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川 数正
1533-1593
1. 개요
이시카와 카즈마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다.2. 생애
1533년 미카와에서 태어났다.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인질이던 시절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게 되었다. 1560년 요시모토가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전사하고 이에야스가 독자 세력으로 독립하자 이마가와 우지자네와 교섭하여 이에야스의 장남 마츠다이라 노부야스와 정실 츠키야마도노를 되찾았고, 이후 오다 노부나가와의 교섭으로 오다-도쿠가와 동맹 성립에 공을 세웠다.이후 미카와 잇코잇키에서는 아버지는 잇코잇키에 가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야스의 곁을 지켰고, 이후 이에야스의 장남 노부야스의 후견인이 되는 등 신뢰를 받았다. 미카타가하라 전투와 나가시노 전투 등에서도 활약했고, 노부야스 할복 이후 오카자키 성주대리가 되었다.
혼노지의 변 이후 하시바 히데요시와의 교섭을 담당했고, 히데요시와의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에도 참전했다. 이에야스에게 히데요시와 화친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 이후 1585년 히데요시에게 귀순하였다. 그 이유로는 히데요시와 화평을 주장해 가문 내에서 고립되었다는 설, 히데요시에게 설득을 당했다는 설, 아버지의 잇코잇키 가담으로 불이익을 받아 불만이 생겼다는 설, 노부야스 할복 사건으로 후견인으로써 이에야스나 가신들과 불화가 생겼다는 설, 이에야스와 짜고 한 일이라는 설 등이 있다. 카즈마사는 도쿠가와 가문의 중요 정보들을 많이 알고 있어 이는 도쿠가와 측에게는 큰 타격이었다. 다만 도쿠가와 측에서 카즈마사에 대한 제재를 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암암리에 도쿠가와와 도요토미 양쪽의 소통 창구로 쓰였다는 설도 있다. 특히 대망(소설)에서 이 설을 지지하여 '두 가문의 사이를 중재할 수 있는건 나뿐이다'라고 고뇌하다가 도요토미로 들어가는 카즈마사의 모습이 그려진다.
히데요시에게 카와치국에 8만석을 받았고, 이후 오다와라 정벌에도 출전해 시나노 마츠모토 10만석을 받게 되었다. 1593년 사망했다.
그의 세 아들 야스나가, 야스카츠, 야스츠구는 야스나가가 마츠모토를 물려받는 등 모두 영지를 가졌으나 1613년 오쿠보 나가야스 사건에 말려들어 모두 개역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100만인의 노부나가의 야망 |
노부나가의 야망 신생 |
-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에서는 잡장으로 등장한다.
- 1988년에 TBS 테레비에서 방송한 스페셜 사극 도쿠가와 이에야스[1]에서는 치바 신이치가 열연하였는데, 이에야스의 가신들중 가장 비중이 크고 이에야스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로 나온다.
- 노부나가를 죽인 남자에서는 혼노지의 변 이후 소실되었다고 알려진 노부나가의 항아리 하츠하나를 히데요시에게 진상하는 것으로 나온다. 히데요시는 온갖 추임새를 넣어가며 카즈마사에게 감사를 표하고, 분위기는 도쿠가와와 하시바 양 진영의 화친으로 이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하츠하나는 '히데요시와 이에야스 모두 혼노지의 변을 조장한 공범'이라는 사실을 얽은 속박에 가까웠고, 카즈마사는 미카와로 돌아가는 길에 '히데요시는 얕은 잔꾀로 타인을 방심시킨 다음 공격하여 이득을 취하는 자로, 참 우스운 자이다.'라는 평을 내린다.
이후 오와리 국 수공 작전으로 인해 반 히데요시 동맹 맹주였던 오다 노부카츠가 허무하게 항복하고, 히데요시는 미카와 국 정벌을 추진하고 있었다. 주군인 이에야스는 가신들 앞에서는 항전을 결의했지만 사석에서는 변변한 지원군도 없고 미카와 국의 피해도 막심한 상태에서 전쟁을 이어가는 것이 너무나 힘들다고 고충을 호소하곤 했다. 카즈마사도 동감이었기에 투항파에 섰으나, 다른 가신(특히 도쿠가와 사천왕)들은 강경하게 결사항전을 부르짖기만 한다. 이에야스는 이들의 도움으로 영주가 되었기에 함부로 이들의 항전 의지를 거스르지 못한 채 방관할 수밖에 없었고, 전쟁에 염증을 느낀 카즈마사는 깊은 밤에 자신을 따르는 부하들과 백성들을 데리고 히데요시에게 투항한다. 이에야스는 자신도 내심 전쟁을 그만하고 싶어했고, 카즈마사가 어린 시절부터 자신을 섬긴 첫 가신이었기에 카즈마사를 원망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