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5:17:27

소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73년까지 소사역이었던 경인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부천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사역
(서울신대)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연천 방면
역 곡
← 1.5 ㎞
1호선
(147)
인천 방면
부 천
1.1 ㎞ →
서해선
(S16)
역명 표기
경인선 소사 (서울신대)
Sosa (Seoul Theological Univ.)
素砂 / [ruby(素砂, ruby=ソサ)]
서해선
1호선
서해선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인선
1호선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경인로 363 (소사본동 51)
서해선
서해선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284 (소사동 43-51) }}}}}}}}}
관리역 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경인선
보통역 (3급)
(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서해선
무배치간이역 (서해철도 위탁 운영)
(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운영 기관
경인선 한국철도공사[서해선]
서해선
개업일
경인선 1997년 4월 30일
1호선
서해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역사 구조
지상 1, 2층 대합실, 지상 3층 승강장 (경인선)
지하 2층 (서해선)
승강장 구조
2복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경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서해선)
철도거리표
구로 방면
역 곡
← 1.5 ㎞
경인선
소 사
인천 방면
부 천
1.1 ㎞ →
대곡 방면
부천종합운동장
← 2.1 ㎞
서해선
소 사
원시 방면
소새울
1.7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7. 연계 버스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97년 경인선, 2018년 서해선 개통
현재의 소사역은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1997년 4월 30일 운전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됨에 따라 옛 소사역이 부천역으로 이름을 바꾼 지 23년 만의 일이다. 그리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수도권 서부를 가로지르는 서해선의 첫걸음'을 축하하는 개통식이 새로운 소사역에 열리며 소사역의 또 다른 출발을 축하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47번,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6번.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경인로 363 (소사본동 51) 소재.

2. 역 정보

파일:01 소사.jpg
역 안내도[2] ([[|{{{#fff 크게보기}}}]])
부역명은 서울신학대학교로, 1호선과 서해선 모두에 붙어 있다. 1호선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와 서해선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서울신대)까지 방송하지만, 1호선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소사 역명만 방송한다.

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

원래 소사역은 부천역의 옛 이름으로, 1973년 부천군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부천역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소사역은 그 후 1997년 경인선 2복선화 사업과 함께 현 위치에 새로 신설된 역이다. 역 신설 건의는 1988년부터 있어왔으며[3], 1989년에 국회 청원이 이루어져[4] 1990년에 신설이 결정되었다. 1991년에 경인선 2복선 공사 착수와 함께 소사역도 2복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역사를 설계하고 착공하여 1997년에 개통하였다.
파일:소사역 기공식(1991-11-29)(2).jpg
소사역 기공식(1991년)
(부천시청 사진갤러리)
파일:소사역 개소식(1997-04-30).jpg
1997년 4월 30일 소사역 개소식
(부천시청 사진갤러리)
파일:경인 소사역 개통식(1997-04-30)(1).jpg
소사역 개통식(1997년 4월 30일)
(부천시청 사진갤러리)
파일:소사역.jpg
개통 초기(2000년) 소사역 1번 출입구 전경
(부천시청 사진갤러리)

소사역 인근은 다른 경인선 구간과는 달리 주위 도로보다 경인선이 높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따라서 1호선 소사역은 이 구조를 이용해 노반 아래 선하역사로 만들어졌다. 1번 출구와 2, 3번 출구로 나가는 층이 따로인 역으로 1번 출구 근처에는 광장이 있으며, 2, 3번 출구로 나가려면 계단을 한 층 더 내려가야 한다. 이는 1번 출구가 맞닿는 경인로와 2번 출구가 맞닿는 소사로가 평면으로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1번 출구는 경인로 방향, 2, 3번 출구는 소사로 방향으로 나있다.

서해선 개통에 맞추어 맞이방을 리모델링하였다.

동일 노선의 온수역과 마찬가지로 환승역이지만 급행이 통과한다. 다만 이웃한 역인 역곡역에 비해 수요 측면에서 열세인 온수역과 달리 이 역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대곡소사선 연장 개통으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2.2. 수도권 전철 서해선

파일:소사역 서해선.jpg
서해선 맞이방
파일:attachment/sowonsosa.jpg
서해선 소사역 조감도

소사원시선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소사역은 1호선과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지정되었다. 서해선 소사역은 2018년에 완공되었으며, 지하역으로 만들어졌다.

서해선 역은 소사로 위에 지어졌으며, 4개의 출구가 신설되었다. 6, 7번 출구가 먼저 개통하면서 부천종합운동장이나 춘의동쪽에서 내려오는 6번 출구의 접근성이 좋아졌다. 5번 출구는 개통 당시에는 개방되지 않았다가 2020년 5월 경에 개방되었다.

7번 출구 인근은 광장처럼 되어 있는데, 해당 부지 아래에는 역 기기실이나 환기구 등이 있다. 이 부분은 본래 각종 건물들이 있었으나 서해선 공사 당시 역 부지에 포함되어 매입 뒤 철거되고 현재처럼 되었다.

2.3. 환승

고저차도 상당하며 수평 이동 거리도 길어 막장환승에 속한다. 긴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을 거쳐야 한다.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의 경우, 환승 게이트 통과는 불가능하나 환승 게이트의 비상 게이트를 상시 개방하고 있어 비상 게이트 출입문으로 통과하면 된다. 환승 게이트 근처 기둥에 안내문을 붙여서 기후동행카드 이용 환승객은 비상 게이트를 이용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서울전용 정기권 이용 환승객도 비상게이트 통과로 환승하면 이용 횟수 추가 차감 페널티가 없다. 아무래도 김포공항 ↔ 오류동 등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역끼리 이동할 때 소사역 환승이 최적 경로인 경우가 있어, 소사역에서 환승하려는 기후동행카드 이용객들이 많아 이렇게 개방해 놓은 듯하다.

파일:소사역 환승.jpg

2.4. 막차

[구로역에서 경부선 계통으로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열차]
||<tablebordercolor=#0052a4><rowbgcolor=#0052a4><-3> 평일 ||
구로역 출발시각 소사역 출발시각
22:19 신창 22:00 의정부
22:36 광명 22:14 연천
22:41 천안 22:14 연천[권장]
22:26 구로[주의]
23:38 서동탄 23:12 구로[권장]
23:24 광운대[주의]
토요일·일요일·공휴일
구로역 출발시각 소사역 출발시각
21:48 신창 21:29 양주
22:36 광명 23:16 구로
22:41 천안 22:24 소요산
23:29 서동탄 23:12 광운대
23:40 병점 23:24 광운대

3. 역 주변 정보

파일:2021080900015_2.jpg
소사역 일대 재개발, 재건축 사업 부지[9]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소사역 출구 정보
1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신학대학교
세종병원
소사지구대
MJ컨벤션
2디딤돌 문화센터
소사본동행정복지센터
소사초등학교
3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
소명여자중고등학교
소사동행정복지센터
원미산 산림욕장
원미초등학교
4디딤돌 문화센터,은하수공원
5소사종합시장
은행나무경로당
부천종합사회복지관
부원초등학교
6멀뫼사거리
소명여자고등학교
소명여자중학교
심곡2동행정복지센터
7소사동행정복지센터
소원공원

부천세종병원, 서울신학대학교, 소명여자중학교, 소명여자고등학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이 있다.

시흥시 대야동이나 신천동 등으로 가는 길목 중 하나이며 남부역을 기점으로 여우고개를 경유하여 신천동 쪽으로 가는 버스들이 많다. 대부분 경원여객이나 시흥교통 버스들이다. 덕분에 이 방향 버스 환승객이 다수 이용한다. 대부분의 시흥 버스는 부천역을 향하는 편이지만 서울 방향으로 갈 경우 소사역 환승이 거리상 이득이고, 일부 노선이 소사역을 종점으로 삼고 있어 시흥 시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소사역 인근은 부족한 인지도에 비해 교통로로서의 중요도에서는 높은 입지를 가지고 있다. 동서로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경인로를 끼고 있으며 고가에 설치된 역인 덕분에 남북으로는 소사역 굴다리를 통해 시흥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부천 중/북부~김포공항이 연결된다. 이렇게 평일 기준 국내 최대의 혼잡도를 보이는 동네라서[10] 이 역을 경유하는 도로도 역시 매일 아침저녁으로 동서남북 사방에서 몰려드는 출퇴근 트래픽을 소화하기 바쁘며, 서해선 공사로 인해 가뜩이나 부족한 소사역 굴다리 도로용량은 과포화되어 거북이 걸음이 일상이다.
파일:attachment/sosa.jpg
2010년경, 소사역 북부의 모습. 사진 속 건물들은 이미 소사원시선 공사와 함께 2013년~2014년 사이에 철거되었다.

역 주변은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노후한 구시가지였는데,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역 바로 앞에 한신더휴 메트로, 푸르지오, 힐스테이트(2024년 10월 현재 건설중)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부속 상가가 세워짐에 따라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특히 2023년 5월에는 한신더휴 1층 상가에 스타벅스가 입점하기도 했다. 역에서 조금 벗어나서 북쪽으로는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인근, 남쪽으로는 소새울역 인근으로 가보면 여전히 구시가지의 풍경이 남아있으나, 이들 지역도 현재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므로 장기적으로 역 근처의 풍경이 한층 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사역지하차도(2번 출구)에 비둘기가 엄청 많다. 교각 구조물에 조류가 앉는 것을 막기 위해 철창과 그물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새똥이 여기저기 칠해져 있을 정도. 벤치에도 새똥 주의가 적혀져 있다. 문제는 이곳에 버스 정류장이 있어 결코 유동인구가 적은 편이 아니라는 것. 가급적 스마트폰 앱 등을 이용해 버스 도착 시점에 맞춰 정류장에 가는 것을 추천한다.

4. 일평균 이용객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bac><bgcolor=#005bac> 연도 ||<|2> 파일:Seoulmetro1_icon.svg ||<|2> 파일:SeohaeLine_icon.svg ||<|2><bgcolor=#005bac> 총합 ||<bgcolor=#005bac> 환승객 수 ||<|2><bgcolor=#005bac> 비고 ||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eohaeLine_icon.sv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7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7년 22,047명 33,276명 58,327명
1998년 30,707명
1999년 30,603명
2000년 30,001명 비고
2001년 38,975명
2002년 42,583명
2003년 47,051명
2004년 39,594명
2005년 40,267명
2006년 39,407명
2007년 38,871명
2008년 39,179명
2009년 37,769명 }}}}}}}}}
2010년 35,639명
2011년 34,725명
2012년 32,222명
2013년 29,161명
2014년 28,476명
2015년 27,022명
2016년 26,241명
2017년 26,150명
2018년 25,553명 27,913명 53,466명 19,548명 [11]
2019년 25,051명 33,276명 58,327명
2020년 18,483명 27,731명 46,214명
2021년 19,090명 32,366명 57,469명
2022년 20,727명 35,927명 56,654명 30,537명
2023년 20,663명 38,359명 59,022명 31,565명
※ 서해선의 자료는 1호선과의 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파일:SeohaeLine_icon.svg : 서해철도㈜ 자료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1호선

파일:147_소사역_승강장_20230510_청동새.jpg
승강장[12]
역곡 ↑ 통과 역곡
1 2 3 4
부천 통과 ↓ 부천
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완행 용산·광운대·연천 방면
2 - 급행열차 통과선
3
4 완행 부천·부평·인천 방면
노선 및 방면 출입문 비고
1호선 (인천 방면) → 출구2-4, 5-2, 7-1
1호선 (연천 방면) → 출구3-4, 5-3, 8-1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로 인하여 스크린도어가 개방되어 있었다. 엘리베이터가 한 대도 없었으나, 서해선 개통과 함께 설치되었다.

막차가 이른 편이다. 평일 기준으로 인천행 00:08, 연천행 22:14,소요산행 22:37, 양주행 22:44, 의정부행 22:57, 광운대행 23:24, 구로행 00:15에 열차가 온다.

통과선에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스크린도어 역명판까지 붙은 것이 확인되었다. 경인선 급행 통과역 중 유일하게 통과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다. 또한 실질적인 모든 급행이 정차하지 않는 환승역 중 유일하게 인접한 두 역이 모두 급행이 정차하는 비환승역이다.

5.2. 수도권 전철 서해선

파일:서해선소사역승강장.jpg
서해선 승강장[연장]
부천종합운동장
소새울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김포공항·대곡·일산 방면
신천·시흥시청·초지·원시 방면

2021년 5월 1일부터 철도사업자가 이레일에서 한국철도공사로 변경되었으며 서해철도에서 위탁운영한다.

2018년 6월 16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총 5년동안 시종착역을 담당했으며, 대곡역 연장개통으로 인해 중간역으로 변경됐다.

6.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2월 14일 10시 57분경에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승강장에서 20대 남성이 당역통과 급행열차가 들어오는 도중에 선로로 투신하여 사망하는 일이 있었다. 이로 인해 200여 명의 승객이 후속열차로 갈아탔으며, 열차가 지연되고 서울역 방면 열차가 잠시 운행이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 당시 소사역은 스크린도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스크린도어가 없는 상태였다.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는 자의적인 투신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7. 연계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부천성모병원입구(11343)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부천성모병원입구(11346)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지하차도(11360) ||
일반
공항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7번출구.대화아파트(11362)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7번출구.대화아파트(11363)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5번출구(12070)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12076)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소사역2번출구(12077) ||
일반
공항



[서해선] 서해철도㈜ 위탁 운영.[2] 서해선 대곡·일산 연장 개통 이전 안내도이며 1번 출구 앞에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으나 안내도에서는 나오지 않았다.[3] 「소사전철역 신설 건의」, 조선일보, 1988-11-27[4] 「소사역 신설 국회 청원」, 한겨레, 1989-04-13[권장] [주의] 구로역에 정시에 도착하지 못한다면 놓칠 수 있다.[권장] [주의] 구로역에 정시에 도착하지 못한다면 놓칠 수 있다.[9] 「"난리 났어요"…더블 특급호재에 펄펄 끓는 부천 소사」, 땅집고, 2021-08-09. 사진자료 조선일보 제공.[10] 「부천 소사, 평일 가장 막힌다… 국토부 ‘교통혼잡지도’ 제작」, 국민일보, 2014-02-22[11] 서해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2] 통과선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연장] 대곡역 연장 이전에 촬영된 사진이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fc31f> 경의선
서해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서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미개통) - - - - - - -
}}}}}}}}}