즈 요시히로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거느린 병력은 고작 1,500명에 불과했다. 체급이 상당한 다이묘에 전국시대에도 이미 강군으로 이름난 사츠마시마즈 요시히로조차 이지경이었으니, 임진왜란에 참전한 다이묘들은 다들 크고 작은 숫자의 병력을 잃은 상황이었다. 이조차도 말이 '작은'이지 정말 조금만 손해를 본 다이묘는 다테 마사무네 정도밖에 없었고 대부분의 임진왜란 참전 다이묘들은 병력을 아주 크게 잃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를 거쳐 일본을 지배하게 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임진왜란은 모두 이미 죽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탓이며 자신은 오히려 그 도요토미 일족을 몰아냈고 침략에도 나서지 않았다며, 전후 조선외교 관계 복원을 요청하였다. 현대 시점에서 보면 매우 형식적이고 완전하지도 않았지만 전쟁 당시 일본군이 포로로 붙잡아온 조선 사람들을 어느 정도는 도로 돌려 보내는 사과 절차도 거쳤다. 그리하여 1609년에 조선과 일본은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화해하고, 조선은 일본에 문위행과 조선 통신사를, 일본은 차왜와 국왕사를 파견하게 된다. 그리고 도쿠가와 막부는 얼마간의 외교충돌은 있었을지언정 조선을 침략하지 않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를 엎어버린 것은 도쿠가와에 대항하며 그와 대적했던 도요토미의 유지를 받든 후손들이었다.

그럼에도 일본은 조선과 달리 국토가 황폐화되지 않았기에 전란으로 입은 피해는 오래가지 않아 회복할 수 있었다. 물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정권을 빼앗겨 저승에서 피눈물을 흘렸겠지만 이는 도요토미 개인의 자업자득일 뿐이고,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는 전란이 끝난 지 단 2년 만에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내전을 벌이거나 임진왜란의 주축을 맡았던 사쓰마 번이 단독으로 류큐 왕국을 털어 복속시키는 등 국력을 과시하고 대외적으로 존재감을 높였다. 이후 260년간 에도 시대에 발전을 거듭하여 겐로쿠 시대의 경제적 호황을 누렸으니 패전과 별개로 국가적 차원에서 이득을 얻은 것은 부정할 수 없다.[341] 이는 또 하나의 거대 군벌이었던 도쿠가와 세력이 계속 힘을 키우고 있었던 탓이 크다.

경제적 측면에서 상당한 비약도 존재했는데, 특히 조선에서 엄청난 수의 포로가 끌려 가 포르투갈의 노예 상인들에게 팔리거나 일본에 정착하기도 하였다. 이들 포로 중에는 이삼평과 심수관으로 대표되는 도자기 장인이 많았고, 일본의 도자기 공업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들 도자기 장인들은 임진왜란 직후 명-청 교체기가 도래하고 중국의 대외 무역이 일시적으로 파탄에 이르게 된 시기적 배경과 함께 일본이 세계 도자기 시장에서 중국을 밀어내고 1위를 석권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일본의 도자기는 대체재를 찾던 유럽 및 아라비아 상인들을 만족시켰다. 또한 일본은 은 생산량 폭증 및 제련 기술의 향상으로 넘쳐나는 은을 소비할 무역 창구 확보를 절실히 노렸는데, 이후 청과의 직접 무역은 어려웠으나[342] 조선을 통한 중계 무역을 통해 일정부분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8.4. 조선인 포로

8.4.1. 정착, 또는 귀환한 경우

“일본에서 온갖 상인들이 (조선으로) 왔다. 그중에 사람을 사고파는 자도 있었다. 본진의 뒤를 따라다니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사들였다. 새끼로 목을 묶은 후 여럿을 줄줄이 옭아매 몰고 가는데, 잘 걸어가지 못하면 뒤에서 몽둥이로 두들겨 팼다. 지옥의 아방(阿房)이라는 사자가 죄인을 잡아들여 괴롭히는 것이 이와 같을 것이다.”
‘조선일일기(朝鮮日日記)’, 종군 승려 쿄착, 또는 귀환한 경우 ====
“일본에서 온갖 상인들이 (조선으로) 왔다. 그중에 사람을 사고파는 자도 있었다. 본진의 뒤를 따라다니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사들였다. 새끼로 목을 묶은 후 여럿을 줄줄이 옭아매 몰고 가는데, 잘 걸어가지 못하면 뒤에서 몽둥이로 두들겨 팼다. 지옥의 아방(阿房)이라는 사자가 죄인을 잡아들여 괴롭히는 것이 이와 같을 것이다.”
‘조선일일기(朝鮮日日記)’, 종군 승려 쿄넨(慶念). 1597년 11월 19일자

일본군은 전쟁 중 수많은 조선인을 잡아 일본으로 끌고 갔으며 노예 시장에 팔아 넘겼다. 특히 나가사키의 노예 상인들은 인신매매를 위해 조선으로 건너오기도 했다. 이들은 조선 남부 등 각지를 찾아다니며 남녀를 막론하고 조선인을 직접 사들여 나가사키 등지로 끌고 가 포르투갈 상인에게 철포(조총)나 비단을 받고 팔아넘겼다.

조선은 "쇄환사"를 통해 포로 귀환에 힘썼으며, 이 과정에서 사명당이 활약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바로 직후에는 성사되지 않고 쓰시마를 통해 제한적으로 돌려받다, 1609년 기유약조 이후 조선과의 관계 정상화에 힘쓴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본격적인 포로 송환이 이루어졌다. 이 작업은 1655년 효종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일본 영주들은 미녀나 장인의 경우 쇄환사가 일본에서 조선 백성들을 찾기 위해 찾아오면 고의로 이들을 감추고 조선 포로들에게도 이 사실을 숨겼다. 조선에서 끌려온 도공들은 아직도 고향을 그리며 바다를 향해 제사를 지내는 풍습을 지키고 있다. 또한 메이지 유신 전까지도 조선식 성씨를 썼다고 한다. 유명한 인물 중엔 사쓰마 번, 가고시마 현 출신 도고 시게노리라는 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외무 대신을 지냈던 사람이 있다. 조선식 이름으론 박무덕. 아버지, 어머니 모두 끌려간 도공 집안이었고 박무덕이 도쿄 제국 대학에 들어가기 전까진 계속 박씨 성을 유지했었다고 한다. 그런데 메이지 시대가 되면서 소수 민족에 대한 병합 정책에 못 이겨 사무라이 가문의 족보를 샀다고 한다. 가고시마 현 뿐만 아니라 가토 기요마사가 번주였던 구마모토 현에는 울산에서 살던 사람들이 끌려와 집성촌을 형성해서 지금도 우루산마치(蔚山町)라는 마을이 있다.

이들 포로들 중에는 조선에 돌아오기 싫어해 일본에 정착한 사람들도 존재했다. 링크 실제로 고향을 그리워한 사람도 있었지만 반대로 돌아가길 거부한 사람들도 있어서, 조선 통신사들의 기록을 보면 쇄환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현지 정착 포로들을 보며 통신사들이 분개하거나 어이없게 생각한 경우도 많이 보인다. 여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는데 조선에서 귀환 포로들을 잘 대해준 것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신세가 고국으로 돌아갈 때가 비참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연려실기술 17권에 보면# 1605년에 승려 유정이 데리고 온 귀환 포로 3천 명은 통제사(제6대/제9대) 이경준(李慶濬)이 맡았고 해군 선장들에게 일임했는데 선장들이 출생한 곳을 물어도 어릴 때 포로가 되어서 본계를 자세히 알지 못하면 모두 자기의 노비라 칭하고, 아름다운 여자는 그 남편을 묶어서 바다에 던지고 마음대로 자기의 소유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 후에 강홍중이 포로 146명을 데려왔지만 부둣가에 방치되어 마찬가지 대접을 받았다. 이런 추태가 소문으로 퍼지자 이문창이란 조선인이 "본국으로 돌아가 봐야 좋을 게 없다"는 말을 퍼트려 송환을 기피하는 조선인들이 많아져 더욱더 송환은 어려워지게 되었다. 그 당시 일본에 끌려 왔던 조선인 포로들은 일본에서 농노로 정착했던 부류가 많은데 고국말도 잊은지 오래된 상황에서 가고 싶은 생각이 없던 것은 당연한 생각이기도 했다. 그래도 돌아가려는 포로들은 일본에서 경제적으로 고생하고 있는 자들이 대부분이었다.

또 다른 중요한 이유로는 다도 문화가 발달하여 훌륭한 도자기를 얻는 것에 혈안이 되어 있던 각 다이묘들은 이들을 장인으로, 솜씨 좋은 기술자는 사무라이 수준으로 후하게 대접해줬기 때문이다. 그걸로 끝이 아니라 아예 뛰어난 도공에게 자기 딸을 내 주며 사위로 삼아 친인척을 만들어버린 경우까지 있었다. 이들은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령이 내려져 다이묘의 비호를 받지 못하게 된 이후에도 수 세기 간 구축한 세력으로 독자적인 장인 가문을 만들어 지역에서 대접받으며 계속 대를 이을 수 있었다. 이삼평도공들 중에서는 이러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현대에 와서도 일본 전역에 조선 도공의 후예로 자처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데 한국 언론에도 소개된 사람으로는 심수관이 있다. #. 다만 도공이라고 해서 모두 좋은 취급을 받은 것은 아니었다. 끌고 간 도공들 중에서 재주가 없는 사람들은 일본인들이 밥을 주지 않아서 굶겨죽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기술이 새어나갈까봐 조선인 도공들이 사는 마을은 엄격하게 감시했고 혼인도 다른 마을과 못하게 막았다고 하였다. 일본에서 굶어죽은 조선인 도공들 도공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도자기에 시를 담기도 하였다. # 그 외에도 두부 장인 아키츠키 타네노부 등이 일본에 정착하였다.

8.4.2. 노예화

물론 상술한 도공 같은 기술자, 또는 다이묘의 참모진이나 일본 학자들에게 초빙된 일부 유학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조선인 포로의 대우는 상당히 좋지 못했다. 최대 70% 정도의 악명높은 세율[343] 을 기록하던 막번체제 하에서 평범한 조선인 포로가 일본에서 윤택한 삶을 누리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일본과 교류하던 유럽 상인들에게 노예로 팔려나갔다.

전국시대 당시 일본에서는 백 년째 내전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 딱히 내다팔 상품이 없었기 때문에[344] 노예무역이 성행하였다. 일개 아시가루 부터 다케다 신겐 같은 유력 지배층조차 수입을 위해 노예사냥을 벌일정도였고 상대 과 전쟁을 벌여 얻은 포로나 천민들, 옆 동네 주민들, 또는 왜구들이 납치한 사람들을 유럽 상인에게 노예로 내다 팔고 그 대가로 화약조총을 사오곤 했다. 이들 일본인 노예들의 몸값은 서아프리카 흑인의 절반 이하였고, 수십만 명이 세계 각지로 팔려나갔다. 이 노예무역을 주도하던 사람들은 포르투갈 상인과 일본의 왜구 및 지방 다이묘들이었는데, 이들의 노예무역은 안그래도 전쟁 때문에 손실이 극심한 일본의 인구 유출을 가속화시키는 한편, 지방 번국들의 무장을 강화하고 전쟁을 격화시켰다. 유럽에 상대 부족 포로들을 노예로 팔아 군자금머스킷을 구매하던 당대 서아프리카 부족 국가들과 상황이 비슷했던 것이다.

자국민도 잡아다 팔아치우는 상황에 조선인 포로라고 예외는 없어서, 이들은 당시 최고의 해상 유통망으로 전성기를 맞았던 포르투갈 상인들에 의해 유럽으로 팔려나갔다. 일본 학자들의 경우 해외로 팔려간 조선인 노예의 단위는 만(萬) 단위로 보기도 한다. 당시 일본에 체류하던 선교사들은 이런 비인도적 행동을 혐오하며 노예 상인들에게 파문하겠다고 경고했지만 실효는 미미했다(교황청부터가 '흑인은 영혼이 없으니 사고팔아도 된다던 시절이었다). 이 당시 조선인들은 아프리카인들보다 헐값에 판매되었는데, 당시 기준으로 2가마 4말에 해당하는 2.4 에스쿠도였으며 참고로 아프리카 노예 가격이 170여 에스쿠도에 이르렀다. 이들은 마카오 · 인도 고아 · 유럽 대륙으로 나갔다.

이러한 조선인 노예에 대한 이야기는 토스카나 대공국페르디난도 1세 밑에서 공직을 맡았던 프란체스코 카를레티가 1701년에 공식 출간한 《동서인도 여행기》이 대표적으로 나온다.

그러나 노예무역 문제는 근본적으로 인구 유출과 지방 영주의 군사력 강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일개 다이묘가 아닌 통일 일본의 위정자들에게는 전혀 달가운 일이 아니었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1587년 노예무역의 실상을 본 후 가톨릭과 유럽 선교사들에게 호의적이던 기존의 태도를 완전히 바꾸고 노예 매매를 금지시켰다. 그러나 수십 년간 이어지던 노예무역은 쉽게 근절되지 않았다. 히데요시의 금지령이 내려졌음에도 조선인 노예가 팔려나간 건 바로 이 때문이다. 노예무역은 후에 에도 막부키리시탄 공동체와 다이묘들을 군사적으로 토벌하거나 가이에키시키고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서양 상인들을 다 쫒아버린 뒤에서야 사라졌다. 물론 조선인 포로를 겨냥했다기 보다는 일본 사람이 노예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벌인 일이다.

후에 서양 국가 중 막부의 유일한 무역 파트너가 된 네덜란드는, 통상을 허가받기에 앞서서 가톨릭과 자신들이 믿는 개신교 사이의 적대적인 관계와 차이를 열심히 설명해야 했다. 그리고 데지마를 벗어나지 않을 것과 포교하지 않겠다는 약조를 맺은 뒤 막부의 가톨릭 탄압에 동참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전부 거치고 나서야 제한적인 무역을 허가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마저도 오랜 시간이 걸렸다. 조선에 표류한 박연이 일본으로 갈 수 없던 이유도, 조선이 일본으로 보내주려 했던 것을 일본이 서양 키리시탄이라며 거부해서였다고. 오랜 포교 역사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그리스도교 신자가 거의 없는 이유, 그리고 근세 일본이 쇄국을 고수했던 이유 중에는 이런 노예 무역과 얽힌 역사적인 영향이 있었다.

9. 기타


[ \(가) ]의 전개 과정 - 모둠별 탐구 주제
모둠 1: 수군의 활약 - 이순신의 활약, 남해 재해권 장악
모둠 2: 의병의 활동 - 곽재우, 조헌, 고경명 부대의 활약
모둠 3: 명의 참전 - 조∙명 연합군의 왜군 격퇴

① 임진왜란 ② 병자호란 ③ 만주 사변 ④ 청∙일 전쟁 ⑤ 러∙일 전쟁 ||

9.1. 후일담

10.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임진왜란/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관련 문서

†표는 전사, ‡표는 처형 혹은 옥사, +표는 병사

11.1. 조선 측 주요 인물

11.1.1. 조정

11.1.2. 정규군 지휘관

11.1.3. 의병장

11.1.4. 기타 조선 측 인물

11.1.5. 조선에 투항한 항왜

11.2. 명나라 측 주요 인물

11.3. 일본 측 주요 인물

11.4. 전투 전개 과정

날짜는 모두 음력이다.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중요한 해전은 ★ 표시를 한다. 또한 전쟁의 흐름상 아주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전투는 볼드 처리.

11.5. 기타 전투

11.6. 기타

12. 참고 자료

레퍼런스 관련 양식은 출처의 2번 문단과, 인용/양식 문서를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서적
논문

13. 둘러보기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임진왜란 조선 육군의 주요 승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0a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전투 해유령 전투
(1592. 5. 16.)
정암진 전투
(1592. 5. 24.)
이치 전투
(1592. 7. 8.)
우척현 전투
(1592. 7. 10.)
주장 신각 곽재우* 권율 김면*
전투 청주 전투
(1592. 8. 1.)
북관 대첩
(1592. 9. 16. ~ )
진주 대첩
(1592. 10. 6.)
행주 대첩
(1593. 2. 12.)
주장 영규* 정문부* 김시민 권율
* 의병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435, #836d49 20%, #836d49 80%, #4d443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36d49><tablebgcolor=#836d49> 파일:허난설헌 수결.svg허난설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36d49><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허씨 5문장 · 동인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오빠 허성 · 동복 오빠 허봉 · 동복 동생 허균
이복 언니의 남편 우성전 · 남편 김성립 · 장남 김희윤
남편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관련 인물 스승 (이달)
작품 내 등장인물 (신선)
주군 (선조)
관련 장소 허난설헌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난설헌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난설헌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작품 난설헌시집 · 규원가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생애 · 창작물
평가 논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파일:허균 수결.svg허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이달 · 홍길동)
주군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균 수결.svg}}}

}}}}}}}}} ||



[1] 당시 국가는 아니었으나 누르하치의 건주여진도 조선에게 참전의 뜻을 밝혔지만 조선의 거절로 무산되었다.[2] 명의 요청으로 아유타야도 참전이 거론되긴 했으나 아유타야는 거리 때문에 무산되었다. 태국 일대에서 한반도까지 걸어온다고 생각해보자. 특히 아유타야는 명나라와 함께 일본 본토 침공을 고려하였을 정도였다.[3] †표는 전사, ‡표는 처형 혹은 옥사, +표는 병사.[4] 동일 관직은 한번만 링크를 달았음을 알림[5] 전쟁 발발 이후 분조를 결정하고 의주로 도망.[6] 사실상 조선 전시군주[7] 이산해류성룡이원익 순(順)으로 전임(轉任)[8] 윤두수이덕형 순(順)으로 전임(轉任)[9] 유홍정탁이항복 순(順)으로 전임(轉任)[10] 류성룡이원익 순(順)으로 전임(轉任)[11] 오늘날 위관급 장교 정도의 직책이 이 당시의 종사관인데, 류성룡과 신립이 선조에게 김여물의 등용을 요청했다. 원래 김여물은 알성문과 장원급제자로 관찰사의 보좌관인 종5품직 忠州都事와 종3품직인 담양부사를 거쳐 전쟁 1년 전에는 정3품직인 의주목사까지 오른 인물이었지만 개전당시 세자건저 파동에 따른 여파로 서인 정철(鄭澈)의 당으로 몰려 파직, 의금부에 투옥중이었다. 임란초기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신립의 종사관으로 참전한 것이다.[12] 김성일 → 이일 순(順)으로 전임(轉任)[13] 김명원권율 순(順)으로 전임(轉任)[14] 광주목사순찰사도원수로 전임(轉任)[15] 이각 → 고언백 순(順)으로 전임(轉任)[16] 조대곤→ 김성일 → 유숭인 순(順)으로 전임(轉任)[17] 김해성 전투 당시 진주로 달아나여 진주 목사로 전임(轉任)[18] 경상좌병사로 전임(轉任)[19] 인종의 외척으로 문정왕후와 윤원형에게 숙청당한 윤임의 아들이다. 복권된 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20] 윤인함→ 변응성 순(順)으로 전임(轉任)[21] 김시민 → 서예원 순(順)으로 전임(轉任), 그런데 사실 전쟁 초기에는 이경(李璥)이라는 인물이 목사였고, 김시민은 진주 통판이였으나, 이경이 달아났다가 죽고나서 목사업무를 대행하였다가 조정에서 목사로 임명받았다.[22] 이순신원균이순신 순(順)으로 전임(轉任), 이순신 사후에는 代 무의공 이순신 → 이시언 순으로 전임.[23] 박홍이운룡 순(順)으로 전임(轉任)[24] 원균배설권준배설무의공 이순신 순(順)으로 전임. 원균은 충청 병사 →전라 좌병사 →삼도수군통제사 순(順)으로 전임(轉任)[25] 이순신원균이순신 순(順)으로 전임(轉任)[26] 이억기김억추안위 순(順)으로 전임(轉任)[27] 최호권준 → 오응태 순(順)으로 전임(轉任)[28]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으로 송빈, 이대형, 류식과 함께 사충신으로 불리운다.[29]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으로 송빈, 김득기, 이대형과 함께 사충신으로 불리운다.[30]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으로 김득기, 이대형, 류식과 함께 사충신으로 불리운다.[31] 놀랍게도 그 원균의 동생이다. 하지만 형과는 반대로 인망이 있었고 활약도 했다![32]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으로 송빈, 김득기, 류식과 함께 사충신으로 불리운다.[33] 실제로는 전투에 참전하지 않았다. 제일 거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나중에 도쿠가와가 집권 후 조선과의 관계를 다시 회복하는 이유가 된다.[출처1] 壬辰倭亂史 /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285p[35] 역사 교과서에는 보통 반올림하여 약 16만명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36] 임진왜란 당시 기아와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상당했기 때문에 정확한 사상자 규모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정치는 자료에 따라 조선 측 사상자는 10만에서 100만, 일본 측 사상자는 2만에서 20만 이상으로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한국과 중국 측 자료에서는 조선과 명나라군의 인명피해를 작게 잡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는 학자들마다 사상자 수가 다르니 참고할 것.[37] 다만 이들 가운데 다수는 사명대사, 손문욱, 김효순 등의 활약으로 쇄환될 수 있었다. 물론 피랍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일본에 잔류한 것 역시 사실이다. 다만 일본 학자들은 2-5만 명, 주로 3만 명으로 추정하는데 포로를 직접 관리한 사료가 있는 일본 측의 주장이 더 사실에 가깝다고 보여진다. 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숫자가 쇄환했다고 볼 수 있다.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38] 선조 25년 음력 4월 13일. 왜군이 쓰시마에서 아침 8시에 출정하여 부산에 오후 5시에 도착한다.[39] 선조 31년 음력 11월 19일[40] 1598-1592만 고려해도 6년이고 월일을 전부 고려해도 이보다 6개월을 조금 넘고, 소강기까지 제외로 칠 수 있음에도 흔히 7년으로 알려져 있다.[41] 중국어 위키백과는 이렇게 표기하며 조선지역()과 경장지역()은 리다이렉트시킨다.[42] 전역(戦役). 전쟁을 한다라는 뜻이다.[43]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이렇게 표기한다. 정유재란을 뜻하는 게이초의 역은 임진왜란으로 리다이렉트시킨다.[44] 이를 본떠서 중국은 6.25 전쟁을 가리켜 북한(조선)을 도와 미국에 맞섰다는 뜻을 내포해 '항미원조전쟁'으로 부른다. (물론 이는 중국 한정이지 대만은 한국전쟁, 줄여서 한전이라고 부른다.)[45] 추가적으로 도자기 전쟁과 7년 전쟁이라는 용어는 한국 한정으로 쓰이는 용어이다. 중국인과 일본인들에게 문의한 결과, 금시초문이라고 한다.[46] 면포는 전쟁의 경과에도 큰 영향을 줬는데, 조선 수군이 판옥선 같은 대형선을 주력으로 쓸 수 있었던 것도 에 필요한 양질의 면포가 자체 생산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임진왜란 시점까지 목화의 자체 재배에 계속 실패하고 있었기 때문에 면포의 대량 공급이 어려웠고 좀더 작은 돛으로도 추진 가능한 한 체급 낮은 세키부네가 주력선이 된다.[47] 지금의 오사카 성의 천수각오사카 전투(오사카 여름의 진) 후 완전히 파괴된 것을 도쿠가와 막부가 재건한 것이 여러 이유로 또 다시 소실되었다가, 20세기에 도요토미 시대와 도쿠가와 시기의 모습을 섞어 개건한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오사카 성 천수각과는 다르다.[48] 당시 일본봉건제의 특성상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완벽하게 통일한 게 아니였으며 다른 다이묘들의 군대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직접 지휘할 수 있는 국가의 군대가 아니라 개인의 군대였고 오랫동안 싸워왔던 직업군인이었기에 유지되는 평화로 인해 군인들이 할 일이 줄어들어 군인들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지 않으면 반란이 일어날 수 있었기에 임진왜란이 실패하더라도 다이묘들의 힘을 줄일 수 있었기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는 유리할 수 있을만한 전쟁이었다.[49] 소 가문은 메이지 유신화족백작 작위를 받는다. 덕혜옹주의 배우자였던 소 다케유키 백작의 가문이기도 하다.[50]타치바나 야스히로는 실록이나 조선 측 기록에서 귤강광이라고 불리는 사람이다. 당시 쉰이 넘은 나이로 사신을 빙자해 조선에 많은 어그로를 끈 인물이었다. 조선에 머물면서 지리를 정탐했고 여러 에피소드를 남겼다. 유명한 예로 조선군의 창을 보고 "너희들 창자루가 너무 짧구나"라고 비웃었다거나, 연회 도중 소매에서 후추를 던지자 악공과 기생, 노비들이 앞다투어 정신없이 후추를 줍는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보고 "너희들 기강이 엄청 해이하니 국운이 망할 징조다."라고 깔보았다는 얘기가 있다. 덕분에 이 이야기들은 전쟁 이전에 조선이 평화에 젖어 있었으며 전쟁을 대비하지 않았다고 까는 근거로 잘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거만하던 야스히로는 조선 교섭 임무를 실패해 귀국 직후 히데요시의 화를 사 자신을 비롯한 온 가족이 몰살당했다.[51] 이 사람의 고조부가 그 유명한 황희다. 황희의 장남 황치신의 증손이다.[52] 홍길동전의 저자로 알려진 허균의 형이다.[53] 황윤길은 당시 당파로 서인이지만, 김성일과 허성은 동인으로 같은 당파였다. 남인과 북인으로 분화되는 것이 비록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비롯되었지만, 송강 정철이 세자건저문제로 실각하면서 그에 대한 처벌 강도를 두고 나눠진 것이며, 보다 본격적으로 분화되는 것은 전쟁이 끝나고 나서 전시에 재상으로 활동한 서애 류성룡에 대한 비난을 남명 조식 학파가 하면서 본격화 된 것이였다. 학봉 김성일퇴계 이황의 제자이자, 류성룡과는 사제지간이기에 이후 남인으로 분류되며, 허균의 형인 허성은 퇴계의 학파<嶺南(左道)學派>가 아니고, 동인 내에서 두루 교류한 아버지와 북인(특히 대북)에 속하는 동생의 영향으로 북인으로 파악하는 듯하다.[54] 간토 및 도호쿠 지역.[55] 이때가 바로 호조 가문을 정벌하던 시기였다.[출처2]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57] 합하(閤下)는 전하보다 낮은 경칭으로 재상급 인사에게 붙이는 것이다. 이런 경칭들은 기본적으로 본인보다 격이 낮거나, 아랫사람에게 붙이는 경우는 없으나, 경칭의 격을 낮추면서, 조선 국왕을 은근히 모욕한 것이라고 볼수도 있다.[58] 1590년. 당시 일본의 연호[출처3]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60] 가운데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양쪽으로 조선 침공에 참여한 다이묘들이다.[61] 당장 선조에게 보낸 위의 서신 내용을 봐도 망상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허무맹랑하다.[62] 히데요시는 본래 평민 출신이라 정통성이 부족하여 다이묘 가문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기에 약했다. 자신들의 시종이자 친위 무장세력인 시즈가타케 칠본창도 평민 출신들에 더 이상 영지를 나눠줄 곳이 없었으며 칠본창에게 영지를 주려면 정복 활동밖에 없었으며 다른 다이묘 가문들도 참전시킴으로써 병력과 재산 소모를 시켜 힘을 약화시킬 수 있었다.[63] 당시 난부가 당주인 난부 하루마사의 후계 자리를 놓고 양자인 난부 노부나오와 사위인 코노헤 마사자네가 내전을 벌이고 있었다. 일명 코노헤의 난.[64] 발발 당시 대다이묘인 모리, 시마즈, 우에스기, 다테 등은 군대를 보내 '네 말대로 참전은 했다.'에 가까웠고 히데요시도 이들을 거론하며 참전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에야스는 전쟁 초반에는 '관백 전하, 저도 참여는 하고 싶은데 제가 간토 6주를 하사(1590년 7월 이후)받은지 2년도 못 넘긴 상황이고, 잇키(백성들의 봉기)가 원래 많이 발생하던 지역인데 지금 제가 영지를 비우면 잇키가 발생해서 진짜 곤란함ㅎㅎ' 라는 식의 명분을 대며 핑계를 댔다. 이후 참전시키자니 간토 6주 평야의 힘으로 이에야스가 너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바람에 히데요시는 억지로 참전을 시키는 것이 불가능했다.[65] 다만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참전을 요청하기는 했지만 내심으로는 참전을 바라지 않았다는 말도 있다. 만약 조선과 명을 정벌했는데 도쿠가와가 그 지분을 요구하면 난처해지기 때문. 결과적으로는 독장수 셈이긴 했지만 말이다.[66] 혼슈의 대도시 나고야와는 다른, 사가현의 나고야다. 규슈 섬 북단으로 후쿠오카에 가깝다.[출처4] 최관, 김시덕. (2010). "임진왜란 관련 일본문헌 해제(근세편)". 도서출판문, 국립 진주 박물관, 장원철 - 오만 역 <프로이스의 (일본사)를 통해 다시 보는 -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에서 발췌.[출처5] 壬辰倭亂史 /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285p[69] 가모 히데아키의 아버지다.[70] 도쿠가와 직할령은 말 그대로 직할령 400만 석, 직속 가신인 하타모토의 300만 석으로 총 700만 석이었으나 그 밑의 다이묘들은 끽해야 모리 가문의 조슈, 시마즈 가문의 사쓰마, 마에다, 다테 가문 정도를 제하면 몇 십만 석에 그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71]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224만 석 가량에 더해 광산, 무역 수입을 얻었다. 5대로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를 능가하는 260만 석을 웃도는 석고를 보유했으며 특히 그 둘의 격차가 고니시 유키나가의 석고보다 컸다. 또한 5대로를 포함해 어지간한 메이저 다이묘들은 100만 석 이상이거나 그와 비슷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72] 한마디로 도쿠가와도 도요토미에게 개길 정도의 힘을 갖추지 못했으나 도요토미 역시 도쿠가와를 밟을 정도의 힘은 없었다는 것. 애시당초 도쿠가와도 관동을 경영하느라 힘을 쓸 수 없었고 도요토미는 직할령만 224만 석일 뿐 하타모토의 석고까지 계산한 것도 아니었다.[73] 토지의 쌀 생산량을 나타내는 단위[74] 조선왕조실록에 가등청정이라는 한자이름으로 실린 가토 기요마사의 명성이 조선에서는 더 높지만,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히데요시의 처조카이다. 가토 기요마사와는 이미 출발부터 다르다. 실제로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나이도 더 많고 힘도 쎄서 시종 시절부터 두목급이였다. 시즈가타케 전투로 처음 영지가 주어질 때부터 후쿠시마만 영지 5천석이 주어지고 가토 기요마사를 포함 나머지는 죄다 3천석. 임진왜란 이후에도 후쿠시마가 이들 시종 출신의 리더로 활약한다.[75] 일본어로는 모리 카츠노부의 모리는 짧게, 주고쿠의 모리 가문은 모우리와 같이 길게 발음하므로 차이가 난다.[76] 참고로 다른 오대로의 경우 우키타 히데이에(57만석)는 총사령관 겸 8군 대장, 우에스기 카게카츠(120만 석)는 잠깐 참여함, 도쿠가와 이에야스(256만석)와 마에다 토시이에(100만석)는 참전하지 않았다.[77] 도쿠가와 휘하의 혼다 타다카츠와 함께 전국시대에 이름난 용장이다.[78] 마쓰라 노부자네(松浦信實)가 다스리던 곳이다.[79] 조선왕조실록에는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도 쓰이지만 평수가라고 칭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리고 조선이 '비전 재상'이라는 별명까지도 정확히 알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우시(羽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성씨인 하시바(羽柴)를 의미하며, 1587년 우키타 히데이에가 하시바 성씨를 하사받은 것을 의미한다.[80] 야나가와 시게노부(柳川調信)[81] 마쓰라 시게노부(松浦鎭信). 이키에 동생인 마쓰라 노부자네를 보내 다스리게 한 사람이다.[82] '선봉(先鋒) 소서행장(小西行長)·대총병(大摠兵) 우희다수가(宇喜多秀家)·부총병(副摠兵) 삼성(三盛)'(선조실록 40권, 선조 26년 7월 10일 임술 8번째 기사)[83] 조선에선 이를 거추, 즉 대추장이라고 불렀으며 당시 조선이랑 교류했던 대표적 거추는 오우치 씨지만 이 당시엔 이미 수십년 전 모리 모토나리에 의해 망했다.[84] 해동제국기의 목차 중 일본국기(日本國紀)에서 천황대서(天皇代序), 국왕대서(國王代序)로 천황과 일본국왕(쇼군)을 분명히 따로 기록했다. 해동제국기는 조선에서 일본에 관해 궁금할 때마다 찾아보는 기본 자료로,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여러번 언급된다.[85] 고대의 신라와 왜는 사이가 끔찍하게 나빴다. 자세한 건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신라-왜 전쟁 참조[86] 한국이 전통적으로 일본을 '왜'라고 부른 것 처럼, 일본은 한국을 '고려' 혹은 '계림'이라 불렀다. 여기서 '계림'은 신라를 뜻한다[87] 그들 또한 정치적 사활을 조선으로의 팽창에 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히데요시와 정치적 입지가 묘하게 겹친다.[88] 조선 정복을 군사적 침략이 아닌 '고토회복'으로, 조선민족 합병을 '동조동근론'의 맥락에서 봤다는 면에서도.[89] 실제로 관백을 역임한 일본 조정의 인물들은 대부분 공가 귀족중에서도 명문 중의 명문들이 주로 역임했다. 일본 왕실이 굳이 이러한 벼슬을 히데요시에게 내려준 이유는, 히데요시의 출신성분이 비주류에 해당해 왕실과의 동맹관계로 묶어두면 왕실의 권위도 키울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90] 방향이 다르긴 하지만 중국 전국시대 칭호의 권위가 떨어지고 호칭 인플레가 일어나자 결국 새 통일 제국 진나라에서 황제라는 새로운 칭호를 만들어 쓴 것을 생각하면 된다.[91] 가마쿠라 막부는 아예 대놓고 서일본 지역에서 교토 조정의 통치권을 인정해줬고, 아시카가 막부는 이 가마쿠라 막부 내의 유력 가문이었다. 임진왜란 내내 간토에서 힘을 비축한 에도 막부는 말 할 것도 없다.[92] 그러면서도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정권의 연장으로서 정권을 승계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1600년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명군 포로였던 모국과를 송환하면서 명으로부터 책봉을 받으려 했다 실패한 것이 그 사례이다. 이에야스는 시마즈가를 매개로 교섭을 진행했지만, 히데요시의 선례(정유재란)가 있었기 때문에 명은 책봉을 거부했다.[93] 제7차 교육과정의 국사에서도 사신들의 의견대립이 원인이 되어 일본이 침략할 가능성이 없다고 가르쳤으며 2020년 기준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에도 사신의 의견대립이 원인 중 하나로 나온다.[94] 巨儒. 당대의 학문적 명망이 큰 유학자를 의미한다.[95] 이에 대해 류성룡은 전후 집필한 징비록에서 '바다를 사이에 두고도 침입을 막지 못했는데 한 줄기 강물을 가지고 논하다니 우습기 짝이 없다'라고 비판했다. 그런데 실제로 왜군은 정암진을 넘는 데 실패했다.[96] 정읍 현감이었다.[97] 이런 하루만에 이루어진 미친듯한 진급 속도는 1년 전에도 고사리진 병마첨절제사(종3품)로 임명하려 하자 진급 속도가 너무 빠르다며 반발했던 사간원의 반대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현대 군으로 치자면 대대장 정도가 맡아본 가장 높은 지위인 군인을 하루 아침에 사단장에 앉혀놓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군필이라면 이게 얼마나 말이 안되는 무리한 인사인지 단번에 이해가 갈 것이다. 그런데 주의해야 할 것이 동아시아에서 전근대시기에 관직(官職)은 해당 인물이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가를 결정하는 관품(官品)과 실제로 담당 업무를 볼 수 있는 직책(職責)으로 나눠서 생각해봐야 한다. 즉, 품계(品階)와 직책(職責)이 동일하지 않고, 한쪽이 낮을 수도 있었다. 거기다가 정3품의 당상관(堂上官)직은 업무 일수에 따라서 오를 수 있는 당하관(堂下官)직과 다르게 왕의 임명으로만 오를 수 있었다. 앞서 이야기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순신의 품계는 1년전에 종3품직 수행이 가능한 위치에 있었고, 5품 이상은 왕의 선발로 당상관직에 오를 수 있었으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가능하다는 거지 이것도 보기 드문 정도로 파격 승진인 건 맞다.[98] '전쟁 준비를 안하고 있었다'는 인식을 꼬투리 잡아 전쟁 준비를 했다는 스노비즘도 보이나, 당연히 세상 어디에도 전쟁 준비를 안하고 있는 나라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준비를 안했다는 말은 동인의 말을 듣고 일본의 침략에 대비를 하지 않았다는 말이다.[99] 임진왜란 이후 시대에도 10만 명 규모의 해외원정은 사례를 찾기가 힘들다. 동시기 지중해 최강이었던 오스만 제국이 병력을 총동원해도 15만을 넘지 못했고, 그나마도 대한해협에 비하면 바다라 부르기도 민망할 좁은 해협을 건넜다.[100] 현대인들이 게임이나 드라마같은 대중매체 특유의 과장법에 적응되어서 이해하지 못할 뿐이지 2~3만 명만 되어도 큰 군세가 맞다. 10만 명 이상의 대군을 운용하는 건 통일 중국 왕조, 분열 이전의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같은 고대, 중세, 근세의 대국들에게도 큰 부담이 되는 일이다. 이는 21세기 현대의 부국들에게도 마찬가지.[101] 350년 후에도 비슷하게 침공을 예상해놓고도 정치외교적 문제로 발목이 잡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사례가 있다.[102] 유일하게 원정 기록이 상세히 남아있는 제3차 대마도 정벌도 거제가 기종점이었으며, 한일해저터널도 부산 연결안과 거제 연결안이 동시에 제시되고 있다.[103] 경상도가 왜침을 겪은 것은 80년 전 삼포왜란이 마지막이었다. 그것도 우도는 제포(웅천), 좌도는 부산포와 염포(울산) 일대에 그쳤지 내륙으로는 확대되지 않았다.[104] 수군 역시 부산지역을 관할하는 경상좌수영은 나름대로 전력을 강화했어도 애초에 독자적인 작전이 어려울 정도로 영세했고, 수군 최대 함대전력은 호남 가는 길목을 지키는 경상우수영이었다.[105] 실제로 단기전을 예상하고 들어온 탓에 장기간 대규모 군세를 유지할 보급이 부족했던 왜군은 군량을 얻고자 지속적으로 호남지방을 장악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이것이 조선이 임진년과 정유년의 전쟁에서 승리한 요인이기도 하니 조선 조정의 예측과 노력이 무의미했던 것은 아니었다.[106] 현대로 치면 대학예비군들까지 죄다 2박3일 동원훈련시킨다고 해보자.[107] 물론 전투에서 지형지물의 영향과 중요성이 크지만 정암진 전투의 승리는 곽재우의 기지가 빛을 발했다. 수비측의 방비가 부족하면 천혜의 요새도 언젠가는 뚫리기 마련이다.[108] 이건 정말 히데요시가 당시까지만 해도 동북아의 역대급 과대망상증 환자라고 밖에 설명할 재간이 없다. 2022년에 푸틴이 진짜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처럼.[109] 당시 신하들도 모두 전쟁을 예상했지만 본인들도 대비를 주장한 후의 책임이 두려워서 모두 전쟁 대비를 반대했다. 선조는 전쟁 대비를 끈질기게 주장했지만 백성, 신하들에 의해서 많이 하지 못한 것이다.[110] 관리, 공신의 자손, 성균관 학생, 천민, 노비, 장애인 등은 제외[111] 다만 정군에 속한 기병은 3명에게서 포를 받았다. 그리고 양계갑사는 다른 갑사들과 달리 5명에게서 포를 받았다.[112] 장정 1인의 연간 군포 2 필은 쌀 12 말에 해당하며, 당시 전세(田稅)의 약 3배에 달하는 무거운 것이었다. 당연히 재물이 끼게 되니 부정부패가 없을 수 없고, 이것이 조선 사회에 큰 문제가 되지만 이 문서는 임진왜란에 관한 문서이므로 생략.[113] 조선시대 인구는 학자마다 추정치가 다른데, 정부 산하 역사연구기관인 동북아역사재단은 1172만명출처, 통계청이 발간한 인구대사전에서도 1600년 인구를 1,172만명으로 잡고 있다.[114] 수군 및 해군이 기피 직역인건 조선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의 영국 해군은 문자 그대로의 강제징집으로 술집에서 술 마시던 사람들을 모조리 끌고 가는 판이었다. 물자공급이 과거와는 비교도 안되게 원활한 21세기에도 여전히 함상생활은 고달프고 당장 한국 해군이 지원율 박살나 난리가 났다.[115] 숙종 때 2필로 감면.[116] 종친이나 공신의 자제라는 출신 성분으로 파악할 수 있듯이 군사적으로는 큰 전력이 못 되었던 모양이다.[117] 오위 중 의흥위에 소속[118] 실제로 유자광이 갑사 출신으로 병조판서 및 숭정대부의 자리까지 올랐다. 다만 유자광은 세조가 밀어준 덕이지만, 별시 문과 장원급제를 했기 때문에 이 성적을 바탕으로 출세한 것이다. 일반 갑사들은 경국대전에 의해 종4품까지가 승진한계였고, 금군은 정3품 당하관까지가 승진한계로 당상관 이상 출세하려면 역시 과거 급제자가 아니라면 거의 불가능했다. 때문에 갑사 중에 무과 시험 준비하는 사람들도 꽤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이징옥이 갑사 재직중에 무과에 급제하고 종1품 숭정대부까지 승진한 경우였다. 물론, 조선사회에서 종4품이라도 상당히 출세한 것이니, 갑사가 결코 나쁜 대우를 받은건 아니었다.[119] 금군은 편제상 오위와는 별개의 조직이나, 직업군인이라는 점에서 여기에 포함해 서술. 정확히는 오위 병사들 중에서 무예와 용모가 뛰어난 자들을 특별히 선발해 내금위와 겸사복으로 편성했다. 우림위는 오위 병사 중 서얼인 사람들 중에서 특별히 뛰어난 인재를 선발해 임명한 직책으로 사회적으로 차별받는 서얼에 대한 보상적 취지도 있었다. 품계상 내금위나 겸사복보다는 아래였지만 일반 갑사보다는 위였다.[120] 초기에는 경제적인 여력이 되는 양반 자제들로 구성되었으나 후일 규모가 증대해 일반 양인들도 들어오게 된다. 오위 중 좌위인 용양위에 소속되었다.[121] 중종대에 창설되어 광해군 대에 폐지. 한량들이 금군으로 근무하려면 정로위 근무경험이 필수였다.[122] 비변사의 보고[372]에 따르면 운량병 등 보급전력까지 합하면 22만여명이 동원되었다.[123] 진주에 있다고 서술되었지만 이들 대부분은 성주 전투에 투입된 상태였다[124] 진주성 전투를 보고한 장계[373]에 김시민이 전사했다는 내용이 없어 혼동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진다.[125] 거창현이라 서술되었지만 이들 대부분은 성주 전투에 투입된 상태였다.[126] 평안도 병력만 한자리 수까지 정확하게 기록된 건 이곳이 바로 선조와 조선 조정이 피난가 있던 의주가 있는 곳이라 병력 현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어서였다.[127] 1475년(성종 6년) 총군병 148,849명 중 수군이 48,800명, 만기요람(1808)에 의하면 총 수군 장졸수가 36,804명이었다. 전쟁 때도 3~4만 정도의 수군을 유지했을 것이다.[128] 이건 동시기 명나라도 비슷해서 척계광이전까지는 가정 연간의 외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일본 정규군도 아닌 왜구들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고 국토가 유린당한 사례까지 있을 정도였다. 참조:https://www.instiz.net/pt/6009168?frompc=1[129] 기록마다 병력 수가 차이가 난다. 16,700명이라는 기록도 있고 18,700명이란 기록도 있다. 추후에 징발되었을 가능성도 없잖아 있다.[130] 거제도랑 울릉도를 봉토로 받은 소 요시토시가 무리하게 병력을 이끌고 가는 바람에 가뜩이나 인구가 적었던 쓰시마는 사람들 씨가 말랐다고 한다. 여기에 쓰시마 도미 중 조선 말을 할 수 있는 사람 56명, 쓰시마에 살던 조선인 5명을 통역으로 종군 시켰다. 현재도 쓰시마의 인구는 40,000 ~ 50,000명을 겨우 웃돈다. 소 대신 무네라고도 읽는다. 그래서 무네 요시토모라고도 한다.[131] 당시 1군 사령관 고니시와 사이가 좋지않던(앙숙 수준이였다.) 가토를 2군으로 보냄으로써 서로 경쟁토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132] 일종의 후방 예비대, 보급대 성격이 강했다.[133] 경기도에 진주한 명목상의 총사령관.[134]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로 원래 하시바 히데카쓰로 불렸으나 1586년부터 하시바 히데요시가 도요토미 성씨를 쓰면서 이를 따라 도요토미 히데카쓰로 개명. 거제도에서 병사했다.[135] 히데요시에 의해 군 전체를 감독하고 비상시에 의견을 조율, 보고하는 직을 맡음.[136] 미츠나리의 졸전은 이후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이어진다.[137] 아직 홋카이도는 일본이 제대로 점유하지 못한 지역이었다.[138] 펠리페 2세에게 카락과 갤리온 구입 의사를 보낸 적도 있으나 결과적으로 무산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 측 기록에 나오는 일본 군선의 총합은 2,787척이나 중복집계가 많기 때문에 그대로 믿기 어렵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100여 척의 선단에, 1586년부터 시작된 건조 계획으로 2,000척이 건조되었다는 기록에 의하면 일단 2,100척을 초과했던 것은 분명하며, 학자에 따라서는 3,000여 척까지 추산하기도 한다.[139] 조선 조정이 전쟁의 발발을 알게 된 것은 꽤 늦은 4월 17일이었다. 봉수가 작동하지 않아 장계로서 파악하게 되었기 때문이다.[140] 선조 실록에서는 정발이 사냥에 나선 상태에서 일본군의 함대를 세견선이라고 여기다가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난전 중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있지만 수백척이 넘는 배를 보고 수상히 여기지 않았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현대에서도 상륙작전을 펼치게 되면 당장 내륙 공격에 착수하는 것보다 후속부대를 위한 교두보 확보를 우선시하는 것을 고려하면 선조 실록의 기록은 다소 비현실적이다. 이는 임진왜란 발발 직후 부산진을 비롯하여 부산 일대 조선군이 거의 전멸하여 정확한 보고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조와 효종대에 작성된 선조 수정실록에서는 정발이 절영도에서 일본군 함선을 보고 농성준비에 착수했으며 일본군이 상륙 다음날 공격을 가했다고 서술하여 이러한 괴리를 해결하였다.[141] 비록 압도적인 전력차였지만 정발과 부산진 백성들의 항전은 일본군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프로이스는 거의 전멸할 때 까지 싸웠다고 술회했으며 마쓰라 시게노부는 부산진 전투에서 절망했다고 할 정도로 정발 이하 부산진의 조선군과 백성들은 용감히 싸웠다.[142] 원균이 이순신에게 보낸 공문에선 박홍과 이각은 한 차례 동래성 북쪽으로 접근했다가 물러났다고 한다. 안방준의 묵재일기에선 제승방략에서 감사와 병사는 성 안에 들어가지 않고 성 밖에서 호응한다고 언급했다. 박동량의 기재사초에 박진과 이각이 소산역에서 전투 방식을 놓고 의견을 조율한 대목이 나오는 걸 보면 적어도 이때까진 이각에게 싸울 의지가 있긴 했던 모양이다.[143] 이 400척을 일본군의 전력으로 판단해 일본군 규모를 1만 가량으로 추산하는 실책을 저지르고 만다.[144] 부산에서 서울까지의 봉화 전달은 기상 상태가 최고로 이상적일 때 2시간, 최대 12시간 정도 걸린다. 이를 감안하여 봉화의 일일 보고는 아침에 출발하여 해질녘에 목멱산 봉수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짜였다.[145] 애석하게도 이렇게 보병 중심인 일본군을 상대하기 위한 삼수병 체제를 만들고 나니, 이번엔 북방 유목민 후금-청이 달려왔다. 대 북방 테크일 때는 남방한테 찔렸고, 대 남방 테크일 때는 북방에게 찔렸다. 고려시대부터 북방의 유목민, 남방의 왜구라는 양면전선에 시달리던 한반도 왕조의 어려움이 보이는 구도였다.[146] 죽령으로 가려고 했으나 포기하고 조령으로 진로를 바꾼다[147] 조정이 전쟁 직전까지 수차례 전쟁의 가능성을 타진하던 노력이 무색했다. 즉 전면전으로의 확전 가능성을 비변사 당상 그 누구도 상정하지 않았다는 것.[148] 탄금대 vs 조령 논쟁은 전쟁 직후부터 지금까지 활발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149] 기록마다 큰 칼과 조총 사이에서 어느쪽이 주력이었는지는 다르다. 다만 기존의 수적 주력이었던 장창은 회전에서는 기병이 주력이고 보병은 농성 위주로 싸운 조선군을 상대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150] 일본으로서는 미처 상상하지 못한 일이었는데, 전국시대의 전쟁에서 영주가 영지를 버리고 도망치는 것은 그 영지에 대한 권한을 모두 포기한다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한편 끝까지 저항하거나 자결한 경우는 그 영주의 친척들이 영지에 대한 권한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따라서 그들이 어떻게든 세력을 모아 영지를 점령한 영주에게 맞서는 것은 정당한 일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당시 조선에서도 이런 인식은 비슷했다. 차이점은 왕의 영지가 일본과 달리 조선 전 국토였다는 점. 그래서 후에 선조가 의주목에서 요동으로 넘어가려고 했을 때는 모든 신하들이 반대했다.[151] 흔히들 말하는 것처럼 '민초들만의 힘으로' 일어난 것은 아니다. 아래 '임진왜란의 오해'에 기술.[152] 초반에 일본군은 고작 잇키 비슷한 걸로 여기고 얕보다가 당황해했다고 한다.[153] 게다가 성을 포위해 말려죽이고 항복을 받아내던 일본 국내의 공성전과 달리 조선에서의 공성전은 삼국시대부터 항복 그딴거 없이 너죽고 나죽자 식의 사생결단이었고, 그때마다 비장의 수나 다름 없는 철포 사격으로 타개할 수밖에 없었다. 초반에야 철포의 충격력으로 승리를 거듭하면서 쾌조의 진격이 이어졌지만 반복되는 공성전으로 인한 철환과 화약의 소모도 무시하기 힘들었다.[출처6] 임진전쟁 전반기,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동향 - 戰功의 위기와 講和交涉으로의 가능성 - 2012. 김경태#[155] 취미삼아 백성을 죽이고 첩을 빼앗기 위해 정승을 암살하는 지경인 껍데기만 왕자인 악한이었다.[156] 여러 번 양위 파동을 일으켜 전시 행정부를 혼란시켰다. 사실 명에서도 선조 대신 광해군으로 갈아치울 움직임이 있긴 했다. 그런데 전쟁 끝나고는 명에서 만력제의 후임 문제로 인해 자칫 광해군은 세자로 인정되지 못 할 뻔했다.[157] 누구 누구가 노비 임을 증명하는 문서들이 이 곳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제일 먼저 방화됐다고 전해진다.[158] 1593년 명나라 관리 유황상이 선조 앞에서 니들은 고구려때부터 강국이라고 알려졌는데 글만 읽다가 이 지경이 됐다고 꼬집은 일이 있었을 정도로 중국 왕조에서는 조선을 고구려의 후예이자 동아시아의 강국으로 이해하고 있었다.[159] 요순 순안 어사가 보낸 자문에서 조선을 의심하며 정말로 침공을 당했다면 왜 의병이 거병하지 않은 것이며 조선의 관찰사들로 부터 소식이 없는 것이냐고 따지며 조선에게 전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캐묻고 있는 것이다.[160] 이들 왜인들 우두머리는 수도 한양까지 상경해서 임금에게 문안 인사를 해야 했는데, 이들이 상경하기 위해 이용한 내륙 이동통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대로 일본군의 북상 통로가 됐다. 진격 속도가 빨랐던 데는 이런 원인들도 있었다. 그래서 임진왜란 이후 왜인들의 상경을 철저하게 금지시켰다.[161] 이 근방에 청나라의 건국자인 누르하치가 있었다.[162] 이 당시 여진족들의 끊임없는 약탈에 질린 함경도의 조선인들도 일본군과 같이 함께 침공했다고 한다.[163] 소 요시토시 입장에선 조선과 일본이 협력해야 자신이 이득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요구를 일부러 누그러뜨려 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그는 줄곧 전쟁 반대를 주장해 온 고니시 유키나가의 사위이기도 했다.[164] 게다가 조명관계 항목을 보면 알다시피, 조선은 기본적으로 명나라를 상국으로서 사대하는 위치에서 대명 외교를 진행하고 있었으므로, 일본이 명으로 갈 길을 빌려달라는 요구를 했다는 것만으로도 조선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오만불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명을 칠만한 대군이 아무 방해없이 한반도를 횡단하게 해준다는 것 자체가 '너네는 싸울 것도 없이 그냥 깔고 간다'는 의미인 셈.[165] 더구나 명나라의 입장에서도 조선까지의 거리 때문에 식량 운반의 문제도 있고 해서 자기들이 필요할 때마다 강화 협상을 핑계로 시간을 질질 끌었는데 일본의 이해와도 맞아떨어진 셈.[166] 출처[167] 명나라군평양성 문을 뚫을 때 사용했다는 병기가 다름아닌 네덜란드에서 들여온 홍이포였다. 명나라군의 포격에 대해 실록이나 징비록등의 조선측의 사료에서도 산악이 흔들린다거나 하늘이 무너진다는 등의 표현을 써가며 극찬을 하는 장면이 여러 군데 발견된다.[168] 다만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의주까지 도망가 버린 시점에서 일본군의 당초 계획은 이미 어그러졌다.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것은 물론, 예상치 못했던 의병과 수군의 활약으로 후방마저 안전치 못한 상황에서 겨울까지 다가오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군은 장기전을 염두에 두지 않은 탓에 준비가 덜 되어 있었다.[169] 사실 그 이전부터 숫적으로 몇 만은 족히 되었지만 임진왜란 때는 벽제관 전투에서 대패한 이후로는 굳이 싸우려고 하지 않았고, 전투 의욕을 보인 시점은 정유재란 초기 때다.[170] 소빙기가 시작하여 거의 경신 대기근에 준하는 기근이었다.[171] 다만 "선전관 조안방이 보내온 보고서를 보니 ‘경상 한 도에 왜적과 서로 대치하는 각진의 군졸은 6-7천에 불과하고, 그 중에는 한 장수가 거느리고 있는 군졸이 혹 6∼7명인 자도 있으며, 각진에 있는 활도 겨우 1백여 장(張)뿐이었다. 이런 병력과 무기를 가지고 강한 왜적과 싸워 이긴다는 것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고, 더욱이 군량이 결핍된 지 이미 오래되어 하루에 먹는 양이 한 홉의 죽에 불과하니 매우 한심하다. 본도에는 비록 약간의 비축이 있고, 이웃 도에도 또한 이송하여 온 곡식이 있다고는 하나, 중국군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 군사들은 구제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군량이 부족한데 그마저도 보급의 대부분은 명나라 군대에게 집중 되었을 것을 생각하면 정말로 명의 식량조달이 조선의 식량사정에 유의미한 도움을 주었을지는 미지수다.[172] 전란을 거치며 왕권은 땅에 떨어졌고 민심은 선조가 아니라 전쟁 영웅들로 향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선조는 자국 장수가 아닌 명나라군을 드높이면서 이러한 명나라군을 불러온 자신의 업적을 알리고, 자국 장수들의 업적을 폄하하며 스스로의 권위를 세우려했다. 실제로 실록에는 선조가 자국 장수들이 세운 공은 명나라군을 따라 다니며 얻은 것으로 작은 공밖에 세우지 못했다며 폄하하는 부분이 있다.[173] 명나라군도 멀쩡한 조선인을 일본군 앞잡이로 오해하거나 혹은 의도적으로 전공을 부풀리기 위해 살해한 사례는 있으나, 행정 구역 단위로 의도적인 학살을 한 적은 없다. 단,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는 양원이 성을 버리고 도망가는 바람에 성 안의 사람들이 모두 몰살당하긴했다. 하지만 이 남원 전투에서 명나라군은 부총병관 양원 휘하의 병사 50~170명 만이 탈주하여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을 뿐이고, 3,000명 이상의 명나라 군대는 남원성에서 조선 군민들과 함께 남아 끝까지 목숨을 걸고 싸운 끝에 전원 전사했다.[174] 일본 수군의 본질적인 한계와 이순신 덕분에 일본군은 본국에서의 보급과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조선인들을 꽤 많이 징발하는데 성공하여 막강한 방어 능력을 갖춘 요새까지 건설할 정도였다.[175] 일본 측에서는 조선을 어렵지 않게 정복할 수 있으리란 것이 지배적인 기조였다. 물론 마지막에 물러날 때까지도 상당한 승산이 있는 것으로 몰아가는 측면이 있어 과장이 있었지만, 명나라군과 조선군의 양측 기록에서도 일본군의 강함은 여러모로 묘사되기 때문에 일본만의 근자감은 아니었다.[176] 경주성 전투에서 경주성을 탈환한 인물[177] 사실 그럴수밖에 없다. 자기 나라에서는 수십년을 태업하면서 국정을 막장으로 이끌었던 황제가, 천리만리 떨어진 남의 나라에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을 듣고 그 나라가 옆 나라에 먹히지 않도록 도와주라면서 출병을 명령한 것이다.[178] 여진족의 경우 농경문화 영향을 많이 받은 건주여진이 아닌 완전한 유목민에 가까운 북만주의 해서여진 및 시베리아연해주에 걸쳐 살던 야인여진이었다.[179] 거란의 직접적인 후손 민족으로 금나라 멸망 후 거란족이 일으킨 대요수국 반란이 원나라에 의해 진압당한 후 거란과 여진이 서로 섞이면서 일부는 퉁구스에 동화되어 해서여진이 되고, 일부 거란의 정체성을 지키며 몽골이나 여진의 일부가 되지 않은 자들은 다우르가 되었다. 다우르어는 몽골어와 비슷하지만 꽤 다르다.[180] 칭기즈 칸의 정통 원나라 황통인 보르지기트 씨족들로 청 건국 후 만주족과 일체화, 청의 외척이 된다. 대칸을 칭한 청 황제들의 피의 절반은 보르지기트 씨족으로 원나라 황통을 어쨌든 이은 셈. 물론 방계라서 칭기즈 칸 적자는 아니다. 이들은 칭기즈 칸의 동생 카사르의 후손들이다.[181] 남몽골이라는 뜻의 몽골어로 현재 내몽골 남부지역과 산시 성에 걸쳐 살던 몽골 부족이고 지금도 그 쪽에 살고 있다.[182] 지금의 허베이 성 장자커우. 장자커우를 몽골인들은 지금도 칼간이라 부른다.[183] 포르투갈인들은 조총을 주로 소개했고, 불랑기포는 몇 문이 일본에 들어왔으나 일본인들은 대규모 회전이 공성전보다 많은지라 무겁기만 한 공성병기 화포에 매력을 못 느끼고 조총만 주로 보급했으며 화포 역할은 대구경 조총인 대조총에 맡겨 사실상 일본에는 화포가 전래되지 않았다고 봐도 된다. 그 결과 임란 때 일본군은 조총을 쏠려는 순간 화포가 쏟아져 가루가 되는 비참한 결말을 맞았다. 반대로 조선은 조총이 없어서 육전에서 패배를 많이 했다. 바다의 이순신 함대는 승자총통은 물론 조총을 모방한 정철총통, 그리고 화포를 적극 사용해 사거리가 후달리고 화력이 약한 조총은 화포 앞에선 무용지물이 되었다. 여기에 조선 수군은 천자총통에서 발사하는 로켓 무기인 대장군전이라는 근세식 대함 미사일까지 운영해 일본군 선박 대부분은 가루가 되었다. 육지에서도 명나라 북병 일부가 불랑기포 몇 문을 끌고 와 평양성 전투에서 조총병들을 가루로 만들어 버렸다. 이후 화포에 매력을 느낀 일본은 조선인 대장장이들을 일본으로 잡아가 화포를 만들어 보급하게 하여 세키가하라 전투 연간에 잘 써먹는다.[184] 불랑기포 몇 문을 끌고 와서 평양성 전투에서 조총병들을 가루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후 벽제관 전투에선 탄약이 떨어졌다며 만구다이로 불리는 몽골 궁기병들만 끌고 가서 역습에 발린다.[185] 전술했듯 포르투갈인들이 상륙 시 불랑기포를 소개했으나 회전 위주인 일본에서는 공성병기인 화포에 별 가치를 못 느껴 보급되지 않았다.[186] 다만 당시 조선의 물자 사정상 목재 함선을 포탄으로 난타하여 적선을 격침시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며, 설령 포탄과 화약이 넉넉했더라도 안정성이 극히 떨어지는 목재함선에서 사격통제장치도 없는 대포로 빠르게 움직이는 적함을 명중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187] 이순신이 전방에서 독전한 사천, 명량, 노량 3차례의 전투중 사천과 노량 두 전투에서 이순신이 총탄에 맞았으니 완전히 거리를 두고 싸우는 전략은 아니었을 것이다.[188] 사소한 일로 매질하는 건 기본이고, 유능한 항왜인 여여문은 아무리 가해자가 심신상실에 가까운 상태였지만, 명군의 행동에 항의하다가 억울하게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189] 심지어 진린의 경우에는 자기 비위 거슬리게 했다고 조선 관리를 묶어서 선조 앞에서 개처럼 끌고다니는 행패를 부렸다. 이거 보고 기가 막힌 류성룡이 말려도 듣지 않았다고 한다.[190] 특히 명나라 내부에서도 병사들이 백성들에게 행패를 부려 명나라 백성들도 자국의 병사들을 적군만큼 무서워했을 정도였다.[191] 조선 땅을 점거하고 깽판을 부리면서 후금을 토벌하는 제 역할을 게을리하고 건방지게 황제까지 칭하는 지방 군벌, 반역자로 전락해 버렸다.[192] 사실 전근대에는 오늘날과 같은 정교한 보급 체계가 없어 어느 정도는 현지 조달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출처7] 「쾌락의 혼돈」, 티머시 브룩 저,「명청시대 사회경제사」, 오금성 저[194] 이는 명나라 영향도 상당히 있다. 명나라는 주변국들에게서 은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였고, 스페인(필리핀을 통해 접촉)과 일본처럼 막대한 은을 산출하는 나라가 아니라면 은본위 경제 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조선 후기 화폐 경제 때도 은이 아닌 다른 것을 화폐로 삼은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195] 조선 북방에서 사용한 조운선인 북조선은 일반 조운선보다 크기는 컸지만, 조선 북부 지역에서 걷은 세곡은 모두 함흥 별궁까지만 갔고 한양까지 전달되지 않았다. 당연히 거리가 그렇게 멀지 않으니 해상 운송의 수준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출처8] 「다시 보는 임진전쟁사」, etc.[197] 명군 참장 낙성지 등이 은광 개발을 건의했으나 처음부터 부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조선은 금은을 중국에 공물로 바치는데 국가 부담이 매우 커서 세종조선 내에 귀금속이 고갈됐다고 허위보고를 올린 것이 먹혀서 명에 귀금속을 바치는 부담이 완화되기 전까지 엄청난 고생을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임란 이후 명나라 사신들은 무지막지하게 조선의 귀금속을 뇌물로 긁어갔다. 호란 이후 청나라도 귀금속을 좀 요구했지만, 임란 이후 명나라가 긁어간 수준하고는 비교가 안 될 정도였다.[출처9]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한 명기 교수 저[199] 당시 몽골이나 여진 등 유목민은 중국에 동화가 되어 있지 않아 언어가 달랐던 탓에 여진인과 한족에 대화에서는 몽골어 통역을 쓸 정도였다.[200] 살던 환경이 환경인지라 몽골인으로 이루어진 부대는 약탈에 포로 학살은 기본이었다. 명나라군에 소속된 몽골의 차하르부 및 투메드부 기마부대 역시 잔인해서 평양성을 탈환한 후 부상을 입어 저항을 못하는 일본군 포로들도 대거 학살하는가 하면 조선인 민간인들도 학살하고 민가를 불태우고 닥치는데로 약탈했다. 성 자체를 전리품으로 여긴 것이다. 조선인 여성들에 대한 강간 피해도 심각했다.[201] 물론 그래도 당대에는 명이 더 많다는 평인지 왜놈은 얼레빗, 명나라는 참빗이라는 말도 있었다. 승려 게이넨의 기록에는 본토에서 건너온 노예 상인들이 부대를 따라다니며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들였으며 목을 밧줄로 이어 앞장 서게 했고 걷지 못하는 사람은 지팡이나 몽둥이로 매질해서 강제로 걷게 했는데 이들이 바로 지옥의 죄인을 처벌하는 악마의 모습이라고 생각했다는 내용이 있다.[202] 울산의 왜성 건설 과정을 보고는 이렇게 기록하기도 했다.“새벽 안개를 헤치고 산에 올라가 하루 종일 큰 나무를 베고 밤하늘의 별이 총총할 때에야 겨우 집으로 돌아가야 했다. 밤을 새워 돌을 쌓아 성을 축조하는 것은 백성은 어떻게 되든 안중에 없고 오로지 탐욕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괴롭고 싫은 표정의 눈초리를 하는 것만으로도 죄업이라고 몰아붙여 심하게 질책하고, 목울 쇠사슬로 묶어 두들겨 패고, 달군 쇠로 몸을 지져댔다. 보기에 곤혹스러울 정도다.”[203] 경상도에서 벌어진 학살을 기록한 게이넨에 의하면 일본군도 몇몇은 돈을 받으면 살려주었다고 한다.[204]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이런 사람들에 대한 처벌 기록이 자주 나온다.[205] 자기 딸도 고니시에게 시집을 보냈다. 왜성 축성도 그가 권유한 일이라고. 실제로 그래서 명군과 조선군을 엿먹이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는 나중에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을 알고 아들 박정경과 함께 명나라 장수 오도사에게 뇌물을 바치고 다른 아들인 박여경은 고니시에게 붙어서 이중스파이 노릇을 하며 협상을 했다고 한다.[206] 왜냐하면 의병은 만명 단위의 대부대가 거의 없었다.[207] 당시 명나라군의 화력은 일본은 물론이고 조선조차도 경이적으로 여길 정도여서 선조가 명군의 화기제도를 배울수 없냐고 닥달할 정도였다.[208] 다만 6월 15일은 전란 발발 2개월째이다. 조정은 몽진에 몽진을 거듭하고 일선 장수들의 패퇴후 도망이 다반사인 상황이라 전란 초기에는 제대로 된 싸움은커녕 전력 유지에도 벅찬 상황이었다. 물론 수군은 이순신이라는 걸출한 영웅으로 인해 상황이 달랐다. 이순신은 일본의 전면침략을 미리 내다보고 수군에 보급된 승자총통, 화창, 화포 등 화기류 숙달을 수병들에게 훈련시켜 왔으며, 당대 동아시아에서 최강급의 체급, 방어력, 내구력을 가진 판옥선을 개량한 신무기로 돌격선인 거북선을 만들어 일본군의 조총 공격이 무용지물이 되게 한 뒤 충각전술로 적선을 들이받아 격침시킨데다가, 심지어 전쟁 초기에 조총을 복제한 정철총통을 만들어 보급하는데까지 성공했다!!!. 더구나 조총을 잘 알고 있던 충무공은 절대 조총 유효사거리에 들어가지 말고 화포로 원거리 공격을 지시, 옥포 해전한산도 대첩 등의 대승을 연전연승으로 거둔다. 그러나 육군의 경우 제대로 반격이 가능했던 것은 권율의 이치 전투가 있었던 7월경이다.[209] 다만 저런 사례는 명나라에게도 있었다. 출처 참고로 명나라가 72명의 왜구에게 명나라군 900명이 살해당하는 처참한 전과를 기록할 때 같은 해 조선은 제주도에서 74명으로 13배가 넘는 1,000명의 적을 무찌른 엄청난 대첩을 거두었는데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당시 고려척계광원앙진 전법을 도입한 명나라군조차 13:1이라는 숫적 열세인 상황에서 이긴적은 없었다. 출처: https://www.newsn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20[210] 코를 자를 때 남녀 확인용으로 인중까지 잘랐기 때문에 너무 잔인하다고 하야시 라잔이라는 유학자가 귀무덤으로 바꾸었다.[211] 대개 전국 시대의 무장들은 문맹이었다. 그래서 그 점을 이용한 고니시는 사전에 심유경과 짜고 사이쇼 조타이를 시켜 위조된 내용을 말하라고 했다는 주장. 참고로 이 사람이 게임 임진록2에 일본 영웅으로 등장하는 그 '세이쇼오'다. 이 인간은 진구황후 전설에 푹 빠져 산 인간으로 도요토미의 조선 정벌을 부추긴 장본인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사이쇼 조타이 문서 참조.[212] 豊臣秀吉의 冊封問題와 壬亂期의 講和交涉, 임진 전쟁기 강화 교섭 연구,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 연대기, 大君外交と東アジア, 한일역사공동연구 위원회 2기의 동아시아 세계와 文祿・慶長의 役, 文禄・慶長の役(壬辰倭乱), 임진왜란과 강화교섭-쓰시마번과 고니시 유키나가를 중심으로,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과 加藤淸正, 임진왜란기 일ㆍ명 강화교섭의 파탄에 관한 一考察 사명당(松雲大師)ㆍ加藤淸正 간의 회담을 중심으로, 기사[213] 국학자들이 주목하였던 것이 신도와 천황이었고 일본 전통사서들의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다. 대표적인 내용이 임나일본부설의 바탕이 된 일본서기의 신공기이다.[214] 김시민이 이미 전사한 줄을 모르고 있던 히데요시는 2차 진주성 전투에서 김시민은 꼭 베어오라는 특명을 내린다. 그런데 한 설에 의하면, 당시 진주 목사였던 서예원이 살려달라고 울고 불고 난리치다가 잡혀 죽자 다테 마사무네는 그 목을 베어다가 김시민의 목이라고 소개하며 히데요시에게 갖다줬다고 한다. 다만 다른 설에 의하면 서예원이 명장은 아니어도 최소한 비겁하진 않은 용맹한 장수였다는 주장도 있다. 진주성으로 부임하기 전에 몇차례 전공을 세웠다던가 2차 진주성 싸움에 앞서 (필사의 각오로 싸우기 위해) 온 가족을 진주성으로 불렀단 기록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근데 이건 김천일의 후손과 서예원의 후손들이 서로 자기 조상 자랑하고 상대방 조상 욕하는 내용이라 진실은 저 너머에 수준이긴 하다. 좀 더 연구가 되어야 비교적 확실한 결론이 나올 듯하다.[215] 진주성 방어에 나선 병력이 얼마인지 제대로 파악이 안되고 있다. 입성자와 전사자 관련 기록을 비교 대조해 보면 입성해 방어전에 들어갔단 이야기가 없는 부대가 전사자 수효에 다수 포함되고 막 그렇다.[216] 진주성 공격 시기의 일본 육군은 초기 병력의 40% 가까이를 상실해 약 10만여 명 정도 남긴 했는데 이때 참전 영주들 관련 기록을 보면 영지에 충원 병력 보내라고 막 닦달하고 있어서 총 규모도 제대로 파악이 안 된다.[217] 일본의 '회본태합기'에는 비가 올 때 귀갑차를 사용해 성에 접근해 성을 무너뜨렸다고 하고 있다.[218] 조선시대 사료나 하멜 표류기들을 보면, 향토 방위는 승병들의 고유 의무였다. 추측건데 징병제 국가였던 조선에서 남정네들이 군대에 소집되었을 때 남자들이 믿고 마을을 맡기기에는 승병이 적합하지 않았을까? 어쨌건 마찬가지로 보부상들은 전시에는 척후병으로 징집되도록 되어 있었다.[219] 의병과 수군을 합치면 17만 5천이다. 사람들의 통념과 달리 임진왜란의 주력은 조선 정규군이었다. 의병은 보조적 역할을 맡다가 결국 정규군에 편입되었는데, 병농 일치 징병제 국가인 조선의 시스템을 고려하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단 조선 후기부터는 모병제였다. 조선까들 중엔 17만이 장부상 기록이었다고 주장하는데 조선보다 인구도 딸리던 고구려도 주필산 전투 때 15만을 모았고 고려도 2차 여요 전쟁 때 30만을 모았는데 조선이 17만을 못 모았을 가능성은 없다. 게다가 선조 때는 아직 조선이 세도 정치 시기만큼의 막장이 아니었다.[220] 선조가 지원은 못해줄 망정, 이순신에게서 물자와 식량을 강탈해 갔다고 잘못된 비난을 하는 일이 많고 <불멸의 이순신> 같은 드라마에서도 이렇게 묘사한 바 있다. 그렇지만, 이는 대단히 잘못된 비난이다. 선조는 이순신에게 엄청난 권한을 부여해 주었고 전국적인 기근이 발생해 식인이 보편화된 상황이어서 그나마 질서를 유지하고 있어 농사를 안정적으로 짓는 전라도 지역에서 식량을 확보해 구휼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었다.[221] 명나라를 끊임없이 괴롭히던 북로남왜 중 북로인 몽골족의 추장이었다. 명나라와 화의를 맺는 과정에서 황녀를 맞이하지 않았다.[222] 참고로 이 전쟁의 공식적인 사죄는 훗날 권력을 잡고 조일국교 회복을 원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했다. 이에야스 입장에선 임진왜란에 비판적인 것도 있고, 내전으로 황폐해진 일본으로선 보복하니 마니하던 당시 조선과 관계를 회복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 이를 통해 도요토미 가문을 전쟁광 비슷하게 깎아내림으로서 도쿠가와 가문의 위상을 올리려는 포석도 있었다. 물론 이 사과란 것도 세부적인 내용은 좀 더 복잡해서, 두 나라 사이에 낀 쓰시마번(대마도)이 국서를 위조함으로써 두 나라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줬는데 자세한 건 기유약조 문서 참고.[223] 애초에 선조 본인부터가 적에게 항복 혹은 휴전을 하자고 간언하는 사람이 있으면 닥치고 목을 베어버리겠다고 말했다. 다만 명나라 사신과 황제가 그래도 협상은 해보자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참은 것뿐이다.[224] 당시 일본은 허수아비 덴노에 실권자 쇼군이란 막부 체제가 수백년 이어져오고 있었으니, 무식한 도요토미라면 진짜 조선의 정치 체계가 어찌 돌아가는지 모르고 있었을 확률도 아예 배제할 순 없다.[225] 명나라 조정에서 파악한 다이묘의 서열대로 초기 명단이 작성되지만 일본 측이 정정을 요청하여 수정 후 제출되었다.[226] 다이묘로 삼는다고 했다.[227] 이 일을 기록한 책이 '일본왕환일기'이다.[출처10] "그날 평조신(平調信, 柳川調信 야나가와 시게노부)이 요시라(要時羅)를 시켜 신(황신)에게 말하기를 ‘양 노야(楊老爺, 양방형)가 박 통관(朴通官, 박의검)을 보내어 국왕을 면대하여 아뢰려 한다 하니, 요사이의 곡절을 상세히 아뢰고 빨리 통신사(通信使)가 내려오도록 청하는 것이 좋겠다. 명조(明朝)는 길이 매우 멀어서 새 정사(正使)가 나오는 것이 늦더라도 형세가 그럴 수밖에 없겠으나 조선은 길이 매우 가까운데도 아직까지 분명한 결정이 없으니, 모든 왜인이 매우 답답하게 여긴다. 소서행장(小西行長)이 나에게 책망하기를 「네가 조선과 화의하는 일을 맡았는데 이제까지 통신사(通信使)가 오는 것을 보지 못하겠으니, 무슨 까닭에서인가?」 하니, 나도 매우 괴롭다. (중략) ’ 하였습니다. (후략) " 선조 29년 5월 28일[출처11] 이 천사(李天使, 이종성)가 나간 것도 조선 사람이 두려워하여 동요했기 때문이며, 책사(冊使)가 이미 바다를 건너오는데도 조선에서는 관원을 차임(差任)하여 따라오려 하지 않다가 이제야 비로소 느지막하게 이르러 왔고, 또한 왕자(王子)를 보내오지도 않았으니, 일마다 우리를 경멸(輕蔑)함이 심하다. 지금 온 사신은 만나기를 허락할 수 없고, 내가 마땅히 먼저 천사(天使)를 본 다음에, 우선 조선 사신을 머물러 있게 하고, 병부(兵部)에 품첩(稟帖)하여, 그 더디게 온 까닭을 살핀 뒤에 바야흐로 만나기를 허락하겠다.’ 일본왕환일기 윤8월 29일[230] 명나라에서 순의왕(順義王)의 예를 따라 '순화왕(順化王)'으로 왕호를 정하려 했으나 전통적으로 일본의 지배자에게 책봉하던 '일본국왕'이 최종 결정되었다.[231] 법 등 제도를 고치거나 상, 벌을 내리는 명령.[232] 당시 교토에 머무르던 신부의 보고를 정리한 것이다.[233] 아마 옷을 갈아입으러 갔다는 이야기를 못 들었던 듯싶다.[234] KBS 팩션 사극 임진왜란 1592에서는 이등체강된 조선 왕과 똑같이 친왕의 붉은 곤룡포익선관을 착용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다만 실제론 이등체강되어 친왕 대우인 조선 왕과 다르게 삼등체강된 군왕의 대우로 책봉하고 관인이 내려졌다는 논문도 있다.[235] 이하 별폭 내용에 대해 실록 기사의 국역은 평어체로 되어 있으나, "천조에 바치는 별폭"[天朝別幅\]이므로, 본 문서에서의 번역은 경어체로 하였다.[236] 임진왜란 발발 전 황윤길, 김성일 등의 통신사 활동을 의미하는 듯하다.[237] 문맥상 '명의 하국이 된 일본의 마음'. 곧 명과 통교하고자 했었다는 의미.[238] 임해군, 순화군[239] 황신 이하 통신사가 명나라 사절보다 일본에 늦게 도착한 일을 이르는 듯하다.[240] 종전 이후 1599년 2월, 명나라로 돌아가기 전의 명나라 장수와 병사들을 위해 훈련원에서 베푼 연회를 그린 그림이다.[241] 정유년 음력 7월 15일.[242] 앞서 조선 수군에게 해전에서 당한 연패로 인해 특히 수군 쪽 전력이 강화되었다.[243] 양호가 서울을 떠나자 도망가는 거 아니냐며 선조가 가서 붙잡고, 그러면서 백성들에게 이건 피난 가는 게 아니다고 설명하라고 명령했다. 한편 양호는 서울을 무조건 지키겠다며 확실하게 약속하기도 하는 등 개판이다.[244] 당시 기록인 선조수정실록 등에서는 선조와 조정 대신들이 공황 상태에 빠져 다시 피난을 가려고 했다는 식으로 실려있다.[245] 이 무렵, 시기상 10월로 접어들고 있었기에 겨울이 머지 않았으므로, 보급 없이 계속 진격하다가는 그대로 고립되어버리는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었다.[246] 엄밀히 말하자면 패한 건 아니다. 울산성 함락 및 전멸의 위기 직전에 일본의 구원군이 포위망을 돌파하여 고전하긴 했어도 결국 일본군이 승리했다.[247] 현대 일본 극우들은 노량 해전을 두고 '전투의지를 잃고 본국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공격한 비겁한 행위'라며 비난하지만, 아직 조선과 일본 양국이 공식적인 종전선언을 주고받은적이 없다는 역사적 사실 하나에 쉽게 반박된다. 당장 정유재란부터가 이런 종전선언 없이 일단 본국으로 돌아간 일본이 아직 전쟁상황이 유지되고 있다는 걸 이용해 재침한 것이니 노량 해전 이후 일본이 재침을 안 할 거라는 보장이 아예 없었기 때문. 실제로 당대 일본인들은 노량 해전에 대해 비겁하다고 하지 않았다.[248] 대표적으로 조선이 일본측에 강력히 요구한 종전 조건 중 하나가 선정릉 도굴 사건의 주범을 압송하라는 것이었다. 당연히 엄청난 전란 속에서 누가 도굴을 벌였는지 일본 입장에서도 색출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소 요시토시는 잡범 2명을 임진왜란 당시 도굴 주범이라며 보냈다. 당연히 조선 측에서는 심문 과정에서 이것이 구라라는 것을 금방 알아챘지만 선조가 그냥 묻고 가자고 하여 잡범 2명을 참수하는 걸로 끝난다.[249] 다케다 신겐, 사이토 도산의 아들 사이토 요시타츠가 유명하다.[250] 그것도 실제로는 일부분일 뿐 장수들 다수는 조선땅에 가고 싶어하지 않았다. 근본적으로 다 자기 영지 가진 다이묘였는데 굳이 일본 내전도 끝난 마당에 목숨을 걸고 해외로 가고 싶진 않은 게 일단은 상식적이다.[251] 운 좋게도 도요토미 세력과 대규모 내전을 두 차례나 벌여 승리한 덕택에 쫓아내야 할 다이묘가 산처럼 쌓여 있어서 줄줄이 개역을 시키고 토지를 빼앗아 지지세력들에게 나눠줬다. 물론 그렇다고 쫓겨난 다이묘들을 죽으라고 한 건 아니고 정말 가문 자체가 무가에서 사라진 사례는 고니시 유키나가 등 극소수이며, 심지어 이시다 미츠나리도 본인만 참수했지 그 가족들의 신분은 박탈하지 않았다. 그리고 대부분은 전봉처분을 내려서 다른 데로 보내는 걸로 끝내거나 하타모토로 임명해서 최소한 먹고살 길은 마련해 줬다.[252] 공을 세운 사람의 석고를 높여주긴 하는데, 새로 복속된 봉토를 주는 것이다. 새로 복속된 봉토의 백성들은 당연히 기존 다이묘를 선호하지 이후 전봉되어 온 다이묘를 선호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잇키(농민반란)' 등이 일어나기 일쑤고, 이걸 핑계로 '학정을 한다. 땅을 다스릴 능력이 없다.'고 구실을 잡아 숙청하는 것이다. 이에야스도 이것에 당해 기존 세력권(미카와, 도토미, 스루가)에서 새로 복속된 구 호조 지배 지역(간토)으로 전봉되었다. 명목상 고쿠다카가 100만 석 이상 늘어난 수준의 엄청난 영전이었으나, 후호조씨의 지배를 오래 받던 간토는 문제의 여지가 엄청나게 많은 영지였으며, 히데요시는 이걸 이용해 이에야스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숙청한 심보로 전봉시킨 것이다. 하지만 이에야스는 특유의 정치력을 보여 간토를 안정시켰고, 오히려 간토 전봉과 그로 발생한 손실과 위험성을 구실로 심아 임진왜란 출병을 미뤄버린다.[253] 히데요시 입장에서 이에야스는 굉장히 부담스러웠던 상대였는데, 이에야스를 모략으로 이겼을 뿐 힘싸움으로는 이기지 못했다(코마키 나가쿠테 전투). 거기에 히데요시 본인이 한 이에야스의 간토 전봉 조치 때문에 이에야스의 세력이 엄청나게 커졌다.[254] 규슈 정벌 직후라 가문이 쪼그라들어 땅을 더 얻을 필요가 있었고, 히데요시에게 잘 보일 필요도 있었다.[255] 대표적으로 다테 마사무네. 조선에 오긴 했지만 거의 몇 개월만 머무르며 생색만 내다가 도로 돌아갔다.[256] 실제 가토는 고니시의 집안이 과거 약장사 일을 했다는 이유로 고니시를 가리켜 걸핏하면 약장수라고 놀려댔고, 분노한 고니시가 칼을 뽑아들고 가토를 죽이려고 한 일도 있었을 정도였다. 오죽하면 조선 조정에서도 이들의 반목을 잘 알고 있을 정도였다.[257] 결과적으로 보면 둘의 협조가 안 된 덕택에 고니시는 행주대첩을 제외하면 조선과 명의 협공을 거의 혼자서 감당해내야 했다. 그러고도 행주대첩 직후 기준으로 3분의 1의 병력을 보전하여 퇴각한 게 대단한 거지만 역으로 보면 그만큼 일본군의 각 부대간 협조가 안 됐다는 뜻이다.[258] 대마도는 일본과의 무역이 금지된 뒤에도 조선과의 교역을 유지했으며, 조선에서 식량을 사들여야만 인구를 부양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쟁으로 인해 식량 공급이 끊겼기 때문에 굶어죽는 사람도 속출했을 지경이었으며, 물론 당시 일본도 조선에 끌려갔다가 죽은 사람이 엄청나서 사회에 미친 악영향이 상당했던데다 도요토미 사후 다시 혼란기였던지라 여기저기서 굶어죽는 사람들이 속출했지만 그 참상은 대마도가 특히 심각했다. 결과적으로 소 요시토시 입장에서 보면 도요토미와 그의 가신인 고니시 때문에 자기 영민들이 비참하게 된 꼴인데,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이후 장인 고니시를 배신한 것이 현실적인 이유도 있지만 이런 점 또한 결코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259] 만약에 실행이 되었다면 중국 남부의 절강, 복건, 광동 3개의 성에서 최대 2천 척의 수군 군함과 20만의 병력을 동원한 큰 규모였을 것이다.[260] 실제로도 조선 측에서 적군 4~5만 정도는 끄덕없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하는 부분이 있으며, 정말로 개전 후 7개월도 지나기 전에 일본군 4만 명 이상이 증발했다.[261] 고니시 군의 피해가 가장 큰 이유는 개전 초부터 조선군과 명군이 고니시의 군대만 주로 상대했기 때문이다.[262] 당시 니탕개는 3만이라는 대군을 이끌고 조선 변방을 침공한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때 활약한 장수가 바로 탄금대의 신립으로 니탕개의 여진족을 물리치는데 일조해 선조의 사돈이 되기까지 한다. 다만 선조의 신뢰를 받았다는 점과는 별개로 실제 신립의 작전 수행능력에는 현재에도 의문점을 가진 이들이 많다.[263] 당시 순변사 이일이 이끌던 병력은 정예병이나 갑사가 아니라 급히 징집된 농민병들이다.[264] 압록강 4군에 주둔하던 정예 북방군[265] 다만 삼도근왕군의 대다수는 정병들 뿐 아니라 개전 이후 징집된 농민병들도 많았다. 와키자카의 군대가 보병이라 추격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조선군의 90% 이상은 생존했다고 본다.[266] 6진에 주둔하던 함경도 정예 병력이 해정창 전투에서 섬멸당한다. 하지만 이후 단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생존한 병력은 끊임없이 항전하였다.[267] 다만 해당기록은 구체적인 수치가 나온것이 아니라 그냥 20만 홍건적이 침략해오자 20만 군사로 격퇴했다는식으로 간단히 서술되어 있어 과장된 수치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268] 동시기 인구가 1억이 넘던 인구대국 명나라가 장부상 총병력 300만과 대조적으로 실제로는 그 징집병조차 10~20만을 버거워하는 모습을 보인것을 감안하면 조선쪽은 인구에 비해 대군을 모은 것이다.[269] 이는 일본군도 마찬가지라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했는데도 중복집계된 군사들 때문에 사료에 따라서는 20만, 30만 얘기까지 나온다. 심지어 풍신수길도 총동원령을 내렸을 때 일본군의 총 수효가 25만이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다가 15만여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실망했을 정도다.[270] 의병들은 게릴라전을 하거나 홈그라운드에서 소부대로 붙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전과를 낸 것이다.[271] 애초에, 의병 자체가 지방 호족들에게 허락을 내려서 징집을 허락한 군사들이다. 사실, 의병이라기 보다도 예비군이였다고 보는게 더 옳으며, 조선 남성은 거의 반평생을 군역을 치루던 사람들이다.[272] 이는 1900년 항일독립운동시기에도 독립운동을 핑계로 동포들을 수탈하는 무리들이 있어 대한제국군에게 토벌되시어요 했다.[273] 다만 그렇다고 중국보다 화포가 더 발달했다고는 보기는 어렵고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왔다고 보는 게 맞다. 화차비격진천뢰같은 조선이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화기도 있었고 해전에서는 천자총통을 유용하게 사용했지만, 명나라군은 조선에는 없던 불랑기포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 물론 조선군도 명군이 불랑기포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전쟁이 끝나고는 대량으로 도입했다.[274] 그나마 동래 일대에서는 일본인들과의 교류로 구경 정도는 해봤을 수 있었다.[275] 그러나 조총 도래 이후 조선측의 교범이나 훈련 기록을 보면 조총의 사거리를 활보다 더 멀게 잡고 있으며 조선군의 조총 운용은 화망 구성보다는 서구의 엽병 마냥 조준사격을 중요시한 것으로 보인다.[276] 활의 훈련에는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조총과는 비교가 안된다.[277] 2차 금산 전투 같이 벌판에서 보병이 근접전을 벌인 사례가 없는 건 아니지만 이건 임란 의병전사에서도 보기 드문 삽질에 가깝다.[278] 일본에서의 공성전은 어지간하면 성을 포위하고 지원을 끊어 항복을 받아내는 방식이었다. 근본적으로 내전이었고 비즈니스 관계로 여겼기 때문에 정말 캐삭빵급의 대규모 충돌이 아니면 이런 식으로 세력을 흡수하는 것이 서로 이득이었다.[279] 애초에 쌍수도 자체가 왜구의 오오타치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무기이다.[280] 이 때문에 이성계가 요동 정벌을 반대한 이유 중의 하나가 활이 상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당시 요동 정벌을 추진하던 시기가 여름이었다.[281] 흔히 조선 수군의 주전법이 원거리 포격전이라고 오해하지만 실제 조선 수군의 전술은 압도적인 판옥선 체급을 활용하여 근접해 사부들이 불덩어리들을 던지고 총통으로 갑판의 일본군을 쓸어버리는 방식이었다.[282] 다만 한반도의 상당 부분에 일본군이 침투한 시기는 1593년 중순까지와 정유재란 직후만으로 생각보다 짧고, 나머지는 주로 영남 해안 지역에서 방어전을 치렀다.[283] 이몽학의 난, 이괄의 난 등 몇몇 난들이 있었지만 모두 진압되었다.[284] 현대에 청을 건국한 만주족이 한족에 동화되어 나라없는 민족으로 전락했기 때문에 청나라가 자연스럽게 중국의 역사로 편입된 것이고, 명-청 교체가 만주족의 한족 식민 통치 시대가 아니라 중국의 내전으로 평가되는 것일 뿐, 만주족이 오늘날의 몽골족처럼 나라를 가진 민족으로 남았다면(물론 독립한 건 외몽골이고, 내몽골족은 여전히 중국 소수민족이긴 하다) 몽골족의 원나라가 정통 중국인 송나라를 정벌하여 지배한 것과 마찬가지로 청은 중국의 역사가 아닌 만주족이 한족을 정벌하여 지배한 역사로 평가되었을 것이다. 이 경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로도 어찌됐든 조선이라는 자민족의 국가는 꾸준히 유지했던 한국과 다르게 중국(한족)은 정말로 임진왜란으로 쇠락한 명이 멸망하고서 나라없는 민족으로 17~19세기를 보낸 것이 된다. 현대에 들어서 중국의 젊은 한족 세대가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이 아닌 근세에 멸망한 명나라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에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있다. 한편으론 몽골이 세웠지만 중화문명에 편입을 시도한 원나라도 몽골과 중국의 공통 역사가 아닌 오로지 중국만의 역사로 만들려는 현대 중국의 역사왜곡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285] 최악의 경우 선조는 명나라에, 이승만은 제주도나 일본, 미국에 망명정부를 고려한 점도 비슷하다.[286] 6.25 전쟁 정전 협정 당시 한국이 포함되지 않고 미국, 북한, 중국 3개국만이 협정에 서명을 한 것에 대해 전쟁의 주요 당사국인 한국이 무시를 당했다는 오해를 낳기도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미국은 단독이 아닌 대한민국을 포함한 UN군 전체를 대표하는 자격으로 협정에 서명을 한 것이다. 때문에 대한민국이 정전 협정의 당사국이 아니라는 오해는 사실이 아니다.[287] 일본 매체에선 늦둥이 도요토미 츠루마츠가 어린 나이에 사망하면서 히데요시가 약간 미쳐버린 것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실 츠루마츠 사망 이전에도 대륙 정벌의 야욕을 드러낸 적도 있다는 걸 보면 정확한 묘사는 아니다.[288] 역사 학자에 따라서는 해당 전쟁을 일본의 제국주의를 수 백년 뒤로 늦춘 전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즉, 한국이 일본 침략 방어에 실패했다면 일본의 팽창주의가 더욱 앞당겨졌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실제 근대 역사에 있어서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구상하던 중국 진출, 인도 침략, 동남아시아 정복은 대한제국의 병합으로 본격화된다.[289] 해당 작품은 도요토미 사후 일본의 후계 구도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부상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290] 일본의 고문체는 조선 / 중국의 문체와 한자의 배열이 다르고 일본식 구결(가나)이 섞이는 등 조선인으로서는 이해가 굉장히 힘든데, 이익은 이 글을 한 자 한 자 다 따져 보면서 글자를 재배열해서 번역했다.[291] 일본 고미즈노오(後水尾) 덴노의 연호. 1615년 ~ 1624년까지 사용되었다. 일본어 발음으로는 '겐나'.[292] 겐나의 역, 즉 1615년의 오사카 공방전을 말한다. 도쿠가와 가문이 도요토미 가문을 완전히 멸망시킨 전투이다. 덧붙여 원화라는 연호는 오사카 전투가 끝난 후에 변경된 연호인데, 일본에서 완전히 전쟁이 끝났다는 의미로 바꾼 연호다. 그래서 전국 시대의 종결을 상징하는 '원화언무(元和偃武, 겐나엔부)'라는 말이 있다.[293] 아무래도 한국, 중국과도 연관된 문제다 보니 어설픈 지식으로 함부로 다루긴 어려운 측면도 있었을 것이다.[294] 실제 이런 평을 했다면 사실과는 좀 다르다. 이미 승부는 기운 상태에서 언제 탈환하느냐의 문제였기 때문. 왜성에 갇힌 일본군이 식량을 몇년씩 자체 조달할 수도 없는 문제이니. 다만 명나라도 이때 엄청난 인적, 물적 손실을 본건 맞는데, 이것도 사실 후술되어있듯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광범위 어그로로 태국이나 류큐 왕국, 여진족에서도 지원 의사를 타진했는데 다 물리친거라 전쟁에 대비할 자체 여력은 남아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출처12] 예수회 선교사제들의 일반적 인식은 다음을 근거로 한다. <왜란 시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일본과 조선 인식 - 순찰사 알렉산드로 발리냐노의 일본 방문을 중심으로 ->,교회사 연구 제49, 2016년 12월(한국교회사연구소 발행), 김혜경(대구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원 강의전담교수)[296] 오다 노부나가에게 모잠비크 출신의 노예로 '흑인 사무라이'로 유명한 야스케를 소개한 인물이다.[297] 임진왜란 때에 고니시 유키나가를 따라 종군 신부로 조선에 왔으며, 일단 교회사에서는 조선 땅을 밟은 최초의 서양인 신부로 남아 있다.[298] 고니시 유키나가가 어디에서 싸웠는지를 생각할 때 거기에서 패배 직후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도 잘 알고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그 전투의 시작과 끝을 생생하게 직접 눈으로 보았을 수도 있다.[299] 그리스도인을 가리키는 '크리스천'의 일본식 발음이 기리시탄이다.[300] 선교사를 가리키는 일본어로 한자로는 伴天連이라고 쓰는데, 에스파냐어로 Padre로 '신부(사제)'라는 뜻이다.[301] 예수회 선교사 중에 프란시스코 카브랄(Francisco Cabral) 같은 경우는 기존의 예수회 선교사들과는 달리 일본 고유 문화들을 전부 야만스러운 것으로 간주해 금지하려 들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이래로 일본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전도나 설교할 때 승려처럼 가사를 입고 하는 것을 금지한 것이었다. 육식을 즐기지 않던 일본인들의 식습관도 프란시스코 카브랄에게는 '야만스러운 것'으로 교정의 대상이었다.[302] 라기보다는 그냥 네덜란드를 제외한 서양 국가와 무역 자체가 없었다.[303] 이에 반발해서 일본 내에서 기리시탄들이(그리고 도쿠가와 정권에 반대하는 옛 히데요시 정권의 가신들 및 세금에 시달리던 농민들) 규슈 서남쪽에서 시마바라의 난이라는 대규모 반란을 일으키며 포르투갈 본토의 원조를 받으려 했을 때, 에도 막부는 시마바라에 병력을 투입하는 동시에 네덜란드 상관장에게 군함을 지원받는 것으로 응수해 반란을 진압하기도 했다.[304] 다만 루이스 프로이스는 오다 노부나가가 겉으로만 불교 신자인 척하면서 실은 무신론자라고 자신의 일본사에서 깠다. 애초에 루이스 프로이스는 히데요시에 대해서도 육손이라느니 악덕에 오염되어 있다느니 까면서 오토모 소린 같은 기리시탄 다이묘는 엄청 우호적으로 기술하고 있어서 그 점을 감안하고 그가 남긴 글을 읽을 필요가 있다.[305] 에도 막부의 금교령은 그냥 "너 기독교 버릴래, 아니면 사형(또는 영구추방)당할래?"였다.[306] 기리시탄 다이묘들의 경우 자신의 영지 내에 있는 신사사찰우상숭배라는 이유로 헐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오토모 소린은 기리시탄으로 개종하면서 집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던 옥으로 된 달마상을 '우상'이라며 부숴 버렸고, 오무라 스미타다도 세례를 받은 뒤에 양아버지 오무라 스미사키의 위패를 불살라 버리고 불교 세력이나 가신들의 반발도 무력으로 찍어 눌렀다. 타카야마 우콘도 마찬가지로 세례받은 뒤에 그와 동시에 자신의 영지 내의 절과 신사를 허무는 정책을 실시했다. 일본 만화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 - 일륜의 데마르카시온에도 관련 묘사가 등장한다.[307] 정확하게는 히데요시 자신에 대한 반대파.[308]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us).[309] 세례명은 돈 프로타시오(Don Protasio).[310] 세례명은 유스토(Justus).[311] 세례명은 돈 프란체스코(Don Francisco).[312] 세례명은 돈 바르톨로메오(Dom Bartolomeu).[313] 세례명은 레온(Leon) 또는 레오(Leo).[314] 시코쿠의 토사 이치죠 씨의 당주인 이치죠 카네사다도 기리시탄이 되어 돈 파울로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하리마의 쿠로다 요시타카(쿠로다 간베에)도 돈 시메온(Don Simeon)이라는 세례명을 가진 기리시탄이었다.[315] 포르투갈을 뜻하는 불랑기와 포를 더한 합성어[316] 오토모 소린 같은 경우는 아예 불랑기포의 제조 기술까지 자체 보유하고 있었다.[317] 예수회 소속 초대 일본 준관구장이다.[318] 가스파르 코엘류는 이미 이 시점으로부터 1년 전인 덴쇼 13년(1585년) 규슈의 키리시탄 다이묘들과 이들을 앞세운 일본에서의 기독교 전도 활동을 지원하고자 루손(필리핀)에 일본으로의 함대 파견을 요청하고 있었으며, 바테렌 추방 이후 히데요시의 처분으로 나가사키의 예수회 영지가 히데요시 직할령으로 몰수당하자 이를 되찾겠다며 고니시 유키나가나 아리마 하루노부 등 기리시탄 다이묘들에게 군수물자를 지원받아 무력 행사를 벌이려 했지만, 고니시나 아리마는 모두 이를 거절했고, 이에 코엘류는 다시 마닐라, 마카오, 고아에 연락해 2,300명의 병력을 일본으로 급파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예수회 동인도 관찰구역 순찰사였던 알레산드로 발리냐노의 조치로 무산되었다.[319] 아자이 나가마사의 누나인 쿄고쿠 마리아에게 세례성사를 준 사람이다. 호소카와 가라샤가 죽은 뒤에 그 유해를 수습해 사카이의 크리스찬 묘지에 매장한 것도 그다.[출처13] 김시덕 <일본인 이야기>제1권, 224~226쪽[321] 본 항목에서 인용한 지금여기의 해당 논고 작성자 박종인도 "예수회원들이 1560년에 이미 수립했던 것은 전쟁이 아니라 조선 선교계획이었습니다. 일본으로 잡혀 와 있던 조선인들 중에 가톨릭 세례를 받은 이들이 생겨났고, 이들을 통해 이들의 고향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여겼던 것입니다.", "예수회 일본관구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일본으로 끌려온 조선인들에게 주목합니다. 그들에게 적극적으로 교리를 가르쳤으며, 조선인을 예수회에 입회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시킨 뒤 조선으로 파견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라고 해서 이미 조선으로의 전도 계획이 있었다는 것 자체는 긍정한다.[322] 유럽에서 태평양 건너 먼 길 오는데 무장을 하고 있는 것이 뭐 어때서 그러냐고 그리스도 신자들은 반발할지도 모르지만 콩키스타도르 과정에서 신대륙 및 동남아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히데요시의 예수회, 기독교에 대한 위기감이나 불쾌감이란 그가 살아온 센고쿠 시대의 감성이나 환경으로 비추어 보았을 때 히데요시의 이러한 경계심은 기독교라는 서양의 종교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편집증적인 망상이나 반기독교주의자들이 흔히 가지는 반기독교적 배타성이라고는 결코 말할 수가 없다.[323] 일본 만화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 - 일륜의 데마르카시온에서 이 일화가 각색되어 등장하는데, 극중 코엘류는 일본을 은근히 무시하며, 푸스타 호를 보고 감탄하는 히데요시 면전에서 대놓고 히데요시가 알아듣지 못하게 포르투갈어로 "멍청한 원숭이 야만인 놈들, 이런 놈들은 그냥 군함 가지고 와서 다 쓸어 버리면 전도도 수월하게 할 수 있을 텐데."라고 비웃고 옆에서 통역하다 놀라는 루이스 프로이스에게는 "내가 한 말 그대로 통역하지 말고 완성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만 해라"라고 지시하는데, 히데요시도 그런 코엘류 앞에서 못 알아들은 듯이 "이거 언제 완성되냐? 나 이거 빨리 갖고 싶어!"라며 촐싹대면서도 "이걸 기리시탄만 데리고 만들었단 말이지?"라고 중얼거리고, 코엘류와 헤어져서 돌아오는 길에 푸스타 호를 보고 감탄하는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아까와는 표정이 싹 바뀐 채 "멍청한 녀석, 코엘류 그놈 딱 봐도 우리를 대놓고 차별하는 눈으로 쳐다보던데, 그것도 눈치 못 챘느냐?"라고 핀잔을 주며, 서양을 경계해야 한다는 생각을 더 굳히게 된다.[324] 아리마 하루노부는 류조지의 공격이 거세지자 1580년에 예수회로부터 세례를 받고 기리시탄이 되는 조건으로 예수회로부터 식량과 자금 등의 지원을 받고, 사쓰마 시마즈 집안의 원군까지 얻어내어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류조지를 격파했다. 이를 계기로 우라카미 촌을 예수회에 기진한 것이다. 우라카미는 일본에서 최초로 유럽식 중등 교육 기관으로 평가되는 '아리마 세미나리오(중학교)'가 설치되었고, 덴쇼 견구사절단이나 게이초 견구사절단 모두 여기 아리마 세미나리오 교육생 출신들이 발탁되었다고.[출처14] 윤재필 《16세기 예수회의 일본선교 연구》(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및 조용준 《메이지 유신이 조선에 묻다》[326] 전쟁 초기에는 현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조선군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하여 조선을 단순히 지나가는 통로 취급했지만 조명연합군의 반격에 직면하면서, 전략 목표가 이전보다는 현실적으로 수정되었다.[327] 일본 내에서는 우익 성향을 중심으로 전쟁 도중에 일본의 절대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여 일본이 조선에서 철군했을 뿐이라며 조선이 승리한 전쟁임을 부정하고 애둘러 역사왜곡 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명백하게 사실이 아니다. 일본이 유리한 고지를 점한 상황에서 지도자 1인이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점령한 영토를 그냥 두고 철군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비추어보아도 말이 안되는 일이다. 전황이 점점 불리해지고 패색이 짙어져서 일본 내에서도 사기가 떨어지고 전쟁에 회의감을 가지게 되었던 상황에서, 전쟁을 고집하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함으로써 이를 명분으로 철군했다고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한 해석이다. 철군 조차도 순조롭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추격해온 조명 연합수군에게 응징을 당했다. 국내외 역사학자들도 임진왜란은 결과적으로 조선이 승리한 것으로 본다.[328] 이에 대한 근거로 삼는 것이 당시 일본의 2인자이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비롯한 몇몇 다이묘가 1명의 병사도 보내지 않았다는 점을 든다. 즉 일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징병이나 물자 징발이 없었으니 일본이라는 하나의 국가가 치른 전쟁이 아니라는 주장. 물론 허무맹랑한 날조일 뿐 일본 역시도 모든 국력을 쏟아부은 총력전이었다.[329]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의 국토가 황폐화되었고 조선을 도와 참전한 명나라도 결국 이 전쟁에서 소모한 국력이 몰락원인 중 하나가 되어 멸망했으므로 완전한 승리라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으나 피해 정도나 전쟁 이후 정권의 존속여부와 전쟁의 승패는 무관하다. 세계사적으로도 침략군이 방어하는 쪽에 밀려 퇴각하면 해당 전쟁은 방어 진영의 승리고 침략국의 패배로 본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이 전후복구 과정에서 대영제국의 막강한 국력을 잃었다고 해서 패전국으로 보는 경우는 없다.[330] 대마도주가 중간에서 내용을 조작했다는 사실을 조선 조정은 처음부터 알고 있었으나 일이 꼬이는 것을 원치 않아 묵인했고, 대마도주의 조작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에도 막부도 결과적으로 묵인하면서 근대까지 평화 관계가 유지되었다.[331] 창덕궁과 창경궁은 전쟁이 끝난 후 복원하였다. 하지만 경복궁의 경우 큰 규모라서 조선 정부도 복원하는 데 엄두를 내지 못하였고, 19세기 말 흥선대원군이 중건할 때까지 폐허로 방치되었다.[332] 정확히는 승정원일기는 인조 1년(1623), 비변사등록은 광해군 9년(1617)부터.[333] 비슷하게 조선 후기 왕들의 어진들은 6.25 전쟁 휴전 후 발생한 부산 용두산 대화재로 대다수가 소실되었다.[334] 이와 비슷한 사례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의 영국이 있다. 영국은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가장 핵심적인 식민지였던 인도까지 독립을 승인해주면서까지 전후복구에 총력을 들여야만 했다. 이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최강대국의 자리를 미국에 빼앗긴 영국은 계속해서 국력의 하락세를 그리며 꾸준히 내리막을 걷게 되며, 80년대 마거릿 대처 시대 이후 어느 정도 위신을 높이는가 싶더니 다시 브렉시트 사태 이후로 국력이 더욱 쪼그라드는 처지가 되었다. 영국이라는 나라가 그동안 수많은 식민지를 개척하며 이룩한 그 막강한 국력을 대부분 잃어버렸음에도, 입헌군주제에 기초한 민주적 정치시스템을 근간으로 하는 유럽의 강국, 영연방을 기반으로 옛 식민지들과의 관계를 주도하는 세계의 강대국이라는 지위만은 지켜낸 것이다.[335] 가령 중들도 이렇게 열심히 싸우는데 우리들은 뭐하냐는 식으로. 조선 시대에 승려는 도성 출입 금지, 유생들의 사찰 훼손 같은 각종 불이익과 수모를 받았다. 사명당이 일본 군영을 살펴보고 일본군과의 전투를 독려하는 글을 올리자 중이라도 말 참 잘했다는 사관의 논평이 실록에 실릴 정도였다.[336] 실제로 명나라는 이후 재조지은의 논리를 내세우면서 조선에 상당히 무리한 요구를 하게 된다. 사신들의 개인적인 뇌물 받기, 모문룡의 행패 등이 겹쳐 현대 한국에서 명나라에 대한 반감이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337] 특히 사르후 전투송산 전투에서 청군에 참패하여 청에 대한 예방 전쟁이 불가능해졌다.[338] 일례로, 이순신에게 주력 함대 대부분을 잃었는데 여기서 일방적으로 파괴되는 일본 배들은 각 번들의 입장에서는 억소리 나는 손해였다. 거기다 이를 운용하던 숙달된 선원들을 상실하면서 왜구 등을 통해 대대로 확보해온 항해술과 해상 전투 기술이 실전되었다. 사실 전쟁이 나면 가장 직접적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군의 실질적인 운용을 책임지는 중간지휘관들, 장교단의 상실이다. 임진왜란으로 인해 일본군은 수전 조련에 능한 우수한 장교단을 거의 다 잃어버렸고, 훗날 메이지 유신으로 서양의 해군 제도를 받아들여 일본 제국 해군을 건설하기 전까지의 30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단 한 번도 도요토미 시대만큼의 해상 전력을 갖지 못했다. 물론 여기에는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으로 대외 진출용 선박의 건조가 대부분 금지된 것도 한몫했다.[339] 일본도 중앙 정부가 그나마 강력하던 헤이안 시대 이전에는 육국사로 불리는 정사 역사서가 있지만 전국 시대 무렵에는 중앙 정부가 이미 무력해졌다.[340] 이것을 가지고 태평양 전쟁과 비교하는 주장도 있으나 이것은 명백히 오류가 넘치는 주장으로 애초에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이후 경제 급성장할 수 있었던 건 한국전쟁 때문이 결정적으로 일본이 태평양전쟁 일으켜서가 아니다. 반면 임진왜란 때는 일본이 임진왜란을 통해서 도자기 산업이 발달되고 전쟁으로 나름 경제적인 이득을 본건 사실이다.[341] 이런 식으로 전쟁에서 패배했으나 도리어 국력을 크게 신장한 사례는 매우 많다. 대표적으로 고구려 원정과 대진국 정벌에서 실패한 당나라가 그랬고, 러일전쟁에서 패배한 러시아 제국이 나중에 소련이라는 새로운 국가를 세워 제2세계의 맹주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 패배한 독일도 전쟁 복구 이후에 유럽에서 손꼽히는 대국으로 금세 입지를 회복하였다. 훗날 일본도 제2차 세계대전 패망 이후 전쟁 복구에 성공하여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시기에 세계 제 2의 경제대국으로서 정점을 찍는다.[342] 한국에서는 실학의 영향으로 청나라가 개방되고 진보적인 국가였다는 인식이 퍼져 있는데, 청나라는 중국 왕조를 통틀어서도 손꼽히게 폐쇄적인 무역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했던 왕조이다. 물론, 실학자들이 강희-옹정-건륭 초기의 최전성기를 주목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청나라의 발전상에 대한 실학자들의 인식을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 이 무렵의 청나라는 폐쇄무역을 했다고는해도, 신대륙의 막대한 은이 유입되며 세계에서 손꼽히는 부국이었다. 무력으로 러시아를 제압한 나선정벌준가르 토벌로 대표되는 강력한 군사력,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 홍루몽 등의 뛰어난 서민문학이 널리 퍼질 정도로 인문예술도 수준급이었다. 청나라의 미술품도 서양의 시누아즈리 유행에 영향을 끼쳤다.[343] 이 정신나간 세율 때문에 마비키라는 악습도 생겨날 정도였다.[344] 당시 막대한 생산량을 자랑하던 은광은 대영주들의 차지였고, 도자기 산업의 경우에는 임란 이후 조선인 도공들이 발전시키기 전까지는 일천했다.[345] 반대로 한국에선 벽제관 전투 정도가 임진왜란 과정에서 전환점 중 하나기 때문에 교과서에도 언급되는 정도인데, 사실 그것조차 대중적 인지도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346] 사실 21세기 들어서도 아마추어 역사 네티즌들은 외국 기록을 접하기 어렵다보니 사천성 전투의 주력 부대는 명군이었음에도 조선군이 쳐들어온 것으로 아는 경우도 많은 모양이다.[347] 물론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허접한 장수라는 건 아니다. 조선 3대 패전 중 하나인 용인 전투를 지휘한 일본 지휘관이 와키자카 야스하루였다. 그런데도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일본 내 인지도가 낮은 이유는 그의 고쿠다카가 고작 3만 석에 불과했기 때문이었다.[348] 사실 고니시 유키나가도 비슷한 반응을 얻었다. 반면 가토 기요마사 등은 인지도가 꽤 있는 편인데, 결국 일본인들이 아는 이 시대 장수라는 건 전국시대(센고쿠시대) 당시 일본내에서 활약한 장수와 어느 정도 고쿠다카를 갖춘 장수 위주이기 때문이다. 가토 기요마사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고쿠다카가 52만 석으로 2배 이상 커졌다. 당연한 얘기지만 비슷한 체급의 고니시 유키나가가 처형 당하면서 그의 고쿠다카를 가토가 먹어치웠기 때문이다.[349] 그 중에서도 명나라군이 더 많은 주축이었다.[350] 실제로는 조명연합군 약 30,000명이 참전했다.[출처15] 한국의 판타지 백과사전/ 도현신 지음/ 생각비행/ 143~145쪽[352] 명나라의 뒤를 이은 청나라의 경우 초기에는 군대가 국가가 아닌 부족의 소속이었다가, 중원 입관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중국화되면서 관료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점차 명나라와 비슷하게 군인이 국가의 소속인 경향이 강해졌다.[353] 이순신과 녹둔도에서 근무했던 동료로, 이순신이 백의종군하게 된 계기인 녹둔도 전투에도 함께 참여했고 백의종군 또한 함께 했다.[354] 본래는 주격 조사로 '이'와 그 이형태인 'ㅣ' 및 'Ø(영형태)'가 쓰였으나, 이 중 '이'만 체언에 받침이 있을 때 쓰게 되었고 체언에 받침이 없을 때 쓴 'ㅣ'와 'Ø'의 역할을 '가'가 대신하게 되었다.[355] 조선왕조실록 선조 실록 선조 31년 5월 26일. 여기에는 파랑국(波浪國) 사람이라고 기록되었다.[356] 고추와 담배의 원산지는 에콰도르브라질남미 북부지역인데 포르투갈인들이 이쪽으로 진출해서 캐온 것들이다.[357] 일본인들은 Tobacco를 담박괴’(淡泊塊)라 음차표기 했는데, 이게 한국에서 담바귀로, 그러다 담배로 정착되었다. 고추는 일본군이 생화학 무기처럼 사용하기도 했고 담배는 동래 인근에 많이 심었다.[358] 그런데 여기서도 다른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상기한 주장이 사실이라면 고추가 16세기 ~ 17세기부터에나 수입되었고, 그 짧은 기간동안 고추장은 물론이고 지역별로 가지각색인 지역 고유의 김치들이 불과 2세기, 3세기만에 생겨나 정착했다는 말이 된다는 소리인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조선 시대 당시 기록에 고추를 일본(왜)에서 들어왔다고 왜초(성호사설), 왜자개(지봉유설) 등으로 부르는 것이 남아있고, 궁중 요리에서는 고종 재위기인 20세기 초까지도 고추를 잘 쓰지 않았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결정적으로 고추는 아메리카 대륙 원산인 작물이니 콜럼버스가 아메리카에 도달한 1492년 이전에는 구대륙에 존재할 수조차 없다.[359] 다만, 류큐는 국력의 한계로 얼마나 군대를 보낼 수 있었을지 큰 도움이 됐을지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태국의 경우는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이웃국가이자 강대국인 버마의 대규모 침략을 여러차례 받아 수도 인근에서 왕이 직접 친정하여 대규모 회전을 벌였을 정도였는데, 때문에 전근대 시절 운송, 보급의 한계나 당시 국난이었던 자국 형편을 고려하면 태국 역시 회의적이었을지 모른다는 지적이 부흥에 올라오기도 했다.[360]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를 말한다. 후금을 세우기 전에도 이미 그 지역의 실력자였고 사실상의 지배자였다.[361] 이 내용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고 인터넷 상에서 떠돌다가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나라가 명나라 포함 10개국이라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나라 이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있는데, 명나라, 파랑국에 위에 언급된 아유타야(태국), 류큐, 여진에다가 몽골, 천축(인도), 월남, 참파, 버마 등을 포함했다. 근데 실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들 상당수 나라를 진지하게 정복할 생각을 했었다는 거니 사실 지금 와서 보면 현실 인식도 많이 부족한 정복욕의 화신이었다.[362] 금선자 이언휴는 산에 묻혀 도를 닦는 사람이였는데 전국 방방곡곡과 일본 일부를 돌아다니며 조선을 침공하기 위해 사전에 침투한 일본의 스파이들의 존재를 자세히 설명하기도 했고 훗날 요동을 둘러보며 명나라의 쇠망과 만주족의 발흥을 예견했다고도 한다. 이미 상술했듯이 당시 조선 정부에서 곧 전쟁이 날 것이라는 암묵적인 동의와 소소한 준비가 있었기에 어떤 초인적인 능력이나 도술을 부려 미래를 예견했다기보다는 금선자 개인이 이런 분위기에 맞춰 주변 정세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탐방을 하며 일종의 정보분석을 한 것으로 보인다.[363] 당시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도 이 말에 낚이기는 했지만 도리어 '3천년간 무패였어? 그럼 이번엔 깨질 때가 됐네.'라는 반응을 보이며 오히려 자신감을 보였다. 진주만 공습 덕분에 참전에 회의적이던 미국을 동맹국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364] 임진왜란의 주요 전투에 여럿 참전했으나 대부분 주장(主將)이 아니라서 세간에 덜 알려졌다. 주요전투에 참전할 때의 관직이 모두 다른지라 전부 표기. 1592년 전라도 수군 절도사로 한산도 대첩에 참가, 1593년 전라도 병마 절도사로 행주대첩 참가, 1594년 충청도 병마 절도사로 장문포 해전에 조력. 1598년 2차 울산성 전투 당시 부원수 겸 황해도 병마 절도사.[365] 사충신 문서 참조.[366] 사충신문서 참조.[367] 사충신 문서 참조.[368] 사충신 문서 참조.[369] 관직을 버리고 귀향한 지 2개월 만에 임란이 발발하자 64세의 나이에 의병청을 설치하고 주위에 격문을 돌린 이정란은 집안 재산을 정리해 병기를 마련했다. 500여 의병으로 비어있던 전주성을 지켰다. 정협과 윤계를 종사관으로 삼아 군령을 엄하게 하고 화살 하나도 헛되이 하지 말라고 명령했다. 남하하는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가 거느린 수천의 왜적이 1592년 7월 9일 웅치를 넘어 전주성으로 진격하자 군세를 위장하기로 마음먹은 정란은 전주성 외성인 남고산성에 깃발 수만개 배치하고 억경대에서 먼지를 일으켜 공략을 막았다. 동쪽에 진을 치고 있던 정협에게 남고산성 요로에 매복하도록 지시해 왜적 척후병 4명을 붙잡아 3명을 죽이고 1명은 전주성에 대규모 군사가 주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풀어줬다. 한밤중에 성밖에 주둔한 왜적을 기습 공격해 700여 명을 사살했다. 이후에도 왜적은 전주성을 침략했으나 정란의 허장성세 전략에 속아 철수해버렸다. 명과 왜적의 강화회의로 전쟁이 소강기에 접어들면서 다시 관직에 나간 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전주성 부장을 맡게 됐다. 68세의 정란은 자신의 전략을 전주부윤 박경신이 반대하자 상경해 조정 중신들에게 호소, 전주부윤과 삼도소모사를 제수받았다. 그러나 전주성으로 돌아오자 이미 박경신은 군량을 모두 불태우고 달아난 뒤였다. 왜적이 후퇴하자 명나라군의 약탈을 말리고 왜적을 쫓아가 300여 명을 죽였다[370] 호는 낙포(洛浦),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팔공산 부인사에서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낙애(洛涯) 정광천(鄭光天), 태암(苔巖) 이주(李輈) 등과 향회를 열어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결성하고 하빈현(河濱縣) 대장을 맡았다.이종문의 부친 이경두(李慶斗)와 아우 종택(宗澤)도 의병활동에 동참하엿으며 이들은 군량과 군수품을 제공해 의병장 곽재우(郭再祐)를 도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1604년(선조 37)에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낙동강 가에 하목정(霞鶩亭)을 지었는데, 인조가 능양군 시절 하목정에 유숙한 적이 있었다. 이런 인연으로 인조가 왕위에 오른 뒤에 이종문의 장자 수월당(水月堂) 이지영(李之英)에게 ‘하목정(霞鶩亭)’이라는 현판을 하사하였다. ‘하목(霞鶩)’은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지는 노을은 외로운 따오기와 나란히 날고, 가을 강물은 끝없는 하늘과 한 색이다.낙하여고목제비(落霞與孤鶩齊飛) 추수공장천일색(秋水共長天一色)”라고 한 데서 취한 것이다.후손들이 이종문(李宗文)의 유문을 수습하여 문집인 『낙포집(洛浦集)』을 편찬하고, 1897년 김근중(金根重)이 다른 후손들의 문집과 함께 엮어 이 『전성세고(全城世稿)』로 간행하였다.[371] 전쟁 와중에 각종 공문서들을 열람하고 주위에서 들은 소문들을 토대로 난중잡록이라는 문헌을 썼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