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 이순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 |
가족 |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 ||
관련 인물 |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 ||
생애 |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 ||
관련 장소 |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 ||
관련 사건 |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 ||
관련 물건 |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
작품 |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용모 · 창작물 | ||
평가 |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 ||
창작물 |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 ||
}}}}}}}}} |
李薈
1567년(명종 22년) ~ 1625년(인조 3년)(향년 58세)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인물. 자는 무백(茂白). 이순신의 장남.2. 생애
1567년 2월에 태어나 벼슬로는 현감을 지냈고 1592년 음력 정월에 숙부 이우신, 사촌 이봉 등과 함께 이순신을 방문했으며, 1593년 음력 5월 16일에 진중에 있다가 사촌 이해와 함께 돌아갔다가 음력 5월 23일에는 이순신에게 명나라 관원이 영문에 와서 배를 타고 온다는 것을 전했고 음력 8월 9일에는 이순신에게 할머니가 평안하고 사촌인 이염에 대한 병세에 대해 차도가 있다는 소식을 알렸다.1594년 음력 5월 2일에는 할머니의 생신상 차려 올릴 일로 계집종과 함께 돌아갔다가 다시 왔고 19일에는 송희립과 노루 사냥을 하다가 동생 이면과 함께 돌아갔다. 음력 7월 21일에는 방자에게 곤장을 친 일로 인해 이순신에게 꾸중을 들었으며, 음력 11월 13일에는 신 첨지, 이희남, 김숙현 등과 함께 본영으로 갔다. 1595년 음력 10월 19일에는 동생 이면과 함께 떠났다가 30일에 이순신을 방문했고 음력 11월 13일에는 이희남, 김숙현과 함께 본영으로 돌아갔다가 19일에는 사촌 이분, 이봉, 이해 등과 함께 이순신을 방문했다.
1596년 음력 3월 11일에는 사촌 이해, 이완 등과 함께 여종 3명을 데리고 떠났으며, 음력 8월 4일에 어머니의 생신을 축하하기 위한 헌수잔을 올리기 위해 동생 이면, 사촌 이완 등과 함께 떠났다. 윤 8월 9일에는 교서가 오자 김대복, 사촌 이봉과 함께 감사하는 절을 올렸다.
1597년에 이순신이 백의종군을 하면서 남쪽으로 가던 와중인 4월 11일에 할머니가 사망해 상을 당했는데, 상을 마치고 이순신이 남쪽으로 가자 동생 이면, 이울, 사촌 이해, 이분, 이완 등의 가족, 친척과 주부 변준서와 함께 천안까지 이순신을 따라갔다. 1597년 음력 9월 16일에 명량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고 음력 10월에는 아산으로 가서 집안 사람들의 생사를 살피러 갔다가 동생 이면이 죽은 것을 알게 되었다.
이순신을 따라 전쟁에 참전하면서 뚜렷한 전공을 세우지는 못했지만 이순신과 여러 무장에 대한 뒷바라지를 한 것이 공로로 인정되었으며, 이순신이 2품직으로 승진하면서 국법에 따라 음보를 통해[1] 임실현감이 되었다. 참고로 이회 외에도 사촌 이완 등 이순신의 자식 및 조카들은 아버지 / 숙부인 이순신 아래에서 종군했지만, 아무런 관직이 없이 모두 의병 신분으로 활동했다. 조선의 국법 중 '상피제'라고 해서 부정부패를 막기 위해 친인척들은 같은 임지에서 벼슬을 할 수 없었는데 이순신은 이 상피제를 철저하게 지켰기 때문이다. 이완도 임진왜란이 끝난 뒤에야 무과에 합격해서 공식적인 벼슬 생활을 했다.
통훈대부, 첨정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통정대부 좌승지에 추증되었으며, 임진왜란의 공으로 선무 원종 공신으로 책봉되었다.
1603년에는 어머니 방수진의 병이 중하다는 이유로 사직 또는 휴가를 청했는데, 조정에서는 도를 통해 음식을 제공하도록 했다.
3. 대중매체에서
- 1962년 개봉한 영화 《성웅 이순신》에서는 배우 이택균이 연기했다.
- 1971년 개봉한 영화 《성웅 이순신》에서는 배우 송상균이 연기했다.
- 2004년 방영한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아역으로 등장했으나 배우는 미상이다.
- 2014년 개봉한 영화 《명량》에서도 아버지 이순신을 곁에서 모시는 역할로 등장했는데, 이회 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이 권율이다. 일본판 성우는 호시 소이치로.
- 2023년 개봉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배우 안보현이 연기했다.
- 대체역사소설 '충무공의 아들이 되었다'에서는 현대를 살던 주인공이 6살이던 이회의 몸에 빙의된다. 이후 아버지인 이순신과 함께 무과에 급제하여 임진왜란에 대비하며 두각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