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2년 |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12월 |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일본군 진격 시기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12월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임진왜란 조선 육군의 주요 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0a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 전투 | 해유령 전투 (1592. 5. 16.) | 정암진 전투 (1592. 5. 24.) | 이치 전투 (1592. 7. 8.) | 우척현 전투 (1592. 7. 10.) |
주장 | 신각 | 곽재우* | 권율 | 김면* | |
전투 | 청주 전투 (1592. 8. 1.) | 북관 대첩 (1592. 9. 16. ~ ) | 진주 대첩 (1592. 10. 6.) | 행주 대첩 (1593. 2. 12.) | |
주장 | 영규* | 정문부* | 김시민 | 권율 | |
* 의병장 | }}}}}}}}}}}}}}} |
정암진 전투 鼎巖津 戰鬪 | ||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 정암진 전투 기록화 | ||
시기 | 1592년 (선조 25년) 7월 3일 (음력 5월 24일) | |
장소 | 조선 경상도 의령 남강 정암진 | |
원인 |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침공 | |
교전국 |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승 | 일본 (공세)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곽재우 | 지휘관 안코쿠지 에케이 (6군) |
참전자 윤탁 박사제 오운 이운장 † 배맹신 심대승 정연 권란 정질 노순 강언룡 허언심 허자대 심기일 안기종 조사남 주몽룡 | 참전자 참전자 불명 | |
병력 | 조선군: 50여 명 | 일본군: 2,000여 명 (선봉)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결과 | 조선의 승리 | |
영향 | 일본 6군 선봉의 패주로 전라도 침공 포기 |
[clearfix]
1. 개요
곽재우가 일으킨 의병 50여 명이 일본군 6군의 선봉대를 정암진에서 매복해있다가 기습하여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한 전투이다.2. 전투 전야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일본군에게 당시 주요 곡창지대인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일명 하삼도) 중 전라도를 제외한 지역을 모두 빼앗긴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전라도는 조선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했던 곳이었고 이에 일본군은 전라도를 점령키 위하여 6군을 의령으로 이동시킨다. 그러자 앞서 의령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곽재우는 6군을 공격하기 위해 남강 정암진 부근의 갈대밭에 의병 50여 명을 매복시켰다.3. 전투
음력 5월 24일 왜장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 惠瓊)[1]는 2,000여 명의 선봉대를 정암진 인근으로 보내어 도하 지점을 골라 푯말을 세워두게 하였다. 그러나 이날 밤 곽재우의 의병들은 일본군이 세워놓은 푯말의 위치를 늪지대로 옮겨 세워두도록 하였고 이를 몰랐던 안코쿠지의 주력군은 푯말을 따라 진격하였으나 결국 늪지대에 빠지게 되어 미리 매복하던 곽재우의 의병에게[2] 일제히 기습을 받아 크게 패배하고 말았다.4. 결과 및 영향
결과는 그야말로 대승. 곽재우군은 불과 50여 명에 불과한 의병으로 2,000명이 넘는 일본군 선봉을 패주시켰으며, 일본군 6군은 전라도 진출을 포기하였다. 이 전투 이후 곽재우의 의병은 불과 50여 명에서 오운과 박사제의 병력 등이 합세하여 3,000명이 넘는 군세를 갖추게 되었다.5. 여담
- 현재 정암진에는 의령군에서 조성한 의령관문공원이 있다. 의령대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정암진의 암벽 중간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의령관문을 지었던 것에서 더 나아간 것이다. 더불어 남강을 가로지르는 의령대로 다리 아래로는 지금까지도 이 구간의 얕은 수심을 나타내는 하중 사구를 볼 수 있으며, 공원 옆으로는 지명의 유래가 된 정암(鼎巖)이라는 이름의 바위가 강변에 남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로 인해 정암진의 천연 장벽 역할을 했던 암벽이 모조리 파괴되었다는 것이다.[3] 이는 비단 관문공원만이 아니라 남강로 건설을 위한 불가결한 선택이었을 터이며, 역사 기록에 따르면 실제 전투가 있었던 곳은 이 암벽이 아니라 암벽 건너편의 갈대밭이므로 정암진에 얽힌 전사(戰史)와 암벽의 보존 여부 사이의 관계성은 거의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일 수 있다.
- 정암진 전투를 지휘한 곽재우의 첩장인 이로는 임진왜란 직전 친구 류성룡에게 보낸 서신에서 조정의 전쟁준비를 비판하며 "삼가 고을은 정암진이 앞을 막고 있으니 왜적이 날아서 건너겠는가."라고 자신한 바 있었다. 이 문구는 당시 전쟁을 앞두고 조선 유림들의 안일한 인식을 까는 용도로 자주 인용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사위에 의해 정말로 왜적은 정암진을 넘지 못했고, 전라도 진출의 통로인 남강 연안을 확보하는데도 실패했다.[4]
- 칼부림의 작가로 유명한 고일권이 2013년에 코믹스브이라는 연재처에 정암진 전투를 소재로 한 정암진을 연재하기도 하였다. 다만, 현재는 코믹스브이가 서비스 종료하는 바람에 볼 수가 없다.
6. 대중매체
-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나온다. 안코쿠지 에케이[5]와 코바야카와 타카카게가 전라도로 진격하자 매복해 있다 공격해 압승을 거둔다. [6]
천강 홍의 장군 곽재우. 전란이 터진후 단 열흘만에 의령땅에서 거병한 최초의 의병장이다. 그는 전투때마다 붉은 옷을 입고 분전하였으므로 세인들은 그를 홍의 장군이라 불렀다. 정암진에서 벌어진 이 전투에서 곽재우는 화려한 기만술을 펼쳤으니 그는 부하들에게 똑같은 옷을 입혀 독전케한 것이 그것이였다. 이는 아군의 수가 적군의 수에 비해 현저히 많게 보여 적을 심리적으로 위축시키기 위함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정암진전투에서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들은 일본의 정예 정규군을 맞아 압승을 거두니 우리 민족의 저력을 확인하는 순간이라 아니할 수 없다. 또한 히데요시의 전라도 공략전의 그 예기를 꺾은 전투였으니 그 의의는 실로 크다 하겠다.
- 북한에서 만든 기록 영화가 있다. 수준이 낮은 것은 물론이고[7] 고증오류가 심각한 수준이다.[8]정암진 전투(북한)
[1] 안국사라는 절의 혜경이라는 법명의 중이다. 즉 안국사 주지스님인데 일본 전국시대에 큰 절의 주지는 거의 다이묘나 마찬가지였던 위치였다. 나중에 에케이는 도요토미 사후 이시다 미쓰나리의 편을 들었다가 세키가하라 전투 패전 후 참수당한다.[2] 이 때 곽재우는 자신이 입던 홍의가 눈에 잘 띈다는 점을 이용해 자신이 뽑은 10명의 사람들에게 똑같은 옷을 입혀서 일본군을 혼란에 빠트리게 했다고 한다.[3] 현존하는 정암과 그 옆의 정암루라는 누정이 서 있는 작은 언덕은 안산의 동쪽으로 작게 뻗어 있었던 정암진 암벽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곳이다.[4] 사실 조정조차도 왜군의 규모를 잘해야 1~2만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으니, 지역민이 보기에 그 정도 군세로 수군과 해안가 방어선을 모조리 뚫고 남강까지 건너온다는 시나리오를 납득하기도 어렵고 그 남강을 건너서도 50리가 떨어져 있는 삼가 지역에서 유생까지 끌어다가 축성한다고 난리치는 걸 이해하기 힘들었을 것이다.[5] 배우가 상당히 젊게 나오는데 실제로 안코쿠지의 이때 나이는 이순신보다 많다.[6] 아래의 해설은 김종성 성우의 나레이션이다.[7] 백병전을 제외한 전투의 모든 면은 묘사라고 부르기도 우스운 수준이며 쓸데없는 효과음은 이입을 방해한다[8] 의병의 수가 너무 낳아 보이는 것도 이상하다. 이 전투는 위에서 언급했듯 소수의 의병이 다수의 일본군을 대파한 전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