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3:13:05

단양 적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65호
단양 적성
丹陽 赤城
Jeockseong Fortress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 산3-1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64,879㎡
지정연도 1979년 7월 26일
제작시기 신라 진흥왕
위치
}}}}}}}}} ||
파일:DYJSREAL_.jpg
파일:단양적성.jpg
<colbgcolor=#344c3c> 단양 적성[1]
1. 개요2. 조사 내용3. 외부 링크4. 사적 제265호

[clearfix]

1. 개요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에 위치한 신라산성이다. 사적265호로 지정되었다.

2. 조사 내용

신라에 의해서 축성된 중원진출의 주요 교두보로 평가받는 산성으로 산성 그 자체보다도 단양 신라 적성비로도 유명하다. 동쪽은 죽령천, 서쪽은 단양천이 적성이 북쪽으로 흐르는 남한강에 합류하여 남쪽 빼고는 모두 하천으로 둘러싸여 있는 요충지이다. 성의 규모는 위의 제원표에도 나와있듯이 그렇게 대형의 성곽은 아닌데, 단양군의 지형상 대형 성곽이 자리하기 어려운 점도 있겠지만 신라도 이 단양지역을 영유, 북진하면서 통과할 때에 그렇게 크지 않은 규모로 비교적 소규모 거점으로 삼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양 적성이 의외로 황당한 것은 국도로 가기에는 여간 불편하지만 중앙고속도로로 가면 단양팔경휴게소(춘천방면)에 내려서 바로 뒤로 걸어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며, 해발고도도 그렇게 높지 않다.[2] 굳이 올라가지 않더라도 휴게소 바깥으로 형성된 주차장까지만 가더라도 단양 적성을 전체를 충분히 볼 수 있다.

그렇게 휴게소에서 바로 나와서 보면 단양 적성의 남벽 전체가 눈에 들어오는데, 신라 산성의 특징 중의 하나인 현문식(懸門式) 성문의 흔적을 볼 수 있다. 성문을 따로 완전히 뚫어놓은 것이 아니라 살짝 낮게 해두되 성 내부에서 다리를 놓아주지 않으면 올라갈 수 없는 형태의 전술적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파일:DYJS_interior.jpg
<colbgcolor=#344c3c> 단양 적성 동문. 경고표지판 오른쪽이 석환무지이다.[3]
동문 역시 현문식 구조이며 안쪽에서 볼 때는 계단도 설치되어 있고 멀쩡해보이지만 밖에서 성벽을 보게되면 현재 설치된 계단이 없으면 올라갈 수 없는 구조이다. 특히나 동문 안쪽에서는 석환(石丸) 무지가 확인되었는데 수성을 대비한 석환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석환 무지[4]들은 단양 적성 외에도 신라 산성인 경우에는 인근 영춘면의 온달산성, 충주 장미산성, 문경 고모산성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그 밖에도 고구려 유적인 구 청원군 남성골유적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여수 고락산성에서도 출토되었다.

단양 적성을 포함하여 온달산성, 영월 정양산성, 대야산성, 정선 고성리 산성, 애산리 산성, 송계리 산성 등과 함께 6세기 중엽부터 신라의 구 영역인 영남지역에서 벗어나서 형성되기 시작하는 주요 방어선이자 거점시설로 평가받고 있다.

3. 외부 링크

4. 사적 제265호

단양 성재산에 있는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주위가 약 900m이나 대부분 붕괴되고, 북동쪽에는 안팎으로 겹쳐 쌓은 부분의 안쪽 성벽이 일부 남아있다.

성의 남서쪽, 남쪽, 동남쪽의 3곳에 문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성벽의 절단부가 있다. 북쪽은 남한강과 가파른 절벽의 자연적인 지리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고 있다.

1978년 성내에서 적성비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의 세력관계 변동을 알 수 있다. 비석외에 삼국시대의 토기조각과 기와조각도 발견되고 있으며, 고려시대의 유물도 있어 대략 고려 후기까지 오늘날의 단양지방을 다스리는 읍성의 구실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축성방법이 매우 견고하게 되어있어, 신라의 성 쌓기 기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1]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애초에 고속도로가 교량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많이 올라갈 필요도 없다.[3] 일찍이 발굴조사 없이 공원화 복원 정비를 거쳤기 때문에 원래의 모습을 상당히 잃은 편이다. 경고표지판이 붙어있는 것도 복원 이후 붕괴된 부분을 다시 정비하면서 일부 발굴조사를 겸했던 당시의 모습이다.[4] 통상 한 곳에 석환을 몰아두었던 것을 발굴한 것이기 때문에 유구(遺構)의 개념으로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