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6:50:45

만취선조관동일록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71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징청각[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명봉사경청선원자적선사릉운탑비[3]}}}
  1.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2. 한천사삼층석탑
  3.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4. 영주삼가동석조당간지주
  5. 용화동삼층석탑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현일동삼층석탑[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천동삼층석탑[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감모전오층석탑[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현이동모전오층석탑[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적개공신논상록권[8]}}}
  1. 손소선생분재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손소선생영정[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한천사철조여래좌상[10]}}}
  1.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11]}}}
  1.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단석산상인암마애석불상군[12]}}}
  1. 삼릉계곡선각육존불
  2. 월영대
  3. 고성이씨재사
  4. 고성이씨신도비
  5. 안동 흥해배씨 임연재종택
1.#26
  1. 광산김씨재사및사당
  2. 예안향교
  3. 선성현객사
  4. 역동유허비
  5. 농암사당
  6. 긍구당
  7. 시사단
  8. 애일당
  9. 호계서원
  10. 은곡서당
  11. 추원재
  12. 효자비
  13. 부나원루
  14. 침락정
  15. 용암정
  16. 어은정및재사
  17. 농암각자
  18. 안정사석조여래좌상
  19. 나소동삼층석탑
  2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방초정[14]}}}
  1. 청량사유리보전
  2. 만남재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도곡재[1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삼가헌 및 하엽정[16]}}}

[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변경[2]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변경[3] 보물 제1648호로 승격[4] 보물 제610호로 승격[5] 보물 제609호로 승격[6] 국보 제187호로 승격[7] 보물 제2069호로 승격[8] 보물로 승격[9] 보물 제1216호로 승격[10] 보물 제667호로 승격[1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호로 지정변경[12] 국보 제199호로 승격[13]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26호로 승격[14] 보물 제2047호로 승격[15]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2호로 지정변경[16] 국가민속문화유산 제104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회연서원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월담헌및사월종택[17]}}}
  1. 생육신이경은선생부조묘
  2. 생육신이경은선생제단
  3. 용계서원
  4.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남장사철불비로자나불좌상[1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남장사목각후불탱[1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영축성비[20]}}}
  1. 동방사지칠층석탑
  2. 쌍충사적비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천 권응수 장군 유물[21]}}}
  1. 농암영정후사본및금서대
  2. 후조당유물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주 정기룡 장군 유물[2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곽망우당 유물 일괄[23]}}}
  1. 가례증해판목
  2. 박노계집판목
  3. 이숭원초상화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효종어전희우시회인물도[24]}}}
  1. 강호정
  2. 오회공종택
  3. 하천재
  4. 사의당
  5. 삼휴정
1.#76 오회당
  1. 동린각
  2. 자양서당
  3. 선암서원
  4. 난포고택
  5. 우금촌두암고택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수루[25]}}}
  1. 자계서원
  2. 환성사심검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주양진당[2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법수사지삼층석탑[27]}}}
  1. 법수사지당간지주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세종대왕자태실[28]}}}
  1. 이운룡장군영정
  2. 호수종택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황상동마애아미타여래석불입상[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남지장사청련암[3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구부 수성비[31]}}}
  1. 경주남산입곡석불두
  2. 경주동천동사방불탑신석
  3. 성덕왕릉귀부
  4. 분황사화쟁국사비부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불국사석조[32]}}}
  1. 안동이천동삼층석탑
  2. 안동운흥동당간지주

[17]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94호로 승격[18] 보물 제990호로 승격[19] 보물 제922호로 승격[20]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변경[21] 보물 제668-2호로 승격[22] 보물 제669호로 승격[23] 보물 제671호로 승격[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3호로 지정변경[25]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60호로 승격[26] 보물 제1568호로 승격[27] 보물 제1656호로 승격[28] 사적 제444호로 승격[29] 보물 제1122호로 승격[30]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4호로 지정변경[3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변경[32] 보물 제1523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달성용봉동석불입상[3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하곡리석조여래입상[3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대율리석조여래입상[36]}}}
  1. 안동임하동동삼층석탑
  2. 안동임하동십이지삼층석탑
  3.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
  4. 안동하리동삼층석탑
  5. 안동죽전동삼층석탑
  6. 안동막곡동삼층석탑
  7. 영양연당동석불좌상
  8. 경주침식곡석불좌상
  9. 경주열암곡석불좌상
  10. 경주약수계곡마애입불상
  11. 선본암삼층석탑
  12. 청도덕양동삼층석탑
  13. 반룡사다층석탑
  14.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
  15. 성주보월동삼층석탑
  16. 선산궁기동석불상
  1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암사마애보살좌상[37]}}}
  1. 홍귀달선생신도비
  2. 황방촌유물
  3. 예천흔효리석조여래입상
  4. 영주읍내리석불입상
1.#126 초암사삼층석탑
  1. 부석사원융국사비
  2. 초암사동부도
  3. 초암사서부도
  4. 부석사삼층석탑
  5. 봉화의양리석조여래입상
  6. 봉화봉성리석조여래입상
  7. 천성사석조여래입상
  8. 천성사삼층석탑
  9. 불영사삼층석탑
  10. 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
  11. 거동사대웅전
  12. 장육사대웅전
  13. 수다사명부전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연사지삼층석탑[3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황사대웅전<현 황산사>[39]}}}
  1. 식성군문적
    {{{-2 142-1. 식성군문적(거영일기및계본등록)
142-2. 식성군문적(교지,유서,상서)}}}
  1. 성주성산관
  2. 영천조양각
  3. 신길원현감충렬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안동 풍산류씨 금계재사[4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화한수정[41]}}}
  1. 영해난고종가문서
  2. 오미동도림강당
  3. 의성향교

[3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6호로 지정변경[3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5호로 지정변경[35]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36] 보물 제988호로 승격[37] 보물 제2108호로 승격[38] 보물 제677호로 승격[39] 보물 제2068호로 승격[40]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88호로 승격[41] 보물 제2048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적천사괘불<관음탱화>[43]}}}
  1. 적천사목조사천왕의좌상
  2. 봉화오전리석조아미타여래좌상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주향교 대성전[4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산루 부 계정[45]}}}
  1. 상주 상산관
  2.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3.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곡사대웅전[4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곡사범종각[4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둔사 대웅전[48]}}}
  1. 성주백세각
  2. 안동삼산정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문묘명륜당[49]}}}
  1. 고운영정
  2. 지주중류비
  3. 신녕향교명륜당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의성만취당[50]}}}
  1. 예천권씨종가문적
  2. 목은영정
  3. 월록서당
  4. 대지재사
  5. 칠성루및휴계재사
  6. 의성정안동석조여래입상
1.#176 의성월소동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의성안사동석조여래좌상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달성하목정[51]}}}
  1. 명고영정
  2. 안동임하동오층석탑
  3. 옥산사마애약사여래좌상
  4. 봉정사삼층석탑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찬경루[5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보광사극락전[53]}}}
  1. 문경갈평리오층석탑
  2. 보문사삼층석탑
  3. 명봉사문종대왕태실비
  4. 예천 간방리 삼층석탑
  5. 각화사귀부
  6. 감고당문적
  7. 경주향교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주구황동당간지주[54]}}}
  1. 보리사마애석불
  2. 경주동천동마애삼존불좌상
  3. 경주배리윤을곡마애불좌상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명심보감판본[5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이철견신도비[5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의흥향교대성전[5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청원루[5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체화정[59]}}}

[42] 보물로 승격[43] 보물 제1432호로 승격[44] 보물 제2096호로 승격[45]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96호로 승격[46] 보물 1831호로 승격[47] 보물 제2121호로 승격[48] 보물 제1945호로 승격[49] 보물 제1575호로 승격[50] 보물 제1825호로 승격[5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6호로 지정변경[52] 보물 제2049호로 승격[53] 보물 제1840호로 승격[54] 보물로 승격[55]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7호로 지정변경[56]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8호로 지정변경[57]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58] 보물 제2050호로 승격[59] 보물 제205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진보향교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전사보광전[6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포항 보경사 오층석탑[61]}}}
  1. 영지석불좌상
  2. 기림사삼층석탑
  3. 백운대마애불입상
  4. 청도향교
  5. 해동속소학판목
  6. 점필재문적유품및종가문서
  7. 용궁향교
  8. 풍기향교<대성전동.서무>
  9. 도주관
  10. 삼귀정
  11. 기림사응진전
  1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직지사대웅전[62]}}}
  1. 상주증손향약
  2. 월간창석형제급난도
  3. 노소재문적
  4. 기영회도
  5. 노후및노홍신도비
  6. 선산객사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위성리석조약사여래입상[63]}}}
  1. 이씨삼강묘비
  2. 영가지및책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권화산종가문서[64]}}}
1.#226 희방사동종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말손종가문서[6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망우당선생문집책판(부)창의록책판[6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존재선생실기책판[6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예천야옹정[68]}}}
  1. 무이서당
  2. 영양삼구정
  3. 익재집책판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덕후루[6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양동설천정사[70]}}}
  1. 단계하위지선생유허비
  2. 회헌개모영정
  3. 서총대친림연회도
  4. 대승사마애여래좌상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승사금동관음보살좌상[71]}}}
  1. 희령군 어사금
  2. 학록정사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포항 용계정[7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주금봉리석조비로자나불좌상[73]}}}
  1. 성주이씨영정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경흥사목조삼존불좌상[74]}}}
  1. 금릉은기리마애반가보살상
  2. 영주가흥리암각화
  3. 영일칠포리암각화군
  4. 금릉덕천리석조관음보살입상

[60] 보물 제1570호로 승격[61] 보물로 승격[62] 보물 제1576호로 승격[6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64] 보물 제1002호로 승격[65] 보물 제1005호로 승격[66]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9호로 지정변경[67]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0호로 지정변경[68] 보물 제1917호로 승격[69]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승격[70] 국가민속문화유산 제189호 양동마을에 포함[71] 보물 제991호로 승격[72] 보물로 승격[73] 보물 제1121호로 승격[74] 보물 제1750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1. 운봉관
  2. 봉화향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포항보경사적광전[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봉암사극락전[77]}}}
  1. 효곡재사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오운종가고문서[7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삼존석굴석조비로자나불좌상[79]}}}
  1. 속자치통감강목판목
  2. 동강김우옹신도비
  3. 청천서당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대율리대청[80]}}}
  1. 육의당
  2. 종선정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불로리마애보살입상[8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용연사극락전[82]}}}
  1. 안동만대헌
  2. 삼괴정
  3. 영천정각리삼층석탑
  4. 옥간정
  5. 모고헌
  6. 포은정몽주유허비
  7. 봉화동면리마애비로자나불입상
  8. 고산정
  9. 도리추원당
1.#276 군자정
  1. 금대정사
  2. 종릉재사
  3. 배순정려비
  4. 최진립전적및유품
  5. 화원군영정
  6. 성주김기대소장전적
  7. 구가암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대견사지삼층석탑[83]}}}
  1. 동강서당
  2. 영천보성리암각화
  3. 청도합천리석조아미타여래입상
  4. 반룡사동종
  5. 식산이만부전적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상달암[84]}}}
  1. 아도화상사적비및도리사불량답시주질비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예천 감노루[85]}}}
  1. 윤별동묘
  2. 이정사
  3. 용천사대웅전
  4. 직지사석조나한좌상
  5. 경수당종택
  6. 고령박씨소윤공파문적
  7. 사룡산금정암제석탱
  8. 대승사윤필암목조아미타여래좌상및지감

[75]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76] 보물 제1868호로 승격[77] 보물 제1574호로 승격[78] 보물 제1203호로 승격[79]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80]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81]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82]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1호로 지정변경[83]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2호로 지정변경[84] 보물로 승격[85]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85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의성석탑리방단형적석탑
  1. 남성재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김용사괘불[86]}}}
  1. 유곡역고문서
  2. 김영열좌명공신교서및회맹록
  3. 나재채수신도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은해사소장금고[87]}}}
  1. 문경봉정리약사여래좌상및관세음보살입상
  2. 김승주삼공신회맹록판본
  3. 영주용혈리와요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김천직지사장묘법연화경[88]}}}
  1. 학봉신도비및묘방석
  2. 안동광흥사장금자사경
  3. 강포유홍원의현금및어은보
  4. 예천청주정씨재실
  5. 광산김씨긍구당고택
  6. 유금강산권
    317-1. 유금강산권
  7. 감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8. 은해사 백흥암 감로왕도
  9. 설월당 종택소장 전적 및 고문서
  10. 우복 정경세 신도비
  11. 만장사석조여래좌상
  12. 안동용수사대정삼년명금동고
  13. 영주영전사석조여래입상
  14. 봉정사만세루
1.#326 안동권씨송파재사
  1. 우향계안
  2. 봉정사소장유물
  3. 영주이개립문중소장문적
  4.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5. 소수서원소장판목
  6. 은해사중암암삼층석탑
  7. 금산당
  8. 구미수다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9. 안동 대원사 소장탱화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다사 대웅전 석가모니 후불탱화[89]}}}
  1.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2. 구미금강사석조석가여래좌상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군위인각사석불좌상[90]}}}
  1. 영양취수당
  2. 영주금광리장석우가옥
  3. 은해사대웅전후불탱화및삼장탱화
  4. 봉화추원재
  5. 선산 노진환 소장 전적
  6. 의성오봉종택소장전적
  7. 영주만취당김개국종중소장전적및책판
  8. 영해인량리주씨종택고문서
  9. 칠곡 가실성당
  10. 예천용문사천불탱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천치일리인종태실[91]}}}

[86] 보물 제1640호로 승격[87] 보물 제1604호로 승격[88] 보물 제1306호로 승격[89] 보물 제1638호로 승격[90]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변경[91]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1. 구미 금강사 금동약사여래입상
  2. 구미 금강사 금동관음보살입상
  3. 구미 금강사 소장 전적
  4. 의성 옥련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5. 대전사 보광전 석조여래삼존상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선석사 괘불탱[9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송림사 대웅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9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송림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95]}}}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송림사 명부전 목조시왕상과 제상[96]}}}
  1. 평해 북천교비
  2. 구미약사암석조여래좌상
  3. 용암박운효자정려비
  4. 김언신관련고문서
  5. 경산지초고본
  6. 송림사복장전적
  7. 보경사 서운암 후불탱화 및 신중탱화
  8. 안동 석탑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
  9. 인동 장형수 소장 영양역증
  10. 영주박승임종중소장전적및유물
  11. 정수사영산회상도
  12. 정수사 지장시왕도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덕 장육사 영산회상도[97]}}}
  1. 영덕 장육사 지장보살도
  2. 영덕 우계당 소장 고지도
1.#376 문원공회재이언적신도비
  1. 문경근암서원소장유물
  2. 구미 문수사 소장 묘법연화경
  3. 용천사 동하도로 수치송공표석
  4. 예천 서악사 석가모니후불탱
  5. 안동영천이씨간재공파종중소장문적
  6. 구미자비사소장전적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영천봉림사대웅전영산회상도[98]}}}
  1. 김선치의 벼루
  2.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3. 경산원효암마애여래좌상
  4. 칠곡도덕암몽계당선의대사진영
  5. 영주금양정사
  6. 성주 예산리 만산댁
  7. 양민공 손소 및 정부인 류씨의 묘비, 석인상
  8. 경절공 손중돈 및 정부인 최씨의 묘비, 석인상
    391-2. 경절공 손중돈 정부인 홍씨의 묘갈, 석인상
  9. 정부인문화류씨묘지명지석
  10. 청도장육산마애여래좌상
  11. 칠곡 위봉사 석조보살좌상
  12. 울진장씨고산성파소장고문서
  13. 장백손교지
  1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울진 불영사 불연[99]}}}
  1. 울진 불영사 불패
  2.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3. 청도 덕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92] 보물 제1620호로 승격[93] 보물 제1608호로 승격[94] 보물 제1605호로 승격[95] 보물 제1606호로 승격[96] 보물로 승격[97] 보물로 승격[98] 보물 제1612호로 승격[99] 보물 제2127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고문서 및 전적
  1. 영주 성혈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2. 문경대승사사면석불
  3. 김천 봉곡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4. 김천 봉곡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5. 안동 봉황사 삼세불화
  6. 문경 대승사 노주석
  7.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8. 포항 대성사 소장 금동여래좌상
  9. 신라 경순왕 영정
  10. 문경 혜국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
  11. 한강 정구 신도비
  12. 봉화 김태석 소장 전적
  13. 포항 합천이씨 전서공파 소장 유물
  14. 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회도
  15. 김천 청암사 신중도
  16. 소수박물관 소장 성학십도 판목
  17. 소수박물관 소장 해동명적
  18.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
  19. 영천 영지사 대웅전
  20. 김방경 묘지석
  21. 임하당 신후명 고문서
  22. 울진 불영사 신중탱화
  23. 청도 운문사 만세루
  24. 영천 죽림사 철조여래좌상
1.#426 의성 대곡사 지장보살도
  1. 의성 대곡사 삼화상·조사 진영
  2. 의성 운람사 목조아미타 여래좌상과 복장 일괄유물
  3. 고령 반룡사 목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4. 구미 원각사 목조보살좌상
  5.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
  6.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
  7. 성주 자양서당 소장 전적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칠곡 송림사 대웅전[10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수운잡방[101]}}}
  1.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2. 상주 도림사 소장 청동유물 일괄
  3. 문경 김용사 양진암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
  4. 경산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
  5. 경산 환성사 방형석조
  6. 울진 대풍헌 현판 일괄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이숙기 좌리공신교서[102]}}}
  1. 의성 경덕사 소장 고문서 및 유물
  2. 백전기법
  3. 숙흥야매잠
  4. 불국사 당간지주
  5. 경주남산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6. 경주남산 비파곡 제2사지 삼층석탑
  7.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포항 분옥정[103]}}}

[100] 보물 제2131호로 승격[101] 보물 제2134호로 승격[102] 보물 제1992호로 승격[103]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포항 흥해향교 대성전
  1. 포항 오어사 대웅전
  2. 문경 김용사 대웅전
  3. 안동 봉림사지 삼층석탑
  4. 안동 광흥사 응진전
  5. 영주향교 대성전
  6. 안동 세심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구미 천생사 소장 재송엄상좌귀남서
  8. 구미 천생사 소장 청허대사 행장
  9. 예천 용문사 중수용문사기비
  10. 포항보경사대웅전
  11. 포항우각리여주이씨고택
  12. 김천 김산향교
  13. 구미 인동향교 대성전
  14. 구미 선산향교
  15. 구미 도리사 극락전
  16. 상주 함창향교
  17. 상주 남장사 일주문
  18. 경산향교
  1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의성 고운사 연수전[104]}}}
  1.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2. 청도 불령사 전탑
  3. 청도 적천사 대웅전
  4. 성주 선석사 대웅전
  5. 예천 초간정
1.#476 예천 용문사 자운루
  1. 봉화 사미정
  2. 포항 보경사 서운암 부도군
  3. 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
  4. 울진 광흥사 소장 명양경
  5. 난졸재 이산두 영정
  6. 경산 선본사 신중탱화
  7. 향병일기
  8. 영천 영지사 대웅전 후불탱화
  9. 영천 영지사 명부전 석조지장시왕상 일괄
  10. 경주 숭덕전 제기
  11. 안동 서악사 아미타극락회상도
  12. 안동 봉황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13. 안동 봉황사 목조삼전패
  14. 영천 조치우 옥비
  15. 봉화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16. 김천 대휴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17. 안동 광흥사 응진전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
  18. 안동 광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19. 예천 연방사 신중탱화
  20. 안동 서악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안동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일괄[105]}}}
  1. 포항 오어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2.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3.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104] 보물 제2078호로 승격[105] 보물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안동 임계계회도
  1. 김한계 조사문서
  2. 청도 운문사 소조비로자나불좌상
  3. 예천 오천서당록
  4. 안동 지촌제청
  5. 고령향교 대성전
  6. 고령 장육당
  7. 봉화 경체정
  8. 청송 만세루
  9.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0. 상주 북장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11.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12. 청도 대비사 석조석가불좌상
  13. 포항 보경사 적광전 소조비로자나삼존불좌상
  14. 경주 송선리 마애불
  15. 경주 알천제방수개기
  1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청도 장연사 소장 묘법연화경[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청도 장연사 소장 정선동래선생박의구해[A]}}}
  1. 청도 도솔사 소장 묘법연화경
  2. 울진 광흥사 대웅전 판벽화 및 기타부재
  3. 민간 조보
  4.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
  5.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
  6. 문경 김용사 영산회상도
  7. 문경 김용사 현왕도
1.#526
  1. 청도 동국사 신중도
  2. 청도 적천사 석조아미타불좌상
  3. 청도 적천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4. 청도 적천사 석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5. 칠곡 금곡사 석조여래좌상
  6. 사근도 형지안
  7. 청도 운문사 사리기
  8. 성주 이시웅 소장 전적
  9. 배상열 혼천의「선기옥형」
  10. 영천 묘봉암 목우자수심결
  11. 영천 임고서원 영조을묘모본 정몽주 초상 및 함
  12. 영천 은해사 기기암 신중도
  13. 청송 대전사 신중도
  14. 청송 대전사 명부전 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15. 청송 보광사 극락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물 일괄
  16. 김천 조창현 소장 전적
  17. 안동 애련암 아미타삼존도
  18. 안동 애련암 신중도
  19. 노상추일기와 간찰첩
  20. 문경 대승사 윤필암 신중도
  21. 문경 김용사 양진암 신중도
  22. 문경 관음리 석조반가사유상
  23. 예천 남악종가 소장 전적
  24. 최벽 관련 고문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5.04.17
* 고령 벽송정 유계안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파일:만취선조관동일록.jpg

1. 개요2. 내용3. 기타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

1. 개요

晩翠先祖關東日錄. 조선시대 임진왜란 발발 당시 의병장으로서 큰 공을 세웠던 만취당(晩翠堂) 김개국(金盖國, 1548년 ∼ 1603년)이 1596년 1월 19일부터 1599년 2월까지 약 3년간 쓴 일기. 현재 영주시 소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김개국이 남긴 다른 고문적들과 함께 2003년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346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장으로 활약, 그 공적으로 1595년 예빈주부(禮賓主簿)에 특배되었던 만취당(晩翠堂) 김개국(金盖國)이 1596년 1월 19일부터 1599년 2월까지 약 3년간 겪었던 매일의 일상을 붓으로 남긴 일기이다.

일기를 쓴 연도와 달은 광곽 밖에 적혀있는데 일기의 처음 부분에는 ‘병신정월(丙申正月)’로 표시되어 있다. 이후 일기의 날짜는 일기 본문과 동일하게 연속적으로 적고 있으나 약간 굵게 표시하여 구분해 놓고 있다. 특히 광곽 밖에는 해당 달 뿐만 아니라 김개국이 이동했던 해당 지역까지 확인해서 표시해 놓고 있다. 이를 통해서 김개국이 구체적으로 해당 날짜에서 활동한 지역이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지역이 표시되고 있는 곳으로는 2월의 원주를 시작으로 평창, 청심대, 강릉, 삼척, 울진, 평해, 간성, 고성, 금강산, 통천, 흡곡, 금성, 이천 등이다

일기 내내 전란의 상황 속에서 겪은 비참한 내용과 상심을 자세히 토로하고 있다.
“회현(檜峴)을 넘어 안흥역(安興驛)을 지났는데 단지 쑥대밭의 아무것도 없는 빈터를 보았다. 운교역(雲交驛)에 도착하였는데 단지 두 셋의 띳집뿐이었다. 방림역(芳林驛)에 도착하니 평창(平昌) 수령이 나와서 기다렸다. 평창군의 피폐함을 심하게 말하였다. 늙은 몸으로 어려운 형편을 극복하려는 책임이 마치 임무를 감당하기 어려울 듯하여 불쌍하였다.”[1] - 1596년 3월 1일
“오늘이 답청절(踏靑節)인데 답청의 즐거움을 누리지 못하고 도리어 답설(踏雪)의 괴로움을 겪고 있으니 벼슬살이의 쓴맛을 이러한 지경에 이르러 더욱 경험하게 된다” - 1596년 3월 3일
“호남이 한 번 왜적의 변란을 겪고서 인심이 환산되었다. 전주 남원에 바야흐로 천병(天兵)의 거진(巨鎭)(절제사)의 진영(陣營)이 있었는데 떠돌아다니는 사람이 도로에 즐비하였다. 경작할 때에 머리에 이고 등에 짐을 지고 서로 서로 붙들고 손을 잡고 가는 피난민들의 상황이 눈에 가득하여 참담하였다. 머리에 이고 등에 진 짐을 자세히 보니 기울어진 상자에 텅 빈 섬이었다. 장차 어디에 가서 밥을 먹을지 알 수 없다.”[2] - 1598년 6월

주로 임란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전라도충청도 지역의 주요 전황과 이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을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다. 특히 유 제독이 만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남하했다가 다시 올라갔다가 또다시 서남쪽으로 내려가면서 귀뚜라미 보일러 충청도에 끼친 어마어마한 물질적 피해와 이로 인한 조선 농민들의 처참한 광경을 불만스러운 생각으로 적고 있다.
“천병이 충주, 직산, 공주 세 곳에 나누어 주둔하여 둔전의 계획으로 삼았다. 추수가 끝나고 백성들의 힘이 조금 쉬는 때를 기다려 양남(兩南)이 힘을 합쳤다면 만에 하나라도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터인데 먹을 식량의 유무를 돌아보지 않고 가벼이 스스로 남하하여 겨우 남은 백성들로 하여금 운반하는데 온 힘을 다 사용하게 하고 소와 말이 모두 폐사하고 도로에 발이 부르트고 어깨가 헐은 사람들이 넘어지고 엎어지는 상황이 심각한데도 능히 큰 일을 성사시켰다고는 아직 들어보지도 못했다.”[3] - 1598년 7월
“천조(天朝)의 장관(將官)이 서남쪽으로부터 모두 철회(撤回)하였고 일행의 마부와 말이 거의 삼백여에 이르렀다. 충청도의 일을 목도하니 참담하여 차마 보지 못하겠는데 하물며 저 남방은 어떻게 견디어 내겠는가? 간혹 접반사(接伴使)를 위하여 쇄마(刷馬, 지방에 배치했던 관청용 말)를 사용하는 것이 10번에 이르는 경우까지 있으니 무슨 물건을 실어야 할지 모르겠다. 인민의 생활이 이 때문에 거의 다했다.”[4] - 1599년 1월

그 외에도 천장(天將)이 서쪽으로 내려갈 때 사용할 마부와 말을 조정 또한 충청도에서 뽑아 보내라고 명령한 내용이 있었다고 하면서 충청도의 백성들이 장차 붙잡고 하소연 할 곳조차 없을 것이라고 동정하고 있다.

3. 기타

김개국은 이 외에도 같은 일기류 서적으로 만취선조예조일기를 남겼다.

원래 김개국의 종중으로써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위치한 연안김씨좌군사정공파영주문중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었으며, 현재는 그의 후손 김향회가 영주시에 기증하여 영주시 소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2003년 4월 14일에 김개국의 다른 문적 147건과 함께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로 지정되었다.

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연안김씨 좌군사정공파 영주 문중에서 보관해 온 전적류 및 책판이다. 김개국(金盖國)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본관은 연안, 자는 공제(公濟)·공징(公澄), 호는 만취당(晩翠堂)이고 박승임(朴承任)의 제자이다. 예조좌랑(禮曺佐郞),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 옥천군수(沃川郡守) 등의 관직을 지냈다.

8종 3책 112점 32매이다. 시권(試券) 6매, 교지·교첩(敎旨·敎牒) 29매, 소지(所志) 32매, 호구단자 43매, 명문 1매, 상찰찬(上札贊) 1건, 책판 32매, 서책 3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서책 《관동일록(關東日錄)》은 김개국이 강원도도사를 지낼 때 있었던 임진왜란에 관련된 일들을 기록한 일기이며, 《동문선(東文選)》과 《사마방목(司馬榜目)》은 임진왜란 이전에 만든 을해자(乙亥字)로 간행된 서적으로 매우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만취당문집(晩翠堂文集)》 책판은 1774년에 판각한 것으로 시, 제문, 일기가 들어 있고 부록에는 가장(家狀), 묘갈명(墓碣銘), 묘지명(墓誌銘)이 있다. 없어진 목판이 없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으며 제작 당시의 제작양식을 연구하는 데 꼭 필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003년 4월 1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 두산백과

[1] 踰檜峴, 過安興驛, 但見蓬蒿沒墟, 且到雲交驛, 只有茅屋兩箇, 馳到芳林驛, 平昌倅出待, 昌倅極言其郡之殘弊, 見其 爲人老拙.[2] 湖南一經賊變, 人心渙散, 全州南原, 方有天兵巨鎭, 而流離之人, 連絡道路, 當此耕作之時, 負戴扶携, 滿目慘然, 詳視其 所負戴, 則只是傾筐空石也, 不知將就食於何地邪.[3] 天兵分住於忠州稷山公州三處, 以爲屯田之計, 待秋成民力稍歇之時, 而合勢於兩南, 則可以收效於萬一, 而不顧粮餉之 有無, 輕自南下, 使孑遺之民, 盡力於轉運, 牛馬皆斃於道路, 肩赬足繭人多顚仆而死, 如此而能濟大事, 未之聞也.[4] 天朝將官, 自西南盡爲撤回, 而一行夫馬, 幾至三百餘, 目視忠淸道之事, 慘不忍見, 況彼南方, 何以堪過, 或有爲接伴使 者, 用刷馬, 多至十餘, 不知載何物邪, 人民之生, 以此而盡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