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0C420><colcolor=#ffffff> 심유경 沈惟敬 | |
이름 | 심유경(沈惟敬) |
출생 | 1537년 |
대명 절강성 가흥부 평호현[1] | |
사망 | 1597년 (향년 60세) |
대명 | |
국적 | 대명 |
[clearfix]
1. 개요
沈惟敬 (Shěn Wéijìng / 선웨이징)[2]명나라 말기 인물. 가흥 지역에서 태어났으며 임진왜란 당시 일본과 강화 교섭을 추진한 인물로 알려져있다.
2. 생애
명사에는 심유경이 시중의 무뢰한이라 되어있는데, 추정컨대 아마 한미한 출신이었던 것 같다.스스로는 가정 연간에 절직총독 호종헌의 수하에 있으면서 간첩을 사용해 왜인을 많이 독살해 왜국의 사정을 잘 알고 있다고 조정에 글을 올려 이로 인해 조선으로 갈 수 있었고, 왜적의 실정을 정탐하는 것을 편의대로 처리하도록 허락받았다고 했다.
임진왜란 발발 후 병부상서 석성의 추천으로 조선에 파견되어, 일본과의 평화 협상을 위해 고니시 유키나가와 접촉했다. 1593년에는 일본까지 건너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만나기도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히데요시의 현실성 없는 요구 등으로 협상이 난항을 겪자 고니시와 공모해 문서를 조작하기로 했는데, 이를 사이쇼 조타이가 무시하고 명에서 보낸 문서 그대로 읽어버려 거짓이 들통났다는 식의 이야기가 꽤 유명하다. 하지만 알고보면 이 스토리는 허구라고 한다. 실제로 협상한 건 맞지만 사이쇼 조타이 내용 등은 이후 일본에서 창작된 이야기일 확률이 높다고 한다. 자세한 건 임진왜란 문서 참조.
결국 협상이 결렬되어 심유경은 처벌받을 뻔했으나 병부상서 석성의 도움으로 죄는 면했다. 그러나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일본으로 망명하려는 속셈으로 도망가다 경남 의령 부근에서 명나라 장수 양원에게 잡혀 명나라로 압송된 뒤에 황제와 조정을 기만한 죄로 참형에 처해진다.[3]
3. 대중매체
- MBC 대하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편에서는 양택조가 배역을 맡았다. KBS 대하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이원재가, 징비록에서는 배우 이기열, 임진왜란 1592에서는 중국의 배우 주걸이 맡았다.
- 김성한의 소설 7년전쟁에서는 외교를 강조한 해당 작품의 특성상 진주인공 중 한 명으로 후반부터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등장한다. 3권에 첫 등장하는데 사실상 진주인공이자 고니시 유키나가와 함께 후반부를 이끄는 주연인 셈이다.
- 2015년 KBS 대하드라마 징비록에서는 배우 이기열이 연기하였다. 얄미운 명나라 사신 역할로서 선조와 조선의 조정을 눈 앞에서 여러 차례 조롱하는 모습과 더불어 고니시 유키나가와 밀담을 하여 국서 위조를 하는 모습이 나왔는데, 이후 46회에서 명나라의 국서 내용을 알고 분개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목이 베일 위협을 받다가 아예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할복하라는 광분하는 그를 보고 도망간다.
- 만화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에서는 고니시 유키나가를 상대로 화전양면전술을 펼친다. 강화를 하겠다고 거짓 약조를 한 뒤에 고니시 산하의 일본군에게 모자 선물을 주고 줄어든 모자 갯수로부터 일본군의 수를 파악하고, 겨울에 피폐해진 일본군을 상대로 명군을 이끌고 습격해온다.
[1]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가흥부 출신이라는 설, 가흥부 평호현 출신이라는 설, 복주부 출신이라는 설 등이 있다.[2] 경영첨주유격(京營添住遊擊)이라는 관직을 가칭하고 다녔기 때문에 조선왕조실록에는 그의 함자를 그대로 쓰기보다 관위인 유격(遊擊)으로 호칭하는 표현이 많다. 실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유격(沈遊擊)은 그를 나타내며, 오자가 아님을 유념하자. 참고로 이 유격은 유격수, 유격 훈련할 때 그 유격이 맞다.[3] 이후 양원은 1년 뒤 남원성 전투 패전의 죄를 물어 양호에게 잡혀 참수당한다. 그리고 양호도 20년 뒤 사르후 전투의 패전의 죄로 참수당한다.[4] 마법 장수는 넣어야 하는데 왜란 당시에 활약을 펼친 명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무인이였기에 이름이 알려진 인물 중 거의 유일하게 문관이 심유경이라서 그랬던 것 같다. 그런데 천하제일상 거상에서는 임진년에서 수백년 전의 인물인 제갈공명과 가공의 장수인 순비연이 마법 장수가 되었다.[5] 영하 지역에서 발생한 발배의 난(보바이의 난)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