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1454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임진왜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rowcolor=#888> 울산광역시 울주군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rowcolor=#aaa> 서생포왜성 西生浦倭城 | ‡ 임랑포왜성 林浪浦倭城 | 기장왜성 | 죽성리왜성 機張倭城 | 竹城里倭城 | ||||
<rowcolor=#888> 부산광역시 동구 | 부산광역시 동구 | |||||
<rowcolor=#aaa> ‡ 동래왜성 | 동래읍성 東萊倭城 | 東萊邑城 | 부산포왜성 | 증산왜성 釜山浦倭城 | 甑山倭城 | 자성대왜성 | 부산진성 子城臺倭城 | 釜山鎭城 | ||||
부산광역시 영도 | 부산광역시 중구 | 부산광역시 북구 | ||||
<rowcolor=#aaa> ‡ 추목도왜성 | 동삼동왜성 椎木島倭城 | 東三洞倭城 | † 박문구왜성 | 중앙동왜성 迫門口倭城 | 中央洞倭城 | 구포왜성 龜浦倭城 | ||||
<rowcolor=#888>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죽도왜성 | 김해왜성 竹島倭城 | 金海倭城 | ‡ 눌차도왜성 | 가덕도왜성 訥次島倭城 | 加德島倭城 | 안골포왜성 安骨浦倭城 | ||||
<rowcolor=#888> 경상남도 창원시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웅천왜성 熊川倭城 | ‡ 명동왜성 | 삼포진 明洞倭城 | 森浦陳 | 영등포왜성 | 구영등성 永登浦倭城 | 舊永登城 | ||||
<rowcolor=#888> 경상남도 거제시 | <#01454F> | |||||
<rowcolor=#aaa> 송진포왜성 松眞浦倭城 | 장문포왜성 長門浦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유재란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울산광역시 중구 | 경상남도 양산시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울산왜성 蔚山倭城 | 양산왜성 | 증산리왜성 梁山倭城 | 甑山里倭城 | ‡ 합포왜성 | 마산왜성 合浦倭城 | 馬山倭城 | ||||
경상남도 거제시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남도 진주시 | ||||
<rowcolor=#aaa> ‡ 견내량왜성 | 광리왜성 見乃梁倭城 | 廣里倭城 | ‡ 고성왜성 | 고성읍성 固城倭城 | 固城邑城 | † 망진산왜성 望晉山倭城 | ||||
경상남도 사천시 | 경상남도 남해군 | 전라남도 순천시 | ||||
<rowcolor=#aaa> 사천왜성 | 선진리성 泗川倭城 | 船津里城 | 남해왜성 | 선소리왜성 南海倭城 | 船所里倭城 | 순천왜성 順天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산성개축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부산광역시 강서구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 갈마봉산성 | 성북왜성 渴馬峰山城 | 城北倭城 | ‡ 율포산성 栗浦山城 | ‡ 탑포산성 塔浦山城 |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 자마산성 子馬山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시기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경상남도 양산시 | 경상남도 김해시 | |||
<rowcolor=#aaa> † 호포왜성 弧浦倭城 | ‡ 마사리왜성 馬沙里倭城 | ‡ 농소리왜성 農所里倭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2em" {{{#!folding [ 위치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남도 사천시? | 전라남도 광양시? |
<rowcolor=#aaa> § 영춘왜채 永春倭寨 | § 곤양왜채 昆陽倭寨 | § 광양왜채 光陽倭寨 | ||||
전라남도 구례군? | ||||||
<rowcolor=#aaa> § 구례왜채 求禮倭寨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30%;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실체불명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부산광역시 사하구 | 경상남도 거제시 | |||
<rowcolor=#aaa> † ¶ 서평포진성 西平浦鎭城 | ‡ ¶ 다대포진성 多大浦鎭城 | ¶ 지세포진성 知世浦鎭城 | ||||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 | 경기도 평택시 | ||||
<rowcolor=#aaa> ‡ ¶ 임진산성 | 풍덕천진 壬辰山城 | 豊德川陳 | § 백련봉진 白蓮峰陳 | ¶ 농성 農城 | ||||
서울특별시 중구 | 평안남도 ??? | <#01454F> | ||||
<rowcolor=#aaa> † ¶ 왜성대 倭城臺 | § 마상산왜성 馬上山倭城 | }}}}}}}}} † : 멸실 ‡ : 멸실 위기 ¶ : 왜성으로 구전 / 개축 기록 불확실 § : 일본 측 자료에만 수록 / 상세 확인 불가}}} |
<colbgcolor=#01454F><colcolor=#fff> 순천왜성 順天倭城 | Suncheon Japanese Castle | |
▲천수각 터 | |
형태 | 왜성 |
면적 | 188,428m² |
건설 | 1597년 (선조 30년) |
고니시 유키나가, 우키타 히데이에 | |
폐성 | 1598년 (선조 31년) |
주소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산 1 |
[clearfix]
1. 개요
순천왜성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있는 왜성으로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주둔했던 곳이다. 이곳에서 조선과 명나라의 육군과 수군의 연합군과 왜군 사이에 있었던 전투가 왜교성 전투다. 1997년 이전까진 '승주 신성리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2. 내용
순천왜성은 정유재란 당시 왜군들이 호남 지역의 최후 공격, 방어 기지로 쓰기 위해 축조되었다. 순천의 지리적 특성상 호남을 다시 공략하기도 쉽고, 일본의 규슈지방으로 퇴각하기도 수월했기 때문이었다.국내에 있는 왜성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본래의 모습이 어느 정도 보존되긴 했지만, 서생포왜성과 더불어 그나마 가장 보존상태가 좋을 뿐이지 상당수가 헐렸다. 사실 당연한 일이다. 왜군이 만든 성이라는 점도 있었지만 임진왜란 끝나고 조선에서도 군대가 배치하기에는 맞지 않으니[1] 그냥 헐어서 다른 건물 재료로 쓰는 것이 더 나았기 때문에 관리를 할 이유가 없다. 그리고 조선군이 주둔한다고 해도 왜군이 지은 석축은 조선군이 쌓은 석축보다 빠르게 올릴 수는 있지만 내구력 자체는 약해 시간이 지나면서 비교적 빨리 허물어지는 편이었기에 왜성을 재활용하여 세운 조선군 읍성도 오래갈 수 없었다.
순천왜성은 일제강점기에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계속 이어져서 '승주 신성리성'이란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사적 제49호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우리 문화재라기보다는 일본의 문화재에 가까운 왜성을 굳이 국가 지정 사적으로 보호해야 하느냐는 비판의 소리가 점차 커지자, 문화재청은 1997년 1월 1일자로 순천왜성을 사적에서 지정해제하면서 지방 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권고하였다. 이에 순천왜성은 1999년 2월 26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71호로 재지정됐다.
3. 성 구조
순천왜성 구조 |
평산성으로 제일 외곽에 제1외성이 있고 그뒤로 해자, 제2외성, 제3외성, 내성이 있다. 들어가면 고니시 유키나가가 머물던 천수각 터[2]가 있다.
또한 제3외성에는 배가 들어오는 선입지가 있었다. 현재는 간척 사업으로 순천왜성 주변이 육지가 되어서 바다가 있던 옛 모습은 사라졌다.
4. 여담
- 위치가 해룡면 신성리라는 여수-순천(여순로) 중간쯤에 있는데 상당히 외져서 대중교통도 매우 불편하다. 순천버스 21번이나 광양 버스 3번을 타고 신성리 왜성 정류장이나 조금 떨어진 현대제철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와야 하는데, 두 노선을 합쳐도 하루에 8대만 운행한다. 따라서 자가용이나 택시가 필수다.
- 차로 갈 경우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117 일대가 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비포장 흙바닥이고 주차구획등도 없지만, 순천시 주요 관광지 안내 간판이 있어서 주차장으로 쓰이는 공간임을 보여주고 있다.
- 순천왜성 근처엔 충무사가 있다. 왜교성 전투에서 죽은 왜귀들이 출몰해 흉흉한 분위기가 돌자 이들을 가라앉히려면 충무공을 모셔야 한단 의견으로 사당을 세운 것이며, 이 후 왜귀들이 사라졌단 전승이 있다. 이를 못마땅해한 일본인들이 1943년 사당을 불태워버려서 현재의 사당은 해방후 다시 복원하여 지은 것이다.
- 전라남도에 유일하게 남은 왜성이다.
- 일본인 단체 관광객들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이다. 특히 역사 매니아인 일본인들에게 인기가 있다. 성 아래 안내판에는 일본어 설명도 있다.
5. 대중매체
- 노량 죽음의 바다에 출연한다.
6.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순천왜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승주신성리성
-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신성리 왜성
- 답사여행의 길잡이 11 - 한려수도와 제주도: 승주 신성리성
- 대한민국 구석구석: 순천왜성
- 문화원형백과 - 한민족 전투: 순천왜성
- 두산백과: 순천 왜성
- 두산백과: 승주 신성리성
7. 전라남도 기념물 제171호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에 있는 낮은 구릉지대에 내·외성 2중으로 돌로 쌓아 만든 성이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왜장 소서행이 일본군의 호남 공격을 위한 전진기지 겸 최후 방어기지로 삼기 위하여 쌓은 왜성이다.
순천왜성은 왜교 또는 예교(曳橋)라 하며 일본사람들은 순천성이라 부르고 있고, 1997년 1월 1일 국가 사적 제49호에서 해제되기 전까지는 ‘승주 신성리성’으로 불려왔다.
성벽은 외성 3첩과 내성 3첩으로 쌓았는데 내성만 그 흔적이 분명하고 외성은 분명치 않으며, 성 주위에는 연못을 둘러 판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성은 1598년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군과 소서행장이 이끄는 왜군 사이에 최대의 결전이 벌어진 곳이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소서행장을 노량 앞바다로 유인하여 대승을 거둔 유서깊은 곳이기도 하다.
순천왜성은 왜교 또는 예교(曳橋)라 하며 일본사람들은 순천성이라 부르고 있고, 1997년 1월 1일 국가 사적 제49호에서 해제되기 전까지는 ‘승주 신성리성’으로 불려왔다.
성벽은 외성 3첩과 내성 3첩으로 쌓았는데 내성만 그 흔적이 분명하고 외성은 분명치 않으며, 성 주위에는 연못을 둘러 판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성은 1598년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군과 소서행장이 이끄는 왜군 사이에 최대의 결전이 벌어진 곳이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소서행장을 노량 앞바다로 유인하여 대승을 거둔 유서깊은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