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09:24:22

미륵산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10호[1] 12호 13호
남원 유곡리 및 두락리 고분군 익산 미륵산성 익산 낭산산성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2호
익산 미륵산성
益山 彌勒山城 | Mireuksanseong Fortress
<colbgcolor=#024694><colcolor=#fff>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124-1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 면적 일곽
지정연도 1973년 6월 23일
건축시기 고조선[2],통일신라[3]
파일:익산시의 미륵산성.jpg
<colbgcolor=#344c3c> 미륵산성

1. 개요2. 역사3. 문화재청 소개글

[clearfix]

1. 개요

미륵산성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124-1번지 미륵산에 위치한 산성이다.

2. 역사

고조선 시대 준왕이 이곳으로 내려와 쌓았다고 하여 기준산성이라고도 불렸고, 혹은 용화산성이라 부르기도 하였다.[4] 혹은 마한의 여러 나라 가운데, 익산 지역에서 유력한 세력을 가지고 있던 나라가 쌓았다는 설도 있다.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 와유록, 익산군지 등에 산성에 대한 기록이 있다. 고려 초기 태조후백제신검을 쫓을 때 여기서 항복을 받았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에 따르면 둘레 3900척, 높이 8척이었다. 또한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미륵산성에 군창이 있었던 모양이다.

영조 14년(1738) 강후진이 쓴 '와유록(臥遊錄)'에 미륵산성이 버러졌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18세기에는 이미 성곽으로서 기능을 상실된 듯하다.

미륵산성은 1973년 6월 23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

3. 문화재청 소개글

문화재청 소개글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산에 위치한 이 산성은 일명 ‘용화산성’으로 불리는데, 옛날에는 미륵산을 용화산이라 했기 때문이다.

고조선시대 기준왕이 이곳으로 내려와 쌓았다고 하여‘기준성’이라고도 부르기도 하지만, 마한의 여러 나라 중 하나가 이곳을 중심으로 세력을 누리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산성도 그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태조가 후백제의 신검과 견훤을 쫓을 때 이를 토벌하여 마성에서 신검의 항복을 받았다고 하는데, 그 마성이 바로 이 산성이다.[5]

미륵산성은 둘레 약 1287m, 높이 2.4m이며, 정상에서 사방으로 능선을 따라 성이 만들어졌고, 그 중 하나는 물 흐르는 곳을 향하여 내려가는데 여기에는 동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문에는 작은 성을 따로 쌓아 방어에 유리하게 하였으며, 성안에서는 돌화살촉, 포석환 등 기타 유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1] 11호 〈무장남문과 토성〉은 1991년 2월 26일 해제되고 사적 제346호로 승격했다.[2] 문헌기록 한정.[3]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미륵산성은 운용시기가 최소 통일신라 이후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백제 초축설에 대한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조사성과로는 백제시대 유구가 발견되고 있지 않고 있다.[4] 미륵산의 옛날 명칭은 용화산이다.[5] 설명에 오류가 있는 듯한데 이때 견훤은 신검의 쿠데타로 쫓겨났다가 간신히 탈출하여 고려에 투항해 왕건과 함께 하던 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